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854A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액제 - Google Patents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854A
KR20000033854A KR1019980050903A KR19980050903A KR20000033854A KR 20000033854 A KR20000033854 A KR 20000033854A KR 1019980050903 A KR1019980050903 A KR 1019980050903A KR 19980050903 A KR19980050903 A KR 19980050903A KR 20000033854 A KR20000033854 A KR 2000003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mc
liquid
weight
solutio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942B1 (ko
Inventor
이상순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명섭
구주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섭, 구주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섭
Priority to KR101998005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94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간질환치료제인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는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약물로서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원료자체는 물에 난용성이어서 제제로 가공하는데 많은 제한이 있고, 특히 정제나 캅셀제 등의 형태로서는 용출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충분한 치료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에 용해보조제로서 고분자폴리머를 함유한 폴리에칠렌글리콜의 가용화제와 현탁화제로서 폴리사카와이드검 및 카복시비닐폴리머, 안정화제로서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그리고 분산제로서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침강하지 않고 계속해서 분산상태를 유지하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동성도 양호한 신규한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의 액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액제
본 발명은 간질환 치료제인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이하 "PMC"라 칭한다)를 함유하는 액제에 관한 것으로, 경시적으로 양호한 분산상태를 유지하고 열에 대한 안정성도 좋고, 특히 유동성도 양호해서 복용하기 쉽도록 불용성의 PMC를 액제로 제제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성분 원료인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PMC)는, 하기 구조식(I)을 갖는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성질을 갖으며, 중국의학과학원에서 처음 개발된 약제이다.
PMC는 동물실험에서 사염화탄소나 티오아세라미드에 의한 독성간손상으로부터 보호작용이 있으며[Chem. Biol. Interactions, 41, 39∼47(1982)], PMC의 간손상억제작용은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하고[Chem. Biol, Interactions, 78, 77∼84(1991)], 간의 미크로좀의 지질과 사염화탄소 대사체와의 결합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Chem. Biol, Interactions, 39, 301∼314(1982)]. 또한 임상적으로는 만성간염환자에 대한 단기치료 연구에서는 혈청 ALT치나 빌리루빈치 등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반면, 별다른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대한내과학회잡지, 40, 172∼178(1990)].
현재 국내에서는 PMC를 함유하는 경구용제제로는 25mg의 정제와 7.5mg의 경질캅셀제가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PMC 자체원료는 물에 난용성이어서 용출률은 인공위액에서 2시간후에 3.33%, 인공장액에서는 2.27%를 나타내고, PMC정제는 인공위액에서 5.94%, 인공장액에서 9.72%를 나타내며, 경질캅셀제는 비록 용출률이 개선되기는 했으나 인공위액에서 22.14%, 인공장액에서 28.64%으로 여전히 낮은 용출률을 나타내어, 정제의 경우 경구투여시 흡수가 잘 안되어 생체이용률이 25-30% 밖에 안되고 흡수가 느리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PMC의 용출률을 개선시켜 생체이용률을 높이고 흡수가 신속한 제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어 본 발명자는 7.5mg의 연질캅셀제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공개특허 제1998-054904호 참조).
그러나 PMC는 난용성의 약물이기 때문에 25mg의 연질캅셀제는 제제화가 불가능하므로 7.5mg과 25mg의 PMC를 투명한 용액으로 가용화시킨 다음 불쾌한 맛과 냄새를 제거하여 20ml 내지 70ml 용량의 액제로서 복용하기가 쉽고, 장기간 보관시 침강되지 않고, 계속해서 분상상태를 유지하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동성도 양호한 액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PMC를 침전이 석출되지 않는 안정한 투명용액으로 가용화시키는 것에 성공하여 PMC의 제형을 복용하기 쉬운 액제로 할 것을 착안하고 여러가지 제제처방을 검토하던 중, 장기간동안 보존하여도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양호한 분산성을 유지하고, 특히 열에 대한 안정성이 좋으며 유동성이 우수하여 복용하기 좋은 액제를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제의 내용물은 약리유효성분인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PMC)와, 용해보조제인 고분자폴리머를 함유한 폴리에칠렌글리콜의 가용화제와 현탁화제인 폴리사카라이드검 및 카복시비닐폴리머, 안정화제인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과 분산제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현탁화제도 배합할 수가 있다. 그 예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루로오즈(HPMC)와 아비셀과 같은 셀루로오즈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액제에 통상적으로 배합되어지는 성분, 예를 들면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나트륨등, 교취제로서는 허브에센스, 교미제로서는 액상과당등, 분산제로서는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그 조성비율은 유효성분인 PMC 0.03∼0.15중량%, 고분자폴리머 0.03∼0.1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5∼5.5중량%, 폴리사카라이드검 0.2∼0.3중량%, 카복실비닐폴리머 0.1∼0.2중량%,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5.0∼15.0중량%, 액상과당 15.0∼20.0중량%, 에탄올 0.1∼0.5중량%, 물 60.0∼7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PMC액제의 제조방법은, 가온한 적량의 정제수에 안식향산나트륨,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액상과당 및 계면활성제를 가해 교반, 용해시킨다(제1액). 별도로 폴리사카라이드검과 카복실비닐폴리머를 적당량의 물을 가한후 homogenizer로 분산시켜서 사용하거나, 하루밤동안 방치한 후에 사용한다(제2액). 유효성분인 PMC는 폴리에칠렌글리콜과 용해보조제를 가하고 혼화후 70℃로 가온한 후 제1액과 제2액을 가해서 잘 혼화한 후 에탄올과 교미제와 교취제를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 혼합하여 제조한다.
분산안정성 및 복용용이성의 면에서 고려해볼 때, 액제의 점도는 500- 1,000cps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는 카복시비닐폴리머 및 폴리사카라이드검의 배합량의 비율에 의해서 원하는 범위의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MC를 함유하는 액제의 가용화 기제로는 폴리에칠렌글리콜(PEG)을 2.5∼5.5중량% 되게 사용하며, 주로 상온에서 액상인 PEG-300, PEG-400 및 PEG 600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함이 좋고, 유효성분인 PMC용해도면에서 PEG-400이 바람직하였다.
용해보조제로는 고분자폴리머를 선택하여 0.03∼0.1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30)을 사용함이 PMC의 결정석출 방지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여 가용화시킨 난용성의 약물인 PMC는 물로 희석시켰을 때 침전이 형성됨으로 침전방지 목적으로 현탁화제인 0.2-0.3중량%의 폴리사카라이드검 일종인 잔탄검(스위스, Jungbunzlaver International AG)과 0.1-0.2중량%의 카복실비닐포리머 일종인 카보머 934P(미국, BF Goodrich사)를 같이 사용하며, 제제의 안정화를 위하여 5.0-15.0중량%의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일본 식품화공주식회사)을 가하고, 분산제로서 계면활성제중 1종을 0.1∼1.0중량% 범위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바,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경화피마자유(HCO-40, -50, -60등, 일본 니콜사)는 0.1∼1.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Labrasol, 프랑스 CATTEFOSSE사) 0.5∼2.0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텔(Myvacet 9-45등, 일본 Koyo사) 0.3∼0.5중량%, 또는 폴리소르베이트(Tween80) 0.1∼1.0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주약의 분산도에 좋은 영향을 준다. 복용하기에 적합하고 침전이 석출되지 않고 분산상태가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 최적의 비율을 갖는 현탁화제를 사용하고 최적농도의 액상과당과 에탄올를 사용하여 20ml에 PMC가 7.5mg과 25mg을 함유하는 액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대상약물인 PMC는 PEG 400기제에 잘 녹지만 냄새가 심하고 불쾌한 맛 때문에 최소량의 PEG 40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PEG 400의 농도에 따른 용해도를 측정하고 결정석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즉 처방예 4에서 PMC의 용해도가 좋고 결정이 석출되지 않기에 기본처방으로 하였다.
즉 처방예 4에서 PMC의 용해도를 만족시키고 결정이 석출되지 않기에 기본처방으로 하였다. 기본처방은 맛이 쓰고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복용이 불가능하고 특히 소아와 노령층환자는 기존의 PMC제제는 정제와 캅셀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복용이 어렵기 때문에 액제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처방예4의 기본처방을 물로 희석시켰을 때 침전이 형성됨으로 적당한 용적(20ml 내지 70ml)을 갖는 액제로 제형화를 시도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우선 본 발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PMC를 가용화시킨 기본처방에 일반적으로 가하는 방부제인 안식향산나트륨, 교미제인 액상과당, 안정화제인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과 분산제인 계면활성제를 기본적으로 가하고 침전을 방지하고 양호한 분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현탁화제를 발견하는 것이 본 특허의 관건이기에, 침전여부를 수치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 침강용적(sedimentation volume,F)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침강용적은 현탁제의 전체용적에 대한 평형후에 응집체가 차지하는 용적으로서 25ml의 실린더에 하기의 현탁액을 1달동안 방치한 후에 측정한 것으로서, 불용성의 물질를 용해시킨후 액제로 제형화할 경우 가장 이상적인 액제는 침전이 생성되지 않고 비응집침강체 부피가 전체용적을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 판명할 수 있는 침강용적이 1을 나타내어야 하고, 침강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점도를 증가시켜서 고점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야만 장기간 보관시 안정한 액제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우선 각종 현탁화제에 따른 침강용적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각종 현탁화제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
처방예 1 2 3 4 5 6
PMC(mg) 25 25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20 20
HPMC615(mg) 0.1 - - - - -
잔탄검(mg) - 0.1 - - - -
카보머 934P(mg) - - 0.1 - - -
Sod. CMC(mg) - - - 0.1 - -
Avicel pH101(mg) - - - - 0.1 -
Guar gum(mg) - - - - - 0.1
액상싸이크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20 20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20 20
침강용적 0.01 0.3 0.9 0.02 0.1 0.02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처방예 3에서 카보머 934P를 사용했을 때 이상적인 응집상태를 나타내는 침강용적이 0.9인 현탁성의 PMC 액제의 제제처방을 얻을 수 있었으나 맛이 쓴 것이 큰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고, 반면에 셀루로오즈 유도체인 HPMC, Sod. CMC 및 Avicel은 침강이 잘 되었고, 처방예 2의 잔탄검은 셀루로즈유도체에 비해 침강용적도 크며 쓴맛을 마스킹하는 장점이 있으나 복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잔탄검의 농도에 따른 침강용적과 점도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잔탄검의 농도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
처방예 1 2 3 4 5
PMC(mg) 25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20
잔탄검(mg) 0.02 0.04 0.06 0.08 0.1
액상싸이크로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2000 2000 2000 2000 2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20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20
침강용적 0.032 0.08 0.144 0.256 0.3
점도(cps) 150 380 636 1050 3210
즉, 처방예 2와 처방예 3의 잔탄검의 농도는 복용이 가능한 점도를 유지하고 있고, 불쾌한 냄새와 맛을 제거할 수 있어 침강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탁화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면 복용이 용이하고 침강용적이 1인 PMC액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현탁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병용해서 사용하면 복용이 용이하고 침강이 되지 않는 PMC액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종 현탁화제의 병용에 따른 침강용적과 점도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각종 현탁화제에 병용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
처방예 1 2 3 4 5 6 7 8
PMC(mg) 25 25 25 25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20 20 20 20
HPMC615(mg) 0.1 - - - - - - -
잔탄검(mg) 0.04 0.08 - - 0.04 0.06 0.06 0.06
카보머 934P(mg) - - 0.1 0.1 0.1 0.1 - -
Sod. CMC(mg) - 0.05 - 0.05 - - - -
Avicel pH101(mg) - - 0.1 - - - 0.1 -
Guar gum(mg) - - - - - - - 0.1
액상싸이크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20 20 20 20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20 20 20 20
침강용적 0.08 0.24 0.86 1.0 1.0 1.0 0.35 0.92
점도(cps) 350 755 927 261 1720 3340 650 1350
표 4의 결과와 같이, 카보머 934P와 Sod. CMC를 병용한 처방예 4에서 1의 침강용적을 얻을 수 있었지만 복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불쾌한 맛과 냄새로 인하여 경구용 액제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반면에 잔탄검과 카보머 934P를 같이 병용한 처방예 5와 처방예 6에서는 침강용적이 1인 제제처방을 얻을 수 있었고 비교적 불쾌한 맛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었으나 점도가 높아 복용이 어려울 정도로 유동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잔탄검과 카보머 934P의 첨가량의 비율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어 잔탄검과 카보머 934P의 농도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를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잔탄검과 카보머의 농도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
처방예 1 2 3 4 5 6
PMC(mg) 25 25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20 20
잔탄검(mg) 0.04 0.04 0.04 0.06 0.06 0.06
카보머 934P(mg) 0.01 0.03 0.05 0.01 0.03 0.05
액상싸이크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20 20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20 20
침강용적 0.92 1.0 1.0 0.95 1.0 1.0
점도(cps) 431 690 1090 825 1520 2390
표 5 결과에 따르면, 25mg의 PMC액제에서는 전량 20g중에 잔탄검이 40mg을 함유하는 것이 침강을 일으키지 않고 복용감을 좋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또한 침강용적이 1이고 복용이 용이한 점도를 만족시켜 주는 제제처방은 처방예 2가 해당되지만 PEG 400의 쓴맛이 약간 있어 교미제인 액상과당을 증량하고 카보머의 농도를 최적화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카보머와 액상과당의 농도에 따른 침강용적과 점도를 실험하였는바,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액상과당과 카보머의 농도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
처방예 1 2 3 4 5 6
PMC(mg) 25 25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20 20
잔탄검(mg) 0.04 0.04 0.04 0.04 0.04 0.04
카보머 934P(mg) 0.02 0.02 0.02 0.03 0.03 0.03
액상싸이크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2500 3000 4000 2500 3000 4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20 20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20 20
침강용적 0.95 0.96 0.98 0.97 1.0 1.0
점도(cps) 835 868 935 1040 1090 1170
즉, 처방예 5와 처방예 6에서 침강용적이 1을 얻을 수 있었지만 복용하기에는 점도가 다소 높고 부드럽지 못해서, 계속하여 에탄올의 첨가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였는바,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에탄올 첨가 유무에 따른 PMC액제의 침강용적과 점도
처방예 1 2 3 4
PMC(mg) 25 25 25 25
PEG400(mg) 1055 1055 1055 1055
PVP K-30(mg) 20 20 20 20
잔탄검(mg) 0.04 0.04 0.04 0.04
카보머 934P(mg) 0.03 0.03 0.03 0.03
액상싸이크 덱스트린(mg) 2000 2000 2000 2000
HCO-50(mg) 0.02 0.02 0.02 0.02
액상과당(mg) 3000 4000 3000 4000
안식향산나트륨(mg) 20 20 20 20
95% 에탄올 - - 0.1 0.1
정제수적량가한후 전량(g) 20 20 20 20
침강용적 1.0 1.0 1.0 1.0
점도(cps) 1090 1170 940 980
표 7과 같이 95% 에탄올을 첨가하면 1.0의 침강용적을 그대로 유지하고 점도가 감소되어 복용감이 좋아지고, 나아가 40℃/75%의 저장조건에서 30일동안 보관시 처방예 4의 제제처방은 전혀 침강되지 않고 주성분의 함량이 변화하지 않는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교취제인 허브에센스를 가하여 복용하기 좋고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20ml의 용량의 PMC 25mg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인 PMC액제의 처방을 발명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PMC액제는 함량이 7.5mg이고 용량이 20ml인 실시예 2에서의 액제의 처방에서도 복용이 용이하고 경시적으로 안정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안정성에 관한 실험예 등을 열거한다.
(실시예1)
성 분 중량(mg)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PMC) 25.0
폴리에칠렌글리콜 400 1055.0
폴리비닐피롤리돈 K-30 20.0
카보머 934P 30.0
잔탄검 40.0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 50 20.0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2000.0
안식향산나트륨 20.0
액상과당 4000.0
에탄올 100.0
허브에센스 적량
정제수 적량
---------------------------------------------------
전 량 20000.0
본 발명의 PMC액제의 제조방법은, 가온한 적량의 정제수에 안식향산나트륨(약전) 20g,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별규) 2,000g, 액상과당(별규) 4,000g 및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50(별규) 20g를 가해 교반, 용해시킨다(제1액). 별도로 잔탄검(엔 에프) 40g과 카보머 934P(엔 에프) 30g를 적당량의 물을 가한 후 homogenizer로 분산시켜서 사용하거나, 하루밤동안 방치한 후에 사용한다(제2액). 유효성분인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고시) 25g은 폴리에칠렌글리콜 400(약전) 1055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30(약전) 20g를 가하고 혼화후 70℃로 가온한 후 제1액과 제2액을 가해서 잘 혼화한 후 에탄올(약전) 100g과 허브에센스 적량을 가하여 실온에서 교반, 혼합하여 1병당 20ml를 충전해서 1,000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성 분 중량(mg)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PMC) 7.5
폴리에칠렌글리콜 400 586.5
폴리비닐피롤리돈 K-30 6.0
카보머 934P 20.0
잔탄검 40.0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 50 20.0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2000.0
안식향산나트륨 20.0
액상과당 3000.0
에탄올 100.0
허브에센스 적량
정제수 적량
--------------------------------------------------
전 량 20000.0
상기의 처방을 갖고 실시예 1에 준해서 내용액을 제조하였다.
(안정성 실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내용물의 용해도 및 성상을 살핀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PMC액제의 성상 및 침전석출여부
처 방 예 침강용적 침전석출여부
실시예 1 1 ×
실시예 2 1 ×
※ 침강용적은 30일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측정하였다
※ 각 처방별로 제조된 용액을 3-5℃에서 30일간 보관하여 관찰
침전생성됨 : ○
침전생성안됨 : ×
상기 시험조건에 따라 PMC액제의 성상과 침전여부를 관찰한 결과 모든 실시예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다음은 실시예별 제제의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가혹조건하 단기 안정성시험결과를 표 9에 기재하였다.
가혹조건하 단기 안정성시험
처 방 예 TestItem Initial 2 months 4 months 6 months
R.T. 40℃/75% RH R.T. 40℃/75% RH R.T. 40℃/75% RH
실시예 1 성 상 N.C. N.C. N.C. N.C. N.C. N.C. N.C.
함 량 99.9% 99.4% 97.2% 98.8% 95.2% 99.0% 93.5%
침전여부 × × × × × × ×
실시예 2 성 상 N.C. N.C. N.C. N.C. N.C. N.C. N.C.
함 량 100.3% 99.6% 97.5% 99.2% 94.3% 98.1% 92.9%
침전여부 × × × × × × ×
※ Description : N.C.-Not changed
※ 각 실시예별로 제조된 용액을 6개월동안 실온과 40℃/75% RH의 저장조건에서 보관하여 관찰
침전생성됨 : ○
침전생성안됨 : ×
단기 안정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실시예에서 침전석출이 안되고, 함량이 변하지 않는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에 난용성인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PMC)에 용해보조제로서 고분자폴리머를 함유한 폴리에칠렌글리콜(PEG)의 가용화제와 현탁화제로서 폴리사카라이드검(잔탄검) 및 카복시비닐폴리머, 안정화제로서 액상 싸이크로덱스트린 그리고 분산제로서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액제조성물로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침강하지 않고 계속해서 분산상태를 유지하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동성도 양호한 신규한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의 액제제형인바, 정제나 캅셀제, 연질캅셀제 보다 복용이 용이하고, 흡수가 신속하다는 특장점이 있다.

Claims (4)

  1. 물에 난용성인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PMC) 0.03∼0.15중량%, 용해보조제로서 고분자 폴리머 0.03∼0.1중량%를 함유한 폴리에칠렌글리콜 2.5∼5.5중량%의 가용화제와, 현탁화제인 폴리사카라이드검 0.2∼0.3중량% 및 카복시비닐폴리머 0.1∼0.2중량%, 안정화제로서 액상싸이크로덱스트린 5.0∼15.0중량% 그리고 액상과당, 에탄올 및 물과, 분산제로서 계면활성제 0.1∼1.0중량%를 함유한, 장기간 보관시 침강되지 않고 계속해서 분산상태를 유지하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유동성도 양호한 비페닐디메칠카르복실레이트(PMC)의 액제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용화기제인 폴리에칠렌글리콜로 PEG-400을 함유함을 특징으로하는 청구범위 제1항의 액제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인 고분자 폴리머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30)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의 액제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현탁화제로서 잔탄검과 카보머 934P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항의 액제조성물.
KR1019980050903A 1998-11-26 1998-11-2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액제 KR10029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03A KR100299942B1 (ko) 1998-11-26 1998-11-2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액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03A KR100299942B1 (ko) 1998-11-26 1998-11-2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액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54A true KR20000033854A (ko) 2000-06-15
KR100299942B1 KR100299942B1 (ko) 2001-11-22

Family

ID=1955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903A KR100299942B1 (ko) 1998-11-26 1998-11-26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액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0061A1 (en) * 2002-11-29 2004-06-17 Hanmi Pharm. Co., Ltd. Microemulsion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0061A1 (en) * 2002-11-29 2004-06-17 Hanmi Pharm. Co., Ltd. Microemulsion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942B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7562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axanes
KR20100121505A (ko) 플배스트랜 제제
JPH02235817A (ja) 新規シクロスポリン製剤
TWI660730B (zh) 包含度他雄胺的醫藥組合物及含此組合物的膠囊製劑
KR890000907B1 (ko) 안정한 현탁액 제조용 고체 약물 제형의 제조방법
JPH0840880A (ja) 軟ゼラチンカプセル剤中のケトプロフエン溶液に基づく医薬製剤およびその調製法
KR20090086686A (ko) 용출율이 개선된 실리마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US2014007367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exofenadine
KR100299942B1 (ko)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액제
JP5503939B2 (ja) アゼラスチン塩酸塩含有カプセル剤
JP2023541265A (ja) カバジタキセル製剤
JPH0536412B2 (ko)
JP4475405B2 (ja) 医薬組成物
ZA200405992B (e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oft capsule containing vinorelbine and method of treatment
KR100679925B1 (ko) 신규한 5―플루오로우라실 좌제 조성물
JP2932086B2 (ja) 新規なピコスルファートナトリウム液充填硬カプセル剤
KR100582604B1 (ko) 항산화제를 포함한 이부프로펜 및 덱시부프로펜의마이크로 에멀젼과 이를 이용한 투명 액제 및 투명연질캡슐 제제
KR100558070B1 (ko) 가용성 덱시부프로펜의 연질캅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01907B1 (ko)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를 가용화시킨 연질캅셀제
JP3748912B2 (ja) オーレオバシジン類の高濃度溶液製剤
JPS6333324A (ja) 軟カプセル充填用組成物
KR100509735B1 (ko)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함유 약학적 조성물
KR100588810B1 (ko) 글리메피리드를 가용화시켜 투명 내용액으로 함유한연질캅셀제
KR100509433B1 (ko) S(+)-이부프로펜의 연질캅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0171693B1 (ko) 글리클라자이드-함유 연질캅셀제 내용물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