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617A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617A
KR20000022617A KR1019990013850A KR19990013850A KR20000022617A KR 20000022617 A KR20000022617 A KR 20000022617A KR 1019990013850 A KR1019990013850 A KR 1019990013850A KR 19990013850 A KR19990013850 A KR 19990013850A KR 20000022617 A KR20000022617 A KR 2000002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ine
electrode
gate
data bus
gat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045B1 (ko
Inventor
나가세요지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2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02F1/136263Line defects

Abstract

표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조에 있어 수율이 높고 소형이고 저가인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제공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화소 전극(36)과,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 1 전극(44)과,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 2 전극(40)과, 게이트 전극(13)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제 1 전극, 제 2 전극 또는 게이트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pair proces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를 시작으로 하는 OA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EWS(Engineering Workstation) 등에 적용할 목적으로 대형화, 고정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의하여 화소용 TFT(Thin-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버스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에 있으며, 또한 액정 표시장치의 고정밀화에 의하여 버스 라인의 폭은 가늘어 지는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버스 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버스 라인의 단선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와 버스 라인이 단선된 경우의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유리 기판(110) 상에는 지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120)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10)의 지면 좌측 단부에는 복수의 게이트 TAB(Tape Automated Bonding, 116a, 116b)이 접착되어 있다. 게이트 TAB(116a, 116b)에는 각각 게이트 드라이버(114a, 1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버스 라인(112)은 게이트 드라이버(114a, 114b)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TAB(116a, 116b)은 프린트 기판(118)에 접착되어 있다.
한편, 유리 기판(110)의 지면 하단부에는 복수의 데이터 TAB(124a 내지 124c)이 접착되어 있다. 데이터 TAB(124a 내지 124c)에는 각각 데이터 드라이버(122a 내지 1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버스 라인(120)은 데이터 드라이버(122a 내지 122c)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TAB(124a 내지 124c)은 프린트 기판(126)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130)의 지면 하측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120)에 교차하는 복구 배선(134a 내지 13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구 배선(134a 내지 134c)은 각 데이터 TAB(124a 내지 124c)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TAB(124a 내지 124c)을 통하여 프린트 기판(126)의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130)의 지면 상측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120)에 교차하는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은 각각 복구 배선(134a 내지 134c)에 대응하도록 지면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은 게이트 TAB(116a)을 통하여 프린트 기판(118)의 배선(미 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복구 배선(132a)은 프린트 기판(118), 연락 케이블(128) 및 프린트 기판(126)을 통해 복구 배선(134a)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구 배선(132b)은 복구 배선(134b)에 접속되어 있으며 복구 배선(132c)은 복구 배선(134c)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단선 부분(121)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120)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에는 이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단선을 복구시켰다.
즉, 우선 단선 부분(121)에 대하여 지면 상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120a)과 복구 배선(132c)이 교차되는 영역에 유리 기판(110)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하여 데이터 버스 라인(120a)과 복구 배선(132c)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 라인(120a)과 복구 배선(132c)이 접속 영역(133a)에서 접속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선 부분(121)에 대하여 지면 하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120b)과 복구 배선(134c)을 접속한다. 이에 의하여 데이터 버스 라인(120b)과 복구 배선(134c)이 접속 영역(133b)에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복구 배선(132c)과 복구 배선(134c)은 미리 프린트 기판(118), 연락 케이블(128) 및 프린트 기판(126) 등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단선 부분(121)에 대하여 지면 상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120a)은 데이터 드라이버(122c)의 출력측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선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데이터 버스 라인(120)이 단선된 경우일 뿐이며, 게이트 버스 라인(112)이 단선된 경우는 상기의 복구 방법으로 단선을 복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단선되지 않은 통상의 게이트 버스 라인(112)에는 도 2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114)의 출력측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르는 게이트 신호의 시정수가 커져 게이트 신호의 파형의 상승이나 하강이 완만해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게이트 버스 라인(112)의 단선을 복구하는 경우에는 도 28(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표시 영역(130)에서 용량 성분 등을 통하지 않고 게이트 드라이버(114)로부터 가장 먼 영역에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a)과 게이트 드라이버가 복구 배선(135)에 의해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114)로부터 가장 먼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12a)의 신호 파형이 게이트 드라이버(114)의 출력 파형과 대략 같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114)에 대해서 가장 먼 영역으로부터 단선 부분(113)에 가까와 짐에 따라 게이트 신호의 시정수가 커지고 게이트 신호의 파형의 상승이나 하강이 완만해진다.
그 결과, 게이트 버스 라인(112a)의 신호 파형(도 28(b) 참조)과 인접한 통상의 게이트 버스 라인(112)의 신호 파형(도 28(a) 참조) 사이에서 큰 시프트가 발생해 버리게 된다. 게이트 버스 라인(112)과 게이트 버스 라인(112a) 사이의 신호 파형의 시프트는 이하에서와 같이 화소 전극의 전위 시프트를 발생시킨다. 인접한 화소 전극의 전위에 시프트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 도 2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게이트 신호(Vg)가 하강하는 경우, 화소 전극(136)의 전위(Vp)는 데이터 버스 라인(144)의 전위(Vd)보다 전위차 △Vs 만큼 낮아진다.
그리고, 게이트 신호가 온으로 된 때의 게이트 버스 라인(112)의 전위를 Vgon, 게이트 신호가 오프로 된 때의 게이트 버스 라인(112)의 전위를 Vgoff, 게이트 버스 라인(112)와 화소 전극(136)과의 사이의 용량을 Cgs, 화소 전극(136)과 Cs버스 라인(115) 사이의 용량을 Cs, 화소 전극(136)과 대향 전극(117) 사이의 용량을 Clc로 하면(도 29(a) 참조), 전위차 △Vs는
△Vs = Cgs/ ( Cgs+ Cs+ Clc ) × ( Vgon- Vgoff)
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단선이 복구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a)에서는 점선과 같이 전위 Vg가 변화하고, 인접한 정상 게이트 버스 라인(112)에서는 실선과 같이 전위 Vg가 변화하면, 단선이 복구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a)과 인접한 정상 게이트 버스 라인(112) 사이에서 Vgon- Vgoff의 실효값이 달라져 버리게 된다. Vgon- Vgoff의 실효값이 달라지는 경우, 전위차 Vs가 달라지고 이에 의하여 단선이 복구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a)에 접속된 화소 전극(136)과 인접한 정상 게이트 버스 라인(112)에 접속된 화소 전극(136) 사이에서 전위 Vp가 서로 달라져 버리게 된다. 화소 전극(136)의 전위 Vp는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의 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선이 복구된 게이트 버스 라인(112a)에 있어서는 표시상의 선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버스 라인(120)의 단선을 복구하는 경우에도, 복구된 데이터 버스 라인(120)과 인접한 정상 데이터 버스 라인(120) 사이에는 파형의 시프트가 발생하지만,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Vd가 일정하게 된 후에 게이트 신호 Vg가 하강하여 화소 전극(136)의 전위가 설정되도록 각 신호의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문제는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에서는 표시 영역(130)의 외측에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 134a 내지 134c)을 형성해야 하므로, 이들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 134a 내지 134c)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표시 영역(130)의 외측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액정 표시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 134a 내지 134c)과 이들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120) 사이에서 정전기에 의해 절연막의 절연파괴가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18, 126) 등에 복구 배선(132a,132b,132c)과 복구 배선(134a, 134b, 134c)을 각각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서 설계를 번잡화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나아가서는 액정 표시장치의 비용 절감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복구 배선(132a 내지 132c, 134a 내지 134c) 등에 의한 전체 배선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에는 OP 앰프 등을 배선내에 삽입할 필요도 있어서 액정 표시장치의 비용 절감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에 있어서 수율이 높고 소형이며 저가의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제공하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전극의 접속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을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을 나타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을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그 1),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그 2),
도 27은 종래의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은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 배선으로 복구한 경우의 게이트 신호 파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9는 화소 전극의 전위에서 시프트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0 ... 유리 기판, 12 ... 게이트 버스 라인,
12a .. 게이트 버스 라인, 12b .. 게이트 버스 라인,
13 ... 게이트 전극, 14a, 14b ... 게이트 드라이버,
15 ... 게이트 전극, 15a ... 연장부,
16a, 16b ... 게이트 TAB, 18 ... 프린트 기판,
20 ... 데이터 버스 라인, 20a ... 데이터 버스 라인,
20b ... 데이터 버스 라인, 22a, 22b, 22c ... 데이터 드라이버,
24a, 24b, 24c ... 데이터 TAB, 26 ... 프린트 기판,
28... 연락 케이블, 30 ... 표시 영역,
32a, 32b, 32c ... 복구 배선, 33a, 33b ... 접속 영역,
34a, 34b, 34c ... 복구 배선, 36 ... 화소 전극,
38 ... TFT, 40 ... 소스 전극,
42 ... 컨택트 홀, 44 ... 드레인 전극,
46 ... 접속부, 47 ... 단선 부분,
48 ... 게이트 절연막, 50 ... 절연막,
52a, 52b ... 접속 영역, 54a, 54b ... 절단 개소,
56 ... 절결부, 58 ... 패드부,
60 ... 구멍, 62 ... 패드부,
66 ... 접속부, 68 ... 단선 부분,
70 ... 절결부, 72 ... 패드부,
110 ... 유리 기판, 111 ... 게이트 전극,
112 ... 게이트 버스 라인, 112a, 112b ... 게이트 버스 라인,
113 ... 단선 부분, 114 ... 게이트 드라이버,
114a, 114b ... 게이트 드라이버, 115 ... Cs 버스 라인,
116a, 116b ... 게이트 TAB, 117 ... 대향 전극,
118 ... 프린트 기판, 120 ... 데이터 버스 라인,
120a ... 데이터 버스 라인, 120b ... 데이터 버스 라인,
121 ... 단선 부분,
122a, 122b, 122c ... 데이터 드라이버,
124a, 124b, 124c ... 데이터 TAB,
126 ... 프린트 기판, 128 ... 연락 케이블,
130 ... 표시 영역, 132a, 132b, 133c ... 복구 배선,
133a, 133b ... 접속 영역, 134a, 134b, 134c ... 복구 배선,
135 ... 복구 배선, 136 ... 화소 전극,
138 ... TFT, 140 ... 소스 전극,
142 ... 컨택트 홀, 144 ... 드레인 전극.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또는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제2 전극 또는 게이트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부분을 제1 전극, 제2 전극 또는 게이트 전극에 의해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 부분을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의해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절결부에 의해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해야 할 영역이 절결부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를 절단하는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향하여 패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보다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할 때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의해서, 게이트 전극이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 부분을 게이트 전극에 의해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결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절결부에 의해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해야 할 영역이 절결부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를 절단하는 때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버스 라인을 보다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할 때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이 복구되어 있으므로, 정상인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소정 영역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의 영역에 접속된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소정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이 복구되어 있으므로, 정상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단선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의해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이 복구되므로 정상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이 복구되므로, 정상인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부분을 상기 제1 전극에 의해 복구하고,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제1 전극을 이용하여 단선된 데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다. 또, 제1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절결부가 형성된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절결부에 의해 가늘게 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절결부에 의하여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해야 할 영역이 절결부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를 절단하는 때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소정 영역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접속된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부분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제1 전극에 의해 복구하고,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소정 영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도 데이터 버스 라인의 소정 영역과 제1 전극을 이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부분을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2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단선된 데이트 버스 라인을 제2 전극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은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전극을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간편한 공정으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일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타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 사이의 단선을 복구할 때에는 상기 단선 부분의 일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 및/또는 상기 단선부분의 타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에 상기 패드부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보다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하는 때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게이트 버스 라인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부분을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복구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을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이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일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타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 사이의 단선을 복구할 때에는 상기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패드부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게이트 전극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버스 라인을 더욱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할 때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1 전극 또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게이트 전극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도 1 내지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전극과의 접속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0) 상에는 지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12)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0)의 지면 좌측에는 게이트 드라이버(14a, 14b)가 각각 형성된 게이트 TAB(16a, 16b)의 일방 단부가 접착되어 있고, 게이트 버스 라인(12)은 게이트 드라이버(14a, 14b)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TAB(16a, 16b)의 타방 단부는 프린트 기판(18)에 접착되어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14a, 14b)의 입력측은 프린트 기판(18)에 형성된 배선(미 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10)상에는 게이트 버스 라인(12)에 교차하도록 지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버스 라인(20)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10)의 지면 하측에는 데이터 드라이버(22a 내지 22c)가 각각 형성된 데이터 TAB(24a 내지 24c)이 접착되어 있고, 데이터 버스 라인(20)은 데이터 드라이버(22)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TAB(24a 내지 24c)의 타방 단부는 프린트 기판(26)에 접착되어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22a 내지 22c)의 입력측은 프린트 기판(26)에 형성된 배선(미 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28)에 의해서 프린트 기판(18,26)에 형성된 배선(미 도시)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표시 영역(30)의 외측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20)에 교차하는 복수의 복구 배선(32a 내지 32c, 34a 내지 34c)이 형성되어 있다.
즉, 표시 영역(30)의 지면 상측에는 지면 좌측으로부터 지면 우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복구 배선(32a 내지 32c)이 데이터 버스 라인(20)에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구 배선(32a)은 데이터 TAB(24a)의 데이터 드라이버(22a)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단선에 대응하도록 데이터 드라이버(22a)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부와 교차하도록 지면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구 배선(32b)은 데이터 TAB(24b)의 데이터 드라이버(22b)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단선에 대응하도록 데이터 드라이버(22b)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부와 교차하도록 지면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복구 배선(32c)은 데이터 TAB(24c)의 데이터 드라이버(22c)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단선에 대응하도록 데이터 드라이버(22c)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부와 교차하도록 지면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표시 영역(30)의 지면 하측에는 데이터 TAB(24a)의 지면 좌측단부로 부터 데이터 TAB(24a)의 지면 우측 단부까지 연장된 복구 배선(34a)이 데이터 드라이버(22a)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체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TAB(24b)의 지면 좌측단부로 부터 데이터 TAB(24b)의 지면 우측 단부까지 연장된 복구 배선(34b)이 데이터 드라이버(22b)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체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데이터 TAB(24c)의 지면 좌측단부로 부터 데이터 TAB(24c)의 지면 우측 단부까지 연장된 복구 배선(34c)이 데이터 드라이버(22c)에 접속된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전체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구 배선(32a 내지 32c, 34a 내지 34c)은 게이트 버스 라인(12)과 동일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복구 배선(32a 내지 32c, 34a 내지 34c)을 사용하여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게이트 버스 라인(12)의 단선은 복구 배선을 사용하여 복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은 종래는 곤란했던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주요 특징이 있으며, 도 2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1에 나타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6)의 지면 상측에는 TFT(38)가 형성되어 있다.
TFT(38)의 소스 전극(40)은 컨택트 홀(42)을 통해 화소 전극(36)에 접속되어 있고 TFT(38)의 드레인 전극(44)은 접속부(46)를 통해 데이터 버스 라인(20a)에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36)의 지면 우측에는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평행하게 데이터 버스 라인(2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은 데이터 버스 라인(20a, 20b)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고 TFT(38)의 게이트 전극(13)을 겸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TFT(38)의 드레인 전극(44)이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따라 지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TFT(38)의 채널로 기능하는 비정질 실리콘 막(도시되지 않음)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는 데이터 버스 라인(20)의 수와 TFT(38)의 부하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44)과 소스 전극(40)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도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반드시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길게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좌우 방향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이하와 같이 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의 복구를 행하는 경우에 복구 가능한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드레인 전극(44)은 적어도 채널로서 기능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데이터 버스 라인(20b) 사이의 영역내에 채널로서 기능하지 않는 영역의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점유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좌우 방향의 사이즈는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프로세스 등의 마진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드레인 전극(44)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이므로, 드레인 전극(44)은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따라서 지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소스 전극(40)을 사용하여 단선을 복구하는 것만은 아니므로 반드시 소스 전극(40)이 지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드레인 전극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이 발생한 경우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게이트 버스 라인과 드레인 전극과의 접속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드레인 전극(44)의 하방 영역에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단선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내에 단선부분(47)의 지면 좌측의 영역에 있어서, 유리 기판(10)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한다. 유리 기판(10)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하면(도 4(a) 참조)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 게이트 절연막(8), 드레인 전극(44), 절연막(50)이 용해된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를 종료하면,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 등이 고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이 접속된다.(도 4(b) 참조)
이렇게 해서,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선 부분(47)의 지면 좌측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내에 단선부분(47)의 지면 우측의 영역에 있어서, 유리 기판(10)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단선 부분(47)의 지면 우측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의 접속 영역(52a, 52b)은 완전히 검게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단선 부분(47)에 대하여 지면 좌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이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44)과 단선부분(47)에 대하여 지면 우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접속되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드레인 전극(44)을 통하여 접속되어 복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태에서는 게이트 버스 라인(12a)은 드레인 전극(44)과 접속부(46)를 통해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단락되어 있다.
그리고,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46)에 레이저 조사를 함으로써 접속부(46)를 절단하고 이에 의해서 드레인 전극(44)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분리한다. 이렇게 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락상태가 회피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한 경우에는, 드레인 전극(44)이 데이터 버스 라인(20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이 TFT(38)는 소망의 동작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이 TFT(38)에 대응하는 화소는 표시상의 점결함을 일으키지만, 적은 수의 점결함은 액정 표시장치의 제품 명세의 관점에서 허용하는 것이며, 특단의 문제는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저항 사이에 드레인 전극(44)의 저항이 삽입되게 된다.
그러나, 드레인 전극(44)에는 일반적으로 금속층이 사용되어 있어, 금속층의 저항치는 매우 작은 값이다. 일체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전장의 저항치는 예를 들면 21형 SXGA(Super eXtended video Graphics Array) 패널의 경우 약 10∼20 ㏀ 인데 대하여 드레인 전극(44)의 저항치는 최대 100Ω 정도 이다.
즉, 드레인 전극(44)의 저항치는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저항치에 대하여 충분히 작아서 무시할 수 있다. 드레인 전극(44)의 저항치가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저항치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상기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는 경우에도 본래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신호파형과 거의 동등한 신호파형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충분히 실용적으로 견딜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에 있어서,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다.
(다른 구체예(그 1))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 및 그 복구방법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는 드레인 전극(44)이 지면 좌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근방으로부터 지면 우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44)이 지면 좌우 방향의 넓은 범위에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을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우측 단부에서 약간 좌측의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중첩되어 있는 영역내 단선부분(47)에 대해서 지면 좌측의 영역과, 단선부분(47)에 대해서 지면 우측의 영역으로 유리 기판(10)측으로부터 레이저 조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도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선 부분(47)에 대해 지면 좌측의 접속 영역(52a)과, 단선부분(47)에 대해서 지면 우측의 접속 영역(52b)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락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 접속부(46)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접속부(46)를 절단한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구체예에서는 드레인 전극(44)이 지면 좌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근방으로부터 지면 우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b)의 근방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그 2))
다음에,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 및 그 복구방법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방식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44)의 하방 영역이 아닌 영역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단선되어 있는,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좌측 단부와 지면 좌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a)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단선되어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좌측 단부와 지면 우측 단부에 있어서 각각 레이저 조사를 행하여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더라도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단선 부분(47)에 대해 지면 좌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교차하는 영역에 있어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여 단선 부분에 대해 지면 우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그리고,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접속 영역(52a)에 대해 지면 상측의 영역과 지면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절단한다. 이것에 의하여 절단개소(54a)와 절단개소(54b)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복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는 경우에는 절단개소(54a)와 절단개소(54b)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절단되므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단선되어 버리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복구 배선(32a 내지 32c, 34a 내지 34c)을 사용하여 복구한다.
즉, 도 8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절단 개소(54a, 54b)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절단한 경우, 절단개소(54a)보다 지면 상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복구 배선(32)을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접속하고, 절단개소(54b)보다 지면 하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복구 배선(34c)을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접속한다. 또한, 이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된 접속영역(33a, 33b)은 도 8에 있어서 완전히 검게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복구 배선(32b)과 복구 배선(34b)은 상기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프린트 기판(18,26)에 형성된 배선(미 도시)과 연락 케이블(28)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복구되는 것이다.
(다른 구체예(그 3))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 및 그 복구 방법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는 드레인 전극(44)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접속하는 접속부(46)에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56)에 의해 접속부(46)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접속부(46)에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46)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46)를 절단해야 할 개소가 절결부(56)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을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드레인 전극(44)의 하방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드레인 전극(44)의 하방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하였으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도 3(b)에 나타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44)과 데이터 버스 라인(12a)을 분리하기 위하여 절결부(56)에 의해 가늘게 되어 있는 영역의 접속부(46)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절단한다.
드레인 전극(44)과 데이터 버스 라인(12a) 사이에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46)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46)를 절단하는 영역이 절결부(56)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는 드레인 전극과 데이터 버스 라인 사이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를 절단해야 할 영역이 절결부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으므로 절단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그 4))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의 다른 구체예(그 4)를 도 11 및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4)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우측단부에는 게이트 버스 라인(12)에 대향하는 패드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레이저 조사에 의한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접속은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생긴 구멍(60)의 주위부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확실히 접속하기 위해서는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대향하는 영역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발생한 구멍(6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체예에는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발생한 구멍(60)보다도 큰 형상의 패드부(58)가 게이트 버스 라인(12a)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의 접속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전극(44)에 패드부(5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레이저를 조사하는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므로 레이저 조사를 행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4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하방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선부분(47)에 대하여 지면 좌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드레인 전극(44)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고 단선부분(47)에 대해 지면 우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b)과 패드부(58)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는 드레인 전극의 단부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접속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 조사를 행하는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을 도 13 내지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복구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의 복구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방식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은 소스 전극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와 거의 같은 방식이지만, 본 실시예는 소스 전극(40)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기 위하여 소스 전극(40)이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따라서 지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반드시 드레인 전극(44)이 지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에 있어서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스 전극(40)의 하방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이 단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 도 14(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선 부분(47)에 대하여 지면 좌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소스 전극(40)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고, 단선 부분(47)에 대하여 지면 우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12a)과 소스 전극(40)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드레인 전극(44)을 사용하지 않고, 소스 전극(40)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하기 때문에 드레인 전극(44)과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접속부(46)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보다 간편한 공정으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40)도 드레인 전극(44)과 마찬가지로 저항치가 작다. 따라서, 절단되어 있는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저항 사이에 소스 전극(40)의 저항을 삽입하는 것에 의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신호 파형의 변화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함으로서 충분한 표시 성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인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스 전극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므로 드레인 전극을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간편한 공정으로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도 15 및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소스 전극(40)에 데이터 버스 라인(12a)에 대향하는 패드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전극(40)의 지면 우측 단부에는 게이트 버스 라인(12a)에 대향하는 패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나타난 이유 때문에, 패드부(62)는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발생한 구멍(60)보다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는 소스 전극(40)의 단부에 게이트 버스 라인(12a)에 대향하는 패드부(6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의 다른 구체예에 대해서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스 전극(4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하방 영역에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선 부분(44)에 대해 지면 좌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소스 전극(40)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고, 단선 부분(47)에 대해 지면 우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패드부(62)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전극의 단부에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 조사를 행하는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을 도 17 내지 도 2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그 1)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그 2)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은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복구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에는 표시영역(30)의 외측에 복구 배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복구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표시 영역(30)의 외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정 표시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구 배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복구 배선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프린트 기판(18, 26) 등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하여 설계상의 복잡함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서 도 18을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에는 TFT(38)가 화소 전극(36)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버스 라인(12a)은 TFT(38)의 게이트 전극으로 작용하지 않고, 게이트 전극(15)은 접속부(66)를 통해 게이트 버스 라인(12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드레인 전극(44)은 데이터 버스 라인(20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44)은 지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TFT가 화소 전극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에는 일반적으로 TFT(38)의 채널로서 기능하는 비정질 실리콘 막(미 도시)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는 게이트 버스 라인(12)의 개수와 TFT(38)의 부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5)과 드레인 전극(44)도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와 거의 마찬가지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반드시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와 거의 마찬가지의 길이로 게이트 전극(15)과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를 설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비정질 실리콘 막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게이트 전극(15)과 드레인 전극(44)의 지면 상하 방향의 길이를 설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는 게이트 전극(15)이 본래 게이트로서 기능하는 영역 이외에 연장부(15a)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의 복구를 행하는 경우에 단선의 복구가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연장부(15a)를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15)은 채널로서 기능하는 영역에 최소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과 인접한 게이트 버스 라인(미 도시) 사이의 영역내에 채널로서 기능하는 영역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점유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a)와 같이,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44)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 단선 부분(68)에 대해 지면 상측의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전극(15)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고 단선 부분(68)에 대해 지면 하측의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전극(15)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15)과 드레인 전극(44)과의 접속 영역(52a, 52b)은 도 19(b)에서와 같이 완전히 검게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9(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게이트 전극(15)을 게이트 버스 라인(12a)으로부터 분리하여 접속부(66)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절단한다.
이 같이 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복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게이트 전극을 사용하여 드레인 전극이 일체로 형성된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므로 복구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 밖에서 복구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버스 라인과 표차하는 복구 배선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하여 복구 배선과 데이터 버스 라인 사이의 절연막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고,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구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 등에 복구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복구 배선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긴 경우에 필요한 OP 앰프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의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의 다른 구체예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다른 구체예(그 1))
우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도 20 내지 도 2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1)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는 게이트 전극(15)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 사이의 접속부(66)를 단시간에 절단할 수 있고, 접속부(66)를 절단할 개소에 절결부(70)가 형성되며, 절결부(70)에 의해 접속부(66)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절결부(70)에 의해 접속부(66)가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접속부(66)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70)에 의해 접속부(66)를 절단할 개소가 명확해 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복구방법을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44)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게이트 전극(15)에 의해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9 (b)에 나타난 것과 같은 방법이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5)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을 분리하기 위하여 절결부(70)에 의해 가늘게 된 영역의 접속부(66)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절단한다.(도 21(b) 참조)
이와 같이, 본 구체예에서는 게이트 전극(15)과 게이트 버스 라인(12a) 사이의 접속부(66)에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66)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할 영역이 절결부(70)에 의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그 2))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복구방법의 다른 구체예(그 2)에 대해서, 도 22 및 도 2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2)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5)의 지면 하측 단부에는 지면 좌측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데이터 버스 라인(20a)에 대향하는 패드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게이트 전극(15)의 하측 단부에 패드부(7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조사하는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4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하방 영역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발생된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 버스 라인(20a)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선부분(68)의 지면 상측의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전극(15)를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접속하고, 단선 부분(68)의 지면 하측과 패드부(72)를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또한, 접속부(66)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접속부(66)를 절단한다.(도 23(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20a)를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의 단부에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 조사를 행할 때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그 3))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의 다른 구체예(그 3)에 대해 도 24 내지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다른 구체예(그 3)의 복구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는 지면 상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a)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15)이 지면 하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b)의 근방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게이트 전극(15)의 연장부(15a)가 지면 하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15)의 연장부(15a)의 지면 하측의 단부로부터 지면 좌측에 연장된 패드부(72)가 데이터 버스 라인(20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5)의 연장부(15a)가 지면 하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12b)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버스 라인(68)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 방법을 도 25 및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5와 같이,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4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데이터 버스 라인(68)의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한다.
데이터 버스 라인(68)의 단선이 이와 같이 발생한 경우, 도 26에 나타난 것처럼 드레인 전극(44)과 게이트 전극(15)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고 패드부(72)와 데이터 버스 라인(20a)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한다.
또한, 접속부(66)에 레이저 조사를 행함으로써, 접속부(66)를 절단한다.
이렇게 하여,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20a)이 복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게이트 전극이 지면 상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으로부터 지면 하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패드부가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향하여 있기 때문에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변형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는 액정 표시장치에 복구 배선을 형성하지만,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복구 배선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하여, 표시 영역 외에 복구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의 마진협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구 배선에 축적된 정전 등에 의해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구 배선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긴 경우에 필요한 OP 앰프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를 저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패드부를 하나만 형성되어 있고, 패드부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부분을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을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을 사용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부분을 복구하기 때문에 표시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 전극 또는 게이트 전극이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인접한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 연장되므로 단선된 게이트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을 사용해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면 드레인 전극을 데이터 버스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한 공정으로 게이트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이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부분을 복구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게이트 전극에 의해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영역 외에 복구 배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액정 표시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버스 라인과 교차하는 복구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전기에 의해 복구 배선과 데이터 버스 라인 사이의 절연막에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구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버스 라인의 단선을 복구하므로 프린트 기판 등에 복구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또한, 복구 배선에 의한 접속 길이가 긴 경우에 필요한 OP 앰프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으므로, 액정 표시장치의 저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이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인접한 게이트 버스 라인(12a)의 근방까지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단선된 데이터 버스 라인을 복구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결부에 의해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단시간에 접속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할 영역이 절결부에 의해 명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를 절단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할 때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또는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인접하는 게이트 버스 라인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2.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3.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소정 영역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접속된 상기 제1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소정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4.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5.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로서,
    단선된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하여,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6.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되어 있는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 부분을 상기 제1 전극에 의해 복구하며,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절결부가 형성된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절결부에 의해 가늘게 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18.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된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소정 영역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 영역에 접속된 상기 제1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 부분을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제1 전극에 의해 복구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소정 영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19.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이 단선된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제2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 부분을 상기 제2 전극에 의해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일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타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 사이의 단선을 복구할 때에는, 상기 단선 부분의 일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 및/또는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게이트 버스 라인에 상기 패드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22.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교차하는 데이터 버스 라인과,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된 제2 전극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이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이 단선된 경우에, 그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의 상기 단선 부분을 상기 게이트 전극에 의해 복구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을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대향하는 패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일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타측의 데이터 버스 라인 사이의 단선을 복구할 때에는, 상기 단선 부분의 일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접속하고, 상기 단선 부분의 타측의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패드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데이터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레이저 조사에 의해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복구방법.
KR1019990013850A 1998-09-07 1999-04-19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 KR100334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52126 1998-09-07
JP25212698A JP3450195B2 (ja) 1998-09-07 1998-09-07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修復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17A true KR20000022617A (ko) 2000-04-25
KR100334045B1 KR100334045B1 (ko) 2002-04-26

Family

ID=1723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850A KR100334045B1 (ko) 1998-09-07 1999-04-19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80770B1 (ko)
JP (1) JP3450195B2 (ko)
KR (1) KR100334045B1 (ko)
TW (1) TW484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4344B (en) * 2003-06-06 2004-06-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Laser repair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ructure thereof
KR101090253B1 (ko) * 2004-10-06 201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822385B (zh) 2005-01-31 2013-02-0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含有其的电子设备
JP4622674B2 (ja) * 2005-05-23 2011-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336003B (en) * 2005-11-14 2011-01-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repair lines structure thereof
WO2008026352A1 (fr) * 2006-09-01 2008-03-06 Sharp Kabushiki Kaisha Procédé de fabrication d'affichage et affichage
TW200918985A (en) * 2007-10-18 2009-05-01 Hannstar Display Corp Display apparatus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CN105044946B (zh) * 2015-09-09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装置及修复方法
US20190079362A1 (en) * 2017-09-14 2019-03-14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panel and repair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08062T2 (de) * 1990-01-17 1995-07-20 Toshiba Kawasaki Kk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mit aktiver Matrix.
JP2669954B2 (ja) * 1991-05-08 1997-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H05110100A (ja) 1991-10-14 1993-04-30 Toshiba Corp アクテイ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3272028B2 (ja) * 1992-05-13 2002-04-08 株式会社東芝 電子回路
US5532853A (en) * 1993-03-04 1996-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arable display device matrix for repair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bonding pad to its associated signal line
US6313889B1 (en) * 1993-03-04 2001-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trix-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repaired in pixel unit
KR0120399Y1 (ko) * 1993-12-15 1998-07-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
KR0146263B1 (ko) 1994-06-07 1998-08-01 김광호 액정표시장치용 탑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
US5684547A (en) * 1994-08-05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263250B2 (ja) * 1994-08-24 2002-03-0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3680527B2 (ja) * 1997-01-31 2005-08-10 富士通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045B1 (ko) 2002-04-26
JP2000081640A (ja) 2000-03-21
JP3450195B2 (ja) 2003-09-22
US6680770B1 (en) 2004-01-20
TW484024B (en) 200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0443B (zh) 显示基板、其制造方法和具有显示基板的显示设备
JP5350606B2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JP3029531B2 (ja) 液晶表示装置
CN111142295B (zh) 显示装置
KR20190107210A (ko) 표시 장치
KR10033404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복구 방법
CN100414364C (zh) 显示装置
JP201414942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128169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修復方法
US2002000359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3368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제조방법
US8120026B2 (en) Testing wi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6731365B2 (en) Array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wherein common electrodes isolated each other in different pixel regions
KR20040010283A (ko) 액정 표시 장치
US5929949A (en) Liquid crystal displays including light shading film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pixel electrod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120328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JP2005303220A (ja) Tftアレイ基板
JP200124248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259593B (zh) 阵列基板、阵列基板的制作方法和显示装置
JPH0316028B2 (ko)
CN114002885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H11233778A (ja) 表示装置
US11435635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same
KR20020057030A (ko) 액정표시소자의 정전기 방지방법
KR20040017504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