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948A -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948A
KR20000022948A KR1019990037820A KR19990037820A KR20000022948A KR 20000022948 A KR20000022948 A KR 20000022948A KR 1019990037820 A KR1019990037820 A KR 1019990037820A KR 19990037820 A KR19990037820 A KR 19990037820A KR 20000022948 A KR20000022948 A KR 20000022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input
signal
output signal
inpu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와이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2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4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 H03K19/003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인터페이스 회로가 신호파형의 링잉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버퍼 집적회로에서는, 입력버퍼에 대한 입력신호의 레벨과 기준레벨을 비교기에 의해 비교한다.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온오프되도록 동작시켜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출력버퍼로부터의 파형의 링잉이 큰 경우에도, 이 링잉을 "H" 레벨신호로 인식하지 않아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INTERFACE CIRCUIT AND INPUT BUFFE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이하, PC 라고 함) 등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주변기기 등에 설치되고, 그 PC 등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입력버퍼의 입력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0 은 PC 와 주변기기간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종래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PC 측의 출력버퍼 (2), 주변기기 측의 입력버퍼 (5), 및 두 버퍼를 접속하는 케이블 (3) 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버퍼 (2) 는 하나의 단일 칩에 집적된 버퍼집적회로 (1)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입력버퍼 (5) 는 하나의 칩에 집적된 버퍼집적회로 (6)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출력버퍼 (2) 의 출력단과 입력버퍼의 입력단의 임피던스가 서로 매칭되지 않을 경우, 입력버퍼 (5) 의 입력단에서의 신호에 반사 (reflection) 가 생긴다. 이 반사로 인하여, 입력 버퍼 (5) 의 입력단의 신호에 도 11 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파형과 같은 링잉 (ringing) 이 발생된다. 도 11 에서, PCOUT 는 도 10 에 도시된 PC 측의 출력버퍼 (2) 의 출력파형에 해당하고, PERIIN 은 주변기기 측의 입력버퍼 (5) 의 입력파형에 해당한다. 도 11 은 신호 하강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PC 와 주변기기간의 인터페이스에 자주 사용되는 어드밴스트 테크놀로지 (AT) 인터페이스에서는,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로직 (TTL)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1 의 기간 (a) 와 같이 파형의 링잉이 0.8 V 를 초과할 경우, 주변기기 측의 입력버퍼 (5) 에서는, 이 링잉을 "H" 레벨신호로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을 초래할 수가 있다.
근본적으로, 반사에 의한 링잉은 임피던스를 매칭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불특정 PC 와의 접속을 필요로하는 주변기기에서는, 출력 드라이버, 접속 케이블, 접속 커넥터 등의 사양 및 재질의 차이에 의해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임피던스 매칭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의 추구는 효과적인 링잉 대책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파형의 링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입력버퍼의 입력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행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입력버퍼 집적회로는, 제 1 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입력버퍼, 및 상기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단일 칩상에 상기 입력버퍼와 함께 집적되며,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행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PC 와 그 주변기기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 간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주변기기 측의 입력버퍼의 입력부에 액티브 클램핑회로를 설치한다.
그 다음, 기준전압을, 예를 들어, 0.3 V 로 설정함으로써, 입력파형의 언더슈팅 (under-shooting) 으로 인한 링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로구성을 변경하여, 소정의 레벨 이상의 전압레벨에서 클램핑함으로써 오버슈팅 (over-shooting) 으로 인한 링잉을 억제할 수도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의 고찰로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설명과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비교기의 회로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2 의 트랜지스터 (M16 및 M17) 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2 의 트랜지스터 (M18 및 M19) 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2 의 트랜지스터 (M5, M6, M8 및 M9) 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도 2 의 차동비교부 및 비교결과 출력부의 DC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도 1 에서의 동작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파형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대한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 은 PC 와 주변기기간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종래의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 은 도 10 에서의 각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6 : 버퍼집적회로 2 : 출력버퍼
3 : 케이블 5 : 입력버퍼
CMP1 : 비교기 NTR1 : 클램핑 트랜지스터
NOR1 : 2입력 NOR 게이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여러개의 특정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한 설명없이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것으로는,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물들을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에서, 출력버퍼 (2) 는 버퍼 집적회로 (1)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입력버퍼 (5) 는 버퍼 집적회로 (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버퍼 (2) 와 입력버퍼 (5) 는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버퍼 집적회로 (4) 는 비교기 (CMP1), 클램핑 트랜지스터 (NTR1), 2입력 (two-input) NOR 게이트 (NOR1) 및 입력버퍼 (5) 로 구성된다.
비교기 (CMP1) 의 회로구성의 일 예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비교기 (CMP1) 는 기준전위 입력단자 (VREF), 비교신호 입력단자 (VIN), 정지신호 입력단자 (STOP) 및 비교결과 출력단자 (VO) 를 가지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 (M16, M17, M18 및 M19), 차동비교부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M8, M5, M9, M6, M3, M1, M4 및 M2), 비교결과 출력부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 (M10 및 M11), 정지신호의 입력에 의해 동작을 정지시키는 트랜지스터 (M20 및 M21), 및 인버터 (M22) 를 구비한다.
도 2 에서, 각 트랜지스터에 부여되어 있는 "N= W/L" 또는 "P= W/L" (W 와 L 은 임의의 수치) 는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W 는 게이트 폭, L 은 게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N 은 N형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를 나타내고, P 는 P형 MOS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인버터 (M22) 는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10/7.5 는 PMOS 트랜지스터의 크기와 NMOS 트랜지스터의 크기와의 비율을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비교기는 일반적인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차동비교부의 트랜지스터 (M5) 와 트랜지스터 (M6) 는 트랜지스터 크기가 다르다. 이에 의해, 이 비교기가 오프셋을 가진 비교기로서 동작하게 된다.
먼저, 정지신호 입력단자 (ST0P) 가 "H" 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M16) 는 OFF 로 되고, 트랜지스터 (M21) 는 ON 으로 된다. 그 후, 노드 (M160) 의 전위는 접지 (GND) 레벨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17, M18, M7, M11) 가 OFF 로 된다. 한편, M20 이 전원 (VDD) 레벨이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M19, M8, M9) 는 OFF 로 된다. 따라서, 전원 (VDD) - 접지 (GND) 사이의 모든 전류경로가 차단되어, 정지상태로 된다.
이하, 정지신호 입력단자 (STOP) 가 "L" 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M20 및 M21) 는 OFF 로 되고, 트랜지스터 (M16) 는 ON 으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16 및 M17) 에 의하여 노드 (M160) 에서 바이어스 전압이 생성된다. 이 바이어스 전압의 값은 도 3 에 도시된 두 트랜지스터의 DC 특성의 교점인 약 1.4 V 로 판단된다.
그 다음, 트랜지스터 (M18 및 M19) 에 의하여 노드 (M190) 에서 바이어스 전압이 생성된다. 이 바이어스 전압의 값은 도 4 에 도시된 두 트랜지스터의 DC 특성의 교점인 약 2.8 V 로 판단된다.
이 2개의 바이어스 전압들은 제어된다. 그 후, 차동비교부가 동작한다. 즉, 트랜지스터 (M8 및 M9) 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정전류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각 트랜지스터들 (M5 및 M6) 과의 관계에 의하여 전압 (M80 및 M90) 이 결정된다.
도 5 는 기준전압 (VREF) 이 0 V 이고 입력신호 전압레벨 (VIN) 이 O V 일 때의 트랜지스터 (M8, M9, M5 및 M6) 의 DC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교점인 2.7 V, 2.9 V 는 노드 (M80 및 M90) 의 전압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M5 및 M6) 의 트랜지스터 크기 차이로 인하여, 오프셋이 발생된다.
트랜지스터 (M1 및 M2) 는 각 노드 (M80 및 M90) 의 전압을 받아서 동작한다. 그러나, 노드 (M160) 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정전류원으로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 (M7) 에 의하여, 2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류의 합이 일정해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1 및 M2) 의 ON 저항차에 따라서 두 트랜지스터 (M1 및 M2) 에 흐르는 전류에 차가 발생하여, 노드 (M30) 와 노드 (M4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차동비교부의 노드 (M40) 의 레벨을 받아, 비교결과 출력부의 트랜지스터 (M10 및 M11) 에 의하여 비교결과 (V0) 가 결정된다.
도 6 은 차동비교부 및 비교결과 출력부의 기준전압 및 입력신호 전압레벨 이 각각 VREF = 0 V, VIN = -1 내지 +5 V 일 경우의 DC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기준전압 (VREF) 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트랜지스터 (M5) 의 게이트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노드 (M80) 의 전압치는 일정하게 되는 반면, 노드 (M90) 의 전압은 입력신호 전압레벨 (VIN) 값에 따라 변하게 된다. VIN = - 0.3V 에서, 노드 (M80) 의 전압치는 노드 (M90) 의 전압치와 동일하게 되고, 노드 (M30) 의 전압치는 노드 (M40) 의 전압치와 동일하게 된다. 이 상태를 경계로, VIN < - 0.3 V 일 경우, 노드 (M80) 의 전압치는 노드 (M90) 의 전압치보다 크게 된다. 노드 (M30) 의 전압치가 노드 (M40) 의 전압치보다 더 크기 때문에, V0 = "L" 이 된다. VIN > - 0.3 V 일 경우에는, 노드 (M80) 의 전압치가 노드 (M90) 의 전압치보다 작고, 노드 (M30) 의 전압치가 노드 (M40) 의 전압치보다 크기 때문에, V0 = "H" 이 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회로구성에서와 같이 VREF = 0 V 로 설정된 경우, 비교기 (CMP1) 는, VIN < - 0.3 V 일 경우에는 V0 = "L" 을 출력하고 VIN > - 0.3 V 일 경우에는 V0 = "H" 를 출력하는 비교기로서 동작한다.
이하, 도 1 의 액티브 클램프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신호 STOP = "L" 일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기 (CMP1) 의 출력 (CMPOUT) 은 입력레벨이 - 0.3 V 이상일 경우에 "L" 로 되고, 클램핑 트랜지스터 (NTR1) 는 OFF 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인터페이스 회로가 통상의 입력버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입력레벨이 - 0.3 V 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교기 (CMP1) 의 출력 (CMPOUT) 이 "H" 로 되고, 클램핑 트랜지스터 (NTR1) 는 ON 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인터페이스 회로가 입력레벨을 0 V 에서 클램프하기 위하여 동작한다.
상술한 동작이 실제의 링잉 파형에 대하여 어떠한 효과를 가져왔는가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서, PCOUT 는 도 1 의 PC 측의 출력버퍼 (1) 의 출력신호에 해당하고, PERIIN은 주변기기 측의 입력버퍼 (5) 의 입력신호에 해당하며, CMPOUT 는 비교기 (CMP1) 의 비교결과 출력신호에 해당하고, NOR10 은 2입력 NOR 게이트 (N0R1) 출력신호에 해당한다.
도 7 에서, 기간 (a) 에서는, 신호 PERIIN 이 - 0.3 V 보다 크기 때문에, 비교기 (CMP1) 의 출력 (CMP0UT) 은 "H" 이다.
기간 (b) 에서는, 신호 PERIIN 의 레벨이 - 0.3 V 이하로 하강한다. 따라서, 비교기 (CMP1) 의 약 5 nS 의 동작지연 후에는, 비교기 (CMP1) 의 출력 (CMPOUT) 이 "L" 로 된다. 이 "L" 레벨의 비교기 출력 (CMPOUT) 에 응답하여, 클램핑 NMOS 트랜지스터 (NTR1) 가 ON 으로 된다.
기간 (c) 에서는, 신호 PERIIN 이 - 0.3 V 보다 크기 때문에, CMPOUT 이 다시 "H" 로 된다. 그 결과, NOR1O 이 "L" 로 되어, 클램핑 NMOS 트랜지스터 (NTR1) 가 OFF 로 되게 된다.
이 일련의 동작의 결과, 도 11 과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잉 레벨이 0.8 V 미만으로 감소되게 된다.
(2) 신호 ST0P = "H" 일 경우
STOP 모드에서는, NOR 게이트 (N0R1) 의 출력이 "L" 로 되어, 클램핑 NMOS 트랜지스터 (NTR1) 가 0FF 로 된다. 그 결과, 인터페이스 회로가 입력신호의 레벨에 관계없이, 통상의 버퍼로서 동작한다. 한편, ST0P = "H" 에 응답하여, 비교기 (CMP1) 는 DC 전류패스가 차단되어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파형의 링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L 의 로우측 입력레벨 규격인 0.8 V 를 상회하는 링잉이 발생하여 오동작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버퍼의 제 2 실시예가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서, 액티브 클램프를 가진 입력버퍼는, 입력버퍼 (5), 비교기 (CMP2), 클램핑 트랜지스터 (PTR1), 인버터 (INV1), 2입력 NAND 게이트 (NAND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입력버퍼는,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 전원 (VDD) 측에 클램프회로를 부가하여, 파형의 상승측 (rising side) 에서의 링잉을 억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서는, 비교기 (CMP1), 클램핑 트랜지스터 (NTR1) 및 2입력 NOR 게이트 (NOR1) 로 구성된 접지 (GND) 측의 클램핑회로, 및 비교기 (CMP2), 클램핑 트랜지스터 (PTR1), 인버터 (INV1) 및 2입력 NAND 게이트 (NAND1) 로 구성된 전원 (VDD) 측의 클램핑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클램핑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입력파형의 상승측 및 하강측에서의 링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케이블 (3) 을 통하여 PC 측의 출력버퍼 (2) 와 입력버퍼 (5) 가 단순히 접속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클램핑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레벨과 기준전위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1개 이상의 비교기, 및 이 비교기의 출력결과에 따라서 온오프가 제어되는 풀업 (pull-up) 트랜지스터 또는 풀다운 (full-down)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액티브 클램프회로는, 입력버퍼의 입력부에 소정 레벨 이하의 전압레벨이 인가되면, 그 레벨을 0 V 에서 클램프하기 위하여 동작한다. 이에 의해, 입력파형의 언더슈트나 오버슈트에 기인한 상승측 또는 하강측에서의 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일탈함이 없이, 상기 및 다양한 수정, 생략 및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 범주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입력신호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신호파형의 링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제 1 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입력버퍼의 입력신호레벨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상기 출력신호의 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행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전원사이에 접속된 풀업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원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풀다운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이고, 상기 제 2 장치는 주변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8. 제 1 장치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입력버퍼;
    상기 제 2 장치에 설치되고,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단일 칩상에 상기 입력버퍼와 함께 집적되며, 상기 출력신호의 레벨과 소정의 기준레벨과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력신호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비교하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행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전원사이에 접속된 풀업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원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풀다운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접지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2.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인터페이스 회로들이 설치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들은 상기 기준레벨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이고, 상기 제 2 장치는 주변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KR1019990037820A 1998-09-16 1999-09-07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KR20000022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60736 1998-09-16
JP10260736A JP2000091902A (ja) 1998-09-16 1998-09-16 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これを含む入力バッファ集積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948A true KR20000022948A (ko) 2000-04-25

Family

ID=1735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820A KR20000022948A (ko) 1998-09-16 1999-09-07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5209B1 (ko)
JP (1) JP2000091902A (ko)
KR (1) KR20000022948A (ko)
CN (1) CN12501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0017B2 (en) * 2004-01-29 2008-02-12 Enpirion, Inc. Driver for a power co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a switch thereof
US7521907B2 (en) * 2006-03-06 2009-04-21 Enpirion, Inc.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893676B2 (en) * 2006-07-20 2011-02-22 Enpirion, Inc. Driver for switch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948280B2 (en) * 2006-10-20 2011-05-24 Enpirion, Inc. Controller including a sawtooth ge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683655B2 (en) * 2007-01-16 2010-03-23 Atmel Automotive Gmbh Integrated circuit
US7876080B2 (en) * 2007-12-27 2011-01-25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monotonic turn-on for pre-charged output capacitor
US9246390B2 (en) 2008-04-16 2016-01-26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7679342B2 (en) * 2008-04-16 2010-03-16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power switch operable in controlled current mode
US8692532B2 (en) 2008-04-16 2014-04-08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410769B2 (en) * 2008-04-16 2013-04-02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686698B2 (en) 2008-04-16 2014-04-01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541991B2 (en) * 2008-04-16 2013-09-24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operable in selected modes of operation
US8698463B2 (en) 2008-12-29 2014-04-15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with a dynamically configurable controller based on a power conversion mode
US9548714B2 (en) 2008-12-29 2017-01-17 Altera Corporation Power converter with a dynamically configurable controller and output filter
JP5394318B2 (ja) * 2010-05-20 2014-01-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差動通信装置
US8867295B2 (en) 2010-12-17 2014-10-21 Enpirion, Inc. Power converter for a memory module
US8885695B1 (en) * 2013-06-26 2014-11-11 Global Unichip Corporation Receiver circuit
US9444455B2 (en) * 2013-12-10 2016-09-13 Sandisk Technologies Llc Load impedance adjustment for an interface of a data storage device
WO2015098041A1 (ja) * 2013-12-25 2015-07-0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信号電位変換回路
US9509217B2 (en) 2015-04-20 2016-11-29 Altera Corporation Asymmetric power flow controller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140301A (zh) * 2015-09-01 2018-06-08 多爱利特公司 用于异步串行通信的半导体装置和控制器以及异步串行通信方法和异步串行通信系统
TWI640163B (zh) * 2018-02-01 2018-11-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輸入介面電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311A (en) * 1990-06-07 1992-07-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djusting impedance matching driver
US5541534A (en) * 1995-02-13 1996-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xed voltage interface converter
US5598119A (en) * 1995-04-05 1997-01-2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ad adaptive pad driver
JPH10126316A (ja) 1996-10-11 1998-05-15 Texas Instr Japan Ltd 終端装置
US5949249A (en) * 1997-04-10 1999-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iver having inductance-controlled current slew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91902A (ja) 2000-03-31
CN1250175A (zh) 2000-04-12
US6285209B1 (en) 200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948A (ko)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버퍼 집적회로
KR920004341B1 (ko) 반도체집적회로의 출력회로
KR100207967B1 (ko) 출력버퍼회로
US7649384B2 (en) High-voltage tolerant output driver
US8018264B2 (en) Interface circuit
US7295050B2 (en) Power-up reset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6094086A (en) High drive CMOS output buffer with fast and slow speed controls
JPH08237102A (ja) 入出力バッファ回路装置
KR20010049227A (ko) 레벨조정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JPH0936673A (ja) 補償済のバイアス電圧を与える回路
US7579882B2 (en) Output buffer circuit eliminating high voltage insulated transistor and level shift circuit,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output buffer circuit
US6259299B1 (en) CMOS level shift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s
US5519338A (en) Controlled slew rate output buffer
US6717456B2 (en) Level conversion circuit
KR100686252B1 (ko) 스위칭 잡음을 감소시키는 회로
KR100191880B1 (ko) 거닝 트랜시버 논리의 출력 회로
KR1998008050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입력회로와 출력회로
JP7431632B2 (ja) アナログスイッチ回路
US6236235B1 (en) Output circuit
KR01262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버퍼
EP1050106B1 (en) Reverse current throttling of a mos transistor
US7515392B2 (en) High voltage circuits implemented using low voltage transistors
KR930008658B1 (ko) 전압레벨 검출회로
JPH01272230A (ja) 半導体回路装置
KR0145193B1 (ko) 입력회로 및 입/출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