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263A -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263A
KR20000031263A KR1019980047212A KR19980047212A KR20000031263A KR 20000031263 A KR20000031263 A KR 20000031263A KR 1019980047212 A KR1019980047212 A KR 1019980047212A KR 19980047212 A KR19980047212 A KR 19980047212A KR 20000031263 A KR20000031263 A KR 2000003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am
cam plate
deposit
wh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1998004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263A/ko
Publication of KR2000003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2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편을 모우터의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햄머로 타격하여 돈사의 퇴적물속으로 삽입하여 퇴적물을 제거하는 장치에서, 햄머가 완만하게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도록 하므로서 타격장치를 구성하는 부품과 인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는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기체(1); 퇴적물속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인편(22)을 포함하는 분리장치(2) 및 인편을 하나씩 후방에서 타격하는 타격장치(3)를 포함하며, 타격장치(3)는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다수의 편심 캠판(36)과 편심 캠판의 외주면에 상단이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 햄머(31)를 갖는 레바(32) 및 레바의 전방에 설치되어 레바를 편심 캠판측으로 미는 스프링(52)을 포함함. 이 발명에 의하면 레바(32)의 상단이 편심 캠판(36)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프링(52)에 의하여 햄머가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므로 인편이 장애물에 걸렸을 때 스프링(52)이 완충작용을 하여 인편의 파손이 방지되고 타격하는 힘도 완충되므로 캠판의 손상이 나타나지 아니함.

Description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본 발명은 돼지 사육용 돈사의 청소장치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돈사의 바닥에 퇴적되어 고형화된 돈분 등의 퇴적물을 돈사 바닥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돈사 퇴적물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돼지, 특히 어린 돼지를 사육하는 돈사의 바닥에는 돈분과 함께 돼지털이 섞여서 퇴적되므로 돈사 바닥으로부터 퇴적물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어린 돼지를 사육하는 돈사의 퇴적물은 돈분에 돼지털이 섞이고 돼지들이 밟아서 단단하게 굳어지므로 퇴적물을 분리하기 위하여는 갈구리 등을 이용하여 긁어내거나 또는 바퀴달린 제거장치 선단에 인편을 부착하고 제거장치를 동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인력으로 전진시켜 퇴적물이 돈사 바닥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으로 갈구리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작업은 인력의 소모가 많고 힘이 들므로 인력에 의한 퇴적물의 제거는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이러한 퇴적물 제거작업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편이 달린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인편이 단일 판으로 되어 있어서 인편의 넓이가 넓으므로 인편이 퇴적물위로 미끄러지면서 퇴적물 속으로 삽입되지 않거나 또는 삽입된다 하여도 삽입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고 또한 인편의 폭이 좁으면 인편의 지나간 부분만 절취되고 주변 퇴적물은 그대로 바닥에 남아있게 되므로 제거 량이 사용하는 동력에 비하여 적게 되어 제거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 졌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다량의 돈사 퇴적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96-15134호(공개97-73321호)에는 전술한 돈사퇴적물 제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돈사퇴적물 제거장치가 공개되었다. 전술한 장치는 다수의 인편을 타격 캠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타격하므로서 각개 인편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퇴적물 속으로 삽입되면서 퇴적물을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되었으나, 햄머가 캠의 종절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햄머의 전후진 작동이 종절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었으므로 타격의 강도가 조절되지 않게 되어 인편이 장애물에 걸리거나 쉽게 전진할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을 때 캠이나 또는 인편의 선단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돈사 퇴적물 제거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햄머가 인편의 후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할 때 타격하는 힘이 조절되어 인편과 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주행되는 기체의 앞쪽에 다수의 인편을 병열로 설치하고 인편들을 후방에서 햄머로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인편이 퇴적물과 바닥사이로 순간적으로 삽입되게한 퇴적물 분리장치에 있어서, 햄머가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봉에 부착 고정된 편심 캠판에 의하여 후진하고 스프링의 힘으로 햄머가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도록 구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도3은본 발명에 의한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의 상면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본 평면구성도,
도4는 분리장치와 타격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5의 (가) 및 (나)는 타격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6은 타격 캠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의설명*
1:기체 2:분리장치 3:타격장치 4:균형장치 11:프레임 12:핸들
13:모우터 14:바퀴 16:변속기 17:손잡이 18:풀리 19:벨트
21:고정판 22:인편 23,24:연결간 25:가압봉 26:연결간 28:안내판
29:안내편 31:햄머 32:레버 33:회전축 34:회전축 35: 정점부분
36:편심 캠판 37:풀리 38:풀리 39:벨트 41:바퀴 42:답판 43:회전축
44:축수 45,46:연결판 47:볼트 48:체인 49:고정간
본 발명은 바퀴와 전동 모우터를 포함하고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기체, 기체의 앞부분에 전후진할 수 있게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퇴적물 바닥으로 삽입될수 있게된 다수의 인편을 포함하는 퇴적물 분리장치 및 인편의 선단부가 퇴적물 밑으로 삽입되도록 각개 인편의 후방에서 인편을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햄머를 포함하는 타격장치로 구성된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타격장치가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에 편심으로 부착된 편심 캠판과 기체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단이 편심 캠판의 외주에 접촉하는 레바, 레바의 하단에 형성되어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햄머 및 전술한 레바의 상단에 결합되어 햄머를 인편측으로 전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퇴적물 분리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있어서, 기체는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 모우터,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변속기 및 기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를 포함한다. 변속장치는 모우터의 회전을 바퀴의 회전에 맞도록 손잡이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변속장치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장치는 기체의 선단 하방에 선단부가 밑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 인편과 전술한 인편을 전후진할 수 있게 기체의 프레임에 지지하는 연결간 및 퇴적물 수거작동시 인편의 선단부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는 가압봉 및 수거물이 기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었다. 인편은 여러 개, 특히 4개 일조로 구성되었고 각개 인편들은 개별적으로 두 개의 연결간을 통하여 전후진할수 있도록 기체에 지지되었다. 전술한 두 개의 인편 연결간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었으며, 각개 연결간은 각개 인편의 후단부와 기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어서 타격 장치에 의한 타격시 인편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술한 인편은 선단부에 안내판의 선단부를 덥는 안내편을 갖고 있다. 이 안내편은 퇴적물 수거 시 퇴적물이 안내판과 인편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장치는 기체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회동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편심으로 부착된 편심 캠판을 포함하는데, 이 캠판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었다. 이 캠판은 장축 부분의 일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정점부분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정점부분은 회전축의 부착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캠판의 주연부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편심 캠판은 단축 부분의 일측 연부에서 전술한 회전축에 고정되었다. 그리고 기체에는 하단부에 햄머가 형성된 레바가 선회할수 있도록 설치되었는데, 이 레바는 상단이 전술한 캠판의 외주에 접촉 이동하도록 설치되었다. 레버의 상단부 전방에는 전술한 레버의 상단부를 편심 캠판 측으로 미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기체의 취부판에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캠판이 회전하면 편심 캠판의 외주에 접촉하는 레바의 상단은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외주면에 도달할 때까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전진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하단부가 인편의 후단부로부터 분리되게 되고, 레바의 상단이 캠판의 정점부분을 벗어나는 순간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후진하면서 햄머가 전진하여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게 된다. 전술한 캠 장치는 다수의 햄머가 인편의 후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할수 있게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균형장치는 기체 후단부에 연결된 답판과 바퀴를 포함하고 있다. 이 균형장치는 양측 연결구에 의하여 기체에 연결되었으며, 이 연결구는 기체 바퀴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동될수있게 연결되었다. 이 회전축은 기체 바퀴의 회전축일 수 있다. 따라서 퇴적물 수거작업시 인편이 퇴적물속으로 삽입되어 기체의 후방이 약간 위로 올라 갈때 운전자가 답판위에 올라서거나 또는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답판에 압력을 가하면 기체가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답판을 기체에 연결하는 연결구는 각각 답판에 연결된 연결판과 기체 바퀴에 회동되게 연결된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체인 교환시 등 필요할때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전술한 균형장치 바퀴는 기체 바퀴의 회전축에 기어를 형성하고 두 바퀴의 회전축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균형장치의 바퀴가 기체 바퀴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 중 기체 바퀴가 약간 들려도 균형장치의 답판에 압력을 가하여 균형장치 바퀴가 지면에 닿으면 기체가 전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모우터(13), 변속기(16), 바퀴(14) 및 타격장치(3)가 설치된 프레임(11)으로 구성된 기체(1)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모우터(13)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었으며, 풀리(38)를 통하여 타격장치의 풀리(37)와 바퀴(14)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된 변속기(16)의 풀리(18)에 각각 벨트(39), (19)로 연결되었다. 변속기(16)는 기체에 설치된 손잡이(17)와 연결되어 있어서 손잡이(17)를 사용하여 기체의 전 후진 및 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체(1)의 프레임(11)에는 주행 방향을 조절함과 동시에 기체(1)를 안정시키기 위한 핸들(12)이 설치되었다.
타격장치(3)는 기체(1)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모우터(13)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축(34)에 설치된 편심 캠판(36)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개 편심 캠판(36)들은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장축 부분의 일 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타 단은 정점 부분(35)을 갖고 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었으며, 반원형 단부에 가까운 측연부에서 회전축(34)에 연결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편심캠판(36)이 네 개의 편심 캠판(36a, b, c, d)으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편심 캠판(36)의 전방에는 하단부에 햄머(31)를 갖고 있는 레버(32)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선회할수 있게 설치되었다. 도 1의 장치에서는 전술한 햄머(31)와 레버(32)가 편심 캠판(36)과 동일하게 네 개의 햄머(31a, b, c, d)와 네 개의 레버(32a, b, c, d)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캠판(36)들은 도6에 도시된바와 같이 그 설치 방향이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회전축(34)이 1 회전하는 동안 네 개의 캠판(36)들의 정점부분이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레버(32)들의 상단을 밀도록 되었다. 레버(32)들의 상단에는 캠판(36)의 외주면에 미끄러지도록 접촉하는 로울러(51)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었으며, 레버의 상단부 전방에는 레버(32)의 상단을 편심 캠판(36) 측으로 미는 스프링(52)이 설치되어 기체에 고정된 취부판(53)에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우터에 의하여 편심 캠판(36)이 도 5(가)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5(가)의 스프링(52) 이완상태에서 도 5(나)의 압축상태로 되면서 레버(32)의 상단부를 밀어 스프링(52)을 압축하게 되고(도5(나) 참조) 레버(32)가 캠판(36)의 정점부분(35)을 통과하는 순간 레버(32)의 상단은 스프링(52)의 탄발력으로 후진하면서 회전하여 도 5(가)의 상태로 복구되면서 레버 하단에 형성된 햄머(31)가 인편(22)의 후단부를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격은 네 개의 햄머와 네 개의 레바에 의하여 네 개의 캠판(36a, b, c, d)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제2도와 5도에 따르면, 기체의 전방에는 퇴적물 속으로 삽입되는 인편(22)을 포함하는 퇴적물 분리장치(2)가 설치되었는데, 도 1의 장치에서는 전술한 인편(22)이 네 개의 인편(22a,b,c,d)들로 구성되었다. 각개 인편(22)들은 2개 1조로 된 네 개의 연결간(23), (24)에 의하여 기체 선단부에 고정된 고정판(21)에 회동되게 지지되었으며, 각개 인편(22)들의 선단부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편(29)을 갖고 있다. 이 안내편도 네 개의 안내편(29a, b, c, d)들로 구성되었다. 전술한 연결간(23), (24)들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하단에 연결된 인편들이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되었다. 전술한 인편(22)들은 후단부가 타격장치의 햄머에 의하여 타격되도록 햄머의 전방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햄머가 인편(22)들의 후방을 타격하면 각개 인편들은 연결간(23),(24)하단의 원호궤도상에서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선단부가 약간 하향되는 상태로 전진하여 퇴적물 속으로 삽입되게 된다. 인편(22)들의 상방에는 전술한 인편들을 덮도록 단일판으로 된 안내판(28)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안내판(28)의 하단부는 전술한 인편(22)들의 선단과 안내편(29)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분리되는 퇴적물들이 안내판(28) 위로 안내되도록 되었다(도2 참조). 전술한 인편(22)들의 상방에 횡방향의 가압 로울러(25)가 설치되는바, 이 가압 로울러(25)는 양단부에서 기체에 양측 연결간(26)으로 고정되었으며 퇴적물 제거시 인편(22)의 선단이 돈사바닥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7에는 전술한 분리장치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7에 따르면 인편(22)들은 보울트(62)로 분리할수 있게 결합된 지지판(61)을 통하여 연결간(23)(24)에 결합되도록 되었다. 지지판(61)은 후단부에 타격부(64)를 갖고 있으며, 선단부에는 가압 로울러(25)를 지지하는 지지편(63)이 형성되어 가압봉(25)이 지지판(61) 상면과 지지편(63)사이에 지지되게 되었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판(61)의 상면에는 연결판(65)이 수직으로되게 부착되어 있어서 이 연결판(65)에 연결간(23)(24)이 회전할수 있게 결합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 로울러(25)가 인편(22)과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퇴적물 분리작업 중 가압 로울러(25)가 일정한 압력으로 인편(22)들을 누르므로 안정성이 유지되고, 또한 인편(22)들이 손상되었을 때 쉽게 교체할수 있게 된다.
전술한 타격장치와 분리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각개 인편(22a, 22b, 22c, 22d)들이 햄머(31)들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타격되므로 각개 인편들이 퇴적물속으로 삽입되는 힘이 적게 들어 기체의 주행안정을 꾀할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퇴적물 분리효과가 향상되게 되며, 또한 가압 로울러(25)가 인편(22)의 선단을 바닥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퇴적물 분리시 인편이 위로 들리지 않게 되어 안정된 퇴적물제거작업을 수행할수 있게 된다.
기체(1)의 후단부에는 바퀴(41)와 답판(42)을 포함하는 균형장치(4)가 설치되었다. 바퀴(41)는 회전축(43)이 양측의 연결판(45)에 고정된 축수(44)에 회전할수 있게 설치되었으며, 연결판(45)은 기체의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횡방향의 고정간(49)에 의하여 연결된 양측 회동 연결판(46)에 볼트(47)로 연결되었다. 균형장치의 바퀴(41)는 회전축(43)에 기어를 형성하여 기체바퀴(14)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와 체인(48)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바퀴(41)를 지지하는 연결판(45)에는 바퀴(41)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답판(42)를 설치한다. 이 답판(42)은 인편(22)들이 퇴적물속으로 삽입되면서 기체의 후단부가 위로 들릴 때 위에서 압력을 가하여 기체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을 종료하고 이동시킬 때나 또는 퇴적물 제거작업 시 인편선단부가 퇴적물속으로 경사지게 삽입되어 그 반동으로 기체의 후단부와 기체 바퀴(14)가 위로 들려서 지면에 닿지 않아 공회전하는 경우에도 바퀴(41)는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기체를 전진시킬 수 있게 되어 이동 및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 개의 인편(22)들이 순차적으로 햄머(31)에 의하여 타격되면서 하나씩 퇴적물속으로 삽입되므로 퇴적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기체의 후방에 답판(42)과 바퀴(41)를 포함하는 균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퇴적물 분리과정에서 기체가 앞으로 기울어져 균형을 잃는 일이 없고 설사 기체 후단부가 들려서 바퀴(14)가 공회전하는 경우에도 바퀴(41)에 의하여 기체가 전진하므로 퇴적물 제거작업을 계속할수 있으며 이동시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햄머(31)들이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할 때 레버(32)의 상단부가 캠판(36)의 정점부분(35)을 통과한 다음 캠판(32)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스프링(52)의 힘으로 인편의 후단부를 타격하게 되므로 인편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어서 인편의 전진이 방해되는 경우에도 스프링(52)에 의하여 완충되므로 캠판(36)이나 또는 레버(32)와 인편(22)의 파손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기체(1); 퇴적물 밑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인편(22)을 포함하는 분리장치(2) 및 전술한 인편들의 후미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햄머(31)를 갖고 있는 타격장치(3)를 포함하는 돈사퇴적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타격장치(3)가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4)에 고정된 다수의 편심 캠판(36), 기체에 고정된 회전축(33)에 선회할수 있게 설치되었으며 상단부가 전술한 편심 캠판(36)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하단부에 햄머(31)를 갖고 있는 레버(32) 및 편심 캠판(36)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술한 레버(32)의 상단을 편심 캠판(36) 측으로 미는 스프링(5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편심 캠판(36)이 장축 방향의 일측 단부에 정점 부분(35)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정점부분(35)은 다른 외주면 보다 회전축(34)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회전축(34)은 전술한 정점부분(35)의 반대측 단부에 가까운 측연부에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편심 캠판(36)이 네 개의 편심 캠판(36a, b, c, d)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개 편심 캠판(36)들은 회전축(34)에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47212A 1998-11-04 1998-11-04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KR20000031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212A KR20000031263A (ko) 1998-11-04 1998-11-04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212A KR20000031263A (ko) 1998-11-04 1998-11-04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263A true KR20000031263A (ko) 2000-06-05

Family

ID=1955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212A KR20000031263A (ko) 1998-11-04 1998-11-04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2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321A (zh) * 2018-06-21 2018-11-13 宿松旺达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家禽粪便收集装置及收集方法
CN110338071A (zh) * 2019-07-01 2019-10-18 中南百草原集团有限公司 一种粪便收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321A (zh) * 2018-06-21 2018-11-13 宿松旺达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家禽粪便收集装置及收集方法
CN110338071A (zh) * 2019-07-01 2019-10-18 中南百草原集团有限公司 一种粪便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57680U (zh) 虾开背除肠剥壳机
US2784450A (en) Method of cleaning shrimp
CN110731516B (zh) 一种板栗刺壳去除方法
KR200402072Y1 (ko) 견과류 박피장치
CN202190687U (zh) 连续式鱼鳞去除机
CN108576169A (zh) 一种自动锯骨机
US6541057B1 (en) Apparatus for shelling nuts
KR20000031263A (ko)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US4531261A (en) Apparatus for scraping off heads of fish and crustacea
KR101942553B1 (ko) 패류 채취장치
CN111996343B (zh) 一种刀具覆土烧刃用的自动去土设备
US1217809A (en) Fish-cleaning machine.
KR0179416B1 (ko) 돈사 퇴적물 제거장치
US6193583B1 (en) Flail-type honeycomb decapper
WO2001043553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removing
US55428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meat from crab claws
CN113954153B (zh) 一种基于旋转切削的食品加工处理设备
CN112931583B (zh) 一种食品加工用快速穿串设备
JPH06189671A (ja) 魚処理機
CN104642494A (zh) 虾头去除机
KR0155206B1 (ko) 돈사퇴적물 제거장치
KR101968676B1 (ko) 생선머리 절단장치
CN108811707B (zh) 夹拔耙土装置
CN207971761U (zh) 一种餐刀磨齿机
KR19990036043U (ko)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