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187A -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187A
KR20000026187A KR1019980043608A KR19980043608A KR20000026187A KR 20000026187 A KR20000026187 A KR 20000026187A KR 1019980043608 A KR1019980043608 A KR 1019980043608A KR 19980043608 A KR19980043608 A KR 19980043608A KR 20000026187 A KR20000026187 A KR 2000002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ottom plate
precast concrete
dec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828B1 (ko
Inventor
박칠림
김성운
김영진
정철헌
장성욱
윤석구
Original Assignee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 대우 filed Critical 장병주, 이일쇄
Priority to KR101998004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8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량의 주형상에 놓이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결되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현장에서의 공정을 매우 단순화 한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교량단부에서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교량의 주형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바닥판에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버덕펀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연결을 위해 고리형 형상을 가진 철근을 노출시키고, 다수개의 전단 연결재를 수용하기 위한 전단포켓을 설치하며, 상기 전단포켓을 가로지르는 주철근을 노출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하는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할 때, 상기 채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량단부 바닥판을 프리캐스트 부재로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
본 발명은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에 현장타설로 건설되던 교량단부 바닥판을 프리캐스트(precast) 부재로 제작하고, 프리캐스트 바닥판간 이음부사이의 하중전달을 위해 이음부 단면에 고리형 철근을 겹이음으로 연결하며, 이음부 채움재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교량 단부애서의 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건설하는 경우, 교량단부 바닥판을 가설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주형(3)상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을 부설한 다음,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2)를 도입하여 일체화를 도모한다. 다음에 교량하부에 작업용 비계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을 배치하고, 이 거푸집에 철근을 가공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교량단부 바닥판(16)을 건설하는 공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거푸집 형성을 위한 작업, 철근 가공 및 설치 작업, 콘크리트 타설 작업 등의 많은 공정이 필요하고, 현장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현장에서의 공정을 매우 단순화 한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 이용한 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의 교량단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교량단부 이음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4는 종래 방법에 따른 교량단부 가설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2 : 내부긴장재
3 : 주형 4 : 교량받침
5 : 연결부채움용 콘크리트 6 :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7 : 신축이음정착기구 8 : 단부바닥판 전단포켓
9 : 주철근 10 : 고리형연결철근
11 : 중앙바닥판 전단포켓 12 : 씰링테이프
13 : 보강철근 14 : 거친면
15 : 돌출부 16 :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교량의 주형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바닥판에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바닥판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연결을 위해 고리형 형상을 가진 철근을 노출시키고, 다수개의 전단 연결재를 수용하기 위한 전단포켓을 설치하며, 상기 전단포켓을 가로지르는 주철근을 노출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하는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할 때, 상기 채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단부의 시공방법은, 교량의 주형상에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제1 바닥판에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바닥판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음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단부용 제2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 연단과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에 씰링테이프를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상기 제1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사이의 상기 이음부를 통한 하중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 측면에 노출된 고리형 철근을 겹이음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된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현장 타설로 건설되던 교량단부 바닥판을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 대체함으로써, 현장 타설작업을 없애고, 또한 현장 타설작업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위한 일체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교량단부 바닥판과의 이음부를 원활한 하중전달을 위해 고리형 철근으로 연결하도록 하였고, 이음부 충진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하부에 돌출부를 두어, 최종적으로 바닥판사이에 충진작업을 위한 별도의 하부 작업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단포켓의 크기를 확대하여 단부에 배치해야 하는 많은 개수의 전단연결재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교량의 주형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바닥판에 교축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바닥판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결되는 교량단부 바닥판을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 바닥판을 연결한다. 이후, 상기 이음부를 통한 하중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 바닥판의 양 바닥판에 고리형 철근을 노출시켜 겹이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한다. 이때, 겹이음 단계 후, 겹이음되어 겹쳐진 부분에 보강철근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 상기 채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교량단부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 연단과 상기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에 씰링테이프를 부착하여 거푸집 역할을 하도록 한 후에 채움재를 충진한다. 상기 교량단부 바닥판의 표면은 상기 채움재가 상기 양 바닥판에 잘 부착되도록 표면처리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시공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주형(3)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을 부설한 다음,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2)를 도입하여 바닥판간 일체성을 확보하고, 피로저항성을 개선한다. 한편, 교량받침(4) 상부에 설치되는 단부 바닥판(6)은 이음부(5)를 두고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과 연결된다.
도2는 도1의 교량 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바닥판(6)에는 많은 양의 전단연결재가 배치됨으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단포켓(8)을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바닥판의 전단포켓(11)보다 크게 하였다. 이때, 전단포켓(8)을 가로지르는 주철근(9)을 노출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신축이음장치 고정용 장치(7)를 미리 설치하였는데, 이는 신축이음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설치위치 및 설치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도3은 도2의 교량단부 이음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1)과 단부바닥판(6)을 연결한 후, 이음부를 통한 하중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양 바닥판에 고리형 철근(10)을 노출시켜서 겹이음하고, 겹쳐진 부분에는 다수개의 보강철근(13)를 삽입한다. 또한, 이음부의 충진을 위해서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채움재를 이용하여 충진하여야 하는데, 이 때 채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대신에 단부 바닥판 하부에 콘크리트로 형성된 돌출부(15)를 두고, 그 연단에 씰링테이프(12)를 부착하여 거푸집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채움재가 양 바닥판(1, 6)에 잘 부착되도록 단부 바닥판(6)을 표면처리(14)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하여 교량단부바닥판 가설작업을 할 경우에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부 바닥판을 현장 타설하지 않고, 프리캐스트화 하여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과정만 거치도록 함으로써,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등의 현장 작업 공정이 생략되어 신속한 공사가 가능하다.
둘째, 단부 바닥판을 현장 타설로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거푸집 설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하부에 작업대를 설치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부에 돌출부를 두어 별도의 거푸집 없이도 바닥판간 이음부를 충진할 수 있어, 거푸집 및 하부 작업대가 필요없다.
세째, 교량 단부에는 전단력이 크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전단연결재를 배치해야 하는데, 광폭의 전단포켓을 사용함으로써, 전단 연결재의 양이 많더라도 그 소요되는 배치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교량의 주형상에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제1 바닥판에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바닥판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음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단부용 제2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 연단과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에 씰링테이프를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수행 후, 상기 제1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연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사이의 상기 이음부를 통한 하중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교량단부용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의 양 측면에 노출된 고리형 철근을 겹이음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상기 형성된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단부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겹이음 수행 후, 상기 겹이음된 부분에 보강철근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단부의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단부용 제2 바닥판의 상기 이음부측 표면은 상기 채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바닥판에 잘 부착되도록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단부의 시공방법.
  4. 교량의 주형상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부설하고, 상기 바닥판에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상기 바닥판의 일 단부상에 이음부를 두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전단 연결재를 수용하기 위한 전단포켓이 설치되고,
    상기 전단포켓을 가로지르는 주철근을 노출시키되, 상기 주철근의 노출된 부위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과 접하는 이음부에 채움재를 충진할 때, 상기 채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신축이음장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KR1019980043608A 1998-10-19 1998-10-19 교량단부용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부재및이를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바닥판시공방법 KR10032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608A KR100323828B1 (ko) 1998-10-19 1998-10-19 교량단부용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부재및이를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바닥판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608A KR100323828B1 (ko) 1998-10-19 1998-10-19 교량단부용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부재및이를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바닥판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187A true KR20000026187A (ko) 2000-05-15
KR100323828B1 KR100323828B1 (ko) 2002-06-26

Family

ID=1955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608A KR100323828B1 (ko) 1998-10-19 1998-10-19 교량단부용프리캐스트콘크리트바닥판부재및이를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바닥판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8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11B1 (ko) *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778035B1 (ko) * 2007-01-02 2007-11-21 김근택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이음부구조
CN109440627A (zh) * 2018-11-07 2019-03-0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早强uhpc的节段预制拼装接缝系统及方法
KR20220070793A (ko) * 2020-11-23 2022-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641328B1 (ko) * 2023-07-25 2024-02-27 주식회사 브리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임시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885B1 (ko) * 2002-07-12 2005-06-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629905B1 (ko) 2004-08-24 2006-09-29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기존 교량의 보강 시공방법 및 이 보강 시공방법으로제작된 교량
KR100704055B1 (ko) * 2004-11-08 2007-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0720997B1 (ko) *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720996B1 (ko) *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758878B1 (ko) 2006-08-30 2007-09-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더와 바닥판 일체형 거더 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KR100923564B1 (ko) * 2007-09-11 2009-10-2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415522B1 (ko) * 2013-09-17 2014-07-04 산이건설 주식회사 신축 이음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장 슬래브가 연장된 교량
KR102087726B1 (ko) * 2018-11-27 2020-03-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연속철근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41353B1 (ko) * 2023-10-20 2024-02-27 주식회사 브리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11B1 (ko) * 2005-02-23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778035B1 (ko) * 2007-01-02 2007-11-21 김근택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이음부구조
CN109440627A (zh) * 2018-11-07 2019-03-0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早强uhpc的节段预制拼装接缝系统及方法
KR20220070793A (ko) * 2020-11-23 2022-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641328B1 (ko) * 2023-07-25 2024-02-27 주식회사 브리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임시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828B1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6187A (ko) 교량단부용 프리캐스트 이용한교량단부에서의 바닥판 시공방법
KR100696441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0904122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1991930B1 (ko)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0535157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710984B1 (ko) 개구 형성체에 의하여 보강된 개구부를 가지는 무량판 구조물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JPH0684607B2 (ja) 部材の接合方法
JP7476044B2 (ja) 仮設開口部用型枠
JPH10110498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空フラットスラブの構築方法
JP2861219B2 (ja)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JP2885055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による架構の構築方法
KR100899713B1 (ko) 프리캐스트 아치-덱을 이용한 강합성 거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3418606B2 (ja) Pc橋における桁部材
KR100210870B1 (ko) 합성수지제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371315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施工方法
KR20040006562A (ko)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950029504A (ko) 철근콘크리트지주의 보수방법과 이의 구조물
JP2021101068A (ja) プレキャスト柱梁接合構造
JP2579944Y2 (ja) 耐力壁組立構造物
JPH1150466A (ja) 柱脚部用型枠の形成方法及び柱脚用型枠の堰板連結用部材
JP3245106B2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床版を使用した鋼合成複合橋
JPS6347861B2 (ko)
JPH07119215A (ja) コンクリートの打継部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使用される埋設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