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064A - 산약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산약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064A
KR20000023064A KR1019990038617A KR19990038617A KR20000023064A KR 20000023064 A KR20000023064 A KR 20000023064A KR 1019990038617 A KR1019990038617 A KR 1019990038617A KR 19990038617 A KR19990038617 A KR 19990038617A KR 20000023064 A KR20000023064 A KR 2000002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ing
dish
shaped groove
powd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387B1 (ko
Inventor
다케다나카지
이나하라다카미쓰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0002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산약의 비산에 따른 불만족을 방지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정비도 용이한 산약분배장치를 제공한다.
산약분배접시(5)를 바깥가장자리가 안가장자리 보다도 높고, 이 바깥가장자리에서 외주측으로 컬러(22)가 일체적으로 뻗어 있도록 프레스가공 함으로써 형성하여, 상기 컬러(22)를 개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산약분배장치{DISPENSING APPARATUS FOR POWER MEDICINE}
본 발명은 산약(散藥)을 1봉지만큼씩 분배하기 위한 산약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산약분배장치에서는 산약분배접시의 링형상홈에 수용한 산약을 긁어내는 장치(搔出裝置)로 외주측에 1봉지만큼씩 긁어낸다. 산약분배접시로부터 긁어낸 산약은 포장장치에 의하여 포장된다.
상기 산약분배접시에서는 링형상홈안의 산약을 긁어내는 장치로 긁어낼 수 있도록, 링형상홈의 외주측의 경사각(rake angle)(링형상 홈의 외주가장자리에서의 접선과 수평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23도 전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형상홈내에 산약을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산약분배접시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산약이 외주에 비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산약분배접시를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하여, 링형상홈에 수용한 산약을 안쪽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포장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예컨대, 특개 평8-85502호 공보 등 참조). 이에 따르면, 링형상 홈의 외주측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여도, 긁어내는 장치에 의한 긁어내는 읽이 문제가 되지 않으며, 산약의 비산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산약분배장치에서는 링형상홈의 외주측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였을 뿐이므로, 산약의 비산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는 안내로울러는 외부에 노출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산한 산약이 양부재의 접촉부분에 부착하여 이상한 소리나, 덜커덩거림을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덜커덩거림이 발생하면, 산약이 링형상홈에 지그재그, 편심, 또는 일부에 집중한 상태에서 분배되어, 긁어내는 장치에 의하여 정확히 1봉지만큼을 긁어내는 것이 곤난하게 된다.
또, 산약분배접시의 하부에 고정한 지지링을 여러 개의 안내로울러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중심과 링형상홈의 중심과를 일치하지 않는 것이 많아서, 그 때문의 조정도 대단히 곤난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산약의 비산에 따른 불만족을 방지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정비도 용이한 산약분배장치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주부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링형상홈을 구비한 산약분배접시를 일정한 피치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링형상홈에 퇴적한 산약을 긁어내는 장치에 의하여 1봉지만큼씩 긁어낼 수 있다고 하는 산약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약분배접시를 바깥가장자리가 안쪽가장자리 보다도 높고, 이 바깥가장자리에서 외주측으로 칼라부가 일체적으로 뻗어 있도록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칼라부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산약분배접시는 외주에 뻗어 있는 칼라부에 의하여 고속회전시켜도 흔들리는 일이 없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 위에, 안쪽가장자리에 비하여 바깥가장자리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형상홈에 수용한 산약이 외주측에 비산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산약분배접시의 칼라부의 하방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회전지지링을 산약분배접시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예컨대 회전중심과 링형상홈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링과, 이 회전지지링을 회전시키는 로울러 등을 상기 산약분배접시의 회전시에 비산하는 산약을 끼어들수 없는 위치에 설치하면 공급기에서 산약분배접시에 산약을 공급하는 경우, 산약분배접시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예컨대 산약이 비산하였다 하여도, 회전지지링과 로울러의 접촉부분에 끼어드는 일이 없어, 소음이나 회전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산약분배장치를 구비한 산약분할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투입호퍼 및 진동공급기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산약분배접시에의 산약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산약분배접시의 단면도.
도 6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긁어내는 장치의 사시도(a), 그 긁어내는 평판의 단면도(b), 및 그 밖의 긁어내는 평판의 단면도(c).
도 7은 도 1의 포장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산약분할 포장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도 6에 도시한 긁어내는 장치의 긁어내는 평판이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단면도(a), 및 긁어내는 평판이 속도조정구간과 감속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단면도(b).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집진장치의 개략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집진장치의 정면도(a) 및 측면도(b).
도 12는 도 5의 산약분배접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지지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5에 도시한 산약분배접시와 지지링의 접속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약분배장치 2 : 포장장치
3 : 투입호퍼(投入hopper) 4 : 진동공급기(feeder)
5 : 산약분배접시 6 : 링형상홈(環狀溝)
7 : 긁어내는 장치(搔出裝置) 9 : 제어장치
22 : 칼라부(collar部) 23 : 베어링
24 : 지지링 25 : 칸막이판
26 : 가이드판 27 : 긁어내는 판(搔坂)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산약분배장치(1)와, 포장장치(2)를 구비한 산약분할 포장장치이다. 산약분배장치(1)에서는, 투입호퍼(3)에 수용한 산약을 진동공급기(4)를 통하여 산약분배접시(5)의 링형상홈(6)에 공급하고, 긁어내는 장치(7)에 의하여 포장장치(2)에 긁어낸다. 포장장치(2)는 산약분배장치(1)로부터 긁어낸 산약이나, 정제분할기(8)에서 공급되는 정제를 포장한다. 이것들 각 장치는 제어장치(9)(도 8 참조)에 의하여 구동제어한다.
투입호퍼(3)는 도 2에 도시한 지지장치(10)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장치(10)는 지주(11)의 상부에 회전축(10a)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부재(12)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12)의 일단부는 투입호퍼(3)의 상부에 고정되었고, 타단부는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요동하는 아암부재(1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모터(13)에는 스테핑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투입호퍼(3)는 모터(13)를 구동하고, 아암부재(14)를 개재하여 지지부재(12)를 회전운동함으로써, 목적하는 개구각도에서 정지한다. 또, 투입호퍼(3)는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진동하고, 표면에 부착한 산약을 다음에 설명하는 진동공급기(4)의 트로프(trough)(15)에 낙하시킨다. 그 위에, 투입호퍼(3)에 부착한 산약는 투입호퍼(3)를 직접 솔레노이드로 타격함으로써 트로프(15)에 낙하시킬 수도 있다.
진동공급기(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로프(15)가 2장의 압전소자(16)에 의하여 소정주파수로 진동한다. 압전소자(16)는 트로프(15)의 하방에 설치한 지지판(17)과 고정받침대(19)와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17)에는 압전소자(16) 사이에 센서(18)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받침대(19)는 스프링(20)으로 압전소자(16)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그 밖의 부분에의 전달을 방지한다.
상기 트로프(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2단계로 낮아져서 환상홈(6)에 접근한다. 이 때문에, 링형상홈(6)에 공급되는 산약은 그 영향이 되돌아오기 어렵다. 그 위에, 트로프(15)의 선단부에는 링형상홈(6)의 내외주에 대하여 유도홈(21a, 21b)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급된 산약은 각기 최하점(6a) 측으로 힘차게 튀어올라서 서로 충돌하여, 주위에 비산하는 일은 없고 최하점(6a)을 정점으로 하여 내외주측으로 분산하여 퇴적한다. 또, 트로프(15)에서 낙하하는 산약량은 산약검출센서(15a)에 의하여 검출된다.
산약분배접시(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를 프레스가공 함으로써, 단면이 원호형상인 링형상홈(6)을 구비한 도우넛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홈(6)은 최하점(6a) 보다도 내주측의 오목면이 캠버각(camber angle)(a)(링형상홈(6)의 외주가장자리에서의 접선과 수평면과의 이루는 각도)을 약 23.5도로 형성되어 있음에 대하여, 최하점(6a) 보다도 외주측의 오목면이 캠버각(b)(링형상홈(6)의 외주가장자리에서의 접선과 수평면과의 이루는 각도)을 약 50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주가장자리에 비하여 외주가장자리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산약분배접시(5)를 고속회전(1분간에 60회전)함으로써, 링형상홈(6)내의 산약에 커다란 원심력이 작용하여도 외주측으로의 비산이 저지된다.
상기 산약분배접시(5)의 외주가장자리에는 칼라부(2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칼라부(22)의 하면에는 지지링(24)이 지름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나사식 고정되어 있다. 지지링(24)의 내면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었고, 그 대략 수직면과 수평면과는 베어링(23)에 각기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링(24)의 외주부에는 구동기어(25a)가 맞물리고, 모터(25)의 구동에 의하여 산약분배접시(5)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긁어내는 장치(7)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26), 가이드판(27) 및 긁어내는 판(28)으로 되어 있다. 칸막이판(26)은 원형, 가이드판(27)은 부채꼴이며, 각 외주가장자리는 상기 산약분배접시(5)의 링형상홈(6)과 동일 곡률로 형성되었고, 또 그것들의 회전중심의 회전축(29)에 의하여 연결되어서 일정한 긁는 폭만큼 사이가 떨어져 있다. 긁어내는 판(29)은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었고, 상기 칸막이판(26)과 가이드판(27) 사이에 일체화되어서 한봉지분의 산약을 긁어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긁어내는 판(28)의 선단은 도 6(b)에 도시한 구성이 였어도 좋으나,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28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노치(28a)를 형성하였을 경우, 긁어내는 판(28)이 링형상홈(6)의 산약을 긁어내어 산약분배접시(5)에서, 이반하는 경우의 되튀김을 방지하게 된다. 긁어내는 장치(7)는 칸막이판(26)이 산약분배접시(5)에 접촉하는 하강위치와 산약분배접시(5)로부터 떨어진 상승위치와의 사이를 승강할 수 있다. 그 위에, 긁어내는 장치(7)에 의하여 산약분배접시(5)로부터 긁어내어진 산약은 포장호퍼(30)를 통하여 다음의 포장장치(2)에 공급된다.
포장장치(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시이트(S)의 반송로에 설치한 시이트폭 방향 가열용의 1쌍의 가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1)와, 시이트측 가장자리 가열용의 1쌍의 세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2)로 되어 있다. 가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1)는 부채꼴로 형성된 가로가열면(31a)과 직선상으로 형성된 송출면(31b)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각 로울러(31, 32)는 기어에 의한 전달기구를 개재하여 구동모터(33a, 33b)에 각기 접속되어 있다. 약제포장부에서는, 가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1)의 각 송출면(31b)을 대향시켜서, 세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2)를 회전한 다음, 가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1)의 각 가로가열면(31a)을 대향시켜서 밀봉을 함으로써, 밀봉을 하기까지의 포장시이트(S)의 이동량을 적당히 조정하여 약제분포(分包)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가로가열용 히이트 로울러(31)의 가로가열면(31a)에 설치한 미싱칼(31c)에 의하여 밀봉된 약제분포에 대하여 미싱구멍(perforated)을 형성할 수 있다(필요하다면, 일본국 특개 평8-230832호 공보, 특개 평9-202301호 공보 참조). 그 위에, 포장시이트(S)에는 프린터(34)(도 8 참조)로 환자명이나 복용시간 등의 소정의 인쇄를 하게 된다.
정제분할기(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눈금모양의 용기(35)를 병설한 것으로, 상기 산약분배접시(5)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각 용기(35)에는 정제를 손뿌림(hand sowing)으로 공급하고 있다. 각 용기(35)의 저부는 개폐할 수있는 저판셔터(도해없음)로 구성되어 있다. 저판셔터(底板 shutter)는 정제분할기(8)의 이동에 따라서 순차개방한다. 정제분할기(8)의 하방에는 셔터를 구비한 슈우트(chute)(36)가 배설되어 있다.
제어장치(9)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37)으로부터 분할수나 동작조건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분할수는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계량조합한 산약을 투입호퍼(3)에 투입한 다음, 1일의 복용회수와 처방일수 등으로부터 산출한다. 동작조건이라 함은, 주로 공급량을 약제의 종류가 바뀔때마다 조정한다거나, 포장형태 등의 설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제어장치(9)에는 산약검출센서(15a)나 진동공급기(4)의 센서(18)(도 2 참조)로부터 순서기(sequencer)(38)를 개재하여 각기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장치(9)는 이것들 입력정보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순서기(38, 39, 40)에 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순서기(38)는 진동공급기(4)의 압전소자(16)(도 2 참조), 산약분배접시(5)의 회전용 모터(25) 및 긁어내는 장치(7)의 회전용 모터(7a) 등을 각기 구동제어한다. 순서기(39)는 포장시이트(S)를 점착하여 자루형상으로 하는 각 히이트 로울러(31, 3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31a, 32a)를 구동제어한다. 순서기(40)는 포장시이트(S)에 환자명이나 복용시간 등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34)를 구동제어한다.
그 위에, 제어장치(9)에는 마이크로 컴퓨우터에서 개인용 컴퓨우터까지의 개념을 포함하게 된다. 또, 제어장치(9)에 입력되는 정보는 호스트 컴퓨우터(41)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산약분할 포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포장이 개시되면, 지지장치(10)의 모터(13)를 구동하여, 투입호퍼(3)를 소정각도에서 개구시켜, 수용한 산약을 진동공급기(4)의 트로프(15)상에 공급한다.
이동공급기(4)에서는 입력수단(37)에 의하여 설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압전소자(16)에 의하여 트로프(15)를 약 100Hz의 주파수로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투입호퍼(3)내의 산약이 트로프(15)에서 산약분배장치(5)의 링형상홈(6)에 순차공급된다. 이때, 모터(13)를 구동하여 산약분배접시(5)를 고속회전(1분동안에 60회전)시켜, 링형상홈(6)내에 산약을 균등하게 분산시킨다. 산약분배접시(5)는 외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칼라부(22)에 의하여 안정한 회전상태를 유지한다. 또, 산약분배접시(5)는 링형상홈(6)의 외주측의 오목면이 큰 캠버각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바깥가장자리가 안가장자리 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형상홈(6)내의 산약의 비산을 저지한다. 또, 산약분배접시(5)를 지지하는 베어링(23)은 지지링(24)에 의하여 가리어져 있다. 따라서, 예컨대 링형상홈(6)으로부터 산약이 비산하였다 하여도, 지지링(24)과 베어링(23)의 접촉부분에 끼어드는 일은 없다.
산약분배접시(5)에 산약의 공급은 트로프(15)의 선단부에 설치한 센서(15a)로 감시한다. 그리하여, 센서(15a)에 의한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산약의 공급이 종료하였다고 판단되면, 투입호퍼(3)의 내면에 부착한 산약을 제거함과 동시에, 압전소자(16)를 완전가동시켜서, 트로프(15)에 부착한 산약을 완전히 낙하시킨다. 또, 산약분배접시(5)의 회전을 정지한다.
뒤이어, 긁어내는 장치(7)를 산약분배접시(5)의 링형상홈(6)내에 강하시킨다. 그리고, 모터(25)를 구동하여 산약분배접시(5)를 일정 피치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칸막이판(26)과 가이드판(27) 사이에 1봉지분의 산약을 모을 수 있다. 그래서, 긁어내는 장치(7)를 회전구동하여, 긁어내는 판(28)에 의하여 모은 산약을 산약분배접시(5)의 중심구멍으로 긁어낸다. 또, 산약분배접시(5)를 상기와 같은 일정 피치각도로 회전시켜, 다음의 산약의 긁어내는 동작에 대비한다.
그런데, 상기 긁어내는 장치(7)의 회전속도는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즉, 긁어내는 판(28)이 도 9(a)에 도시한 초기위치로부터 도 9(b)로 도시한 산약분배접시(5)에 이르는 속도조정구간에서는, 통상 감속하는 일이 없이 일정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나, 산약분배접시(5)가 일정 피치각도로 회전하기까지에 긁어내는 판(28)이 링형상홈(6)에 이르는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속도조정(감속)한다. 이 판단은 미리 기억한 포장수나 산약분배접시(5)의 송출각도의 증감에 대응한 시간데이터에 따라서 한다.
이에 따라, 산약분배접시(5)의 회전중에 가이드판(27)이 링형상홈(6)내에 침입함에 의한 분포오차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긁어내기판(28)이 링형상홈(6)을 통과하는 감속구간에서는 수용한 산약을 확실하게 긁어낼 수 있도록 저속회전한다. 그리고, 긁어내는판(28)이 속도조정구간을 초과하면, 일단정지 또는 최저속도까지 감속한다. 그런다음, 가속구간에서 회전속도를 증대하여, 상기와 같은 속도조정 구간을 거쳐 초기위치에 복귀한다.
한편, 포장장치(2)에서는 감긴 길죽한 포장시이트(S)를 되돌려감아서, 프린터(34)에 의하여 필요한 환자명이나 복용시간 등을 프린팅한 다음 하나를 2개로 접으면서 순차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밀봉한다. 그리고, 상기 긁어내는 장치(7)로부터 긁어낸 산약이 포장호퍼(29)를 통하여 수용된다면 옆편 개구부로 밀봉한다. 이에 따라, 1봉지분의 산약의 포장을 완성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산약분배접시(5)로부터의 산약의 긁어내는 처리 및 포장장치(2)로 긁어낸 산약의 포장처리를 설정포수에 도달하기까지 반복한다. 산약분배접시(5)의 링형상홈(6)은 전체 긁어내는 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나중에 설명하는 회전브러시 부착 세척기(42)로 청소한다.
그 위에, 상기 진동공급기(4)의 투입호퍼(3)의 투입구부근에는 도 10 및 도 11(a), (b)에 도시한 집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장치는, 통상 프레임 본체(34)와 세척기장치(35)로 되어 있다. 통상 프레임 본체(34)는 지지파이프(3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고, 투입호퍼(3)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한다. 통상 프레임 본체(34)의 내면에는 집진구(37)가 형성되었고,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지지파이프(36)에 연통하고 있다. 세척기장치(35)는 필터(38) 및 팬(39)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파이프(36)와 세척기장치(35)와의 사이에는 유량조정장치(40) 및 전환밸브(41)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조정장치(40)는 상기 집진구(37)로부터의 흡인량을 조정한다. 전환밸브(41)는 세척기장치(35)를 상기 통상 프레임 본체(34), 회전브러시 부착 세척기(42) 및 흡인파이프(43)에 전환하고 있다. 회전브러시 부착 세척기(42)는 산약분배접시(5)의 청소에 이용한다. 흡인파이프(43)는 그 밖에 희망하는 개소의 청소에 이용한다.
상기 집진장치에서는 산약을 투입호퍼(3)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전환밸브(41)를 통상 프레임 본체(34)로 전환하고, 팬(39)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투입호퍼(3)내의 약분진이 집진구에서 통상 프레임 본체(34)내에 흡인되어, 지지파이프(36)를 통하여 필터로 회수된다.
또, 상기 지지링(24)은 도 12(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3)에 의하여 외주면과 하면을 지지한다거나,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로울러(50)로 내주면을 지지한다거나, 나아가서는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3)에 의하여 내주면과 외주경사면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a)에서는 지지링(24)의 외주가장자리로부터는 상방으로 향하여 링가이드(4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도 12(b)에서는, 지지링(24)을 지지하는 베어링(23)의 외주측이 가이드부재(45)에 의하여 가리어져 있다. 도 12(c)에서는, 지지링(24)의 하방에 배설된 저판(51)에 안내로울러(5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로울러(50)의 외주에 형성한 링형상홈(50a)에 지지링(24)의 내주면에 형성한 링형상 돌출부(24a)가 위치하고 있다. 도 12(d)에서는, 베어링(23)이 산약분배접시(5)의 안쪽하방으로 향하여 굴곡된 지지링(24)의 외주경사면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산약분배접시(5)로부터 산약이 비산하여도 이 산약은 링가이드(44), 가이드부재(45), 지지링(24) 및 저판(51)에 의하여 차단되고, 또 비산장소에 위치하지 않아서 지지링(24)과 베어링(23)이나 안내로울러(50)의 사이에 끼이는 일은 거의 없다.
상기 링가이드(44)는 상기 가이드부재(45)와 같이 연장설치함으로써, 베어링(23)의 외주측을 가리우도록 하여도 좋다. 또, 링가이드(44) 대신에, 산약분배접시(5)의 외주부를 연장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컨데, 산약분배접시(5)의 회전지지링(24)과 베어링(23)과의 접촉부분에 산약분배접시(5)의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한 과립 등의 산약이 끼어들지 않는 다면 그 구성은 문제시할 것 없다.
또, 베어링(23)의 표면에 수지 등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재료를 굳게 부착한다거나, 베어링(23)의 표면을 수지나 고무 등의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산약의 분배접시(5)의 고속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어링(23)에 지름이 큰 것을 채용한다면 베어링(23)의 회전속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나 소음,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산약분배접시(5)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칼라부(22)를 직접지지링(24)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칼라부(22)를 하방으로 향하여 굴곡하고, 이 칼라(22)를 지지링(24)의 상면 오목부(24a)와 접시나사(46)(칼라부(22)와 같은 경사구배를 지닌 잠금쇠라도 좋다.)와의 사이에 끼워둔다. 이에 따라 구조가 간략화된다. 또, 산약분배접시(5)는 나사구멍이 없는 굴곡한 칼라부(2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굴곡강도가 크다. 특히, 칼라부(22)의 휨각(angle of bend)이 커짐에 따라서, 이 휨 강도는 증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약분배접시의 바깥가장자리에 칼라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안정한 상태에서 고속회전시킬 수 있다. 또, 산약분배접시의 바깥가장자리가 내연보다도 높으므로, 링형상홈에 수용한 산약이 주위에 비산하는 일은 없다. 그 위에, 산약분배접시는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산약분배접시의 칼라부의 하방에 내주를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지지링을 산약분배접시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므로, 회전중심과 링형상홈(6)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상 산약의 분배량을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지지링과 이 회전지지링을 회전시키는 로울러 등을 산약분배접시의 회전시에 비산하는 산약이 섞여 들어갈 수 없는 위치에 설치하였으므로, 만일 산약이 비산하여도 소음이나 진동 등의 동작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Claims (3)

  1. 외주부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링형상홈을 구비한 산약분배접시를 일정한 피치각도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링형상홈에 퇴적한 산약을 긁어내는 장치로 1봉지씩 긁어낼 수 있도록 하는 산약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약분배접시를 바깥가장자리가 내연보다도 높아서, 이 바깥가장자리에서 외주측으로 칼라부가 일체적으로 뻗어있도록 프레스가공 함으로써 형성하여, 상기 칼라부를 개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약분배접시의 칼라부의 하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지지링을 산약분배접시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분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링과 이 회전지지링을 회전시키는 로울러 등을, 상기 산약분배접시의 회전시에 비산하는 산약 섞여들어갈 수 없는 위치에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분배장치.
KR1019990038617A 1998-09-10 1999-09-10 가루약 분배장치 KR10062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56224 1998-09-10
JP25622498A JP4057159B2 (ja) 1998-09-10 1998-09-10 散薬分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064A true KR20000023064A (ko) 2000-04-25
KR100623387B1 KR100623387B1 (ko) 2006-09-12

Family

ID=1728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617A KR100623387B1 (ko) 1998-09-10 1999-09-10 가루약 분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57159B2 (ko)
KR (1) KR100623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033A (ko) * 2009-04-10 2010-10-2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38B1 (ko) 2012-09-19 2020-08-1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CN102991736A (zh) * 2012-12-12 2013-03-27 无锡兰桂联芳医疗科技有限公司 数药机药粒排队调节机构
TWI673207B (zh) * 2013-07-12 2019-10-01 日商湯山製作所有限公司 藥劑加料器和藥劑配發裝置
WO2015076267A1 (ja) * 2013-11-22 2015-05-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WO2015076266A1 (ja) * 2013-11-22 2015-05-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JP6562267B2 (ja) * 2013-12-02 2019-08-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払出し方法
WO2015141660A1 (ja) 2014-03-18 2015-09-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KR101701879B1 (ko) 2015-01-27 2017-02-02 류재경 산제 조제기
CN106742375A (zh) * 2016-12-30 2017-05-31 楚天智能机器人(长沙)有限公司 用于装盒机药板输送系统的检测方法及装置
CN107719718A (zh) * 2017-11-14 2018-02-23 信远德怡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粉剂自动分剂量装置
CN108981327A (zh) * 2018-08-22 2018-12-11 内蒙古普康药业有限公司 一种药材炒药机
KR20240004218A (ko) 2021-04-27 2024-01-1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4840B2 (ja) * 1994-09-19 2002-11-18 正二 湯山 薬剤の容量分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033A (ko) * 2009-04-10 2010-10-20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7159B2 (ja) 2008-03-05
JP2000085703A (ja) 2000-03-28
KR100623387B1 (ko) 200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3064A (ko) 산약분배장치
EP0761197B1 (en) Medication filling apparatus
EP08406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avities
KR101860578B1 (ko) 약제 불출기의 가루 제거 장치
US20230192340A1 (en) Rotary Filling Machine
EP0521481B1 (en) Centrifugal feeder
JP4787338B2 (ja) 薬剤分包機
JPH0218227A (ja) ばら材の定量供給装置
JP4837641B2 (ja) 散薬分配装置
US6377648B1 (en) Pill counter and method of counting pills
JP2000085701A (ja) 散薬フィーダ
CZ287573B6 (cs) Dávkovací zařízení zrnitých nebo práškových látek
JP2004536706A (ja) 破砕装置及びそのロータ
KR20000023065A (ko) 산약피이더
JPH0710684B2 (ja) 回転式分包機
JP4420494B2 (ja) 粉体供給装置
KR20110112088A (ko) 분말약 정량 분배장치
KR100393719B1 (ko) 약제의용량분할장치
JP2563196Y2 (ja) 散薬定量供給装置
US3982672A (en) Applicators of granular materials
JPS6236097Y2 (ko)
US4033516A (en)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RU2217898C2 (ru)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JPH11180563A (ja) 粉体用ロータリー枡式定量切出し機
JPS5913410B2 (ja) ホッパ−式配量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