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676B1 - 생선머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생선머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676B1
KR101968676B1 KR1020190026578A KR20190026578A KR101968676B1 KR 101968676 B1 KR101968676 B1 KR 101968676B1 KR 1020190026578 A KR1020190026578 A KR 1020190026578A KR 20190026578 A KR20190026578 A KR 20190026578A KR 101968676 B1 KR101968676 B1 KR 10196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upled
sprocket
fi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주
노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하
Priority to KR102019002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2Beheading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2, 3, 4측판(111, 112, 121, 122)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과 대향하며 제1, 2, 3, 4측판(112, 112, 121, 12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과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 2가동체인(133, 14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2가동체인(133, 14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1, 2가압판(134, 144);
Figure 112019023779710-pat00008
구조로 이루어지되 절곡 부위가 각 제1, 2고정단(161, 171)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힌지회동봉(163, 173), 하측 부위가 제1, 2가동체인(133, 143)의 내면과 대향하되 좌우 상측 부위에 제1, 2힌지회동봉(163, 17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누름판(165, 175), 일단 부위는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의 제1, 2피동판(135, 145)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 2가동봉(166, 176), 제1, 2가동봉(166, 17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되는 제1, 2가동판(167, 177), 일단 부위는 제1, 2힌지회동봉(163, 17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 2가동판(167, 177)에 결합되는 제1, 2탄성수단(168, 1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머리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선머리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fish head}
본 발명은 생선의 머리 부위를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선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가동체인이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동체인 자체가 기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생선들이 가압판과 안치판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여 가압된 상태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어나 삼치, 고등어 등과 같은 생선은 가공을 위해서는 머리 부위의 절단 작업이 선행되며, 머리 부위가 절단되면 이후 내장 등에 대한 제거 작업을 거친 다음 적절한 가공 작업과 포장 단계 이후 유통된다.
근자 생선의 머리 부위에 대한 절단 작업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절단장치를 주로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인 절단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안치판(21)에 생선을 안치하면, 절단기(52)가 안치판(21)에서 돌출되는 생선의 머리 부위를 절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절단기(52)에 의해 생선의 머리 부위가 절단될 때 안치판(21)에 안치된 생선이 요동칠 수 있기 때문에, 절단기(52)의 일측에는 스프링의 작용으로 생선의 몸통 부위를 일정 힘으로 누르는 가압판(도면부호 미도시)이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압판 구조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가압력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736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954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선이 안치되는 안치판과 생선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호 간이 동기화되어 생선의 아가미 및 머리 부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12) 및 제1지지프레임(12) 일측 부위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6)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10), 제1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구동축(21, 22) 및 외면을 따라 복수 개의 안치판(24)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제1, 2구동축(21, 2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25)가 구비되는 생선이송부(20), 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 및 구동모터(31)와 제1구동축(21) 사이에 매개되는 감속기(32)가 구비되는 가동부(30), 제2지지프레임(16)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41) 및 에어실린더(41)의 로드 단부와 결합되는 절단칼(43)이 구비되는 절단부(40)를 포함하여 생선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생선의 머리 부위를 순차적으로 절단하는 장치로서, 안치판(24)의 일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제2지지프레임(16)의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치프레임(17)의 하부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2측판(111, 112); 안치판(24)의 타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제1, 2측판(111, 11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치프레임(17)의 하부 타측 부위에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제3, 4측판(121, 122); 제1, 2측판(111, 112)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가동스프라켓(131),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대향하며 제1, 2측판(112, 11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피동스프라켓(132),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제1피동스프라켓(13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가동체인(13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가동체인(13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1가압판(134); 제3, 4측판(121, 12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가동스프라켓(141),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대향하며 제3, 4측판(122, 12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피동스프라켓(142),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제2피동스프라켓(14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가동체인(14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가동체인(14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2가압판(144); 일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결합되되,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는 일단 부위는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생선이송부(20)의 제1구동축(21)과 동력 연결되는 제3구동축(150); 제1, 2측판(111, 11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각 상단 부위는 제1, 2측판(111, 112)의 각 내면에 고정되고 각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고정단(161),
Figure 112019502358568-pat00001
구조로 이루어지되 절곡 부위가 각 제1고정단(161)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회동봉(163), 하측 부위가 제1가동체인(133)의 내면과 대향하되 좌우 상측 부위에 제1힌지회동봉(16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누름판(165), 일단 부위는 제1피동스프라켓(132)의 제1피동판(135)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가동봉(166), 제1가동봉(16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되는 제1가동판(167), 일단 부위는 제1힌지회동봉(16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가동판(167)에 결합되는 제1탄성수단(168); 제3, 4측판(121, 12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각 상단 부위는 제3, 4측판(121, 122)의 각 내면에 고정되고 각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고정단(171),
Figure 112019502358568-pat00002
구조로 이루어지되 절곡 부위가 각 제2고정단(171)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회동봉(173), 하측 부위가 제2가동체인(143)의 내면과 대향하되 좌우 상측 부위에 제2힌지회동봉(17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누름판(175), 일단 부위는 제2피동스프라켓(142)의 제2피동판(145)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가동봉(176), 제2가동봉(17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되는 제2가동판(177), 일단 부위는 제2힌지회동봉(17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2가동판(177)에 결합되는 제2탄성수단(1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과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사이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치판(24) 각각과 상기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5) 및 상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이송거리는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선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가압판이 장착된 가동체인이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정한 유격을 가지며 장착되는 가동체인이 기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선이 안치되는 안치판과 생선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작동을 상호 동기화시켜, 안치판과 가압판이 정확하게 대향한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안치판과 가압판이 서로 어긋나게 작동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절단 작업의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머리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선머리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머리 절단장치에 있어 생선가압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머리 절단장치에 있어 생선가압부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5는 종래 생선머리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생선머리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및 측면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부(10), 생선이송부(20), 가동부(30), 절단부(40), 그리고 생선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지지프레임부(10)는 본 발명은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지지프레임(12, 16)으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프레임(12)은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구조로서,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16)은 지지프레임(12)의 일측 부위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제2지지프레임(16) 역시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치프레임(17)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제2지지프레임(16)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며, 도면과 같이 좌우 한 쌍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치프레임(17)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때, 복수 개의 보조안치프레임이 마련되어 좌우 한 쌍의 안치프레임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생선이송부(20)는 절단 작업이 필요한 생선을 이송하는 부분으로, 제1, 2구동축(21, 22) 및 컨베이어벨트(25)가 구비된다. 제1구동축(21)은 제1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제2구동축(22)은 제1지지프레임(12)의 상부 타측 각각에 설치된다. 제1, 2구동축 각각의 양단 부위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치판(24)이 마련되는 컨베이어벨트(25)는 제1, 2구동축(21, 2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한다. 안치판(24)은 생선이 안치되는 부분으로, 컨베이어벨트(25)의 외면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면부호 27은 머리 부위가 절단된 생선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이다.
가동부(30)는 생선이송부(20)를 작동시키는 부분으로, 구동모터(31) 및 감속기(32)가 구비된다. 구동모터(31)는 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 부위에 설치된다. 감속기(32)는 구동모터(31)와 제1구동축(21)의 일단 부위 사이에 매개된다.
도면부호 35, 36 각각은 동력연결기 및 보조감속기이다. 동력연결기(35)는 내부에 체인 또는 벨트가 구비되며, 제1구동축(21)의 타단 부위와 후술할 제3구동축(150)의 일단 부위와 연결된다. 보조감속기(36)는 후술할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이송 정도를 컨베이어벨트(25)의 이송 정도와 동기화(synchronization)하는 수단이다.
절단부(40)는 생선의 머리 부위를 절단하는 부분으로, 에어실린더(41)와 절단칼(43)이 구비된다. 에어실린더(41)는 제2지지프레임(16)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설치판(42)에 설치된다. 절단칼(43)은 에어실린더(41)의 로드 단부와 결합된다. 도면부호 44는 절단된 생선머리가 수납되는 수납부이며, 도면부호 45는 에어실린더(41)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저장탱크이다.
생선가압부는 안치판(24)에 안치되어 절단칼(43) 하부로 이송되는 생선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측판부, 밀착부, 제3구동축(150),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각을 도 1 내지 도 3 각각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측판부는 생선가압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 3, 4측판(111, 112, 121, 122)로 이루어진다. 제1, 2측판(111, 112)은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안치판(24)의 일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한 상태로 안치프레임(17)의 하부 일측 부위에 마련된다.
제3, 4측판(121, 122) 역시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안치판(24)의 타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제1, 2측판(111, 11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치프레임(17)의 하부 타측 부위에 마련된다.
밀착부는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과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 2밀착부로 이루어진다. 제1밀착부는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의 꼬리 부위와 인접한 몸통의 일측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가동스프라켓(131), 제1피동스프라켓(132), 제1가동체인(133), 제1가압판(134)이 구비된다.
제1가동스프라켓(131)은 제1, 2측판(111, 112)의 일측 부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피동스프라켓(132)은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일정 거리 떨어져 대향하며, 제1, 2측판(111, 112)의 타측 부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가동체인(133)은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제1피동스프라켓(13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한다. 이때, 제1가동체인(133)은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제1피동스프라켓(132) 사이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느슨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1가압판이 생선과 접하면서 제1가동체인이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밀려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다.
제1가압판(134)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가동체인(13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된다. 제1가압판(134)은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의 꼬리 부분과 인접한 몸통의 일측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이며, 제1가압판(134)은 안치판(24)의 일측 부위 상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밀착부는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의 아가미 부분과 인접한 몸통의 타측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2가동스프라켓(141), 제2피동스프라켓(142), 제2가동체인(143), 제2가압판(144)이 구비된다.
제2가동스프라켓(141)은 제3, 4측판(121, 122)의 일측 부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피동스프라켓(142)은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일정 거리 떨어져 대향하며, 제3, 4측판(121, 122)의 타측 부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가동체인(143)은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제2피동스프라켓(14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한다. 제1가동체인(133)과 동일하게, 제2가동체인(143) 역시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제2피동스프라켓(142) 사이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느슨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판(144)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가동체인(14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된다. 제2가압판(144)은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의 몸통 타측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이며, 제2가압판(144) 역시 안치판(24)의 타측 부위 상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구동축(150)은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 각각을 구동시키는 축으로서, 그 일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결합된다. 이때,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는 제3구동축(150) 일단 부위는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생선이송부(20)의 제1구동축(21)과 동력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구동축(150)과 제1구동축(21) 사이에는 동력연결기(35) 및 보조감속기(36)가 매개될 수 있다. 동력연결기(35) 내부에는 도면부호 361으로 표시된 체인이나 벨트가 마련된다. 보조감속기(36)는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이동 정도를 컨베이이벨트(25)와 동기화시키는 수단이다.
가압부는 밀착부를 일정 힘으로 가압하여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과 밀착시키는 부분으로 제1, 2가압부로 이루어진다. 제1가압부는 제1밀착부를 가압하는 부분으로, 제1고정단(161), 제1힌지회동봉(163), 제1누름판(165), 제1가동봉(166), 제1가동판(167), 제1탄성수단(168)이 구비된다.
제1고정단(161)은 제1, 2측판(111, 11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단 부위는 제1, 2측판(111, 112) 각각의 내면 부위에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제1고정단(16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제3고정단(162)이 더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힌지회동봉(163)은 상측 부위가 일정 각도로 꺽인
Figure 112019023779710-pat00003
구조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위가 제1고정단(161) 각각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고정단(162)이 더 마련되는 경우, 제3고정단(162)에는 제3힌지회동봉(16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누름판(165)은 제1가동체인(133)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그 하측 부위가 제1가동체인(133)의 내면과 대향하며, 좌우 상측 부위에는 제1힌지회동봉(16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힌지회동봉(164)이 더 마련되는 경우 제2힌지회동봉(164) 각각의 하단 부위도 제1누름판(165)의 상측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가동봉(166)은 그 일단 부위가 제1피동스프라켓(132)의 제1피동판(135)과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제1피동판(135)은 제1피동스프라켓(132)의 구동축을 이루는 제1피동축(136)을 지지하는 판이다. 제1피동판(135)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동판(167)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가동봉(16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된다. 제1탄성수단(168)은 그 일단 부위가 제1힌지회동봉(16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1가동판(167)에 결합된다. 제1탄성수단(168)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가압부는 제2밀착부를 가압하는 부분으로, 제1가압부와 대동소이하게 제2고정단(171), 제2힌지회동봉(173), 제2누름판(175), 제2가동봉(176), 제2가동판(177), 제2탄성수단(178)이 구비된다.
제2고정단(161)은 제3, 4측판(121, 12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단 부위는 제3, 4측판(121, 122) 각각의 내면 부위에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제2고정단(17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제4고정단(172)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제2힌지회동봉(173)은 제1힌지회동봉(163)과 동일하게 상측 부위가 일정 각도로 꺽인
Figure 112019023779710-pat00004
구조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위가 제2고정단(171) 각각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고정단(172)이 더 마련되면, 제4고정단(172)에는 제4힌지회동봉(17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누름판(175)은 제2가동체인(143)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그 하측 부위가 제2가동체인(143)의 내면과 대향하며, 좌우 상측 부위에는 제2힌지회동봉(17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힌지회동봉(174)이 더 마련되면, 제4힌지회동봉(174) 각각의 하단 부위 역시 제2누름판(175)의 상측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가동봉(176)은 그 일단 부위가 제2피동스프라켓(142)의 제2피동판(145)과 결합되고, 그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제2피동판(145)은 제2피동스프라켓(142)의 구동축을 이루는 제2피동축(146)을 지지하는 판이다. 제2피동판(145) 역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가동판(177)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가동봉(17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된다. 제2탄성수단(178)은 그 일단 부위가 제2힌지회동봉(17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그 타단 부위는 제2가동판(177)에 결합된다. 제2탄성수단(178) 역시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25) 외면을 따라 마련되는 안치판(24) 각각과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외면을 따라 마련되는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이 상호 대향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25) 및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이 동기화되어 작동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컨베이어벨트(25)의 이송 속도를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이송 속도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이 컨베이어벨트(25)를 따라 이동하여 생선가압부로 접근한 다음에는 생선이 안치판(24)과 제1, 2가압판(134, 144) 사이 공간에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이 생선가압부로 접근하면, 제1, 2가압판(133, 143) 각각은 생선의 꼬리 부분과 인접한 몸통의 일측 부위 및 아가미 부분과 인접한 몸통의 타측 부위 각각을 정확하게 가압하게 됨에 따라, 아가미를 포함하는 생선의 머리 부위에 대한 절단칼(43)의 절단 작업이 매우 정확하고 깨끗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화 구성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을 전술한 설명 부분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컨베이어벨트(25)는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25) 및 제1, 2가동체인(133, 143) 상호 간은 동기화되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중간 중간에 일정 시간 간격동안 동시에 회전이 중지된다.
그리고,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의 자중 및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의 복원력에 의해, 그 상면 부위가 도 4a와 같이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의 하면과 접한 상태로 하면으로 처진 상태를 이루며 타방향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치판(24)에 생선(f)을 순차적으로 안치한다. 이때, 생선(f)의 아가미 부위와 인접한 몸통의 일측 부위는 안치판(24)의 타측 부위(제1가압부의 수직 하방 지점)를 통해 노출되며, 생선(f)의 꼬리 부위와 인접한 몸통의 타측 부위는 안치판(24)의 일측 부위(제2가압부의 수직 하방 지점)에 위치한다.
안치판(24)에 안치된 생선(f)은 컨베이어벨트(25)의 이동에 따라 제1, 2가압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근한다(도 2의 ① 참조). 생선(f)이 컨베이어벨트(25)를 따라 제1, 2가압부 인근 지점으로 접근하면, 안치판(24) 수직 상방에는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이 위치하면서, 생선(f) 몸통의 타측 및 일측 부위 각각은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의 일측 부위와 접하게 된다(도 4a의 ② 참조).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이 타원 형상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는 생선(f) 몸통의 타측 및 일측 부위 각각과 접하게 되면,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생선(f)의 형상에 따라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밀려 올라간다(도 4b의 ③ 참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이 수직 상방으로 일정 거리 밀려 올라가면,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과 접하고 있던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 역시 수직 상방으로 밀려 올라간다.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은 제1, 2힌지되동봉(163, 173) 각각과 결합되어 있고,
Figure 112019023779710-pat00005
구조를 가지는 제1, 2힌지회동봉(163, 173) 각각의 상단 부위는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의 일단 부위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이 수직 상방으로 운동하면 제1, 2힌지회동봉(163, 173) 각각은 힌지 회동하면서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을 일방향(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당긴다.
한편,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1, 2가동판(167, 177) 각각과 결합되어 있고, 제1, 2가동봉(166, 176) 각각의 타단 부위는 제1, 2가동판(167, 177) 각각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제1, 2가동봉(166, 176) 각각 역시 일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제1, 2가동봉(166, 176) 각각의 일단 부위는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을 지지하는 제1, 2피동판(135, 145) 각각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이에 대응하여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각각이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 밀려나간다(도 4b의 ④ 참조).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각각이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 밀려나가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이 일정 텐션을 유지하게 되면, 미도시된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컨베이어벨트(25) 및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작동은 중지되고 생선(f)의 몸통 타측 부위 및 일측 부위 각각이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에 의해 가압된다.
즉, 제1, 2가동체인 각각은 일정 유격을 가지며 느슨한 상태로 제1, 2가동스프라켓 및 제1, 2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제1, 2피동스프라켓 각각이 제1, 2가동체인 각각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 2가동체인이 일정 텐션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2가압판 각각이 생선과 접하면서 제1, 2가동체인 각각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1, 2가동체인이 제1, 2피동스프라켓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생선(f)의 몸통 타측 부위 및 일측 부위 각각이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에 의해 가압되면, 에어실린더(41)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절단칼(43)이 안치판(24)의 타측 부위로 노출되어 있는 생선(f)의 머리 및 아가미 부위를 절단되고(도 2의 ⑤ 참조), 절단된 부위는 수납부(44)로 떨어져 수납된다.
생선(f)의 머리 및 아가미 부위가 절단되면, 에어실린더(41)가 타방향으로 작동하여 절단칼(43)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컨베이어벨트(25) 및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다시 작동된다. 아가미 및 머리 부위가 절단된 생선이 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면, 생선(f)을 가압하던 제1, 2가압판(134, 144)이 생선과 분리됨에 따라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에 작용하던 힘이 서서히 제거된다.
생선(f)과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에 작용하던 힘이 완전히 제거됨에 따라 제1, 2탄성수단(168, 178) 각각의 복원력과 제1, 2누름판(165, 175) 각각의 자중에 의해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 역시 하방으로 처지면서 다음 작업을 대비하게 되고, 아가미 및 머리 부위가 절단된 생선은 배출가이드(27)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생선이 안치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안치판)와 생선을 가압하는 가동체인(가압판) 상호 간이 대향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동기화시키되, 탄성수단을 매개하여 생선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피동스프라켓과 가동스프라켓 사이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가동체인이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선이 안치판과 가압판 사이에 정확하게 안치된 상태에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지프레임부 20 : 생선이송부
30 : 가동부 40 : 절단부
111, 112, 121, 122 : 제1, 2, 3, 4측판
131, 141 : 제1, 2가동스프라켓 132, 142 : 제1, 2피동스프라켓
133, 143 : 제1, 2가동체인 134, 144 : 제1, 2가압판
135, 145 : 제1, 2피동판 136, 146 : 제1, 2피동축
150 : 제3구동축 161, 171 : 제1, 2고정단
163, 173 : 제1, 2힌지회동봉 165, 175 : 제1, 2누름판
166, 176 : 제1, 2가동봉 167, 177 : 제1, 2가동판
168, 178 : 제1, 2탄성수단

Claims (3)

  1.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는 제1지지프레임(12) 및 제1지지프레임(12) 일측 부위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16)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부(10), 제1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 2구동축(21, 22) 및 외면을 따라 복수 개의 안치판(24)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제1, 2구동축(21, 2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25)가 구비되는 생선이송부(20), 지지프레임(1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 및 구동모터(31)와 제1구동축(21) 사이에 매개되는 감속기(32)가 구비되는 가동부(30), 제2지지프레임(16)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41) 및 에어실린더(41)의 로드 단부와 결합되는 절단칼(43)이 구비되는 절단부(40)를 포함하여 생선이송부(20)를 따라 이송되는 생선의 머리 부위를 순차적으로 절단하는 장치로서,
    안치판(24)의 일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제2지지프레임(16)의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치프레임(17)의 하부 일측 부위에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2측판(111, 112);
    안치판(24)의 타측 부위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되 제1, 2측판(111, 11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치프레임(17)의 하부 타측 부위에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제3, 4측판(121, 122);
    제1, 2측판(111, 112)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는 제1가동스프라켓(131),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대향하며 제1, 2측판(112, 11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1피동스프라켓(132),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제1피동스프라켓(13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가동체인(13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가동체인(13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1가압판(134);
    제3, 4측판(121, 12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가동스프라켓(141),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대향하며 제3, 4측판(122, 12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피동스프라켓(142),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제2피동스프라켓(142) 사이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가동체인(14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가동체인(143)의 외면을 따라 장착되는 제2가압판(144);
    일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과 결합되되, 제1가동스프라켓(131)과 결합되는 일단 부위는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생선이송부(20)의 제1구동축(21)과 동력 연결되는 제3구동축(150);
    제1, 2측판(111, 11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각 상단 부위는 제1, 2측판(111, 112)의 각 내면에 고정되고 각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고정단(161),
    Figure 112019502358568-pat00006
    구조로 이루어지되 절곡 부위가 각 제1고정단(161)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회동봉(163), 하측 부위가 제1가동체인(133)의 내면과 대향하되 좌우 상측 부위에 제1힌지회동봉(16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누름판(165), 일단 부위는 제1피동스프라켓(132)의 제1피동판(135)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가동스프라켓(13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가동봉(166), 제1가동봉(16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되는 제1가동판(167), 일단 부위는 제1힌지회동봉(16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1가동판(167)에 결합되는 제1탄성수단(168);
    제3, 4측판(121, 122)의 사이 공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각 상단 부위는 제3, 4측판(121, 122)의 각 내면에 고정되고 각 하단 부위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고정단(171),
    Figure 112019502358568-pat00007
    구조로 이루어지되 절곡 부위가 각 제2고정단(171)의 하단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회동봉(173), 하측 부위가 제2가동체인(143)의 내면과 대향하되 좌우 상측 부위에 제2힌지회동봉(173) 각각의 하단 부위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누름판(175), 일단 부위는 제2피동스프라켓(142)의 제2피동판(145)과 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2가동스프라켓(141)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가동봉(176), 제2가동봉(176)의 타단 부위와 결합되는 제2가동판(177), 일단 부위는 제2힌지회동봉(173)의 상단 부위와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제2가동판(177)에 결합되는 제2탄성수단(1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머리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은 제1, 2가동스프라켓(131, 141)과 제1, 2피동스프라켓(132, 142) 사이에서 일정 유격을 가지고 느슨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머리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24) 각각과 상기 제1, 2가압판(134, 144) 각각은 상호 대향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5) 및 상기 제1, 2가동체인(133, 143) 각각의 이송거리는 동일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머리 절단장치.
KR1020190026578A 2019-03-08 2019-03-08 생선머리 절단장치 KR10196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78A KR101968676B1 (ko) 2019-03-08 2019-03-08 생선머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578A KR101968676B1 (ko) 2019-03-08 2019-03-08 생선머리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676B1 true KR101968676B1 (ko) 2019-08-20

Family

ID=6780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578A KR101968676B1 (ko) 2019-03-08 2019-03-08 생선머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9888A (zh) * 2020-10-26 2021-01-15 广东严工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送料装置及斜切肉片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069A (ja) * 2003-03-20 2004-10-14 Kashiwara Machine Mfg Co Ltd 魚類の頭部切断装置
KR100439542B1 (ko) 1998-10-28 2004-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전해질및이를이용한리튬이차전지
KR20160104469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JP2017093385A (ja) * 2015-11-26 2017-06-01 佐藤 一雄 魚体処理機
KR20170119782A (ko) * 2016-04-19 2017-10-30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어류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42B1 (ko) 1998-10-28 2004-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전해질및이를이용한리튬이차전지
JP2004283069A (ja) * 2003-03-20 2004-10-14 Kashiwara Machine Mfg Co Ltd 魚類の頭部切断装置
KR20160104469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KR101667366B1 (ko) 2015-02-26 2016-10-18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JP2017093385A (ja) * 2015-11-26 2017-06-01 佐藤 一雄 魚体処理機
KR20170119782A (ko) * 2016-04-19 2017-10-30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어류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9888A (zh) * 2020-10-26 2021-01-15 广东严工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送料装置及斜切肉片机
CN112219888B (zh) * 2020-10-26 2024-05-14 广东严工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送料装置及斜切肉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153B1 (en) Conveyor product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KR101968676B1 (ko) 생선머리 절단장치
EP1237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removing
CN209579660U (zh) 一种劈纸生产线
CN216234696U (zh) 一种型材削切机的出料装置
CN111421371A (zh) 一种棒材切割下料装置及其操作方法
CN216831049U (zh) 一种连续切片机
KR101318996B1 (ko) 집게형 어류포의 측골 제거장치
CN213833474U (zh) 柱状提升转向送料机
CN213474823U (zh) 一种模切机的送料设备
CN208020823U (zh) 输送装置及纸板清废机
CN216680369U (zh) 一种纵梁连续钻孔装置
CN219336970U (zh) 一种智能开料平台横切送料装置
JP2021122889A5 (ko)
CN111011408A (zh) 一种结构改进的饼干脱离输送装置
CN217487441U (zh) 一种月饼包馅机
CN217798979U (zh) 一种异形棒料连续送料机
CN217889908U (zh) 一种激光切割机用料架升降装置
CN212860870U (zh) 一种胶订机传送装置
CN216066555U (zh) 一种裁板锯用输送装置
CN210279938U (zh) 小芯子清理机
CN214978043U (zh) 一种板材切割生产线
CN217552587U (zh) 一种锯边机的输板机构
CN217083064U (zh) 一种粘合剂料带破碎用冷却装置
CN216033086U (zh) 一种高效自动的输送带胶层剥离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