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552A -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552A
KR20000024552A KR1020000008139A KR20000008139A KR20000024552A KR 20000024552 A KR20000024552 A KR 20000024552A KR 1020000008139 A KR1020000008139 A KR 1020000008139A KR 20000008139 A KR20000008139 A KR 20000008139A KR 20000024552 A KR20000024552 A KR 2000002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oxide
heat treatment
powder
tungsten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효
이태진
Original Assignee
박영효
이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효, 이태진 filed Critical 박영효
Priority to KR102000000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4552A/ko
Publication of KR2000002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solid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2/25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텅스텐산화물을 개선된 방법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초경합금에 있어서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비정상 성장입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텅스텐산화물(WO3)을 대기 중에서 약 900℃이상으로 열처리하는 것과 또 Na를 적당량 Doping하여 열처리를 함으로써 Tungsten Carbide(WC) 분말 제조시 조대입자를 없애고 입도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최종제품인 초경합금 소결체 제조시 고온 안정성 향상으로 합금조직상 비정상적 성장입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텅스텐 산화물 원료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A reform measure fo property by heat treatment of tungsten oxide}
본 발명은 텅스텐산화물을 개선된 방법으로 열처리함으로써 초경합금에 있어서 고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비정상 성장입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통상의 텅스텐산화물(WO3, Tungsten Oxide) 분말의 제조방법은 대기중에서 Tungstic Acid(H2WO4)혹은 APT(Ammo nium Para Tungstate)를 600∼900℃의 온도로 하소(Calcination)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텅스텐산화물을 수소분위기중 700∼1100℃의 온도에서 환원하여 금속텅스텐 분말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은 평균입도보다 큰 크기의 조대입자가 존재하고 이러한 조대입자는 후공정인 탄화텅스텐(Tungsten Carbide, WC) 분말 제조시에도 그대로 남게 되어 WC 분말의 입도분포를 넓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WC 상태에서의 조대입자는 초경합금(Cemented Tungsten Carbide, CTC)에서 그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합금조직중에 비정상 성장입자가 발생하여 그 기계적 성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대입자는 텅스텐산화물 상태에서 소위 텅스텐브론즈(Tungsten Bronze)라 불리우는 표면이 매끄럽고 딱딱한 형상의 조대입자에 기인하는데, 이것은 이미 등록된 특허 제089051호의 방법에 의해 해결한 바 있다.
그러나 WC분말을 사용하여 초경합금을 제조하였을 때, 합금 조직상의 비정상 입자성장은 근본적으로 WC분말 특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텅스텐산화물 상태에서 열처리 혹은 Na Doping과 열처리를 병행하여 그 특성을 개선하므로써 분말상태의 조대입자 제거와 WC입자의 균일화를 동시에 이루고자 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초경합금에 있어서 고온안정성이 향상시키고 비정상 성장입자의 발생을 억제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하소후 텅스텐산화물의 상태를 보여주는 SEM 사진
도 2는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 후 상태를 보여주는 SEM 사진
도 3은 텅스텐 산화물의 Na Doping + 열처리 후 상태를 보여주는 SEM 사진
본 발명은 텅스텐산화물을 대기중 900∼1200℃에서 45∼90min 유지한 후, 냉각시키는 방법(Roasting)으로써, 하소만 행하여 제조한 텅스텐산화물에 존재하는 텅스텐브론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고, 이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과 같은 하소만 행한 텅스텐산화물의 표면과 도 2의 하소후 Roasting을 행한 텅스텐산화물의 표면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Na를 50∼400ppm Doping하고 대기중 800∼1000℃에서 45∼90min 유지한 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도 텅스텐브론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으며, 도 3과 같이 텅스텐산화물의 표면도 도 2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므로 Na Doping을 할 경우 열처리 온도를 100℃이상 낮출 수 있었다.
실시예 1.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1kg을 준비한다.
②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8㎛의 WC 분말을 제조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10%Co-0.25%VC의 조성으로 혼합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혼합된 WC-10%Co-0.25%VC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00℃에서 60분동안 소결한다.
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 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6개, 5∼10㎛ 이상 크기의 성장입자 2개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2.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1kg을 내화물용기(Alumina Crusible)에 넣어, 대기중 1100℃에서 45분 동안 유지시키고 냉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다.
②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 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8㎛의 WC분말을 제조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10%Co-0.25%VC의 조성으로 혼합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혼합된 WC분말을 WC-10%Co-0.25%VC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00℃에서 60분동안 소결한다.
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 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1개가 발견되었고, 5∼10㎛ 이상 크기의 성장입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3.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1kg을 준비한다.
②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 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5㎛의 WC분말을 제조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9%Co-1%Cr3C2-0.5%VC의 조성으로 혼합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혼합된 WC분말을 WC-9%Co-1%Cr3C2-0.5%VC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20℃에서 90분동안 소결한다.
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 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17개, 5∼10㎛ 이상 크기의 성장입자 5개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4.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1.5kg을 내화물용기(Alumina Crusible)에 담아, Na의 양이 100ppm이 되도록 NaOH를 수용액 상태로 첨가한다.
② ①의 Na가 100ppm Doping된 텅스텐산화물을 대기중 950℃에서 45분 동안 유지시키고 냉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처리된 텅스텐산화물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5㎛의 WC분말을 제조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9%Co-1%Cr3C2-0.5%VC조성으로 혼합한다.
⑤ ④의 방법으로 혼합된 WC-9%Co-1%Cr3C2-0.5%VC 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20℃에서 90분동안 소결한다.
⑥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 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6개가 발견되었고, 5∼10㎛ 이상 크기의 성장입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5.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1kg을 내화물 용기에 담아, Na의 양이 50ppm이 되도록 NaOH를 수용액 상태로 첨가한다.
② ①의 Na가 50ppm Doping된 텅스텐산화물을 대기중 850℃에서 60분 동안 유지시키고 냉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처리된 텅스텐산화물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5㎛의 WC분말을 제조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9%Co-1%Cr3C2-0.5%VC의 조성으로 혼합한다.
⑤ ④의 방법으로 혼합된 WC-9%Co-1%Cr3C2-0.5%VC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50℃에서 60분동안 소결한다.
⑥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7개, 5∼10㎛ 크기의 성장입자 1개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6.
① Tungstic Acid 혹은 APT를 하소하여 제조된 텅스텐산화물 6kg을 내화물 용기에 담아, Na의 양이 400ppm이 되도록 NaOH를 수용액 상태로 첨가한다.
② ①의 Na가 400ppm Doping된 텅스텐산화물을 대기중 800℃에서 90분 동안 유지시키고 냉각하는 방법으로 처리를 행한다.
③ ②의 방법으로 처리된 텅스텐산화물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수소분위기중 환원을 행하여 제조된 금속텅스텐 분말에 탄소를 첨가하여 수소분위기중 탄화하여 평균크기 0.5㎛의 WC분말을 제조한다.
④ ③의 방법으로 제조된 WC분말을 WC-9%Co-1%Cr3C2-0.5%VC의 조성으로 혼합한다.
⑤ ④의 방법으로 혼합된 WC-9%Co-1%Cr3C2-0.5%VC조성의 혼합분말을 성형하여, 진공중 1400℃에서 60분동안 소결한다.
⑥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시편의 100㎛×100㎛넓이 10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조직중에 3∼5㎛ 크기의 성장입자 4개가 발견되었고, 5∼10㎛이상 크기의 성장입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텅스텐산화물 상태에서 열처리 혹은 Na Doping과 열처리를 병행하여 그 특성을 개선하므로써 분말상태의 조대입자 제거와 WC입자의 균일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게된 것이며, 그에 따라 초경합금에 있어서 고온안정성이 향상시키고 비정상 성장입자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텅스텐산화물(WO3)을 대기 중에서 열처리 혹은 Na Doping과 열처리를 병행하여 처리하므로써, Tungsten Carbide(WC) 분말 제조시 조대입자를 없애고 입도를 균일하게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열처리에 있어서 텅스텐산화물(WO3)을 대기 중 최소 900℃ 이상에서 45∼90min 유지한 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Na Doping과 열처리를 병행함에 있어서 텅스텐산화물(WO3)에 NaOH수용액으로써 Na를 50∼400ppm Doping 하고 대기 중 최소 800℃이상에서 45∼90min 유지한 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KR1020000008139A 2000-02-21 2000-02-21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KR20000024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9A KR20000024552A (ko) 2000-02-21 2000-02-21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9A KR20000024552A (ko) 2000-02-21 2000-02-21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552A true KR20000024552A (ko) 2000-05-06

Family

ID=1964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39A KR20000024552A (ko) 2000-02-21 2000-02-21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455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090A (en) * 1971-09-09 1977-02-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ungsten carbide or mixed metal carbides
JPH06212341A (ja) * 1993-01-19 1994-08-02 Tokyo Tungsten Co Ltd 超硬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20352A (ja) * 1994-10-19 1996-05-14 Toshiba Tungaloy Co Ltd 超硬合金組成物の再生方法および超硬合金の製造方法
JPH10183265A (ja) * 1996-07-17 1998-07-14 Nanodyne Inc 酸温浸を用いる炭化タングステン/コバルトの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090A (en) * 1971-09-09 1977-02-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ungsten carbide or mixed metal carbides
JPH06212341A (ja) * 1993-01-19 1994-08-02 Tokyo Tungsten Co Ltd 超硬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20352A (ja) * 1994-10-19 1996-05-14 Toshiba Tungaloy Co Ltd 超硬合金組成物の再生方法および超硬合金の製造方法
JPH10183265A (ja) * 1996-07-17 1998-07-14 Nanodyne Inc 酸温浸を用いる炭化タングステン/コバルトの再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1612B2 (ja) タングステン焼結体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該ターゲットを用いて成膜したタングステン膜
US9120707B2 (en) Cubic boron nitride sintered body and cubic boron nitride sintered body tool
JP5054854B2 (ja) 放電加工用電極
CN110204338A (zh) 一种常压固相烧结的高纯SiC陶瓷及其制备方法
CN110387496B (zh) 一种表层无TiC相的WC-TiC-Co基梯度硬质合金及其制备方法
US8765272B2 (en) Cermet and coated cermet
CA2450170C (en) Surface-treated ultrafine metal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nductive metal paste of the same, an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ing said paste
EP4039389A1 (en) Heat-resistant alloy, heat-resistant alloy powder, heat-resistant alloy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3634761A (zh) 一种稀土氧化物强化钨铜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4988917A (zh) 一种纳米复合高硬度陶瓷刀具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9173058A (ja) 被膜が形成された金属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金属粉を用いた積層造形物
EP3050985A1 (en) Metal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compound, granulated powder, and sintered body
US9586847B2 (en) Tin oxide refractory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20000024552A (ko) 텅스텐산화물의 열처리에 의한 특성 개선방법
JP2003112963A (ja) アルミナ焼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42974B1 (en) Metal powder for powder metallurgy, compound, granulated powder, and sintered body
JP4598212B2 (ja) Wc基複合セラミックス焼結体の製造方法
CN115815623A (zh) 一种高温合金激光选区熔化增材部件制造方法
WO2019098183A1 (ja) 炭化タングステンを含む粉末
KR102419945B1 (ko) 경질 소결체
EP3480328B1 (en) Super hard sintered body
JP5618364B2 (ja) 超微粒かつ均質なチタン系炭窒化物固溶体粉末の製造方法
EP3266034B1 (de) Komponente eines ionenimplanters
CN112441830B (zh) 一种高品质因数钇掺杂氧化锆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993813A (zh) 碳化钨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