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639A -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639A
KR19990036639A KR1019980038102A KR19980038102A KR19990036639A KR 19990036639 A KR19990036639 A KR 19990036639A KR 1019980038102 A KR1019980038102 A KR 1019980038102A KR 19980038102 A KR19980038102 A KR 19980038102A KR 19990036639 A KR19990036639 A KR 1999003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in
coupler
hook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103B1 (ko
Inventor
요시아키 시마다
마사히꼬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취체역사장 안자끼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취체역사장 안자끼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취체역사장 안자끼 사토루
Publication of KR1999003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31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transversal 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an additional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의 설치 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는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일단에 고착되며 슬릿부(8a)를 가지는 제1핀(8)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플러(1)의 훅부(1a)와, 일단은 커플러(1)를 통하여 작업기 프런트 링크(6)와 연결되고, 타단은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타단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제2핀(9)에 의하여 연결되는 회전가능한 커플러 링크(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본 발명은 유압삽등의 건설기계의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기의 암선단에 부착하고,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를 구비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삽등의 건설기계는 자갈, 흙의 채취, 도로공사, 채소밭정비, 토지조성, 상하수도공사, 건축기초공사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압삽은 상기 작업에 이용되는 각종 버킷외에 유압브레이커, 파쇄기등 각종 작업기 어태치먼트가 개발,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소규모공사의 경우는 투입하는 유압삽의 대수가 적고, 1대의 유압삽으로 여러 가지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커플러를 이용하여 버킷등의 어태치먼트를 유효하게 활용하므로써 효율적인 공사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압삽에 대해서 도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유압삽(30)의 하부주행체(31)의 상부에 선회서클(32)을 거쳐 상부선회체(33)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3)는 도시하지 않은 선회모터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부선회체(33)에는 작업기(40)를 부착하고 있다. 작업기(40)는 붐(41), 암(43) 및 버킷(45)을 구비하고, 각 유압실린더(42, 44, 46)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의 암선단의 연결핀을 받침점으로 하는 버킷날 끝까지의 회전운동반경 R0에 대하여 커플러를 이용한 때에는 암선단의 연결핀을 받침점으로 하는 버킷날끝까지의 회전운동반경 R이 크게 된다.
어태치먼트의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의 선행기술로 예를들면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제 3030543호에 의하면 파워삽의 암의 선단에 설치되는 브라켓부를 설치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파워삽용 어태치먼트의 한 쌍의 연결핀중 한쪽의 연결핀을 끼워넣고, 일측부를 개구로 한 연결핀 수용홈의 축선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이 덮개부재에는 상기 연결핀 수용홈과 연통하는 동시에 일측부를 개구로 한 삽입홈을 설치하고 있는 고정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에 요동이 자유롭게 원추형접합되어 어태치먼트의 다른 쪽의 연결핀을 끼워넣고, 일측부를 개구로 한 연결핀수용홈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연결핀 수용홈의 축선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이 덮개부재에는 상기 연결핀수용홈과 연통하는 동시에 일측홈을 개구로 한 삽입홈을 설치하고 있는 가동연결부를 구비하고, 각 덮개부재의 삽입홈의 개구와 고정연결부 및 가동연결부의 연결핀 수용홈의 개구를 일치시켜 연결핀을 끼워넣고, 각 덮개부재를 회전운동시켜 이 덮개부재의 폐쇄부에서 상기 연결핀 수용홈의 개구를 폐쇄하는 구성을 하고 있는 파워삽용 어태치먼트의 설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1대의 유압삽에 이용되는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는 반드시 동일한 제조업자의 것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각 제조업자에 따라 버킷의 브라켓에 설치된 암설치 구멍과 버킷 실린더에 연결하는 링크설치 구멍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가 있고, 커플러를 거쳐 각종 작업기 어태치먼트의 교환이 불가능하므로, 각 제조업자의 다른 어태치먼트로 교환할 때마다 설치브라켓등을 추가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의 암선단의 연결핀을 받침점으로 하는 버킷날 끝까지의 회전운동반경 R0에 대하여 커플러를 이용한 때에는 암선단의 연결핀을 받침점으로 하는 버킷날 끝까지의 회전운동반경 R이 크게 되므로 버킷회전운동반경의 R0/R에 비례하여 버킷날끝의 힘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등록실용신안 제 3030543 호에 기재되어 있는 커플러의 기술은 고정연결부 및 가동연결부에 연결핀수용홈과 연통하는 일측개구의 삽입홈을 형성한 덮개부재를 연결핀 주위에 회전운동시켜 덮개부재에서 연결핀수용홈의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여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진동이 많은 건설기계의 커플러로는 내구성이 없고, 또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제작코스트가 높게 된다. 더구나 덮개부재가 빗물로 녹슬어 엉겨붙어 회전운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크등의 어태치먼트의 설치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착탈이 가능한 동시에 버킷날끝의 힘을 증가 또는 표준버킷장착시와 동등한 버킷날끝의 힘을 얻을 수 있는 작업기링크를 장착가능하게 하고, 또 구조가 간단해서 건설기계의 진동이 많은 작업에도 충분한 내구성이 있으며, 더구나 제작코스트가 싼 커플러를 구비한 유압삽의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전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커플러 링크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A-A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a)는 훅부를 제1핀의 슬릿부에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b)는 훅부의 슬릿열림량과 제1핀의 외경 및 슬릿부의 폭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c)는 훅부와 제1핀의 걸어맞춤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짧은 커플러를 이용한 때의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긴 커플러를 이용한 때의 설명도이다.
도7은 도5에 나타낸 짧은 커플러를 어태치먼트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6에 나타낸 긴 커플러를 어태치먼트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짧은 커플러를 이용한 때의 어태치먼트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도9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긴 커플러를 이용한 때의 어태치먼트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전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는 유압삽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커플러 1a : 훅부(훅모양의 제2연결부)
1b, 1c : 연결부 1e, 2a, 2b : 설치구멍
2, 20 : 커플러링크 3 : 암
4 : 팔목링크 5 : 실린더
6, 25 : 작업기프런트링크 7 : 어태치먼트
7a, 7b : 브라켓트 8 : 제1핀
8a : 슬릿부 9, 27 : 제2핀
26, 27 : 핀 28 : 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제1발명은 버킷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와, 암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일단에 연결하는 훅모양의 제 2 연결부 및 버킷 실린더에 연결되는 작업기 프린트링크, 및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3연결부로 되고, 상기 어태치먼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를 구비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일단에 설치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고 슬릿부(8a)를 가지는 제1핀(8)과,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설치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는 제2핀(9)을 가지고, 커플러(1)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와 제1핀(8)을 연결하는 동시에, 일단을 커플러(1)의 제 3 연결부(1c)와 핀(6a)으로 연결하고 타단을 제2핀(9)과 연결하는 커플러 링크(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이 다른 어태치먼트는 설치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유압삽의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방법은 먼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일단에 고착되는 제1핀의 슬릿부에 커플러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삽입한다.
이 경우 도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핀의 직경 LC 및 이 핀의 슬릿부의 폭 LB 와 훅부의 슬릿의 열림양 LA 의 관계는 LB≒LA, LC〉LA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제1핀의 슬릿부에 삽입하여 커플러의 훅모양연결부를 90도 회전운동시키므로써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핀으로부터 훅모양연결부는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훅모양연결부를 도4(c)에 나타낸 상태에서 90도 회전하므로써 훅모양 연결부를 제1핀에서 간단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제1핀은 축방향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빠짐방지구기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커플러 링크의 설치 구멍과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설치된 설치 구멍을 꼭 맞추어 제2핀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 때문에 제1핀과 제2핀의 핀간 거리가 다른 어태치먼트라도 커플러 링크를 회전운동시켜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설치한 설치 구멍과 꼭 맞추므로써 간단하게 커플러의 훅부와 커플러 링크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수리가공등의 일체의 일손을 보태지 않더라도 유압삽 1대로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3030543 호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구조에서는 고정연결부 및 가동연결부에 연결핀수용홈과 연통하는 일측개구의 삽입홈을 형성한 덮개부재를 연결핀주위로 회전운동시켜 덮개부재에서 연결핀수용홈의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여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진동이 많은 건설기계의 커플러로는 내구성이 없고, 또 부품점수가 많기 때문에 제작코스트가 높게 되고, 게다가 덮개부재가 빗물로 녹슬어 엉겨붙어 회전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압삽의 진동이 많은 작업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적어 제작코스트가 낮게 된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작업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경우는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반경이 크게 되어 버킷날끝의 힘이 저하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플러의 제 1 연결부와 제 3 연결부의 핀간 거리를 길게 하므로써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각은 적게 되지만 모멘트가 크게 되고, 버킷날끝의 힘을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에 비하여 동등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버킷의 회전운동각을 토사를 퍼내는 데 지장없도록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발명은 버킷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와, 암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일단에 연결하는 훅모양의 제2연결부, 및 버킷 실린더에 연결되는 작업기 프런트 링크, 및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 3 연결부로 되고, 상기 어태치먼트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를 구비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일단에 설치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고 슬릿부(8a)를 가지는 제1핀(8)과,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설치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는 제2핀(27)을 가지고, 커플러(1)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와 제1핀(8)을 연결하는 동시에, 일단은 커플러(1)의 제 3 연결부(1c)에 핀(26)에 의해 연결하고 타단은 작업기 프런트 링크(25)와 함께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고착되는 제2핀(27)에 의해 연결되는 커플러 링크(2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이 다른 어태치먼트는 설치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유압삽의 작업기 어태치먼트설치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작업기 어태치먼트설치방법은 먼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브라케의 일단에 고착되는 제 1핀의 슬릿부에 커플러의 훅부를 삽입한다.
이 경우 도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핀의 직경 LC 및 이 핀의 슬릿부의 폭 LB와 훅부의 슬릿의 열림량 LA의 관계는 LB≒LA, LC〉LA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제1핀의 슬릿부에 삽입하여 커플러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90도 회전운동시키므로써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핀으로부터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는 이탈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걸어맞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도4(c)에 나타낸 상태에서 90도 회전시키므로써 훅모양의 제 2 연결부를 제1핀으로부터 간단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제 1핀은 축방향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빠짐방지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작업기 프런트 링크의 설치 구멍과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설치된 설치 구멍과 꼭 맞추어 제2핀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 때문에 제1핀과 제2핀의 핀간 거리가 다른 어태치먼트라도 작업기 프런트 링크 및 커플러 링크를 회전운동시켜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설치된 설치 구멍과 꼭 맞추므로써 간단하게 커플러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 및 작업기 프런트 링크를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수리가공등의 일체의 일손을 더하지 않고도 유압삽1대로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3030543 호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구조에서는 고정연결부 및 가동연결부에 연결핀수용홈과 연통하는 일측개구의 삽입홈을 형성한 덮개부재를 연결핀주위에 회전운동시켜 덮개부재에서 연결핀수용홈의 개구의 일부를 폐쇄하여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진동이 많은 건설기계의 커플러로는 내구성이 없고, 또 부품점수가 많기 때문에 제작코스트가 높게 되고, 게다가 덮개부재가 빗물로 녹슬어 엉겨붙어 회전운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압삽의 진동이 많은 작업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적어 제작코스트가 낮게 된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작업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경우는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반경이 크게 되어 버킷날끝의 힘이 저하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손목링크를 길게 하므로써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각은 적게 되지만 모멘트가 크게 되어 버킷날끝의 힘을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에 비하여 동등한 이상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버킷의 회전운동각을 토사를 퍼내는 데 지장이 없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1내지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은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유압삽의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중 암(3)은 팔목링크(4)의 일단과 핀(3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팔목링크(4)의 타단, 작업기 프런트 링크(6)의 타단 및 버킷 실린더(5)(이하 실린더(5)라 한다)의 로드부는 핀(4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버킷(7)(이하 어태치먼트(7)라한다)에는 브라켓(7a,7b)이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이 브라켓(7a,7b)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설치핀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설치핀구멍에 제1핀(8)을 삽입하고,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풀림방지볼트등의 풀림방지기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풀리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제1핀(8)에는 슬릿부(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부(8a)에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이하 훅부(1a)라한다)를 삽입한 후 실린더(5)를 신장 또는 단축하므로써 커플러(1)을 90도 회전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제1핀(8)과 훅부(1a)는 걸어맞춘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 링크(2)의 타단은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타단과 제2핀(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제2핀(9)는 도시하지 않은 풀림방지볼트등의 풀림방지기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1,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플러(1)는 제 1 연결부(1b), 훅부(1a) 및 제 3 연결부(1c)의 3점지지구조로 되어 있다.
커플러(1)의 제 1 연결부(1b)는 암(3)의 선단부와 핀(3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커플러(1)의 제 3 연결부(1c)는 작업기 프런트 링크(6)의 일단 및 커플러 링크(2)의 일단을 핀(6a)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일단과 커플러(1)의 훅부(1a)를 제1핀(8)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타단과 커플러 링크(2)의 타단을 제2핀(9)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커플러 링크(2)는 상기 설치핀(6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각 제조업자의 버킷이나 브레이커등의 어태치먼트의 설치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커플러 링크(2)를 회전운동시키므로써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제1핀(8)의 장착상태에 대하여 도2의 A-A단면을 도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어태치먼트의 브라켓(7a,7b)에는 제1핀(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핀(8)의 일단측은 풀림방지기구(10a)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타단측은 풀림방지볼트(10b)에의해 이 핀(8)이 축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제1핀(8)의 슬릿부(8a)에 커플러(1)의 훅부(1a)를 삽입한 후 커플러(1)를 90도 회전운동하여 훅부(1a)가 제1핀(8)에 걸어맞춘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의 착탈장치의 커플러(1)의 훅부(1a)와,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에 설치하는 제1핀(8)의 착탈방법에 대해서 도4(a), 도4(b),도4(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4(a)에 나타낸 바와같이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일단에 고착되는 제1핀(8)의 슬릿부(8a)에 커플러(1)의 훅부(1a)를 삽입한다. 이 경우 도4(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핀(8)의 직격LC 및 이 핀(8)의 슬릿부(8a)의 폭LB와 훅부(1a)의 슬릿(1d, 1d)의 열림량LA의 관계는 LB≒LA, LC 〉LA로 되어 있다.
이것에의해 훅부(1a)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하고, 커플러(1)를 상기 실린더(5)의 신축에 의해 회전운동시켜 훅부(1a)를 90도 회전운동시키므로써, 도4(c)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핀(8)의 직경LC와 훅부(1a)의 슬릿(1d,1d)의 열림량LA의 관계는 LC 〉LA이므로 제1핀(8)으로부터 훅부(1a)는 이탈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걸어맞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핀(8)으로부터 훅부(1a)를 이탈할 때에는 훅부(1a)를 도4(c)에 나타낸 상태에서 90도 회전시키므로써 제1핀(8)의 슬릿부(8a)와 훅부(1a)의 슬릿(1d,1d)은 걸어맞춘 것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의 착탈장치의 커플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커플러 링크 및 커플러 링크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에 장착하는 제2핀의 착탈방법에 있어서, 표준사양의 어태치먼트의 브라켓과 커플러를 연결한 경우 및 브레이커등의 특수한 어태치먼트의 브라켓과 커플러를 연결한 경우에 대하여 도1,도2를 참조하여 도7,도8에 의해 설명한다.
도7은 표준사양의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과 커플러(1)의 훅부(1a) 및 커플러(2)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먼저 훅부(1a)와 브라켓(7a,7b)의 일측을 제1핀(8)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커플러 링크(2)를 회전운동시켜 이 링크(2)의 설치 구멍과 브라켓(7a,7b)의 타측에 설치된 핀설치 구멍을 꼭 맞추어 제2핀(9)으로 연결한다.
제1핀(8)과 제2핀(9)의 핀간 거리는 L1이고, 표준사양의 어태치먼트(7)의 경우는 도7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그런데 도8에 나타낸 브레이커등의 특수한 어태치먼트(17)의 경우는 각 제조업자에 따라 브라켓(17a,17b)이 크며, 따라서 브라켓(17a,17b)에 돌출설치되는 2개의 핀설치 구멍간의 거리가 큰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라도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회전방향으로 커플러 링크92)를 회전운동시켜 이 링크(2)의 설치 구멍(2b)과 브라켓(17a,17b)에 설치된 핀설치 구멍을 꼭 맞추어 제2핀(9)으로 연결하면 제1핀(8)과 제2핀(9)의 핀간 거리가 L2로 길게 되더라도 간단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도7,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 링크(2)를 준비하므로써 종래와 같이 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을 추가로 가공하는 아주 많은 작업공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는 없게 되고, 본 발명의 커플러 및 커플러 링크를 이용하므로써 각 제조업자마다 다른 어태치먼트라도 간단하게 착탈가능하게 된다.
또, 커플러 링크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식(예를들면 나사봉의 양 단부에 링크를 나사잠금가능하게 하는 구조등)으로 한 것을 준비하여 두면 작업현장에서 각종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핀간 거리가 다르더라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도5에 나타낸 짧은 커플러와 도6에 나타낸 긴 커플러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9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내지 도4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부품이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5, 도6에 나타낸 커플러(1A, 1B)는 제 1 연결부(1b), 훅부(1a)(제 2 연결부) 및 제 3 연결부(1c)의 3점지지구조로 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짧은 커플러(1a)(이하 커플러(1A)라 한다)는 표준사양으로 이용되는 것이며, 도6에 나타낸 긴 커플러 (1B)(이하 커플러(1B)라 한다)는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는 때의 어태치먼트의 버킷날끝의 힘과 동등한 이상으로 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다.
도5에 나타낸 짧은 커플러(1A)의 제 1 연결부(1b)에는 도9에 나타낸 암(3)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핀(3b)을 삽입하는 설치 구멍(1e)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연결부(1c)에는 도9에 나타낸 작업기 프런트 링크(6)와 커플러 링크(2)의 일단을 함께 연결하는 핀(6a)을 삽입하는 설치 구멍(2a)이 설치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커플러(1A)는 설치 구멍(1e, 2a)의 중심간의 거리는 La로 설정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커플러(1B)는 도5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6에 나타낸 설치 구멍(1e, 2a)의 중심간의 거리는 Lb로 설정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커플러(1A)의 설치 구멍(1e, 2a)의 중심간의 거리는 La와 도6에 나타낸 커플러(1B)의 설치 구멍(1e, 2a)의 중심간의 거리 Lb는 La〈 Lb이다.
도5, 도6에 나타낸 커플러(1A, 1B)를 이용한 때의 작업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 도11은 커플러(1A, 1B)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7)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실린더(5)를 신장시키면 어태치먼트(7)는 도10,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측으로 회전운동하여 어태치먼트(7)에 의해 토사를 퍼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 다.
이 토사를 퍼올릴 때에 도9, 도10에 나타낸 커플러(1A)를 이용한 경우는 토사를 퍼올릴 때에 실린더(5)의 추진력을 F1, 커플러(1A)의 핀간 거리를 La로 한 때의 어태치먼트(7)의 날끝의 힘 FE1 은 FE1=F1×La이다.
도11, 도12에 나타낸 커플러(1B)를 이용한 경우는 토사를 퍼올릴 때에 실린더(5)의 추진력을 F1, 커플러(1B)의 핀간거리를 Lb로 한 때의 어태치먼트(7)의 날끝의 힘 FE2는 FE2=F1×Lb로 된다. 상기 커플러(1A)를 이용한 때의 어태치먼트(7)의 날끝의 힘 FE1과 커플러(1B)를 이용한 때의 어태치먼트(7)의 날끝의 힘 FE2는 FE2〉FE1이다.
커플러(1B)를 이용하므로써 실린더(5)의 추진력이 같더라도 모멘트가 크게 되어 날끝의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태치먼트(7)의 회전운동각은 적게 되지만, 토사를 퍼올리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상기 핀(3b)과 핀(6a)의 핀간 거리가 다른 커플러를 여러 가지 준비하여 두므로써 각종 작업현장에 따라 어태치먼트의 날끝의 힘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내지 도12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플러(1)의 일단측과 암(3)의 선단부는 핀(3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커플러(1)의 타단측과 커플러 링크(20)의 일단측은 핀(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커플러 링크(20)의 타단측에 설치된 핀설치 구멍과 작업기 프런트 링크(25)의 일단측에 설치된 핀설치 구멍을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설치 구멍에 꼭 맞추어 제2핀(27)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작업기 프런트 링크(25)의 타단측에 설치된 핀설치 구멍은 팔목링크(4)와 실린더(5)의 로드부에 설치된 각각의 핀설치 구멍을 꼭 맞추어 핀(4a)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커플러(1)의 훅부(1a)와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는 제1핀(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의하면 작업기 프런트 링크(25)는 핀(4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또 커플러 링크(20)는 핀(2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기 프런트 링크(25)와 커플러링크(20)를 함께 회전운동시켜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설치 구멍에 꼭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핀(8)과 제2핀(27)의 핀간 거리가 각 제조업자에 따라 다르더라도 암(3), 작업기 프런트 링크(25)는 커플러 링크(20)를 거쳐 어태치먼트(7)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커플러 링크(20)가 너무 많이 회전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 링크(20)와 소정의 위치에서 맞닿도록 스토퍼(28)가 커플러 링크(1)에 고착되어 있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작업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경우는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반경이 크게 되어 날끝의 힘이 저하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팔목링크(4)를 길게하므로써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각은 적게 되지만 모멘트가 크게 되어 날끝의 힘을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에 비하여 동등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어태치먼트의 회전 운동각은 토사를 퍼올리는 데 지장이 없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어태치먼트설치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압삽의 진동이 많은 작업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적어 제작코스트가 낮게된다.
또 종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작업기어태치먼트를 장착한 경우는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반경이 크게 되어 날끝의 힘이 저하하는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는 암(3)선단부 및 작업기 프런트 링크(6)와 연결하는 핀(3b) 핀(6a)의 핀간 거리가 긴 것을 여러가지 준비해 두면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각은 적게 되지만 모멘트가 크게 되어 날끝의 힘을 커플러를 이용하지 않은 때에 비하여 동등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어태치먼트의 회전운동각을 토사를 퍼올리는데 지장이 없도록 설정하면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장치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유압삽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 이외의 건설기계, 산업기계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2)

  1. 버킷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와, 암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일단에 연결되는 훅모양의 제 2 연결부, 및 버킷 실린더에 연결되는 작업기프런트링크 및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연결부로 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를 구비한 작업기 어태치먼트설치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일단에 형성된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며 슬릿부(8a)를 가지는 제1핀(8)과,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형성된 핀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는 제2핀(9)을 가지고,
    커플러(1)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와 제1핀(8)을 연결하는 동시에,
    일단은 커플러(1)의 제 3 연결부(1c)에 핀(6a)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제 2핀(9)과 연결하는 커플러 링크(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2. 버킷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버킷등의 어태치먼트와, 암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일단에 연결되는 훅모양의 제 2 연결부 및 버킷 실린더에 연결되는 작업기 프런트 링크 및 어태치먼트의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 3 연결부로 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커플러를 구비한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7b)의 일단에 설치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어 슬릿부(8a)를 가지는 제 1핀(8)과,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형성된 핀삽입구멍에 삽입하여 고착되는 제2핀(27)을 가지고,
    커플러(1)의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를 제1핀(8)의 슬릿부(8a)에 삽입하여 회전운동시키고, 훅모양의 제 2 연결부(1a)와 제1핀(8)을 연결하는 동시에,
    일단은 커플러(1)의 제 3 연결부(1c)에 핀(26)으로 연결하고, 타단은 작업기 프런트 링크(25)와 함께 어태치먼트(7)의 브라켓(7a, 7b)의 타단에 고착되는 제2핀(27)에 의해 연결되는 커플러 링크(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장치.
KR10-1998-0038102A 1997-10-15 1998-09-15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KR100499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9494 1997-10-15
JP9299494A JPH11117345A (ja) 1997-10-15 1997-10-15 作業機アタッチメント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39A true KR19990036639A (ko) 1999-05-25
KR100499103B1 KR100499103B1 (ko) 2005-09-26

Family

ID=1787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102A KR100499103B1 (ko) 1997-10-15 1998-09-15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117345A (ko)
KR (1) KR100499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32A (ko) * 2020-02-27 2021-09-06 정경래 회전 링크
KR20220149166A (ko) * 2021-04-30 2022-11-08 유수준 굴삭기 버켓의 가동범위를 조절하는 어태치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9344U1 (de) 2006-03-27 2007-08-15 Baumaschinentechnik Ges M B H Anbauplatte für eine schnellwechselvorrichtung
KR100979430B1 (ko) 2008-05-30 2010-09-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작업장치용 심조절장치
CN113338370A (zh) * 2021-06-11 2021-09-03 常州远东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激振功能的挖掘机铲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125A (ja) * 1986-06-24 1988-01-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シヨベルのアタツチメント装着装置
US4836741A (en) * 1986-08-12 1989-06-06 Consolidated Technologies, Corp. Backhoe hitch apparatus
US4871292A (en) * 1987-12-17 1989-10-03 Richard Milanowski System for attaching and locking material handling tools to a dipper boom
JPH0262941A (ja) * 1988-08-30 1990-03-02 Meidensha Corp 細胞内の物質測定方法
JPH0330543A (ja) * 1989-06-28 1991-02-08 Canon Inc メツセージ通信処理システム
JPH0941415A (ja) * 1995-08-02 1997-02-10 Komatsu Ltd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KR19990009730A (ko) * 1997-07-11 1999-02-05 홍종만 카오디오의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32A (ko) * 2020-02-27 2021-09-06 정경래 회전 링크
KR20220149166A (ko) * 2021-04-30 2022-11-08 유수준 굴삭기 버켓의 가동범위를 조절하는 어태치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17345A (ja) 1999-04-27
KR100499103B1 (ko) 200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442B1 (en) Working machine attachment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KR100499103B1 (ko) 작업기 어태치먼트 설치 장치
GB2339762A (en) Work machine coupling arrangement
WO1995006786A1 (fr) Systeme de pelle hydraulique
US20020136597A1 (en) Quick coupler device of working machine
JP3677905B2 (ja) 建設機械の作業機着脱装置
KR20110032791A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JPS631791Y2 (ko)
JPH0941418A (ja) アタッチメントの着脱装置
US20020102154A1 (en) Mechanical linkage quick attachment system
JP3660538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JP3602770B2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H0330435Y2 (ko)
JP3611997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KR200219517Y1 (ko) 파쇄기가 일체로 부착된 트랙터용 복토기
JPH1096245A (ja) バケットの取付構造
JPH1150488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
JP2563856Y2 (ja) 回転式ケーシングドライバの回転反力取り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回転反力取りビーム
KR200216954Y1 (ko) 굴삭기 부착기구 결합용 링크
JPH0636341Y2 (ja) ピン結合装置
EP0047245B1 (en) Swing motor mounting arragement
KR200155530Y1 (ko) 로터리의 작업기 회전장치
JP2542086Y2 (ja) カートリッジ型ヒンジ装置
KR20230166215A (ko) 오링 이탈방지 구조의 힌지부를 갖는 굴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