KR20000035529A -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 - Google Patents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529A
KR20000035529A KR1019990051076A KR19990051076A KR20000035529A KR 20000035529 A KR20000035529 A KR 20000035529A KR 1019990051076 A KR1019990051076 A KR 1019990051076A KR 19990051076 A KR19990051076 A KR 19990051076A KR 20000035529 A KR20000035529 A KR 2000003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nformation
retrieving
dist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131B1 (ko
Inventor
유모토노보루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0003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47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subscanning direction, e.g. picture start or line-to-lin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the sub-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2Detecting at infrequent intervals, e.g. once or twice per line for main-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8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synchronisation signals or driving signals, e.g. page syn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time or d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화상데이터와 함께 촬영위치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전자스틸카메라에 이용하여 적당한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모드에 있어서 화상정보취득수단(1)에 의해 화상정보가 취득된 경우 해당 화상정보와 함께 측위수단(2)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를 기억수단(4)에 관련지워서 기억하고, 다음으로 재생모드에 있어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려지면 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차례로 판독하면서 차례로 연산수단(6)에 의해 2점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 산출거리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소정거리 이상인지 아닌지가 검색수단(7)에 의해 판단되며, 그리고 검색수단(7)에 의해 소정거리 이상의 산출거리가 검색되면 표시제어수단(9)에 의해 검색화상, 즉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가 표시수단(9)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IMAGE SEARCH APPARATUS, ELECTRONIC STILL CAMERA APPARATUS, AND IMAGE SEARCH METHOD}
본 발명은 촬영화상검색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촬영화상데이터와 함께 촬영위치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전자스틸카메라에 이용하여 가장 적합한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화상을 디지털신호로서 촬영, 기억, 표시처리할 수 있는 전자스틸카메라,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장착되는 카드형의 카메라유닛이 개발되어 제품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스틸카메라에 있어서는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은염사진용 필름에 있어서의 24장 찍기나 36장 찍기를 훨씬 초과하는 방대한 수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촬영 후의 재생표시시에 고속 또한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의 검색방법 및 표시방법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스틸카메라 등에 있어서 원하는 화상을 액정디스플레이(이하 LCD라 쓴다.) 등에 표시할 때에는 화상을 촬영시간의 신구(新舊)에 의거하여 차례로 한장씩 표시하는 스크롤표시방법이나, 복수 화상을 일괄하여 4화면 또는 9화면 등으로 분할표시하는 멀티화면표시방법에 의해 화상을 눈으로 보고 열람 검색하고, 원하는 화상을 추출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원하는 촬영화상을 검색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요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한편 근래에 있어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측정된 위치정보를 촬영화상에 관련지워서 축적하는 기술을 채용한 전자스틸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자스틸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검색하는 방법으로서는 ① 모니터에 표시되는 지도상의 원하는 위치를 입력지정함으로써 그 장소(주변)에서 촬영된 화상을 검색하는 방법이나, ② 지명 등을 입력함으로써 그 지명과 대응지워져 있는 촬영화상을 검색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검색방법 ①에 있어서는 지도정보의 용량이 매우 큰데다가 지도정보의 표시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버리거나, 원하는 위치를 입력지정하기 위해 모니터상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를 스크롤시켜서 원하는 영역을 찾아내거나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 및 처리에 의해 고속 또한 용이한 화상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 상기한 검색방법 ②에 있어서는 지명 등의 문자데이터를 검색조건으로서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입력조작이 번잡하게 되어 버리거나, 원하는 화상을 촬영한 장소의 지명을 기억하고 있지 않으면 검색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방법에 있어서도 고속 또한 용이한 화상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촬영화상정보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촬영화상정보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을 취득한 촬영위치 상호의 방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에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정보를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에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를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정보를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에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정보를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그룹정보를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을 고속 또한 용이하게 검색,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화상정보의 취득 및 기억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기억수단의 내부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의 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a, 도 5b는 거리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화상정보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a∼도 7d는 도 6에 나타낸 화상정보의 검색·표시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a, 도 8b는 화상정보의 검색·표시처리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a, 도 9b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화상정보의 검색·표시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8a에 나타낸 화상정보의 그룹등록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a, 도 11b는 거리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도 12c는 화상정보의 검색·표시처리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검색조건의 설정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a, 도 14b는 거리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a, 도 16b는 방위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화상표시처리의 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a∼도 18c는 스크롤표시에 있어서의 표시방법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화상표시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a∼도 20c는 화상표시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a, 도 21b는 본 발명의 촬영화상검색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을 적용한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의 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2는 도 21a, 도 21b에 나타낸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정보취득수단
2: 측위수단
3: 측시수단
4: 기억수단
5: 조건취득수단
6: 연산수단
7: 검색수단
8: 표시제어수단
9: 표시수단
10: 제어부
17: GPS수신부(측위수단)
18: LCD(표시수단)
20: 카메라기구부(화상정보취득수단)
27: 메모리(기억수단)
28: 키입력부(조건취득수단)
29: 시계부(측시수단)
30: CPU(연산수단, 검색수단, 표시제어수단)
100: 측위위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예를 들면 GPS수신기능 및 촬영기능부착의 휴대형 퍼스널컴퓨터, 휴대정보단말, 휴대전화)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화상검색장치는 화상정보취득수단(1)과, 측위수단(2)과, 측시수단(3)과, 기억수단(4)과, 조건취득수단(5)과, 연산수단(6)과, 검색수단(7)과, 표시제어수단(8)과, 표시수단(9), 키입력수단(11)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화상정보취득수단(1)은 소정의 화상정보를 디지털신호로 하고, 예를 들면 촬영, 받아들임 등에 의해 취득하고, 측위수단(2)은 화상정보를 취득한 위치 또는 장소를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위치정보로서 측정하여 취득한다.
또한 상기 촬영화상검색장치를 GPS수신기능(측위수단(2))이나 촬영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퍼스널컴퓨터나 휴대정보단말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정보취득수단(1)은 외부의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정보 및 해당 화상정보의 취득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 된다.
또 측시수단(3)은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내장된 시계기능으로, 화상정보를 촬영(취득)한 시각을 시간정보로서 측정하여 취득한다.
기억수단(4)은 화상정보의 각각에 위치정보를 관련지워서 기억한다. 또한 기억수단(4)은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내장되는 구성이어도 좋고 착탈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조건취득수단(5)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키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입력, 또는 소정의 학습처리(도 13 참조) 등에 의해 취득한다.
연산수단(6)은 기억수단(4)에 기억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화상정보를 취득한 위치 상호의 거리(고도차를 포함한다), 또는 방위를 특정량으로서 연산한다.
검색수단(7)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검색조건(임계값)과 특정량(거리, 방위)을 비교하여 검색조건에 적합한 화상정보를 추출하고, 표시제어수단(8)은 검색수단(7)에 의해 추출된 화상정보를 다른 화상정보에 앞서서, 또는 다른 화상정보와는 다른 표시방법에 의해 표시수단(9)에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키입력수단(11)은 촬영(수신)모드, 재생모드, 검색조건(거리, 방위 등)입력모드 등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키, 촬영을 지시하기 위한 셔터키, 재생화상을 다음의 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크롤(페이지보냄)키 (플러스키, 마이너스키를 포함한다), 리셋키, 실행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산수단(6), 검색수단(7) 및 표시제어수단(8)은 제어부(10)를 구성하고, 각 수단의 기능은 예를 들면 1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해 실현되는 각 기능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화상정보기억처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화상정보의 취득 및 기억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화상정보의 취득 및 기억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화상기록상태, 즉 화상정보취득(촬영대기)상태(촬영모드)로 설정하고, 그 후 키입력수단(11)의 셔터키를 조작하면 화상정보취득수단(1)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화상을 디지털신호로서 받아들임으로써 화상정보를 취득한다(S11).
화상정보의 취득(촬영)시에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의 위치정보(위도, 경도, 고도정보)를 측위수단(2)에 의한 측정에 의해 취득한다(S12). 구체적으로는 GPS측위법에 의해 측위위성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신호를 GPS안테나에 의해 수신하고 위도, 경도, 고도를 산출하여 위치정보로서 취득한다.
다음으로 취득한 화상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S13, S14).
여기에서 화상정보와 위치정보의 관련지움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화상정보가 기억되는 기억수단(4)의 내부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수단(4)의 내부영역은 대별하여 포맷테이블영역, 정보테이블영역, 화상데이터영역, 오프셋영역으로 구성된다.
포맷테이블영역에는 화상정보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 즉 포맷정보(F1, F2, ‥)가 격납된다.
정보테이블영역에는 화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정보식별정보(D1, D2, ‥), 화상정보를 취득(촬영)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정보(T1, T2, ‥), 화상정보를 취득(촬영)한 장소를 나타내는 위치정보(L1, L2, ‥) 등의 화상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격납된다.
화상데이터영역은 취득(촬영)한 화상정보(P1, P2, ‥)를 압축 등의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격납하고, 오프셋영역은 화상데이터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정보(P1, P2, ‥)의 데이터길이를 고정길이로 하기 위한 오프셋데이터(블랭크)를 격납한다.
이와 같이 각 화상정보(P1, P2, ‥)는 정보테이블영역에 격납된 화상식별정보(D1, D2, ‥), 시간정보(T1, T2, ‥), 위치정보(L1, L2, ‥)를 헤더로하여 가짐으로써 관련지워져서 기억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화상검색장치를 GPS수신기능(측위수단(2))이나 촬영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퍼스널컴퓨터나 휴대정보단말에 적용한 경우에는 스텝S11에 있어서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화상정보수신상태(수신모드)로 설정하고, 화상정보취득수단(1)에 의해 외부의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로부터 유선(케이블 등)이나 무선(전파, 적외선 등) 등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정보 및 해당 화상정보의 취득위치정보(즉 도 3에 나타낸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후 스텝S12, S13의 처리를 건너뛰어서 스텝S14로 천이하며, 수신한 화상정보 및 취득위치정보를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
또한 스텝S11에 있어서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에 장착되어 있었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착탈메모리를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화상정보 및 취득위치정보를 취득하도록 한 경우는 스텝S12∼S14의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화상정보검색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의 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특정량으로서 거리를 채용한다.
우선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화상재생상태(재생모드), 즉 화상정보표시상태(표시모드)로 설정하고, 기억수단(4)에 기억된 각 화상정보에 관련지워진 위치정보를 추출하며(S21), 각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 상호의 거리를 산출한다(S22). 구체적으로는 GPS측위법에 의해 취득한 위도, 경도에 의거하여 2점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거리와, 화상을 선택,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대조하고 (S23), 조건에 적합한 거리를 갖는 화상정보를 추출한다(S24). 여기에서 검색조건은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시에 촬영화상검색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조건을 키입력수단(11)을 조작하여 조건취득수단(5)에 입력설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미리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고정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검색조건을 취득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과거에 설정된 검색조건의 출현빈도(경향) 등에 의거하여 학습처리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나, 또는 이번회 산출된 거리의 통계학적인 경향, 예를 들면 위치정보의 최대위도차, 최대경도차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행동범위 등에 의거하여 설정하는 것이어도 좋다(도 13 참조).
다음으로 각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 상호의 거리의 산출처리와 산출된 거리와 검색조건의 대조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a, 도 5b는 거리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시각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기억(또는 관리)된 화상정보(P1, P2, P3, ‥)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는 위치정보는 GPS측위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위도, 경도이다. 따라서 인접하여 기억된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 상호(2점간)의 위도의 차 및 경도의 차로부터 3평방의 정리에 의해서 화상정보(P1, P2, P3, ‥)를 취득한 장소 상호의 상대적인 거리(P1-P2, P2-P3/P4, P3/P4-P5, ‥)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설정된 검색조건을 임계값(도면 중 점선으로 표시)으로 하고, 예를 들면 임계값보다도 긴 거리(P1-P2, P3/P4-P5, P5-P6)를 갖는 장소에서 취득한 화상정보(P2, P5, P6)를 검색결과로서 추출, 또는 마크표시한다.
이와 같이 각 촬영장소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촬영화상을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결과로서 각 촬영지역에 있어서 최초(또는 최후)로 촬영한 화상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함으로써 재생모드가 설정된 경우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의 검색처리와 표시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한다(스텝A1).
다음으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즉 n번째의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A2).
이 스텝A2의 처리에 의한 n번째의 화상정보의 표시는 스텝A3에서 키입력수단 (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중에 스크롤키가 조작되면(스텝A3에서 YES) 계속해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해서 눌려졌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A4).
여기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키눌러내림이 해제되면 스텝A5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A2로 되돌아가며 다음의 화상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또 스텝A4에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 계속해서 눌러내려진 것이 검출되면 스텝A6으로 이행하고 n번째와 n+1번째의 화상정보와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판독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2점간의 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스텝A7), 산출한 거리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소정거리(검색조건)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8).
여기에서 소정거리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9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6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스텝A8에서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기까지 스텝A6∼A9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A8에서 산출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도 11a, 도 11b 중의 P4-P5, P9-P10인 경우) 스텝A5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A2로 되돌아가며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도 11a, 도 11b 중의 P5, P10)가 표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키를 소정시간 눌러내리는 조작을 반복(또는 스크롤키를 소정 시간이상 계속해서 눌러 내린다)함으로써,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보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즉 도 11a에 있어서 그룹 2, 3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각 영역에서 촬영된 화상 중에서 최초의 화상정보(P5, P10)가 차례로 표시수단(9)에 표시되기 때문에, 원하는 화상정보가 촬영된 영역의 최초의 화상정보가 표시된 시점에서 통상의 스크롤조작(스크롤키를 소정시간 미만 눌러내리는 조작)으로 전환하여 차례로 다음의 화상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가장 오래된 화상(P1)으로부터 차례로 화상정보를 검색·표시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최신의 화상으로부터 검색·표시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영역에서 촬영된 화상 중에서 최후에 촬영된 화상정보(도 11a, 도 11b 중의 P4, P9)가 표시되게 된다.
또 상기 도 6의 흐름도의 스텝A8에 있어서는 2점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인 경우에 스텝A5, A2로 진행하여 검색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2점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인 경우에 검색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거리산출처리나 검색조건대조처리(스텝A6∼A8)를 화상정보의 재생시에 실시하도록 했지만, 촬영시에 실시하거나 임의의 시간에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촬영시에 거리산출처리나 검색조건대조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경우의 촬영처리,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a, 도 7b는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촬영모드시와 재생모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촬영모드를 설정하고, 그 후 임의의 타이밍으로 셔터키를 조작하면(스텝A1에서 YES) 화상정보취득수단(1)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화상을 디지털신호로서 받아들임으로써, 화상정보를 취득하여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하는 동시에, 화상정보를 취득한 경우의 위치정보를 측위수단(2)에 의한 측정에 의해 취득하고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스텝B2).
계속해서 전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와 이번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스텝B3).
그 후 판독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2점간의 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스텝B4), 산출거리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소정거리(검색조건)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B5).
여기에서 소정거리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B1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셔터키조작의 대기상태로 된다.
또 스텝B5에서 산출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도 11a, 도 11b 중의 P4-P5, P9-P10인 경우) 스텝B6으로 천이하고 이번회의 촬영에 의해 얻은 화상정보가 전회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도 11a, 도 11b 중의 P5, P10)인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가 이번회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화상식별정보의 하나로서 기억된다.
그 후 스텝B1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셔터키 조작의 대기상태로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즉 도 11a에 있어서 그룹 2, 3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각 영역에서 촬영된 화상 중에서 최초의 화상정보(P5, P10))에 대해서는 플래그정보가 대응지워져 기억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b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한다(스텝B11).
다음으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즉 n번째의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B12).
이 스텝B12의 처리에 의한 n번째의 화상정보의 표시는 스텝B13에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중에 스크롤키가 조작되면(스텝B13에서 YES) 계속해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해서 눌려졌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B14).
여기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키눌러내림이 해제되면 스텝B15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B12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화상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또 스텝B14에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 계속해서 눌러내려진 것이 검출되면 스텝B16에서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B17로 이행하고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플래그정보가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플래그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B16으로 되돌아가고, 이하 스텝B17에서 플래그정보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되기까지 스텝 B16∼B17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B17에서 플래그정보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되면(도 11a 참조) 스텝B12로 되돌아가고, 그 시점의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도11a, 도 11b 중의 P5, P10)가 표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a, 도 7b의 흐름도에 있어서도 도 6의 흐름도와 똑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7a, 도 7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촬영시에 거리산출처리나 검색조건대조처리(스텝B3∼B5)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 6의 흐름도의 처리와 비교하여 재생시에 있어서의 처리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표시처리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a의 흐름도의 스텝B5에 있어서는 2점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인 경우에 스텝B6으로 진행하여 플래그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했지만, 2점간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인 경우에 플래그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7a, 도 7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1개의 촬영화상검색장치내에서 도 7a의 촬영처리 및 도 7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로 도 7a의 촬영처리만을 실행하고 그 후 착탈메모리를 빼내어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장착하거나, 유선(케이블 등)이나 무선(전파, 적외선 등) 등에 의해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기억정보를 전송하고, 이 퍼스널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서 도 7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7a, 도 7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촬영시에 거리산출처리, 검색조건대조처리 및 플래그정보기억처리(스텝B3∼B6)를 실시하고 재생시에 플래그정보의 기억의 유무의 판단처리(스텝B17)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촬영시에 거리산출처리 및 산출거리정보기억처리를 실시하여 재생시에 거리정보의 판독처리 및 검색조건대조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그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c, 도 7d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촬영모드시와 재생모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촬영모드에 있어서 도 7a의 스텝B4에서 2점간의 거리가 산출되면 도 7c의 스텝B21로 천이하고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번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에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한다.
그 후 스텝B1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셔터키조작의 대기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재생모드에 있어서 도 7b의 스텝B16에서 화상번호 n에 1이 가산되면 도 7d의 스텝B31로 이행하고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져서 기억되어 어 있는 거리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거리정보가 소정거리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B32).
여기에서 소정거리 이하라고 판단되면 스텝B16으로 되돌아가고, 이하 스텝B31에서 소정거리 이상의 거리정보가 검색되기까지 스텝B16, B31, B32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B32에서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텝B12로 되돌아가고, 그 시점의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도 7c, 도 7d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1개의 촬영화상검색장치내에서 도 7c(도 7a)의 촬영처리 및 도 7d(도 7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에서 도 7c의 촬영처리만을 실행하고, 그 후 착탈메모리를 빼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장착하거나, 유선(케이블 등)이나 무선(전파, 적외선 등) 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기억정보를 전송하여 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서 도 7d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7a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에 대응지워서 플래그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했지만, 비교적 가까운 장소에서 촬영된 복수의 화상정보를 하나의 그룹으로 판단하여 그룹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촬영시에 그룹등록을 실시하도록 한 경우의 촬영처리와, 재생시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a, 도 8b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촬영모드시와 재생모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촬영모드를 설정하면 그룹등록을 위한 그룹번호 m이 m=1로 세트된다(스텝C1).
그 후 셔터키가 조작되면(스텝C2에서 YES) 화상정보취득수단(1)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화상을 디지털신호로서 받아들임으로써 화상정보를 취득하여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하는 동시에,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의 위치정보를 측위수단(2)에 의한 측정에 의해 취득하고,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한다(스텝C3).
계속해서 전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와, 이번회의 촬영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스텝C4).
그 후 판독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2점간의 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스텝C5), 산출거리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소정거리(검색조건)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C6).
여기에서 소정거리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C8로 이행하여 현시점의 그룹번호 m이 이번회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화상식별정보의 하나로서 기억된다.
또 스텝C6에서 산출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도 11a, 도 11b 중의 P4-P5, P9-P10의 경우) 스텝C7로 천이하고, 그룹번호 m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C8로 이행하여 새로운 그룹번호 m이 이번회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화상식별정보의 하나로서 기억된다.
스텝C8에 의해 그룹번호가 기억된 후 스텝C2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셔터키조작의 대기상태가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촬영된 화상정보가 동일그룹으로서 그룹등록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한다(스텝C11).
다음으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즉 n번째의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C12).
이 스텝C12의 처리에 의한 n번째의 화상정보의 표시는 스텝C13에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중에 스크롤키가 조작되면(스텝C13에서 YES), 계속해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 눌리웠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C14).
여기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키눌러내림이 해제되면 스텝C15으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C12로 되돌아가며, 다음의 화상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 스텝C14에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 계속해서 눌러내려진 것이 검출되면 스텝C16에서 n번째와 n+1번째의 화상정보와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정보(그룹번호)를 판독하고, 판독한 그룹번호가 다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C17).
여기에서 그룹번호가 같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C18으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C16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스텝C17에서 그룹번호가 다르다고 판단되기까지 스텝C16∼C18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C17에서 그룹번호가 다르다고 판단되면(도 11a 참조), 스텝C15로 이행하여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스텝C12로 되돌아가고, 그 시점의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도 11a, 도 11b 중의 P5, P10)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a, 도 8b의 흐름도에 있어서도 도 6 및 도 7a, 도 7b의 흐름도와 똑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a의 흐름도의 스텝C8에 있어서는, 각 화상정보마다 그룹번호를 대응지워서 기억시키도록 했지만, 그룹번호별로 할당되는 각 기억영역에 화상정보를 구분하여 기억시키거나, 1개의 그룹번호에 대응지워서 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화상정보(화상번호)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8a, 도 8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거리산출처리, 검색조건대조처리, 그룹번호등록처리(스텝C4∼C8)를 화상정보의 촬영시에 실시하도록 했지만, 촬영 후의 임의의 시간에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8a, 도 8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1개의 촬영화상검색장치내에서 도 8a(후술하는 도 10)의 촬영(그룹등록)처리 및 도 8b(후술하는 도 9a, 도 9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에서 도 8a의 촬영처리만을 실행하고, 그 후 착탈메모리를 빼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장착하거나, 유선(케이블 등)이나 무선(전파, 적외선 등) 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기억정보를 전송하여 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서 도 8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도 8a, 도 8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1개의 촬영화상검색장치내에서 도 8a(후술하는 도 10)의 촬영(그룹등록)처리 및 도 8b(후술하는 도 9a, 도 9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에서 도 7c와 같이 산출거리기억처리만을 실행하고, 그 후 착탈메모리를 빼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장착하거나, 유선(케이블 등)이나 무선(전파, 적외선 등) 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기억정보를 전송하야여 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촬영화상검색장치에서 도 8a(후술하는 도 10)의 그룹등록처리 및 도 8b(후술하는 도 9a, 도 9b)의 재생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8b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각 그룹에 있어서 최초(또는 최후)에 촬영된 화상정보가 검색·표시되도록 했지만, 화상정보의 그룹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점을 이용하여 각 그룹 중의 원하는화상정보(예를 들면 중간의 화상정보)를 검색·표시시키거나(도 9a 참조), 동일그룹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일괄표시(예를 들면 멀티화면표시)시킨(도 9b 참조)다고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하 각 그룹에 속하는 화상정보 중 중간의 화상정보를 검색·표시하는 경우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a는 상기 도 8b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재생모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하는(스텝D1) 동시에,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의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번호 m을 m=1로 세트한다(스텝D2).
다음으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즉 n번째의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D3).
이 스텝D3의 처리에 의한 n번째의 화상정보의 표시는 스텝D4에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중에 스크롤키(플러스키, 마이너스키를 포함한다)가 조작되면(스텝D4에서 YES), 계속해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해서 눌리웠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D5).
여기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키눌러내림이 해제되면 스텝D6로 천이하고, 스텝D4에서 조작된 스크롤키가 플러스키, 마이너스키의 어느 쪽인지가 판별된다.
스텝D6에서 플러스키라고 판단되면 스텝D7에서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한 후 n번째와 n-1번째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번호가 다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D8).
스텝D8에서 그룹번호가 다르다고 판별된 경우는 그룹번호 m에 1을 가산한 후(즉 현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의 그룹번호를 설정한 후) 스텝D3로 되돌아가고,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를 판독하여 표시한다.
또 스텝D6에서 마이너스키라고 판단되면 스텝D10에서 화상번호 n으로부터 1을 감산한 후 n번째와 n+1번째의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번호가 다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D10).
스텝D10에서 그룹번호가 다르다고 판별된 경우는 그룹번호 m으로부터 1을 감산한 후(즉 현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의 그룹번호를 설정한 후) 스텝D3로 되돌아가고,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를 판독하여 표시한다.
또 스텝D5에서 스크롤키가 소정시간 계속해서 눌러내려진 것이 검출되면 스텝D13으로 천이하고, 스텝D4에서 조작된 스크롤키가 플러스키, 마이너스키의 어느 쪽인지가 판별된다.
여기에서 플러스키라고 판단되면 스텝D14에서 그룹번호 m에 1을 가산한 후 스텝D15으로 천이하고, 마이너스키라고 판단되면 스텝D16에서 그룹번호 m으로부터 1을 감산한 후 스텝D15으로 천이한다.
스텝D15에서는 화상번호 n을 그룹번호 m과 관련지워져 있는 화상정보 중의 중간의 화상정보(도 11a, 도 11b 중의 P2 또는 P3과 P7)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로 바꿔 쓰고, 그 후 스텝D3로 되돌아가며, 그 시점의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각 그룹의 중간화상이 검색·표시되기 때문에 그 후의 원하는화상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스크롤키의 조작횟수를 도 8b의 흐름도의 처리와 비교하여 줄일 수 있으며, 검색속도를 보다 앞당길 수 있다.
다음으로 동일그룹에 포함되는 화상정보를 일괄표시시켜서 원하는화상정보를 선택시키는 경우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b는 상기 도 8b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재생모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b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의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그룹번호 m을 m=1로 세트한다(스텝D21).
다음으로 그룹번호 m에 의해 지정되는 그룹에 속해 있는 화상정보(예를 들면 도 11a 중의 그룹 1의 P1∼P4, 그룹 2의 P5∼P9)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멀티화면표시 등에 의해 일람표시한다(스텝D22).
이 스텝D22의 처리에 의한 그룹번호 m의 화상정보의 일람표시는 스텝D23에서 일람표시되어 있는 화상정보 중의 어느 쪽인가가 선택지정되거나, 스텝D24에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일람(멀티화면)표시 중에 스크롤키가 조작되면(스텝D24에서 YES), 스텝D25에서 그룹번호 m에 1을 가산하여 스텝D22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그룹에 속하는 화상정보가 일람표시된다.
또 스텝D23에서 일람표시되어 있는 화상정보 중의 어느 쪽인가가 선택지정되면 스텝D26로 천이하고, 선택된 화상을 화면 가득히 표시한다.
또한 화상정보의 선택지정방법으로서는, 화면상에 커서를 표시시키고, 이것을 플러스키, 마이너스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상으로 이동시킨 후 실행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지정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또 스텝D26의 처리에 의해 선택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중에 리턴키가 조작되면 스텝D22로 되돌아가고, 일람표시로 복귀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그룹의 화상정보가 일람표시되기까지 스크롤키를 차례로 조작하고, 그 후 일람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한층 화상의 검색·표시를 고속화, 용이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그룹등록처리 외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도 8a에 나타낸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룹등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임의의 타이밍(예를 들면 키조작에 의해 그룹등록처리의 실행을 명령한다)으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하는(스텝E1) 동시에, 화상정보의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번호 m을 m=1로 세트한다(스텝E2).
계속해서 기억수단(4)에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모두 판독하고, 이 중에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의 위치정보로부터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가 있는지 없는지가 판별된다(스텝E3).
구체적으로는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의 위치정보와 다른 모든 위치정보의 2점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중에 소정거리 이하의 것이 있는지 없는지가 판단된다.
스텝E3에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E4로 이행하고, 또한 검출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 중에 그룹등록되어 있는 것이 있는지 없는지, 즉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와 대응지워져 있는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그룹번호가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이것은 화상번호 1의 화상정보로부터 순서대로 그룹등록(그룹번호 기억)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검출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가 현시점에서 그룹등록처리 중인 화상번호 n의 위치정보보다도 앞의 것이었거나, 뒤의 것이었거나 하기 때문이다.
스텝E3에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가 없다고 판별된 경우, 또는 스텝E4에서 검출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의 모두가 그룹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E5로 이행하고, 현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그룹번호 m을 새로운 그룹번호로서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에 대응지워서 기억한다.
그 후 스텝E6에서 그룹번호 m에 1을 가산하고 스텝E7에서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한 후 스텝E3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화상정보의 그룹등록처리를 개시한다.
또 스텝E4에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 중에 그룹등록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스텝E8으로 이행하고, 또한 스텝E4에서 검출된 그룹등록완료의 위치정보가 복수 있는지, 또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그룹번호가 다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여기에서 그룹등록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1개, 또는 그룹번호가 다른 위치정보가 없다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E9으로 이행하고 스텝E4에서 검출된 그룹등록완료의 위치정보와 같은 그룹번호를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에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하고, 스텝E7으로 천이한다.
또 스텝E8에서 그룹이 다른 위치정보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E10으로 이행하여 복수의 위치정보 중 화상번호 n의 위치정보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와 같은 그룹번호를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에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하며, 스텝E7으로 천이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촬영순서에 관계 없이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촬영된 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그룹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시간적 요소를 배제하여 위치(장소)적 요소만을 고려한 그룹등록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0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그룹등록처리를 촬영 후의 임의의 시간에 실시하도록 했지만, 도 8a의 흐름도와 같이 화상정보의 촬영시에 차례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스텝E4의 처리는 필요 없게 되고, 스텝E3에서 소정거리내의 위치정보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즉시 스텝E8으로 이행하게 된다.
또 상기 도 6, 도 7b, 도 7d, 도 8b, 도 9a의 재생모드시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스크롤키를 소정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내린 경우(즉 검색처리시) 검색조건에일치한 화상정보만을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다른 화상정보도 통상의 오토스크롤표시와 같이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하 검색 중에 다른 화상정보를 표시시키는 경우의 검색처리 및 표시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상기 도 6, 도 7b, 도 7d, 도 8b, 도 9a에 나타낸 재생모드시의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거리산출처리, 검색조건대조처리는 도 6의 흐름도와 똑같이 재생시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12a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수단(11)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하여 재생모드를 설정하면 표시수단(9)에 표시하는 화상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번호 n을 n=1로 세트한다(스텝F1).
다음으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화상정보(즉 n번째의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F2).
이 스텝F2의 처리에 의한 n번째의 화상정보의 표시는 스텝F3에서 키입력수단(11)의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기까지 계속된다.
화상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중에 스크롤키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F3).
여기에서 스크롤키의 조작이 검출되면 스텝F4로 천이하고, 화상번호 n에 1을 가산하고나서 화상번호 n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정보를 기억수단(4)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한다(스텝F5).
계속해서 n번째와 n-1번째의 화상정보와 대응지워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판독한다(스텝F6).
그 후 판독한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2점간의 거리를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고(스텝F7), 산출한 거리가 조건취득수단(5)에 의해 취득된 소정거리(검색조건)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스텝F8).
여기에서 산출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텝F9으로 천이하고, 표시수단(9)의 소정위치에 검출마크(아이콘) 등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알람음 등의 음을 출력함으로써 검출결과를 통지한다.
또 스텝F8에서 소정거리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또는 스텝F9에서 통지처리를 실시한 후 스텝F10으로 천이하고, 스크롤키의 눌러내림이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스크롤키의 눌러내림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F4로 되돌아가고, 이하 스텝F10에서 스크롤키의 눌러내림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기까지 스텝F4∼F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F10에서 스크롤키의 눌러내림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F2로 되돌아감으로써 오토스크롤(자동페이지보냄)이 해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롤키를 소정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내림으로써 오토스크롤이 실시되고, 하나 전의 화상정보를 촬영한 장소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촬영된 화상정보가 표시수단(9)에 표시된 경우에는 소정의 통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통지를 기준(트리거)으로 하여 스크롤키의 눌러내림을 해제함으로써 오토스크롤을 해제해서 통상의 매뉴얼스크롤조작으로 전환해서 차례로 다음의 화상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2a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검색조건에 일치한 경우에 통지처리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검색조건에 일치한 화상정보의 표시시간을 다른 화상정보의 표시시간보다도 길게 하거나 검색조건에 일치한 화상정보를 가공하여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2b, 도 12c는 상기 도 12a에 나타낸 재생모드시의 흐름도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재생모드에 있어서, 도 12a의 스텝F8에서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도 12b의 스텝F11로 천이하여 소정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스텝F12에 있어서 타임업이 검출되는 것을 기다려서 도 12a의 스텝F10으로 천이한다.
또한 검색조건에 일치한 화상정보를 소정시간 표시시키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소정의 키조작을 실시하기까지 표시를 속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재생모드에 있어서, 도 12a의 스텝F8에서 소정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도 12c의 스텝F21로 천이하고, 스텝F5에서 판독표시된 화상번호 n의 화상정보에 소정의 가공(예를 들면 표시색변경처리, 패싱처리 등)을 실시하여 표시수단(9)에 표시시키고, 도 12a의 스텝F10으로 천이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건취득수단(5)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학습처리에 의해 취득하는 경우의 검색조건설정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우선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위도정보 중에서 최대의 값을 갖는 것과 최소의 값을 갖는 것을 검색하여 추출한다(스텝G1).
그리고 검색·추출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산출한다(스텝G2).
마찬가지로 스텝G3, G4에서 기억수단(4)에 기억되어 있는 경도정보 중에서 최대의 값을 갖는 것과 최소의 값을 갖는 것을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G5에서 스텝G2와 G4에서 산출된 위도차, 경도차에 의거하여 소정거리가 산출되고, 검색조건으로서 등록된다.
즉 위도차, 경도차가 큰 경우에는 비교적 긴 거리가 설정되고, 위도차, 경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비교적 짧은 거리가 설정되게 된다.
또한 검색조건설정처리는 상기 도 13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도 13의 흐름도에 있어서, 위도차, 경도차가 큰 경우에도 촬영장소가 일부에 집중해 있는 경우에는 가중처리에 의해 설정거리를 짧게 하거나 하는 것도 생각된다.
도 14a, 도 14b는 거리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득한 시각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기억된 화상정보(P1, P2, P3, ‥)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는 추출된 위치정보 중 특정한 화상정보(P1)를 취득한 장소를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2점간의 위도의 차 및 경도의 차에 의해 기준위치로부터 다른 화상정보의 취득장소까지의 절대적인 거리(P1-P2, P1-P3/P4, P1-P5, ‥)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설정된 검색조건을 임계값(도면 중 점선으로 표시)으로서, 예를 들면 임계값보다도 긴 거리(P1-P6, P1-P7)를 갖는(떨어진) 장소에서 취득한 화상정보(P6, P7)를 검색결과로서 추출, 또는 마크표시한다.
이와 같은 거리산출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기준위치와 화상정보를 취득한 위치의 절대적인 거리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화상정보취득을 위해 이동한 영역, 또는 범위를 실마리로 하여 화상정보의 검색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기준위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의 위치정보를 갖는 화상정보를 검색하여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5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특정량으로서 방위를 채용한다.
우선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조작하여 화상재생상태, 즉 화상정보표시상태로 설정하고, 기억수단(4)에 기억된 각 화상정보에 관련지워진 위치정보를 추출하며(S31), 각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 상호의 방위를 산출한다(S32).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GPS측위법에 의해 취득한 위도, 경도에 의거하여 2점간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인 방위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방위와, 화상을 선택, 추출하기 위한 검색조건을 대조하고(S33), 조건에 적합한 방위에 속하는 화상정보를 추출한다(S34). 여기에서 검색조건은 화상정보의 검색처리시에 촬영화상검색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조건을 키입력수단(11)을 조작하여 조건취득수단(5)에 입력설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미리 촬영화상검색장치에 고정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검색조건을 취득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과거에 설정된 검색조건의 출현빈도(경향) 등에 의거하여 학습처리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나, 또는 이번회 산출된 방위의 통계학적인 경향에 의거하여 설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각 화상정보를 취득한 방위의 산출처리와, 산출된 방위와 검색조건의 대조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a, 도 16b는 방위의 산출예와 검색대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시각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기억된 화상정보(P1, P2, P3, ‥)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에서는 위치정보는 GPS측위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위도, 경도이다. 따라서 임의의 기준위치(P0)에 대한 각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의 방위가 위도 및 경도로부터 좌표값으로서, 또는 삼각함수에 의하여 각도로서 산출된다.
다음으로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설정된 검색조건을 임계값(도면 중 점선으로 표시)으로서, 예를 들면 서쪽방향(W)에 속하는 장소에서 취득한 화상정보(P1, P2, P3/P4)를 검색결과로서 추출, 또는 마크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위산출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기준위치(P0)에 대한 화상정보를 취득한 장소를 절대적인 방위로서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정보취득을 위해 이동한 방위를 실마리로 하여 화상정보의 검색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위치는 예를 들면 자택이나 행동의 스타트점 등의 임의의 장소이어도 상관 없고, 또는 최초의 화상정보(P1)를 취득한 장소 등의 고정된 장소이어도 상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임의의 기준점에 대한 절대적인 방위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인접하는 화상정보를 취득한 위치 상호의 상대적인 방위를 산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화상정보검색처리에 있어서는, 특정량으로서 위도, 경도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거리, 방위를 산출하고, 이들의 어느 쪽인가를 단독으로 검색대조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예를나타냈지만, 거리 및 방위의 조합이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억수단의 정보테이블영역에 격납된 화상식별정보나 시간정보 등을 조합함으로써 검색조건의 범위한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보다 다채로운 화상의 검색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화상정보검색처리에 있어서는, GPS측위법에 의해 측정된 위도, 경도를 이용하여 2차원적인 거리, 방위를 산출하고, 검색대조의 대상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GPS측위법에 의해 똑같이 측정되는 고도에 의거하여 고도차를 산출하는 것이어도 좋다.
(화상표시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의 화상표시처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화상표시처리의 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기억수단(4)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차례로 표시하는 스크롤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조작하여 화상재생상태로 설정하고, 예를 들면 촬영화상검색장치의 사용자가 조건취득수단(5)을 조작하여 검색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검색조건을 취득한다(S41). 다음으로 기억수단(4)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또한 소정의 표시간격으로 차례로 표시한다(S42).
그리고 각 화상정보의 표시시에 상기한 화상정보검색처리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조건과 산출된 특정량(거리, 방위, 고도차)의 대조를 실시하고(S43),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그 표시방법을 변경한다(S44). 표시된 화상정보가 원하는 화상이 아닌 경우에는(S45)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계속해서 화상정보를 다시 시계열표시한다.
여기에서 표시방법의 변경이란, 구체적으로는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는 통상의 스크롤표시를 중지하고, 해당 화상정보를 우선적으로, 또한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인식시키는 표시방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방법의 변경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크롤표시를 중지하고, 해당 화상정보만을 표시하는 방법(도 6, 도 7b, 도 7d, 도 8b, 도 9a 참조), 스크롤표시를 계속하면서 소정의 표시간격보다도 긴 시간 표시하는 방법, 표시화면의 발광색을 변경, 또는 플래싱, 또는 점멸시켜서 표시하는 방법, 표시화면상에 통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부속의 스피커 등에 의해 음성에 의해 통지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도 12a∼도 12c 참조).
또 전자스틸카메라 등에 채용되어 있는 고속스크롤표시에 있어서는, 표시수단에 각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페이지번호만을 표시하는 것이 있는데,이 경우에는 페이지번호에 대신하여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직접 표시함으로써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표시방법의 변경처리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8a∼도 18c는 스크롤표시에 있어서의 표시방법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시각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기억된 화상정보(P1, P2, P3, ‥)가 고속스크롤표시된다. 이 경우 화상정보 그 자체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페이지번호만이 스크롤표시된다.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화상정보검색처리에 의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P2, P7)가 검출된 경우에는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표시가 중단되고, 해당 화상정보(P2, P7)가 페이지번호에 대신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은 화상표시방법에 따르면 스크롤표시 중에 있어서도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표시방법을 변경함으로써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다채로운 화상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화상표시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화상검색장치를 조작하여 화상재생상태로 설정하고, 예를 들면 촬영화상검색장치의 사용자가 조건취득수단(5)을 조작하여 검색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검색조건을 취득한다(S51). 다음으로 상기한 화상정보검색처리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조건과 각 화상정보에 대하여 산출된 특정량(거리, 방위, 고도차)과의 대조를 실시하고(S52),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가 검출된 경우에는 해당하는 화상정보만을 표시한다(S53).
그리고 표시된 화상정보가 원하는 화상의 경우에는 해당 화상을 키입력수단(11)의 실행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하여 정지(靜止)표시시켜서 처리를 종료하며, 원하는 화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53으로 되돌아가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음의 화상정보를 표시한다(S53).
여기에서 상기 도 14a∼도 16b와 같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원하는 화상정보의 경우는 도 19의 흐름도에서 문제없지만, 상기 도 4∼도 11b와 같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가 원하는 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화상정보에 지나지 않는 것일 경우는 도 19의 스텝S54에서 화상 선택한 후, 그 선택화상에 계속해서 검색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은 화상정보(도 6∼도 7c의 경우), 또는 선택화상과 동일그룹의 화상정보(도 8a∼도 10의 경우)를 스텝S53, S54와 같이 스크롤표시(또는 멀티화면표시)시켜 사용자에게 그 중에서 원하는 화상정보를 재차 선택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의 표시방법은 상기한 스크롤표시, 또는 복수의 화상정보를 분할된 화면상에 일괄 표시하는 멀티화면표시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화상표시방법에 따르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만이 최초에 표시되게 되고, 검색결과를 고속, 또한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0a∼도 20c는 화상표시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냐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기억수단(4)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분할된 화면상에 일괄 표시하는 멀티화면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시각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기억된 화상정보(P1, P2, P3, ‥)에 대하여 취득된 검색조건과 산출된 특정량의 대조를 실시하고, 예를 들면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의 그룹 G2(예를 들면 P2, P4, P5, P7, ‥)와, 그 이외 화상정보의 그룹 G1(예를 들면 P1, P3, P6, ‥)을 분류한다.
그리고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그룹 G2에 속하는 화상정보(P2, P4, P5, P7, ‥)의 선두로 되는 화상정보(대표화상)(P2)만을 미리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화상정보를 선택하면 도 2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그룹 G2에 속하는 미표시의 화상정보(P4, P5, P7, ‥)를 4화면이나 9화면 등으로 분할된 화면상에 일괄 표시한다.
여기에서 화상정보의 그룹화는 상기한 방법 외에 예를 들면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P2)와, 그것에 계속해서(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다음의 화상정보, 예를 들면 P7 전까지의) 화상정보(P3∼P6)를 그룹화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그룹의 대표화상인 P2만을 미리 표시하고, 해당 화상 P2를 원하는 화상으로서 선택하면 동일그룹에 속하는 미표시의 화상정보(P3∼P6)를 4화면이나 9화면 등으로 분할된 화면상에 일괄 표시한다.
이와 같은 화상표시방법에 따르면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정보가 검색조건에 의거하여 미리 그룹 분할되어, 멀티화면표시에 의해 복수의 화상정보를 일괄하여 열람할 수 있음으로써 검색결과를 고속 또한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의 그룹의 대표화상으로서 선두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선두 이외의 임의의 화상정보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치정보에 의거하는 특정량의 산출처리나 화상정보검색처리를 화상정보의 재생시에 실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화상정보와 위치정보, 시간정보 등을 관련지워서 화상정보를 기억할 시에 특정량을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검색조건과의 대조를 실시하며, 각 화상정보에 특정량이나 검색결과(마크표시)를 관련지워서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면 마크표시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검색화상의 표시조작에 의해 마크표시의 내용, 즉 검색조건과 함께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표시나 멀티화면표시에 있어서, 화상정보에 겹쳐서 「검색거리: 10㎞ 이상」등의 문자표시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표시되어 있는 화상정보의 그룹(분류)을 통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정보의 취득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로서 GPS측위법에 의거하는 위도, 경도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측위위성으로부터 통찰이 가능한 장소이면 기상 등에 좌우되는 일없이, 화상정보의 취득위치를 측정하여 검색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네비게이션시스템 등에 있어서 축적된 여러 가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쉽게 정밀도가 높은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화상정보 취득장소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GPS측위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용의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및 그 촬영화상검색방법을 GPS수신기능부착 전자스틸카메라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1a, 도 21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한 예를 나타내는 외관구성도이다.
도 21a,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스틸카메라는 셔터키(31), 플러스/마이너스키(12), 전원스위치(13), REC/PLAY키(19) 등의 주지의 각종 키스위치류(키입력수단, 조건취득수단)와, 스토로보(14), 광학파인더(15), 사진렌즈(16) 등으로 구성되는 카메라기구부(화상정보취득수단)와, GPS수신부(17)(측위수단)와, LCD(18)(표시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각 구성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셔터키(31)는 촬영시(기록모드시)에 피사체를 화상으로서 받아들이는 셔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기록모드나 재생모드 시에 메뉴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LCD(18)에 표시된 여러 가지 항목으로부터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YES키로서의 기능이 부가되고, 멀티기능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메뉴키는 각종 시스템설정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고, 예를 들면 재생모드에 있어서는 화상의 소거를 위시한 각종 항목을, 또 기록모드에 있어서는 화상의 기록에 필요한 기록화상의 정세도나 오토포커스의 ON/OFF상태 등을 LCD(18)에 표시한다.
플러스/마이너스키(12)는 재생화상을 선택하거나, 각종 시스템설정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플러스”는 그 선택방향을 의미하고, 화상선택의 경우이면 최신화상의 방향을 의미하며, “마이너스”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전원스위치(13)는 전자스틸카메라의 동작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이고, REC/PLAY키(19)는 원하는 피사체를 활상, 기억하는 기록모드와, 기억한 화상을 재생 표시하는 재생모드의 전환을 설정한다.
그 외, 전자스틸카메라에 구비되는 키스위치류로서 LCD(18)에 표시된 화상에 여러 가지 정보를 오버랩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키나, 셀프타이머를 설정하는 셀프타이머키, 스트로보의 발광조건을 설정하는 스트로보모드키 등이 있다. 여기에서 키스위치류의 종류나 호칭은 메이커나 기종에 따라 반드시 통일은 되어있지 않지만, 개략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키스위치류를 조작함으로써 기록모드에 있어서는 카메라기구부를 통해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상, 기록하고, 재생모드에 있어서는 기억한 화상의 재생표시, 검색 등을 실시할 때의 검색조건의 입력설정, 촬상지점의 위치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스트로보(14)는 사진렌즈(16)의 근처에 배치되어 피사체의 조도에 따라서 소정의 광량으로 플래시빛을 조사한다. 또 광학파인더(15)는 사진렌즈(16)에 구비된 초점기구에 연동하는 광학계를 갖고, 이 광학계를 투시하여 피사체가 직접적으로 관찰되어 촬영영역이 획정된다.
사진렌즈(16)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렌즈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광학계를 갖고, 도시를 생략한 화소센서로서의 CCD의 수광면상에 피사체의 상을 맺혀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고해상도의 프레임화상(화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기구부에 의해 원하는 피사체의 화상을 디지털화상으로서 촬상하고, 기억할 수 있다.
GPS수신부(17)는 상기한 GPS측위법에 의거하여 측위위성(100)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신호(위성파)를 수신하는 것이고, 주지의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수신한 위성파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복조처리하여 시각이나 위성의 궤도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들 데이터에 의거하여 촬영시각, 촬영장소의 산출이 실시된다.
LCD(18)는 예를 들면 표시특성이 선명, 또한 발색성이 자연적이고, 저소비전력이라는 특성을 갖는 TFT방식의 컬러액정이 적용된다. 기록모드시에는 카메라기구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피사체의 획정을 용이하게 하고, 또 재생모드시에는 촬영완료의 화상을 차례로 스크롤하며, 또는 복수로 분할한 멀티화면에 의해 표시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전자스틸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20”은 카메라기구부(화상정보취득수단)로서, 사진렌즈(21), CCD(22), CCD구동계(23), 샘플홀드회로(S/H)(24),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25), 렌즈구동계(26) 등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 “17”은 GPS수신부(측위수단), “18”은 LCD(표시수단), “27”은 메모리(기억수단), “28”은 키입력부(조건취득수단), “29”는 시계부(측시수단), “30”은 CPU(연산수단, 검색수단, 표시제어수단)이다.
각 구성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CCD(22)는 고체촬상디바이스로서, 2차원의 광학정보를 시계열(시리얼 열)의 아날로그전기신호로 변환하고, CCD구동계(23)는 CCD(22)를 구동하는 회로를 구비하며, CCD(22)의 각 화소에 광전변환의 개시 및 축적전하의 출력을 지령한다.
S/H(24)는 CCD(24)로부터 출력되는 시계열의 아날로그전기신호를 CCD(22)의 해상도에 적합한 주파수로 샘플링하고, A/D(25)는 S/H(24)에 의해 샘플링된 아날로그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렌즈구동계(26)는 도시를 생략한 오토포커스 등의 측정기구에 의해 측정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등에 의거하여 사진렌즈(21)의 초점을 조정 구동한다.
메모리(27)는 기록모드에 있어서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정보, 측위위성(1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산출된 촬영위치정보 및 촬영시간정보를 각 화상정보와 관련지워서 도 3에 나타낸 영역에 격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기록 가능한 화상메모리이고, 복수의 화상을 기억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다.
시계부(29)는 전자스틸카메라에 내장된 수정(水晶)시계이고, 독립하여 현재시간의 표시나 촬영시간정보의 제공을 실시하는 동시에, GPS수신부(17)를 통해서 수신되는 위성파에 포함되는 시간성분과의 비교에 의해 위치정보에 혼입하는 오차를 제어하는 역할을 갖는다.
CPU(30)는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집중 제어하는 것이고, 기록모드용 프로그램 및 재생모드용 프로그램이 CPU(30)의 내부 ROM에 기록되어 있고, 각 모드시에 내부ROM으로부터 CPU(30)의 내부RAM으로 로드되어 실행 처리된다.
특히, 카메라기구부(20)에 의해 촬상된 화상신호에 GPS수신부(17)에 의해 산출된 촬영위치정보 및 촬영시각정보 등을 관련지워서 메모리(27)에 기억하는 처리, 키입력부(28) 등에 의해 설정된 검색조건에 의거하여 메모리(27)에 기억된 화상정보로부터 검색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상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처리, LCD(18)에 표시하는 화상정보의 표시방법이나 각종 메뉴, 통지정보 등의 표시를 제어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자스틸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 검색정보로서 위치정보나 시간정보를 관련지워서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장소 상호의 거리나 방각(방위)을 실마리로 하여 다량의 촬영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검색할 수 있다. 특히, 시간정보 등의 종래의 검색조건에 덧붙여 거리나 방각 등의 조건을 적절히 부가함으로써 보다 다채로운 검색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 또한 정확하게 검색결과를 통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2점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경우에 직선거리를 산출하도록 했는데, 지도데이터 등의 도로데이터를 이용하여 2점간의 경로의 거리(실제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을 전자스틸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자스틸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다른 장소(위치)에서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화상정보취득수단과, 그 화상정보를 축적하는 기억수단과, 기억된 복수의 화상정보를 소정의 표시방법에 의해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는 이동단말장치이면 업무용이나 민생용의 디지털비디오카메라나 카드형의 카메라유닛가 장착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기능을 장비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외, 휴대가능한 문서파일링시스템이나 핸디스캐너 등에도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근래에 있어서는 전자스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인터넷 등을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데이터전송하여 화상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상검색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양호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33)

  1.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
    촬영화상정보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복수의 촬영화상정보를 촬영 순서로 기억 또는 관리하고 있고,
    상기 기억수단에 서로 이웃하여 기억 또는 관리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1개의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와 다른 복수의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복수의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촬영화상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촬영화상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화상정보취득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촬영화상을 촬영화상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또한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해당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를 나타내는 촬영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촬영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촬영위치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촬영위치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화상정보취득수단은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를 촬영위치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또한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해당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와 다른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인 취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식별정보가 관련지워서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촬영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촬영위치취득수단과,
    상기 촬영위치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또한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해당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와 다른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거리정보가 나타내는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촬영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촬영위치취득수단과,
    상기 촬영위치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를 거리정보로서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촬영화상정보의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촬영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촬영위치취득수단과,
    상기 촬영위치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복수의 촬영화상정보를 촬영 순서로 기억 또는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에 끼워져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의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각 그룹의 촬영화상정보 중의 소정의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동일그룹의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동일그룹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원하는 촬영화상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되어 있지 않은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원하는 촬영화상정보를 선택하는 제 2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다른 검색되지 않은 촬영화상정보보다도 상기 표시수단에 오래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경우, 그 취지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경우, 화상가공처리를 실시하여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7.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있어서,
    촬영화상정보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을 취득한 촬영위치 상호의 방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
  28.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로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장치.
  29.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로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를 상기 촬영화상정보에 관련지워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장치.
  30.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촬영화상검색장치에 대해 촬영화상정보를 출력 가능한 전자카메라장치로서,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촬영위치를 측정하는 측위수단과,
    상기 측위수단에 의해 측정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은 촬영화상정보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동일그룹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메라장치.
  31.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촬영화상검색방법으로서,
    촬영화상정보를 복수 기억하는 공정과,
    기억된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각 촬영화상을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방법.
  32.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촬영화상검색방법으로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는 공정과,
    검색된 촬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방법.
  33. 복수의 촬영화상정보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촬영화상검색방법으로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촬영화상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과,
    촬영화상정보를 취득한 촬영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촬영화상정보가 검색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경우, 그 취지를 통지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화상검색방법.
KR1019990051076A 1998-11-18 1999-11-17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 KR100348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28247 1998-11-18
JP32824798 1998-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29A true KR20000035529A (ko) 2000-06-26
KR100348131B1 KR100348131B1 (ko) 2002-08-09

Family

ID=1820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076A KR100348131B1 (ko) 1998-11-18 1999-11-17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19356B1 (ko)
EP (1) EP1003322B1 (ko)
KR (1) KR100348131B1 (ko)
CN (1) CN1193606C (ko)
TW (1) TW44574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77B1 (ko) * 2004-08-3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및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33628B1 (ko) * 2003-08-22 2007-06-29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장치, 정보표시방법 및 정보표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735085B1 (ko) * 2002-11-06 2007-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장치, 화상기억장치,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916A (ja) * 1999-09-17 2001-04-06 Sony Corp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GB2360661B (en) * 2000-02-21 2004-03-10 Hewlett Packard Co Location-informed camera
US6914626B2 (en) * 2000-02-21 2005-07-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on-informed camera
US7007243B2 (en) * 2000-12-20 2006-02-2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images with embedded image capture location icons
JP4882151B2 (ja) * 2000-12-27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042470B2 (en) 2001-03-05 2006-05-09 Digimarc Corporation Using embedded steganographic identifiers in segmented areas of geographic images and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imagery data derived from aerial platforms
US7508168B2 (en) * 2002-05-16 2009-03-24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aining battery power indicating function
CN100391248C (zh) * 2002-09-27 2008-05-28 富士胶片株式会社 相册制作方法及其装置
JP4213447B2 (ja) * 2002-09-27 2009-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8026970B2 (en) 2003-02-27 2011-09-27 Casio Computer Co., Ltd.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reproducing plurality of images
JP4032355B2 (ja) * 2003-03-27 2008-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4864295B2 (ja) 2003-06-02 2012-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060299A1 (en) * 2003-09-17 2005-03-17 George Filley Location-referenced photograph repository
US8159561B2 (en) * 2003-10-10 2012-04-17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feature extraction device
JP4457660B2 (ja) * 2003-12-12 2010-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分類装置、画像分類システム、画像分類に関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599298B2 (en) * 2004-10-13 2013-12-03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imaging apparatus, screen display method, and user interface
US7894854B2 (en) 2004-10-26 2011-02-22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450171C (zh) * 2004-11-08 2009-01-07 佳能株式会社 显示控制设备和显示控制方法
JP2006157884A (ja) * 2004-11-08 2006-06-15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333599B2 (ja) * 2005-02-15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4379409B2 (ja) * 2005-11-08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16201B2 (en) * 2006-03-31 2011-03-29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screen
JP4768650B2 (ja) * 2007-03-13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90256B2 (en) * 2007-08-08 2011-02-15 Alpine Electronics, Inc Map image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KR101423928B1 (ko) * 2007-08-20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지도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이미지 재생장치, 이의 재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056469B2 (ja) * 2008-02-22 2012-10-24 富士通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
US8174561B2 (en) * 2008-03-14 2012-05-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creating and displaying composite images generated from images related by capture position
CN101650932B (zh) * 2008-08-12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于调整图片参数的电子相框及其方法
JP5277801B2 (ja) * 2008-09-04 2013-08-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649730B (zh) * 2009-02-20 2019-02-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資訊取得系統、攜帶型終端、伺服器、以及攜帶資訊機器用程式
JP5517683B2 (ja) * 2009-05-0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260550B2 (en) * 2009-06-19 2012-09-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sentat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using variable levels of detail
JP2011070312A (ja) * 2009-09-24 2011-04-07 Casio Computer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140957A1 (en) * 2009-12-15 2011-06-16 Ronald William Dimpflmaier Methods for reduc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error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169982A1 (en) * 2010-01-13 2011-07-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US20120169899A1 (en) * 2010-12-30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object
TW201227367A (en) * 2010-12-31 2012-07-01 Altek Corp Image management method of digital photography device
US9621759B2 (en) * 2011-01-07 2017-04-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imestamping management for electronic photographs
US8891832B2 (en) * 2011-06-03 2014-11-18 Facebook, Inc. Computer-vision-assisted location check-in
TWI510082B (zh) * 2012-06-06 2015-11-21 Etron Technology Inc 用於影像辨識之影像擷取方法及其系統
US9607011B2 (en) 2012-12-19 2017-03-28 Intel Corporation Time-shifting image service
TWI528268B (zh) * 2014-03-12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照片群組產生及操作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裝置
CN104035958B (zh) * 2014-04-14 2018-01-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搜索方法和搜索引擎
US9648230B2 (en) 2014-05-27 2017-05-09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Use of wireless connection loss to facilitate identifying and recording video capture location
US9667824B2 (en) 2014-05-27 2017-05-30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Use of location lulls to facilitate identifying and recording video capture location
CN104462199B (zh) * 2014-10-31 2017-09-12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网络环境下的近似重复图像搜索方法
JP6914480B2 (ja) * 2016-06-27 2021-08-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標表示装置、指標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指標表示システム
JP6971735B2 (ja) * 2017-09-15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3263B2 (ja) * 1990-07-11 1999-08-30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影画像検索システム
JPH04250436A (ja) * 1991-01-11 1992-09-07 Pioneer Electron Corp 撮像装置
JPH0678260A (ja) * 1992-08-28 1994-03-18 Konica Corp スチルビデオカメラ
US5819103A (en) * 1993-09-21 1998-10-06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3559607B2 (ja) * 1995-02-24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H08314979A (ja) * 1995-03-1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グラム情報を表示装置に示す方法および装置
JPH08313988A (ja) * 1995-05-23 1996-11-29 Fuji Photo Film Co Ltd Gps利用カメラ
JP3143365B2 (ja) * 1995-07-28 2001-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監視用画像記録装置
JPH09114851A (ja) * 1995-10-20 1997-05-02 Fuji Xerox Co Ltd 情報管理装置
EP0885519B1 (en) * 1996-12-25 2004-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0239120B1 (ko) * 1996-12-27 2000-01-15 구자홍 디지탈 카메라의 화상 기록 재생 장치와 방법
US6133853A (en) * 1998-07-30 2000-10-17 American Calcar, Inc.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JPH1070695A (ja) * 1997-07-07 1998-03-10 Casio Comput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システムの静止画情報再生装置
US6538698B1 (en) * 1998-08-28 2003-03-25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images in an image capture unit to ease browsing acces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85B1 (ko) * 2002-11-06 2007-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장치, 화상기억장치,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3628B1 (ko) * 2003-08-22 2007-06-29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장치, 정보표시방법 및 정보표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804790B1 (ko) *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KR100703277B1 (ko) * 2004-08-3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및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8165A (zh) 2000-06-28
TW445749B (en) 2001-07-11
EP1003322A2 (en) 2000-05-24
EP1003322B1 (en) 2011-12-28
KR100348131B1 (ko) 2002-08-09
EP1003322A3 (en) 2003-05-28
US6819356B1 (en) 2004-11-16
CN1193606C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131B1 (ko) 촬영화상검색장치, 전자카메라장치 및 촬영화상검색방법
US9154690B2 (en) Image search device, image search method, and image search program
USRE45032E1 (en) Picture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picture display controlling method
US876055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7509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482649B2 (en)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device with photography func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794920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19249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program
KR20110046393A (ko)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장치와 전자 카메라
JP2001211408A (ja)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JP4955909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撮影条件設定方法
KR101998903B1 (ko)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4706159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
JP4679030B2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8480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3773090B2 (ja) 撮影画像検索装置、電子カメラ装置及び撮影画像検索方法
JP5387723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
CN101277392B (zh) 电子装置、图像显示方法
JP4175334B2 (ja) 撮影画像検索装置及び撮影画像検索方法
JP5115375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JP5024181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516731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770866B2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画像検索プログラム
JP415927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039858A (ja) 撮影画像検索装置、電子カメラ装置及び撮影画像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