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173A -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173A
KR20000033173A KR1019980049927A KR19980049927A KR20000033173A KR 20000033173 A KR20000033173 A KR 20000033173A KR 1019980049927 A KR1019980049927 A KR 1019980049927A KR 19980049927 A KR19980049927 A KR 19980049927A KR 20000033173 A KR20000033173 A KR 2000003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ionic acid
formula
phenyl
ylmethyl
cyclopenta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993B1 (ko
Inventor
조은정
김맹섭
조성민
양재권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8-004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9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8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other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염 진통제로서 유용한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Description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은 록소프로펜(Loxoprofen)으로 알려진 프로피온산계 소염진통제로서 통상 록소프로펜 나트륨염(Loxoprofen Sodium)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제조방법으로는 일본특허공보 제58469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된 2-(4-(1-에틸카르보닐-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를 브롬산에서 가수분해 및 탈탄산화 반응을 통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미국특허공보 제4,161,538호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1-피롤리디닐-1-사이클로펜텐과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된 중간체를 수산화나트륨 용액하에서 가수분해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경우,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로부터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합성하여야 하므로 반응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강산 혹은 강염기를 사용하여 높은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부산물이 동시에 생성되기 때문에 그 수율 및 순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반응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수율 및 순도가 우수한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은 상업적으로 구입(ISOCHEM사 프랑스 또는 CHALFONT사 프랑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염기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염기로는 소디움하이드라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소디움메톡사이드 및 소디움에톡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량은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에 대해 1당량 내지 10당량이 바람직하며, 1당량 내지 3당량을 반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은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하는 용매의 양은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에 대해 당량비로서 0당량 내지 50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당량 내지 20당량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50℃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0℃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용액을 추출 및 농축시킨 후에 통상의 방법으로 용매를 가하여 결정화시키거나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의 방법 등에 의해 순수한 목적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화학식 1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은 프로피온산계 소염진통제 분야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염 형태(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나트륨으로 제조할 경우,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아세톤, 벤젠, 톨루엔, 1,4-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용매에 용해하여 가성소다를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4-브로모메틸페닐)프로피온산 20g과 사이클로펜타논 15g을 클로르포름 200g에 가하고 -10℃로 냉각하였다. 반응용액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22g을 가하고 동온도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한 후, 물 170g과 염산 10ml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농축하고, 여기에 헥산/에테르(1/1) 용액 150g을 가하여 결정화시키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17.2g을 얻었다.
수율 : 85%, HPLC에 의한 순도 : 99.2%
NMR(CDCl3, ppm) : 1.49~1.56(4H, m), 1.75(1H, m), 1.95(1H, m), 2.12(2H, m), 2.34(2H, m), 2.51(1H, dd), 3.12(1H, dd), 3.70(1H, q), 7.22(4H, dd), 11.8(1H, bs)
실시예 2.
2-(4-브로모메틸페닐)프로피온산 20g과 사이클로펜타논 15g을 클로르포름 200g에 가하고 -10℃로 냉각하였다. 반응용액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22g을 가하고 동온도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농축액에 농염산 200g을 가하고 80℃에서 15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200g을 가하여 추출 후 물층을 제거하였다. 유기층에 물 200g을 가한 후 10%-염산으로 pH를 5로 조절하고 유기층을 다시 분리하였다. 20% 가성소다 수용액을 가하면서 pH를 8로 조절하고, 온도를 10℃로 냉각하여 3시간 동안 결정화시켰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나트륨염 16.4g을 얻었다.
수율 : 81%, HPLC에 의한 순도 : 99.0%
NMR(D2O, ppm) : 1.25(3H, d), 1.48(1H, m), 1.64(1H, m), 1.83(1H, m), 1.93(1H, m), 2.10(1H, m), 2.25(1H, m), 2.46~2.52(2H, m), 2.89(1H, dd), 3.50(1H, q), 7.16(4H, dd)
실시예 3.
2-(4-클로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16.5g과 사이클로펜타논 16g을 클로로포름 180g에 가하고 0℃로 냉각하였다. 반응용액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20g을 가하고 동온도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한 후, 물 150g과 염산 10ml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추출한 후 농축하고, 여기에 헥산/에테르(1/1)용액 150g을 가하여 결정화시키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16.9g을 얻었다.
수율 : 82%, HPLC에 의한 순도 : 99.1%
실시예 4.
2-(4-클로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16.5g과 사이클로펜타논 16g을 클로로포름 180g에 가하고 0℃로 냉각하였다. 반응용액에 포타슘 t-부톡사이드 20g을 가하고 동온도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환결된 것을 확인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농축액에 농염산 200g을 가하고 80℃에서 15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200g을 가하여 추출 후 물층을 제거하였다. 유기층에 물 200g을 가한 후 10%-염산으로 pH를 5로 조절하고 유기층을 다시 분리하였다. 20% 가성소다 수용액을 가하면서 pH를 8로 조절하고, 온도를 10℃로 냉각하여 3시간 동안 결정화시켰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나트륨염 17.0g을 얻었다.
수율 : 83%, HPLC에 의한 순도 : 99.3%
비교예.
비교예로서 종래기술(일본특허공보 제584699호)에 따라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였다. 즉, 디메틸포름아미드 200ml에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g과 2-카르보에톡시사이클로펜타논 15.6g을 가하고 0℃로 냉각하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2-(4-클로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 에틸에스테르 25g을 가한 후, 80℃로 가열하여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완결 후, 에테르로 추출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상의 화합물 20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에 디옥산 30ml와 47% 브롬산용액 100ml를 가하고 6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되면 에테르를 가하여 추출하고 용매 제거 후, 진공증류하여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13.1g을 얻었다.
수율 : 42%, HPLC에 의한 순도 : 93.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을 직접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중간 생성물을 분리하지 않고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조함으로써 반응공정이 간단할 뿐 아니라,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율 및 순도가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의 2-(4-(2-옥소사이클로펜탄-1-일메틸)페닐)프로피온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소디움하이드라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소디움메톡사이드 및 소디움에톡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존재하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세토니트릴, 1,4-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존재하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0℃에서 화학식 2의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화학식 3의 사이클로펜타논을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8-0049927A 1998-11-20 1998-11-20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KR10050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927A KR100501993B1 (ko) 1998-11-20 1998-11-20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927A KR100501993B1 (ko) 1998-11-20 1998-11-20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173A true KR20000033173A (ko) 2000-06-15
KR100501993B1 KR100501993B1 (ko) 2005-10-26

Family

ID=1955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927A KR100501993B1 (ko) 1998-11-20 1998-11-20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9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99B2 (ja) * 1977-04-05 1983-01-27 三共株式会社 置換フエニル酢酸誘導体及びその製法
JPS6034539B2 (ja) * 1977-04-05 1985-08-09 三共株式会社 オキシム置換フエニル酢酸誘導体及びその製法
JPS5432460A (en) * 1977-08-16 1979-03-09 Sankyo Co Ltd Cycloalkylidenemethylphenylacetic acid derivative and their preparation
JPS62161740A (ja) * 1986-01-09 1987-07-17 Sankyo Yuki Gosei Kk フエ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法
WO1997047581A1 (fr) * 1996-06-13 1997-12-18 Kyowa Hakko Kogyo Co., Ltd.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l'acide 2-phenylpropionique halomethyle
JPH10265433A (ja) * 1997-03-21 1998-10-06 Kyowa Hakko Kogyo Co Ltd 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993B1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6952B2 (ja) ピペラジン誘導体蓚酸塩結晶
JP2013216655A (ja) ブロナンセリンの改善された調製方法
JP5622842B2 (ja) アルキル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US9695124B2 (en) Method of producing 2-aminonicotinic acid benzyl ester derivatives
KR100501993B1 (ko)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KR100288188B1 (ko)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JP2003335731A (ja) 新規カルボン酸無水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エステルならびにラクトンの合成法
KR20050121258A (ko) 9-시스 레티노산의 제조 방법
KR20000051844A (ko)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JP5205971B2 (ja) テトラヒドロピ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856133B1 (ko) 아토르바스타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0424341B1 (ko) 1-메틸인다졸-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0448642B1 (ko)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8509991A (ja) グリシジル誘導体の調製方法
KR100448640B1 (ko) 페닐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59503B1 (ko) 방향족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52272B2 (ko)
KR20170123132A (ko) 트레프로스티닐의 제조방법
US4338259A (en) Alpha-halogeno-beta-aminopropionitriles or the mineral acid salts thereof,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KR100448641B1 (ko)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JP2016199489A (ja) 2−アミノ−6−メチルニコチ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449211B2 (ja) 6−(1−フルオロエチル)−5−ヨード−4−ピリミドン及びその製法
KR100439733B1 (ko)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1h)-퀴놀리논-4-일]프로피오닉산의 제조 방법
KR100516383B1 (ko) 디히드로카보스트릴 유도체의 신규 제조방법
KR19990066100A (ko) 2-(4-할로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신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