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151A -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35151A KR20000035151A KR1019990048090A KR19990048090A KR20000035151A KR 20000035151 A KR20000035151 A KR 20000035151A KR 1019990048090 A KR1019990048090 A KR 1019990048090A KR 19990048090 A KR19990048090 A KR 19990048090A KR 20000035151 A KR20000035151 A KR 200000351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horizontal
- hook
- horizontal pin
- recess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7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here disengagement is effected by a mechanical lever or hand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유압 실린더(4)에서 작업기 암(3) 선단의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한 제 1 부재(1)와, 제 1 부재(1)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늘어뜨린 제 2 부재(2)를 가지며, 작업기 어태치먼트(5)의 제 3, 제 4 가로 핀(P3, P4)에 대하여 제 1 부재(1) 기단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제 2 부재(2)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부재(2)는 선단으로 확대 개구하는 전후 경사면(2FF, 2BB)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8)와 제 5 가로 핀(P5)으로 거의 중앙을 핀 연결시킨 훅(9A)을 가지며, 훅(9A)은 제 5 가로 핀(P5)으로부터 상부와 하부에서 대략 L자형이 된다. 상부는 스톱 핀 삽입용 제 2 가로 구멍(9H)을 갖는 추부(9u), 하부는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는 훅 본체(9d), 대략 L자형은 훅(9A) 자체 무게에 의한 제 5 가로 핀(P5) 주위의 균형시에 추부(9u) 하면이 양 오목부(8, 8) 내로 밀려나오며, 또한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를 전체 개구시키면서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이나 휠 로더(wheel loader) 등의 건설기계는 자갈이나 흙의 채취, 도로공사, 포장정비, 토지조성, 상하수도공사, 건축기초공사 등의 작업에 폭 넓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을 소수의 건설기계로 폭 넓게 수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유압 셔블에는 각종 패킷, 유압 브레이커, 클러셔 등의 각종 작업기 어태치먼트를 교환 가능(즉, 착탈 가능)하게 갖는다. 그리고 이 착탈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소위 퀵 커플러(quick coupler)라고 불리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가 사용된다.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 3030543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개요를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가지며,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리고, 또한 패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설치된 제 3 가로 핀(P3) 및 제 4 가로 핀(P4)에 대하여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의 부근에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여 덮는 회전덮개(6a)가 부착된 훅(6)을 갖는 동시에, 제 2 부재(2)는 그 선단에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여 덮는 회전덮개(7a)가 부착된 훅(7)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훅(6, 7)은 좁은 장소에 회전 덮개(6a, 7a)를 구성하는 많은 부품이나 기구를 가져서 복잡하다. 따라서, 비용이 비싸지는 것 외에, 혹독한 환경에서 가동하는 건설기계에서는 빗물에 대한 내성, 녹 방지성, 내진동성 등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며, 예를 들면 회전덮개(6a, 7a)가 녹이 생기거나 모래가 끼이게 되는 것등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2) 훅(7)은 가로 방향 개구이다. 따라서, 제 4 가로 핀(P4)의 걸림 결합에 앞서서, 제 2 부재(2)를 수작업 등의 어떠한 수단으로 미리 도시한 좌측으로 회전시켜 보유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제 4 가로 핀(P4)의 걸림 결합시도 수작업 등의 어떠한 수단으로 제 2 부재(2)를 회전시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할 필요가 있다. 결국 자동걸림 결합이 그 역할만큼 달성되지 않는다.
(3) 작업기 어태치먼트(5)의 착탈 작업은 일반적으로, 걸림 결합시(즉, 부착시)가 떼어낼 때(즉, 이탈시)보다도 신중을 요하며, 시간도 걸린다. 또한, 걸림 결합시에는, 제 3, 제 4 핀(P3, P4)의 안,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음에 걸림 결합하는 핀[본 예에서는 제 3 가로 핀(P3)]에 대해서는 그 중심 맞춤을 위한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3 가로 핀(P3)을 핀 보스에 박아넣는 종래 방식에서도 착탈 효율이 크게 저하하는 일이 없다. 한편,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핀[본 예에서는 제 4 가로 핀(P4)]에 대해서는 처음에 걸림 결합한 제 3 가로 핀(P3)에 의해서 중심 맞춤을 위한 자유도가 그 만큼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 맞춤이 어렵다. 결국 적어도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제 4 가로 핀(P4)을 중심 맞춤하기 쉽게 해두지 않으면, 착탈 효율이 크게 저하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훅(6, 7)은 모두 회전덮개(6a, 7a)를 가지고 있지만, 소형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서는 맨 처음에 걸림 결합하는 제 3 가로 핀(P3)의 걸림 결합은 수작업쪽만이 착탈 효율이 좋은 경우가 많다. 결국 소형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대해서는 과잉 사양이 되어, 비용이 비싸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단점에 착안하여, 간단한 구조, 저 비용, 고 내구성, 자동걸림 결합, 작업기 어태치먼트의 대소에 관계 없이 핀의 삽입 중심 맞춤의 용이화 등 어느 하나를 또는 몇개를 달성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a는 작업기 어태치먼트로부터의 이탈도이며, 도 1b는 제 3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 및 제 4 가로 핀의 걸림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c는 제 4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제 2 부재 및 그 주변 부재의 도면이고, 도 2a는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상세 설명도이고, 도 3a는 제 4 가로 핀으로의 걸림 결합 개시도이며, 도 3b는 제 4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도.
도 4는 제 1 ,제 2 실시예의 각 제 1 형태 예가 되는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 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제 1 ,제 2 실시예의 각 제 2 형태 예가 되는 단이 붙은 스톱 핀 예의 측면도.
도 6은 제 2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6a는 작업기 어태치먼트로부터의 이탈도이며, 도 6b는 제 3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도이고, 도 6c는 제 4 가로 핀으로의 걸림 결합 과정도이며, 도 6d는 제 4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도.
도 7은 제 1, 제 2 실시예의 제 3 가로핀의 걸림 결합의 풀림 방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측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사용 설명도이고, 도 9a는 제 3 가로 핀의 걸림 결합 완료도이며, 도 9b는 제 4 가로 핀으로의 걸림 결합 과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 부재 2: 제 2 부재
2R, 2L: 측판 2RH, 2LH: 제 1 가로 구멍
2FF, 2BB: 전후 경사면 3: 작업기 암
4: 유압 실린더 5: 작업기 어태치먼트
8: 오목부 9A, 9B: 훅
9u: 추부 9d: 훅 본체
9H: 제 8 가로 구멍 11: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
P1: 제 1 가로 핀 P2: 제 2 가로 핀
P3: 제 3 가로 핀 P4: 제 4 가로 핀
P5: 제 5 가로 핀 P6: 제 6 가로 핀
P7: 스톱 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제 1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가지며,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며, 또한 패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설치된 제 3 가로 핀(P3) 및 제 4 가로 핀(P4)에 대하여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스톱 핀(P7)을 가지며,
제 2 부재(2)는 한 쌍의 측판(2R, 2L)을 좌우 방향에서 대향 배치하고, 또한 일체화한 구성이며,
각 측판(2R, 2L)은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1 가로구멍(2RH, 2LH)을 가지고, 선단만큼 개구량을 확대시키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구비한 오목부(8)를 가지며, 또한 양 측판(2R, 2L)간에 제 5 가로 핀(P5)으로 거의 중앙을 핀 연결시킨훅(9A)을 가지고,
훅(9A)은 제 5 가로 핀(P5)과의 핀 연결부로부터 상부와 하부에서 대략 L자형으로 굴곡하고, 상부는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2 가로 구멍(9H)을 갖는 추부(plumb)(9u)이며, 하부는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는 훅 본체(9d)이고, 대략 L자형은 훅(9A)의 자체 무게에 의한 제 5 가로 핀(P5) 주위의 회전 균형시에 추부(9u)의 하면이 양 오목부(8, 8) 하방으로 다소 밀려 나오는 동시에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전체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도록 성형되며,
또한 제 1, 제 2 부재(1, 2) 및 제 1, 제 2 가로 구멍(2RH, 2LH, 9H)의 설정 관계를,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였을 때에 양 오목부(8, 8)의 거의 하방에 제 4 가로 핀(P4)이 위치하는 관계와, 그 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켜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올라가 양 오목부(8, 8)의 저면부에 접근하는 동시에 추부(9u)의 하면에 접촉하여 추부(9u)를 밀어 올리고 이 밀어 올림으로 훅(9A)이 제 5 가로 핀(P5) 주위로 회전하며 이 회전으로 훅 본체(9d)가 제 4 가로 핀(P4)을 양 오목부(8, 8)의 하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이들 밀어올림 및 둘러쌈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과 훅 본체(9d)의 내면에서 끼워지며 이 때 제 1, 제 2 가로구멍(2RH, 2LH, 9H)에 스톱 핀(P7)을 삽입하며 이 삽입으로 훅(9A)을 제 2 부재(2)에 고정하고 이 고정으로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는 관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a1) 제 2 부재(2)는 하향 개구의 양 오목부(8, 8)를 가지고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있다. 따라서, 오목부(8, 8) 하방에 위치하는 제 4 가로 핀(P4)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키는 것만으로 양 오목부(8, 8)에 도입할 수 있다. 자동 걸림 결합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a2) 양 오목부(8, 8)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3, 제 4 가로 핀(P3, P4) 사이의 거리가 짧을 때는 제 4 가로 핀(P4)이 후 경사면(2BB)을 미끄러져 올라가고, 반대로 길 때는 제 4 가로 핀(P4)이 전 경사면(2FF)을 미끄러져 올라간다. 따라서, 제 3, 제 4 가로 핀(P3, P4)사이의 거리가 다소 다른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서도 교환할 수 있다.
(a3) 훅(9A)은 회전 덮개가 아닌, 완전하게 강도 멤버로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고강도이다. 또한 간단히 설명하면, 훅(9A)은 제 5 가로 핀(P5)과 스톱 핀(P7)을 가설한 간단한 구조이다. 따라서 저 비용 외에, 혹독한 환경에서 가동하는 건설기계에서도 빗물에 대한 내성, 녹 방지성, 내진동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녹이 생기거나 모래가 끼이는 것 등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될 우려도 없다.
(a4) 제 4 가로 핀(P4)이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핀이 되기 때문에, 처음에 걸림 결합한 제 3 가로 핀(P3)에 의해서 중심 맞춤을 위한 자유도가 그 만큼 감소하더라도, 상기 (a)의 작용 효과가 적절하게 작용한다. 즉 착탈효율이 높다. 특히 소형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대해서는 과잉 사양으로 되지 않아, 저 비용을 사용자에게 가져다 준다.
즉 상기 제 1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 저 비용, 고 내구성, 자동 걸림 결합, 작업기 어태치먼트의 대소에 관계 없이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핀의 중심 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가 된다.
제 2구성에서,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가지고,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며, 또한 패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설치한 제 3 가로 핀(P3) 및 제 4 가로 핀(P4)에 대하여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스톱 핀(P7)을 가지며,
제 2 부재(2)는 한 쌍의 측판(2R, 2L)을 좌우 방향에서 대향 배치하고, 동시에 일체화한 구성이며,
각 측판(2R, 2L)은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1 가로 구멍(2RH, 2LH)을 가지고, 선단 만큼 개구량을 확대시키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구비한 오목부(8)를 가지며, 또한 양측판(2R, 2L)사이에 제 6 가로 핀(P6)으로 상단을 핀 연결시킨 훅(9B)을 가지고,
훅(9B)은 양 오목부(8, 8) 측으로 개구하고,
또한 훅(9B), 제 1 가로구멍(2RH, 2LH) 및 제 6 가로 핀(P6)의 설정관계를, 제 1 가로구멍(2RH, 2LH)에 삽입한 스톱 핀(P7) 상에 훅(9B)을 설치하였을 때 양 오목부(8, 8)의 개구가 전체 개방하는 관계와, 스톱 핀(P7)상에 훅(9B)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였을 때에 양 오목부(8, 8)의 거의 하방에 제 4 가로 핀(P4)이 위치하는 관계와, 그 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켜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 상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올라가서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였을 때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으로 부터 빼낸 후 훅(9B)을 제 6 가로 핀(P6) 주위로 회전시켜 훅(9B)의 내측면이 제 4 가로 핀(P4)의 하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스톱 핀(P7)을 제 1 가로 구멍(2RH, 2LH)에 재삽입하여 이 재삽입으로 훅(9B)을 제 2 부재(2)에 고정하며 이 고정으로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는 관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2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b1) 제 2 부재(2)는 하향 개구의 양 오목부(8, 8)를 가지고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구성의 작용 효과(a1)를 가지며, 또한 양 오목부(8, 8)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 1 구성의 작용 효과(a2)를 가지고, 훅(9B)은 회전덮개가 아닌, 완전히 강도 멤버로서 구성하게 되며, 또한 제 6 가로 핀(P6)과 스톱 핀(P7)을 가설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구성의 작용 효과(a3)를 가지고, 또한 제 4 가로 핀(P4)이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핀이 되므로 상기 제 1 구성의 작용 효과(a4)를 가진다.
즉 상기 제 2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구성과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 저 비용, 내구성, 자동 걸림 결합, 작업기 어태치먼트의 대소에 관계 없이 나중에 걸림 결합하는 핀의 중심 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가 된다.
제 3구성에서,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구성에 있어서, 스톱 핀(P7)의 출입을 원격으로 행하는 스톱 핀 출입 수단(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 구성에 의하면,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에 의해서 스톱 핀(P7)이 원격 출입한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화, 안전성 향상, 높은 착탈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 구성에서,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구성에 있어서, 제 1 가로구멍(2RH, 2LH) 및 /또는 제 2 가로구멍(9H)의 각 내직경을 스톱 핀(P7)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소 직경화하는 동시에,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톱 핀(P7)의 외직경을 그 기단에서 선단을 향하여 차례로 상기 각 내직경에 맞추어서 소 직경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4 구성에 의하면, 스톱 핀(P7)을 선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는 단이 붙은 핀으로 하였고, 동시에 스톱 핀(P7)의 맞물림 구멍도 이것에 맞추어서 내직경으로 하였기 때문에, 스톱 핀(P7)의 출납이 용이하게 되며, 따라서 교환 작업을 재빨리 행할 수 있다.
최적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제 1 실시예, 도 6은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도 7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갖는다.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고,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하여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있다. 상세한 것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2a의 제 2 부재(2) 및 그 주변 부재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는 한 쌍의 측판(2R, 2L)을 좌우방향에서 대향 배치하고, 또한 양 측판(2R, 2L) 사이를 전후 강도 멤버(2F, 2B)의 좌우단에서 각각 용접한 일체 구조이다. 각 측판(2R, 2L)은 그 상부에 스톱 핀(P7)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가로구멍(2RH, 2LH)을 가지는 동시에, 선단 하면에 선단만큼 개구량을 확대시키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구비한 오목부(8)를 갖는다. 양측판(2R, 2L)은 또한, 그 사이에 제 5 가로 핀(P5)으로 거의 중앙부를 핀 연결시킨 훅(9A)을 갖는다.
훅(9A)은 도 2a의 A-A 단면도인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가로 핀(P5)과의 핀 연결부로부터 상부와 하부로 굴곡하여 대략 L자형으로 성형되며, 상부는 스톱 핀(P7)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가로구멍(9H)을 갖는 추부(9u)로 되어 있다. 한편, 하부는 양 오목부(8, 8)를 향하여 개구하는 훅 본체(9d)이다. 그리고 대략 L자형은 훅(9A)의 자체 무게에 의한 제 5 가로 핀(P5) 주위의 회전 균형시에 추부(9u)의 하면이 양 오목부(8, 8) 하방으로 다소 밀려 나오는 동시에,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전체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훅(9A)이나 양 오목부(8, 8)의 형상이나 무게와, 제 5 가로 핀(P5)의 위치는, 제 5 가로 핀(P5)을 양 오목부(8, 8)의 도시한 비스듬한 상방부의 사이에 삽입하고, 훅(9A)의 거의 중앙을 제 5 가로 핀(P5)으로 핀 연결하였을 때, 추부(9u)와 훅 본체(9d)와의 제 5 가로 핀(P5) 주위의 모멘트가, 도 3a에 상세히 기재하는 바와 같이, 추부(9u)의 하면이 양 오목부(8, 8) 하방으로 다소 밀려나오는 동시에,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를 향하여 개구한 상태에서 균형잡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Wd×Ld=Wu×Lu」이다. Wd는 추부(9u)의 중량, Ld는 제 5 가로 핀(P5)으로부터 추부(9u)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 Wu는 훅 본체(9u)의 중량, Lu는 제 5 가로 핀(P5)으로부터 훅 본체(9u)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이다.
한편, 제 1 부재(1), 제 2 부재(2), 양 제 1 가로구멍(2RH, 2LH) 및 제 2 가로구멍(9H)은 다음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훅(9A)이나 양 오목부(8, 8)의 형상이나 무게와, 제 5 가로 핀(P5)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부(9u)의 하면이 양 오목부(8, 8) 하방으로 다소 밀려 나오는 동시에,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전체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한 상태에서 균형잡고 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였을 때, 양 오목부(8, 8)의 거의 하방에 제 4 가로 핀(P4)이 위치하도록 제 1, 제 2 부재(1, 2)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한 제 1 ,제 2 부재(1, 2)의 길이에 있어서,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한 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키면,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의 어느 하나를 미끄러져 올라가고, 양 오목부(8, 8)의 저면부로 근접하는 동시에 추부(9u)의 하면에 접촉하여 추부(9u)를 밀어 올린다. 한편, 제 3, 제 4 가로 핀(P3, P4) 사이의 거리가 다소 다른 작업기 어태치먼트(5) [이하, 패킷(5)이라고 한다]로 교환할 때에도, 양 오목부(8, 8)는 전후 경사면 (2FF, 2BB)을 갖기 때문에, 거리가 짧으면, 제 4 가로 핀(P4)은 도시한 우측의 후 경사면(2BB)을 미끄러져 올라가고, 반대로 거리가 길어지면, 제 4 가로 핀(P4)은 도시한 좌측의 전 경사면(2FF)을 미끄러져 올라가게 된다. 결국, 제 3, 제 4 가로 핀(P3, P4) 사이의 거리가 다소 다른 패킷(5)에서도 적용한다. 설명을 원래로 되돌린다. 상기 밀어 올림으로 훅(9A)이 제 5 가로 핀(P5) 주위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으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본체(9d)가 제 4 가로 핀(P4)을 양 오목부(8, 8)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그리고 밀어 올림과 동시에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예를 들면 전 경사면(2FF)과 훅 본체(9d)의 내면에서 끼워지고, 이 때에 제 1, 제 2 가로구멍(2RH, 2LH, 9H)에 스톱 핀(P7)을 삽입한다. 그리고 이 삽입으로 훅(9A)을 제 2 부재(2)에 고정한다. 이로써,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지만, 제 1, 제 2 가로구멍(2RH, 2LH, 9H)은 이와 같은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형태 예를 이하 항목에 따라 기술한다.
(1) 제 1 형태 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스톱 핀(P7)의 출입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을 설치한 것이다.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는 스톱 핀(P7)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스톱 핀(P7)을 제 2 가로구멍(9H)에 밀어 넣는 스프링(11a)을 내장하는 상자부재(11b)와, 스프링(11a)의 가압력에 맞서서 스톱 핀(P7)을 제 2 가로 구멍(9H)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레버(11c)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도 4의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은, 스톱 핀(P7)을 좌우 2분할로 하고, 따라서 상자부재(11b)도, 그 속의 스프링(11a)도 2개 갖는다. 그리고 각 스톱 핀(P7, P7)의 후단에 양 케이블(11d, 11d)의 선단을 접속하여, 양 케이블(11d, 11d)의 기단을 운전석에 설치한 한개의 레버(11c)에 접속하고 있다. 레버(11c)는 양 케이블(11d, 11d)을 되돌려서 양 스톱 핀(P7, P7)을 스프링(11a, 11a)의 가압력에 맡기는 제 1 위치(S1)와,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양 케이블(11d, 11d)을 당기고, 이로써 양 스프링(11a, 11a)의 가압력에 맞서서 양 스톱 핀(P7, P7)을 제 2 가로구멍(9H)으로부터 인출하는 제 2 위치(S2)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맡겨진다. 또한, 제 1 위치(S1)는 제 4 가로 핀(P4)의 걸림 결합 완료시의 위치이고, 제 2 위치(S2)는 걸림 결합전의 위치이다. 즉 스톱 핀(P7)의 원격 출입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은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2) 제 2 형태 예는, 상기 제 1 실시예나 상기 제 1 형태 예의 구성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톱 핀(P7)은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소 외직경부(d1)와, 중 외직경부(d2)와, 대 외직경부(d3)를 갖는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지만, 스톱 핀(P7) 선단의 소 외직경부(d1)를 밖에서 끼우는 한쪽의 제 1 가로 구멍(2LH)은 소 내직경으로 하고, 스톱 핀(P7) 중간부의 중 외직경부(d2)를 밖에서 끼우는 제 2 가로구멍(9H)은 중내직경으로 하고, 스톱 핀(P7) 기단의 대 외직경부(d3)를 밖에서 끼우는 제 1 가로구멍(2RH)은 대 내직경으로 하고 있다. 즉 스톱 핀(P7)을 이와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은 단이 붙은 핀으로 함으로써, 또한 제 1, 제 2 가로구멍(2RH, 2LH, 9H)의 내직경을 맞추어서 변경함으로써, 스톱 핀(P7)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3) 제 3 형태 예는, 상기 제 1 실시예나 상기 제 1, 제 2 형태 예의 구성에 있어서, 「Wd×Ld<Wu×Lu」의 관계로 해도 상관없다. 즉 도 3a, 도 3b에 부가 기록한 바와 같이,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를 향하여 개구한 상태에서 훅(9)의 도시한 시계방향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를 제 2 부재(2)의 도시한 우측의 후 경사면(2BB)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4)의 신장 등에 의해서 제 2 부재(2)가 전후로 흔들리더라도 제 4 가로 핀(P4)은 양 오목부(8, 8)내에 민첩하게 유인된다. 따라서 교환 효율도 향상된다.
제 2 실시예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여, 상이한 요소를 설명한다. 즉 제 2 실시예는, 상기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의 훅(9A)과는 다른 훅(9B)을 가지고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훅(9B)의 하부는 양 오목부(8, 8)를 향하여 개구하고, 상단부는 제 6 가로 핀(P6)으로 제 2 부재(2)에 핀 연결되며, 제 6 가로 핀(P6)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톱 핀(P7)은 양 오목부(8, 8)의 비스듬한 상방부의 양 측판(2R, 2L)에 형성된 제 1 가로구멍(2RH, 2LH)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작동을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에 삽입하고, 훅(9B)을 스톱 핀(P7)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한다. 그 후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켜,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위의 어느 한쪽을 미끄러져 올라가서 양 오목부(8, 8)의 양 전후 경사면(2FF, 2BB)에 접촉하였을 때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으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훅(9B)을 제 6 가로 핀(P6) 주위로 회전시키고,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9B)의 하부 내면이 제 4 가로 핀(P4)의 하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에 재삽입한다. 이 재삽입으로 훅(9B)을 제 2 부재(2)에 고정하고, 이로써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한다. 바꾸어 말하면, 훅(9B), 제 1 가로구멍(2RH, 2LH)이나 제 6 가로 핀(P6)은 이러한 조작을 달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형태 예를 이하 항목에 따라 기술한다.
(1) 제 1 형태 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1 형태 예와 같이 구성하였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2) 제 2 형태 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2 형태 예와 같이 구성하였다. 단지, 제 2 실시예에서는 훅(9B)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2 가로구멍(9H)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단이 붙은 스톱 핀(P7)은 소 내직경의 제 1 가로구멍(2LH)에 결합하는 소 외직경의 선단부와, 대 내직경의 제 1 가로구멍(2RH)을 통과하고 동시에 결합하는 대 외직경의 기단 및 중간부를 갖는 점에서 상이하다. 한편, 훅(9B)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제 2 가로구멍(9H)을 형성하여 스톱 핀(P7)을 출입 가능하게 하며, 이 때 본 제 2 형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2 형태 예와 동일한 구성이 된다.
그런데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는 기구는 훅 형식이다. 이 경우, 훅의 개구방향은 제 2 부재(2)의 요동 접선으로부터 편심한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설치하면, 가동중에서의 제 3 가로 핀(P3)의 걸림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상관없다.
(1)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는 기구만이 종래 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 303054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전덮개를 가지고 구성한다. 이 경우, 회전덮개 때문에 기구가 복잡화되고, 또한 비용이 비싸져서, 혹독한 환경에서 가동하는 건설 기계에서는 빗물에 대한 내성, 녹 방지성, 내진동성 등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된다.
(2) 제 3 가로 핀(P3)을 핀 보스에 박아넣는 재래방식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가로 핀(P3)의 걸림 결합를 처음의 걸림 결합라고 하면, 그 중심 맞춤을 위한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착탈 효율이 크게 저하하는 일이 없고 더욱 확실하다. 그리고 소형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서는 고 효율의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3)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가로 핀(P3)을 그 결합부 이외를 제 1 부재(1)의 기단 부근의 훅 개구부와 같은 폭(L1)으로 두께를 정하고, 훅 개구부에 결합시킬 때는 폭(L1)으로 두께를 정한 방향으로부터 훅을 근접시키며, 훅 결합후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개구부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금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의 풀림,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지만, 제 3, 제 4 가로 핀(P3, P4)의 풀림은,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작동의 반대로 하면 좋다. 이 경우, 이미 설명한 「작업기 어태치먼트(5)의 착탈 작업은 일반적으로, 걸림 결합시(즉, 부착시)쪽이 떼어낼 때(즉, 이탈시)보다도 신중을 요하며, 시간도 걸린다」는 것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떼어낼 때(즉, 이탈시)쪽이 걸림 결합시(즉, 부착시)보다도 간단하고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결국, 기계의 분해 조립은 분해쪽이 조립보다도 간단하다는 것이다.
Claims (4)
-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가지며,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고, 또한 패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설치한 제 3 가로 핀(P3) 및 제 4 가로 핀(P4)에 대하여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며, 한편, 제 2 부재(2)는 그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스톱 핀(P7)을 가지고,제 2 부재(2)는 한쌍의 측판(2R, 2L)을 좌우방향에서 대향 배치하고, 또한 일체화한 구성이며,각 측판(2R, 2L)은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1 가로 구멍(2RH, 2LH)을 가지고, 선단 만큼 개구량을 확대시키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구비한 오목부(8)를 가지며, 또한 양 측판(2R, 2L) 사이에 제 5 가로 핀(P5)으로 거의 중앙을 핀 연결시킨 훅(9A)을 가지고,훅(9A)은 제 5 가로 핀(P5)과의 핀 연결부로부터 상부와 하부에서 대략 L자형으로 굴곡하며, 상부는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2 가로구멍(9H)을 갖는 추부(9u)이고, 하부는 양 오목부(8, 8)측에 개구하는 훅 본체(9d)이며, 대략 L자형은 훅(9A)의 자체 무게에 의해 제 5 가로 핀(P5) 주위의 회전 균형 시에 추부(9u)의 하면이 양 오목부(8, 8) 하방으로 다소 밀려 나오는 동시에 훅 본체(9d)가 양 오목부(8, 8)의 개구를 전체 개방시키면서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도록 성형되고,또한 제 1, 제 2 부재(1, 2) 및 제 1, 제 2 가로 구멍(2RH, 2LH, 9H))의 설정 관계를,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였을 때에 양 오목부(8, 8)의 거의 하방에 제 4 가로 핀(P4)이 위치하는 관계와, 그 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켜,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올라가 양 오목부(8, 8)의 저면부에 근접하는 동시에 추부(9u)의 하면에 접촉하여 추부(9u)를 밀어 올려 이 밀어올림으로 훅(9A)이 제 5 가로 핀(P5) 주위로 회전하고 이 회전으로 훅 본체(9d)가 제 4 가로 핀(P4)을 양 오목부(8, 8)의 하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이들 밀어 올림 및 둘러싸는 것에 의해 제 4 가로 핀(P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과 훅 본체(9d)의 내면에서 끼워지며 이 때 제 1, 제 2 가로구멍(2RH, 2LH, 9H)에 스톱 핀(P7)을 삽입하고 이 삽입으로 훅(9A)을 제 2 부재(2)에 고정하며 이 고정으로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는 관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가지며,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을 작업기 암(3)의 선단에 제 1 가로 핀(P1)으로 핀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4)의 신축으로 제 1 가로 핀(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기단을 제 1 부재(1)의 선단에 제 2 가로 핀(P2)으로 핀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며, 또한 패킷이나 브레이커 등의 작업기 어태치먼트(5)에 설치된 제 3 가로 핀(P3) 및 제 4 가로 핀(P4)에 대하여 제 1 부재(1)는 그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고, 한편, 제 2 부재(2)는 그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스톱 핀(P7)을 가지며,제 2 부재(2)는 한쌍의 측판(2R, 2L)을 좌우방향에서 대향 배치하고, 또한 일체화한 구성이며,각 측판(2R, 2L)은 스톱 핀(P7) 삽입용의 제 1 가로구멍(2RH, 2LH)을 가지고, 선단만큼 개구량을 확대시키는 전후 경사면(2FF, 2BB)을 구비한 오목부(8)를 가지며, 또한 양 측판(2R, 2L) 사이에 제 6 가로 핀(P6)으로 상단을 핀 연결시킨 훅(9B)을 가지고,훅(9B)은 양 오목부(8, 8)측으로 개구하며,또한 훅(9B), 제 1 가로구멍(2R, 2L) 및 제 6 가로 핀(P6)의 설정관계를, 제 1 가로구멍(2R, 2L)에 삽입한 스톱 핀(P7)상에 훅(9B)을 설치하였을 때 양 오목부(8, 8)의 개구가 완전 개방하는 관계와, 스톱 핀(P7) 상에 훅(9B)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 1 부재(1)의 기단의 부근에서 제 3 가로 핀(P3)을 걸림 결합하였을 때에 양 오목부(8, 8)의 거의 하방에 제 4 가로 핀(P4)이 위치하는 관계와, 그 후 유압 실린더(4)를 신장시키며 이 신장으로 제 4 가로 핀(4)이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 위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올라가고 양 오목부(8, 8)의 전후 경사면(2FF, 2BB)의 어느 하나에 접촉하였을 때,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으로부터 빼낸 후 훅(9B)을 제 6 가로 핀(P6) 주위로 회전시켜 훅(9B)의 내측면이 제 4 가로 핀(P4)의 하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스톱 핀(P7)을 제 1 가로구멍(2RH, 2LH)에 재삽입하며 이 재삽입으로 훅(9B)을 제 2 부재(2)에 고정하고 이 고정으로 제 2 부재(2)의 선단에서 제 4 가로 핀(P4)을 걸림 결합하는 관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톱 핀(P7)의 출입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스톱 핀 원격 출입 수단(1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가로구멍(2RH, 2LH) 또는 제 2 가로구멍(9H)의 각 내직경을 스톱 핀(P7)의 삽입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소 직경화하는 동시에, 스톱 핀(P7)의 외직경을 그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차례로 상기 각 내직경에 맞추어서 소 직경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334976A JP2000144789A (ja) | 1998-11-09 | 1998-11-09 | 作業機アタッチメント脱着装置 |
JP98-334976 | 1998-11-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5151A true KR20000035151A (ko) | 2000-06-26 |
Family
ID=1828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8090A KR20000035151A (ko) | 1998-11-09 | 1999-11-02 |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308442B1 (ko) |
JP (1) | JP2000144789A (ko) |
KR (1) | KR20000035151A (ko) |
CA (1) | CA228652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7416A (ko) * | 2022-04-14 | 2023-10-23 |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 미니 굴삭기용 퀵커플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043663D1 (de) * | 1999-08-19 | 2010-02-25 | Peter John Ward | Schneid- oder brechwerkzeug |
US6996926B2 (en) * | 2002-06-24 | 2006-02-14 | Jrb Attachments, Llc | Arm assembly for excav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GB2419341B (en) * | 2004-09-10 | 2008-08-20 | Miller Uk Ltd | Non-removable safety pin |
US7914226B2 (en) * | 2005-08-17 | 2011-03-29 | Miller Uk Limited | Non-removable safety pin |
GB2433246B (en) * | 2005-12-13 | 2010-01-20 | Tower Street Technologies Ltd | Coupler with improved jaw configuration |
GB2433245B (en) * | 2005-12-13 | 2009-08-12 | Miller Uk Ltd | Coupler with improved jaw configuration |
EP2087178A2 (en) * | 2006-09-04 | 2009-08-12 | Miller UK Limited | Coupler |
US20090052980A1 (en) * | 2007-06-01 | 2009-02-26 | Williams Joe W | Scaffold connection with concave engagement and gravity lock |
US7984575B2 (en) | 2007-07-05 | 2011-07-26 | Caterpillar Inc. | Quick coupler assembly |
JP4912280B2 (ja) * | 2007-11-21 | 2012-04-11 | 株式会社室戸鉄工所 | アタッチメントカプラ |
MX2010012166A (es) * | 2008-05-07 | 2011-05-19 | Attachment Technologies Inc | Sistema de acoplamiento para cargadora de desplazamiento nulo y componentes. |
US8011121B2 (en) * | 2008-08-07 | 2011-09-06 | Paladin Brands Group, Inc. | Spread-style coupler with supplemental safety lock |
US8974137B2 (en) | 2011-12-22 | 2015-03-10 | Caterpillar Inc. | Quick coupler |
US8684623B2 (en) | 2012-05-30 | 2014-04-01 | Caterpillar Inc. | Tool coupler having anti-release mechanism |
US9217235B2 (en) | 2012-05-30 | 2015-12-22 | Caterpillar Inc. |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
US8869437B2 (en) | 2012-05-30 | 2014-10-28 | Caterpillar Inc. | Quick coupler |
US9228314B2 (en) | 2013-05-08 | 2016-01-05 | Caterpillar Inc. | Quick coupler hydraulic control system |
JP6274853B2 (ja) * | 2013-12-18 | 2018-02-07 | 岡本 俊仁 | 傾斜地用作業車 |
TWI708900B (zh) | 2016-01-20 | 2020-11-01 | 奧地利商奧羅科技有限公司 | 旋轉式滑動軸承、具有旋轉式滑動軸承之裝置、具有旋轉式滑動軸承之裝置的用途及高爾夫球車 |
CA3018575C (en) * | 2016-03-23 | 2023-10-03 | Ami Attachments Inc. |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
US10774501B2 (en) * | 2016-03-23 | 2020-09-15 | Ami Attachments Inc. |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
US10156055B2 (en) * | 2016-05-06 | 2018-12-18 | Caterpillar Inc. | Integrated excavator pin grabber quick coupler |
EP3409842B1 (en) * | 2017-05-11 | 2019-07-10 | Kubota Corporation | A front loader and work vehicle |
DE102018128479A1 (de) * | 2018-11-14 | 2020-05-14 | Oilquick Deutschland Gmbh | Schnellwechsler und Schnellwechselsystem mit einem derartigen Schnellwechsl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222864A (en) * | 1987-06-04 | 1991-02-26 | William John Balemi | Connector for attaching implements to vehicle boom |
JPH0330543A (ja) | 1989-06-28 | 1991-02-08 | Canon Inc | メツセージ通信処理システム |
US5456030A (en) * | 1993-06-21 | 1995-10-10 | Barone, Inc.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implements |
US5581917A (en) * | 1995-10-18 | 1996-12-10 | Caterpillar Inc. | Quick coupling device |
JP2793165B2 (ja) * | 1996-02-06 | 1998-09-03 | 甲南電機株式会社 |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
JP3056706B2 (ja) * | 1997-10-07 | 2000-06-26 |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 作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
US6058633A (en) * | 1997-10-22 | 2000-05-09 | Barden; William Mark | Quick coupling device and method utilizing an over-center spring |
US6042295A (en) * | 1998-07-06 | 2000-03-28 | Caterpillar Inc. | Rotating bushing for a pin assembly |
-
1998
- 1998-11-09 JP JP10334976A patent/JP2000144789A/ja active Pending
-
1999
- 1999-10-18 CA CA002286529A patent/CA2286529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9-11-02 KR KR1019990048090A patent/KR200000351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11-04 US US09/434,056 patent/US63084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7416A (ko) * | 2022-04-14 | 2023-10-23 | 주식회사 더블유엔에스 | 미니 굴삭기용 퀵커플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286529A1 (en) | 2000-05-09 |
JP2000144789A (ja) | 2000-05-26 |
US6308442B1 (en) | 2001-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35151A (ko) | 작업기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 |
EP0816575B1 (en) | Hydraulic excavator | |
AU613025B2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nector | |
KR101101358B1 (ko) | 중장비의 부수장치 교환용 록킹장치 | |
EP0508692B1 (en) | Accessory detachable mechanism of construction machine | |
JPH1082066A (ja) | 土工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連結カプラ | |
KR100586087B1 (ko) | 건설기계의 간이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부착 아암 | |
US20020136597A1 (en) | Quick coupler device of working machine | |
JP3616408B2 (ja) | 作業機車両の油圧装置 | |
KR200189513Y1 (ko) |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 |
KR101870713B1 (ko) |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 |
KR19990036639A (ko) |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 |
KR200343651Y1 (ko) | 포크레인 암의 링크장치 | |
JP3710012B2 (ja) | バケットの取付構造 | |
JP5513944B2 (ja) | 作業機械およびアダプタ | |
JP3677905B2 (ja) | 建設機械の作業機着脱装置 | |
JPH05295901A (ja) | アタッチメントの取り付け装置 | |
KR101381493B1 (ko) | 굴삭기 도저 실린더의 개폐식 보호덮개 | |
JP3766962B2 (ja) | 建設機械のエンドアタッチメント取付装置 | |
JP2001295316A (ja) | 建設機械の作業装置 | |
JPH08165675A (ja) | ブレーカ内蔵式アーム付油圧ショベル | |
US7565758B2 (en) | Quick attach coupling device | |
KR200310978Y1 (ko) |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키이 | |
KR200232111Y1 (ko) | 건설기계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용 안전장치 | |
KR100188888B1 (ko) | 중장비 작업장치의 착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