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718A - 하중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718A
KR20000028718A KR1019990041427A KR19990041427A KR20000028718A KR 20000028718 A KR20000028718 A KR 20000028718A KR 1019990041427 A KR1019990041427 A KR 1019990041427A KR 19990041427 A KR19990041427 A KR 19990041427A KR 20000028718 A KR20000028718 A KR 2000002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op plate
elastic body
measuring device
load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마카즈아키
코바야시후미야
Original Assignee
가이자끼 요이찌로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330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620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42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93516A/ja
Application filed by 가이자끼 요이찌로,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이자끼 요이찌로
Publication of KR200000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3Support or suspension of weighing plat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7/00Weighing scales
    • Y10S177/09Scale bea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수직하중을 허용하며 충분한 수평방향 및 경동방향의 변형흡수를 가능하게 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왜곡게이지(20)를 이용하는 측정기 본체(1)와 이 측정기 본체(1)의 수압면(2)에 하중을 전달하는 로드보턴(3)과, 이 로드보턴(3)이 일면측에 부착되고 타단측에 피측정물의 하중이 걸리는 톱플레이트(4)를 갖춘 하중측정장치에 있어서, 로드보턴(3)의 주위에 수압면(2)과 톱플레이트(4) 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체(11)를 배치하여, 톱플레이트(4)를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범위내에서의 움직임 및 로드보턴(3)을 중심으로 한 경동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압면(2)에 대해 연결부재(10)로 연결했다.

Description

하중측정장치{LOAD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저울, 재료공급호퍼, 압축·인장시험기 등에 사용되는 왜곡게이지를 이용한 하중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하중측정장치(100)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이 하중측정장치(100)에서는 상하의 면판(104a)(104b) 사이에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층(106)이 가류접착된다. 그리고 이 탄성층(106)은 원반형상이 되어 원반중심에 대해 각 방향으로 거의 점대칭인 역학특성(예를들어 압축강성이나 구부림강성)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층(106)과 대략 동일한 원반형상으로 된 밑면판(104b)의 중심부에 마련된 원주(105)가 수압부(102)의 중앙부에 마련된 원통공(102a)에 끼워져 삽입된다. 또한 상기 수압부(102)의 저면은 설치면에서 떠올라 위치하고, 상기 수압부(102)와 틀형상 고정부(101) 사이에는 이 수압부(102)의 주위에 배치되는 여러개의 들보부재(103)가 고착되며, 각각 이 들보부재(103)의 밑면에 왜곡게이지(107)가 점착 등에 의해 고착된다. 따라서 윗면판(104a)에서 전달된 수직하중은 탄성층(106) 및 밑면판(104b)을 통해 수압부(102)를 밀어내려 들보부재(103)를 휘게 하고 왜곡게이지(107)의 저항치를 변화시키도록 한다. 또 이들 하중측정장치에서 큰 하중받이면을 요구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수하중판(108)의 4구석에 하중측정장치(100)를 배치하여 사용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 윗면판(104a)과 수압부(102)사이에 탄성층(106)을 개재시키고 윗면판(104a)과 수압부(102)를 수평방향 및 경동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중측정물 대상물을 윗면판(104a) 또는 수하중판(108)에 올려놓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하중측정장치(100)에 가하는 외력이나 각 부의 열수축 및 부착공의 형성오차 등을 흡수하여 하중측정장치를 보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하중측정장치에 있어서는 큰 수직하중을 받은 경우 탄성층(106)의 고무경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탄성층(106)이 탄성체로서의 능력을 넘는 영역까지 압축되어 탄성층(106)에 의한 충분한 변형흡수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큰 수직하중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탄성층(106)의 고무경도를 높여 대응해야 하고, 그 결과 수평방향 및 경동방향의 변위에 대한 스프링정수가 커져 충분한 변형흡수를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큰 수직하중을 허용하며 충분한 수평방향 및 경동방향의 변형흡수를 가능하게 한 하중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왜곡게이지를 이용하는 측정기 본체와, 이 측정기 본체의 수압면에 하중을 전달하는 로드보턴과, 이 로드보턴이 한쪽면에 부착되고 다른쪽면에 피측정물의 하중이 걸리는 톱플레이트를 귀한 하중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보턴의 주위에 수압면과 톱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를 마련하며, 톱플레이트를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범위내에서의 움직임 및 로드보턴을 중심으로 한 경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압면에 대해 연결부재로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예의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측정장치를 수하중판의 4구석에 부착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측정장치의 톱플레이트의 한쪽을 생략한 평면도.
도 5는 도 5의 A-O-B-C-D선 단면도.
도 6은 톱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E-E선 단면도.
도 8은 측정기 본체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F-F선 중앙종단면도.
도10은 왜곡게이지를 기왜부(起歪部)의 밑면에만 점착한 예를 도시하는 F-F선 단면도.
도11은 측정기 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도10의 G-G선 단면도.
도13은 또 다른 측정기 본체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4는 도13의 H-H선 단면도.
도15는 왜곡게이지를 기왜부의 밑면에만 점착한 예를 도시하는 H-H선 단면도.
도16은 실시예 2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실시예 2에 있어 톱플레이트가 화살표시방향으로 경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18은 실시예 2에 있어 톱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19는 탄성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0은 탄성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1은 탄성체 주위에 커버를 마련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커버의 정면도.
도23은 탄성체의 커버를 일체화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4는 도21의 탄성체에 있어 돌기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5는 또 다른 탄성체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6은 실시예 3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7은 실시예 3에 있어 톱플레이트가 화살표시방향으로 경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28은 실시예 3에 있어 톱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29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를 도시하는 중앙단면도.
도30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의 고정법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1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중앙단면도.
도32은 제 4실시예에 의한 탱크를 톱플레이트에 부착한 상태의 정면도.
다음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하중측정장치의 평면도로서, 도 5의 도면에 있어 위쪽 좌측절반의 톱플레이트(4), 로드보턴(3), 탄성체(11)를 생략하고 있으며 좌측절반의 생략부재는 도면상 2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하중측정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4에 있어 A-O-B-C-D선 단면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하중측정장치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측정기본체(1)와, 이 측정기본체(1)의 수압면(2)에 하중을 전달하는 스테인레스 등의 경질재료로 형성된 로드보턴(3)과, 이 로드보턴(3)이 한쪽면에 부착되고 다른쪽에 피측정물의 하중이 걸리는 톱플레이트(4)를 갖추고 있다. 또한 로드보턴(3)의 밑면은 구면에 형성하고 있다.
또 측정기 본체(1)는 스테인레스 등의 경질재료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5)에 부착되고, 이 측정기 본체(1)는 수압면(2)이 형성된 중앙부(6)와, 베이스플레이트(5)에 고정되는 설치부(7)와, 이 설치부(7)와 중앙부(6)를 연결하는 기왜부(8)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스테인레스로 작제되고, 기왜부(8)에 후술하는 왜곡게이지(20)가 점착된다. 또 측정기 본체(1)에는 왜곡게이지(20)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꺼내기 위해 케이블(9)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톱플레이트(4)는 연결부재(10)로 수압면(2)에 연결하고 있다.
또 로드보턴(3)의 주위에는 수압면(2)과 톱플레이트(4)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0)는 이 탄성체(11)를 관통하며 선단이 중앙부(6)에 고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 연결부재(10)는 머리부(10A)와 머리부(10A)보다 가는 축부(10B)를 갖추고, 축부(10B) 선단이 수압면(2)에서 중앙부(6)로 들어가 있다. 또 이 연결부재(10)가 마련되는 톱플레이트(4)의 개소에는 대공(12)과 소공(13)이 연통하여 형성된다. 소공(13)의 지름은 축부(10B)의 지름보다도 크고, 대공(12)의 지름은 머리부(10A)의 지름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있다. 또 머리부(10A)의 지름은 소공(13)의 지름보다도 크다. 이와같은 관계에 의해 톱플레이트(4)는 수평방향으로 소정범위내에서 움직임과 동시에 로드보턴(3)을 중심으로한 경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대공(12)내에는 머리부(10A)를 둘러싸도록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패킹(14)이 배치된다. 또 측정기 본체(1)의 설치부(7)는 볼트(15)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5)에 고착된다. 또 도나츠형상의 틀체인 설치부(7)의 내측에 또한 베이스플레이트(5)상에는 메탈씨일(16)을 배치하고, 베이스플레이트(5)의 중앙에 뚫린 구멍에는 캡(17)을 끼워넣고 있다. 메탈씨일(16)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측정기 본체(1)내부의 밀폐를 유지하여 먼지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캡(17)은 이를 제거하여 내부에 있는 각종 조정저항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톱플레이트(4) 단체(單體)의 평면도이며, 로드보턴(3)이 부착되는 구멍(4A)주위에 연결부재(10)를 부착하기 위한 대공(12)과 소공(13)이 형성된다. 4구석의 구멍(4B)은 피측정물측의 부재(종래예에서는 수하중판(108)에 상당하는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도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로 작제하여 두께 10mm, 가로세로 125mm인 정사각형의 판상물로 하고, 대공(12)의 직경을 17mm, 깊이를 8mm, 소공(13)의 직경을 9mm, 깊이를 2mm로 하고 있다. 또 구멍(4A)의 직경을 6mm, 구멍(4B)의 직경을 10mm로 하고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제 1실시예의 측정기 본체(1)의 간략평면도이며, 원형의 왜기부(8)를 4등분한 위치의 상하면에 왜곡게이지(20)를 점착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F-F선 단면을 도시하여 왜곡게이지(20)의 부착개소를 도시한다. 중앙부(6)의 밑면은 설치부(7)의 밑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설치부(7)에서 내측으로 뻗은 기왜부(8)에서 뜬 상태로 지지된다. 중앙부(6)의 윗면인 수압면(2)에 하중이 걸리면 기왜부(8)가 휘어지고, 왜곡게이지(20)의 저항치가 변화하며, 이들 저항치를 검출하여 하중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수압면(2)에는 톱플레이트(4)에 걸린 하중이 로드보턴(3)을 통해 전하고 있다.
또한 왜곡게이지(20)는 도 10과 같이 원형의 기왜부(8)를 4등분한 위치의 밑면에만 점착해도 된다.
또한 측정기 본체(1)의 변형예로서 도 11에서 도 15에 도시하는 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측정기 본체(1)는 원반형상이 아닌 장방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기왜부(8A)의 상하면이 아닌 양측면에 왜곡게이지(20)를 부착한 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형상의 측정기 본체(1)는 전체를 정방형상으로 형성하여 기왜부(8A)를 중앙부(6)의 각 변(4변에 하나씩)에 마련한 예를 도시하고, 도 14는 이들 기왜부(8A)의 상하면에 왜곡게이지(20)를 점착한 예이며, 도 15는 기왜부(8A)의 밑면에만 왜곡게이지(20)를 점착한 예이다.
다음은 제 2실시예를 도 16에서 도 2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고, 제 2실시예에 있어 하중측정장치에서는 톱플레이트(4)가 무부하의 상태에 있어서,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의 높이가 로드보턴(3)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하고, 톱플레이트(4)에 하중이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로드보턴(3)의 밑면이 수압면(2)에서 떠 오르는 상태에 있다. 또 이 실시예 2에서는 대공(12)내에 있어 연결부재(10)의 머리부(10A)를 둘러싸는 패킹(14)을 이용하지 않는다. 연결부재(10) 머리부(10A)의 하측의 대공(12)에는 간극이 있으며, 이 간극의 범위내에서 톱플레이트(4)의 상하이동 및 경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대공(12)의 수평방향에 있어서도 머리부(10A)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고, 또한 소공(13)의 수평방향에 있어서도 머리부(10A)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이들 간극에 의해 톱플레이트(4)의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있다. 또 로드보턴(3)의 수압면(2)에 대향하는 면, 즉 밑면은 구면에 형성하고, 수압면(2)과의 접촉은 점접촉이 된다.
도 17은 톱플레이트(4)에 화살표시방향의 경동이 발생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즉 로드보턴(3)의 중심축이 수직상태에서 도면위 오른쪽으로 기운 상태를 도시하며, 탄성체(11)의 우측절반이 압축된다. 이 때 연결부재(10)의 머리부(10A)는 대공(12) 바닥에 충돌한다.
도 18은 톱플레이트(4)에 화살표시로 나타내는 방향 즉 수평방향의 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는 도 19에서 도 25에 도시하는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9는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 윗면의 외주테두리에 돌기형상부(11A)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밑면의 외주테두리에도 돌기형상부(11B)를 형성할 수 있고, 어느 한쪽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도 20은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의 상하외주에 스커트부(11C)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는 수직부하에 의해 돌기형상부(11A)(11B) 또는 스커트부(11C)가 휘어지고 회전(경동)했을 때도 그 휘어진만큼 추종하며, 톱플레이트(4) 및 수압면(2)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간극을 만들지 않음으로써 톱플레이트(4)와 탄성체(11) 사이에 먼지나 물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21은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의 외주에 커버(18)를 배치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탄성체(11)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싶지 않은 용도 예를들어 식품이나 화학약품 등의 제조공정에서 이용하는 경우 등에 커버(18)가 유용하다. 이와같은 커버(18)는 스테인레스강등의 내식성 금속재료가 적절히 이용된다. 이와같은 커버(18)는 도 22와 같이 그 외주면을 파형상으로 하여 톱플레이트(4)의 경동이나 수평이동에 추종하도록 해 둔다. 그 두께는 로드보턴(3)보다 크거나 탄성체(11)보다 크게 한다.
도 23에 도시한 예는 탄성체(11)와 커버(18)를 일체화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예에 있어서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탄성체(11)에 돌기형상부(11D)를 마련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체(11)를 연결부재(10)의 내측에만 배치한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 26에서 도 31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제 3실시예에서는 로드보턴(3) 주위에 수압면(2)과 톱플레이트(4)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탄성체(11)가 금속박판재, 이 예에서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4)는 무부하 상태에서 탄성체(11)의 높이가 로드보턴(3)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패킹(14)을 이용하지 않는다. 연결부재(10)의 머리부(10A) 하측의 대공(12)에는 간극이 있고, 이 간극의 범위내에서 톱플레이트(4)의 상하이동 및 경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대공(12)의 수평방향에 있어서도 머리부(10A)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고, 또한 소공(13)의 수평방향에 있어서도 축부(10B)사이에 간극이 있으며 이들 간극에 의해 톱플레이트(4)의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있다. 또 로드보턴(3)의 수압면(2)에 대향하는 면 즉 밑면은 구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수압면(2)과의 접촉은 점접촉이 된다.
도 27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톱플레이트(4)에 화살표시의 경동이 일어났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즉 로드보턴(3)의 중심축이 수직상태에서 도면위 우측으로 기운 상태를 도시하며,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11)의 우측절반이 압축된다. 이 때 연결부재(10)의 머리부(10A)는 대공(12) 바닥에 충돌한다.
도 28은 실시예(3)에 있어 톱플레이트(4)에 화살표시로 도시하는 방향 즉 수평방향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9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11)의 중앙종단면을 도시하고, 이 링형상의 탄성체(11)의 중앙부 전주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파형상부(11A)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파형상부(11E)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탄성체(11)를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개의 파형상부(11E)를 형성하여 주름형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30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11)의 상하단을 톱플레이트(4)와 중앙부(6)에 마련한 홈(61)에 끼워넣어 탄성체(11)를 고착한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1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하로 플랜지부(11F)를 형성하고 이들 플랜지부(11F)는 톱플레이트(4)와 중앙부(6)에 고착된다. 고착수단으로서는 용접, 볼트고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1과 같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된 탄성체(11)는 수직부하에 의해 파형상부(11E)가 구부러지고 회전(경동)했을 때도 그 구부러진만큼이 추종하여 톱플레이트(4) 및 수압면(2)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간극을 만들지 않도록 하여 톱플레이트(4)와 탄성체(11) 사이에 먼지나 물 등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스테인레스로 형성한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써 고무로 형성한 탄성체와 같이 유기용제, 화학약품, 기름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도 없으며, 유기용제 등의 가스가 존재하는 분위기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하는 제 4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하중측정장치에 탱크(21)나 호퍼의 부착용 브라켓(22)을 톱플레이트(4)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탱크(21)의 부착용 브라켓(22)의 여러곳에 있어 측정기 본체(1)의 톱플레이트(4)를 부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중측정장치에서는 경동방향, 수평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연결부재(10)가 대공(12)과 소공(13) 벽에 접촉할 때까지 자유도가 있고, 측정기 본체(1)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힘, 예를들어 탱크(21)의 온도변화에 의한 열수축으로 발생하는 수평력이나 부착용 브라켓(22)의 휨에 의해 발생하는 경동력(회전력)을 회피할 수 있으며, 또 이와같은 힘이 제거된 후는 탄성체(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또 톱플레이트(4)의 변위는 소정범위내에서 저지되고, 즉 연결부재(10)가 구멍안에서 접촉함으로써 변위가 구속되며, 연결부재(10)가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에 의해 측정기 본체(1) 이외에 흔들림방지나 스토퍼를 마련할 필요도 없다. 또한 연직하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로드보턴(3)에 의해 측정기 본체(1)에 전달되므로 탄성체(11)는 이 힘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탄성체(11)는 경동력과 수평력에 대해서만 적합한 탄성을 가지면 되므로 수평단면이 작은 콤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보턴의 주위에 수압면과 톱플레이트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를 마련하고, 톱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소정범위내에서의 움직임 및 로드보턴을 중심으로 한 경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압면에 대해 연결부재로 연결했기 때문에 큰 수직하중을 허용하며 충분한 수평방향 및 경동방향의 변형흡수가 가능해진다. 또 로드보턴의 수압면에 대향하는 면을 구면에 형성함으로써 로드보턴의 접촉점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자유도가 있으며, 수압면에 불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또 탄성체의 높이를 로드보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해 둠으로써 경동방향에 톱플레이트가 기울었을 때 즉 회전력이 작용했을 때 열리는 측의 탄성체가 줄어든 만큼 뻗어 추종하므로 탄성체와 톱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체를 금속박판재로 형성한 경우, 고무와 같이 유기용제, 화학약품, 기름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도 없으며, 유기용제 등의 가스가 존재하는 분위기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왜곡게이지를 이용하는 측정기 본체와, 이 측정기 본체의 수압면에 하중을 전달하는 로드보턴과, 이 로드보턴이 한쪽 면에 부착되고 다른쪽 면에 피측정물의 하중이 걸리는 톱플레이트를 구비한 하중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보턴의 주위에 수압면과 톱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를 배치하고,
    톱플레이트를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범위내에서의 움직임 및 로드보턴을 중심으로 한 경동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압면에 대해 연결부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보턴의 수압면에 대향하는 면을 구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높이를 로드보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머리부와 머리부보다 가는 축부를 갖추고, 축부선단을 수압면에 매설고정하며, 톱플레이트에 큰 지름의 대공과 이 대공에 연속하여 작은 지름의 소공을 형성하고, 대공에 머리부를 소공에 머리부에 계속되는 축부를 삽통했을 때 머리부 및 축부는 대공 및 소공안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허용됨과 동시에 머리부의 지름은 소공의 지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고무나 고무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금속박판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측정장치.
KR1019990041427A 1998-10-22 1999-09-28 하중측정장치 KR20000028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01422 1998-10-22
JP30142298 1998-10-22
JP98-333037 1998-11-24
JP10333037A JP2000162029A (ja) 1998-11-24 1998-11-24 荷重測定装置
JP10342085A JP2000193516A (ja) 1998-10-22 1998-12-01 荷重測定装置
JP98-342085 1998-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718A true KR20000028718A (ko) 2000-05-25

Family

ID=2733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427A KR20000028718A (ko) 1998-10-22 1999-09-28 하중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40799B1 (ko)
KR (1) KR20000028718A (ko)
DE (1) DE19949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6013A1 (de) * 2001-11-15 2003-06-05 Mettler Toledo Gmbh Waagschalenträger mit Überlastschutz
CA2476708A1 (en) * 2002-02-21 2003-08-28 Intelligent Mechatronic Systems, Inc. (preloaded) load cell for vehicle seat with lateral and angular alignment
JP4183124B2 (ja) * 2002-08-21 2008-11-1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荷重計測装置
JP3818242B2 (ja) * 2002-08-26 2006-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重量計測装置の取付装置
US7112749B2 (en) * 2004-06-23 2006-09-26 Sensata Technologies, Inc. Sensor mounting apparatus for minimizing parasitic stress
DE502004004677D1 (de) * 2004-12-14 2007-09-27 Mettler Toledo Ag Wägemodul mit einer positionspräzisen Überlastschutzvorrichtung
US7504594B1 (en) * 2007-10-05 2009-03-17 Nucor Corporation Steel coil 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BE1019463A4 (nl) * 2010-09-01 2012-07-03 Vliet Ronny Van De Weegmodule met geïntegreerde horizontale en verticale begrenzing.
GB201111340D0 (en) * 2011-07-04 2011-08-17 Meso Ltd Load measuring system
JP5777250B2 (ja) * 2011-11-04 2015-09-09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計量器
CN102519568A (zh) * 2012-01-05 2012-06-27 郑州恒科实业有限公司 阵列式称重棒
CN103674212B (zh) * 2012-09-19 2017-11-28 梅特勒-托利多有限公司 测力计称重模块
US9709436B2 (en) 2013-03-15 2017-07-18 Illinois Tool Works Inc. Load cell that is symmetrical about a central vertical axis
CN103743506B (zh) * 2014-01-16 2016-03-23 上海理工大学 一种载荷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5973353B (zh) * 2016-01-20 2019-02-26 申俊 测力传感器
CN105937949A (zh) * 2016-01-20 2016-09-14 申俊 双阶称重传感器
CN105937979A (zh) * 2016-01-20 2016-09-14 申俊 一种双阶双精度称重传感器
CN105937982A (zh) * 2016-01-20 2016-09-14 申俊 一种改进型双阶双精度称重传感器
CN106918379A (zh) * 2017-04-11 2017-07-04 宁波柯力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多个平行梁式称重传感器
DE102019112871B4 (de) * 2019-05-16 2021-06-17 Flintec Gmbh Wägemodul und Wägeeinrichtung
US12036346B2 (en) * 2021-04-05 2024-07-16 Simergent Llc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device
CN117870839B (zh) * 2024-01-12 2024-06-25 广东华兰海电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静组合防倾覆模块称重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57024C (de) * 1931-04-10 1932-08-18 Albert Dargatz Apparat zur fortlaufenden Zuechtung von Bakterien
SE323230B (ko) * 1967-12-14 1970-04-27 Asea Ab
US3889529A (en) * 1974-04-17 1975-06-17 Emery Co A H Rectangular hydraulic load cell
US4002216A (en) * 1975-09-24 1977-01-11 Benjamin Solow Portable scale
US4258810A (en) * 1979-05-25 1981-03-31 Masstron Scale, Inc. Weighing apparatus
US4411327A (en) * 1981-05-14 1983-10-25 Hottinger Baldwin Measurement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load to a strain gage transducer beam
US4716979A (en) * 1985-04-30 1988-01-05 The A. H. Emery Company Load cell with welded components
US5600104A (en) * 1993-10-20 1997-02-04 Structural Instrumentation, Inc. Load cell having reduced sensitivity to non-symmetrical beam loading
JPH09178579A (ja) * 1995-12-25 1997-07-11 Bridgestone Corp 荷重測定装置
US5859390A (en) * 1996-10-23 1999-01-12 Hill-Rom, Inc. Hospital bed scale mou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0799B1 (en) 2002-01-22
DE19949952A1 (de) 200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8718A (ko) 하중측정장치
JP3745107B2 (ja) ロードセル及びロードセルを備える荷重検出装置
US7395692B2 (en) Portable gas meter
JP4981413B2 (ja) 軸受温度監視装置及びこれをそなえた軸受装置
CN110383023B (zh) 力传感器
US4936148A (en) Hall effect pressure transducer
KR100878545B1 (ko) 베어링의 하중 감지 및 베어링의 상태 감시를 조합한 센서어셈블리 및 센서 시스템
US7802374B1 (en) Capacitive digital caliper
US3978722A (en) Dynamometer for anchor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11353344B2 (en) Force sensor having a strain body
JP2000162029A (ja) 荷重測定装置
CN110383024B (zh) 力传感器
US3939758A (en) Pressure sensor
JP3508585B2 (ja) フレキシブルせん断計測センサー
CN113293696A (zh) 智能支座及包括其的桥梁质量监控系统
JP2000193516A (ja) 荷重測定装置
JPH0361913B2 (ko)
JPH09280976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とシリンダの間に作用する力の計測装置
RU2087884C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разности давлений
JP4237594B2 (ja) 滑り支承型免震装置
CN216193977U (zh) 智能支座及包括其的桥梁质量监控系统
JPS586901B2 (ja) サアツオウドウソウチ
JPH09178579A (ja) 荷重測定装置
JPS5850301Y2 (ja) 差圧伝送器
JPH01361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