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399A -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 Google Patents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399A
KR20000021399A KR1019980040469A KR19980040469A KR20000021399A KR 20000021399 A KR20000021399 A KR 20000021399A KR 1019980040469 A KR1019980040469 A KR 1019980040469A KR 19980040469 A KR19980040469 A KR 19980040469A KR 20000021399 A KR20000021399 A KR 2000002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ntifogging
film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흥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4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399A/ko
Publication of KR2000002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 필름을 개신한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70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 내지 70중량의 반응성 희석제, 0.1 내지 10중량%의 광중합 개시제, 0.5 내지 30중량%의 내수성 향상제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데,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4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내수성 향상제는 플루오르화된(fluorinated)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담성 필름은,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PET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매우하다. 이밖에도,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투명성, 내수성 및 내구성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 필름
본 발명은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방담성 조성물과,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내구성, 내수성 등의 특성이 개선된 방담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습기가 많이 발생하는 조건, 예를 들어 비오는 날이거나 목욕탕내에서 유리 판 등과 같은 기재 표면의 온도가 주위 공기의 노점 이하가 되면, 기재 표면에 물이 응축되어 포그(fog)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결로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통상적으로 기재 표면에 친수성 방담막(anti-fogging layer)을 형성시킨다. 친수성 방담막은 그 표면에 응축되는 물과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이와 반대로 흡수된 물을 방출하거나 또는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방담(防曇) 기능이외에 대전방지 등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친수성 방담막은 물의 응축량이 적은 경우에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만, 물의 응축량이 많은 경우에는 막자체가 물에 항상 침적되어 있어서 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내리는 상태가 됨으로써 내수성이 불량해진다.
상기 친수성 방담막은 일반적으로 기재 표면에 계면활성제 계열의 친수성 화합물을 도포한 다음,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에서 열경화법에 따라 친수성 방담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주로 고온에서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에 약한 소재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둘째, 열경화 장치를 설치하는 데 넓은 면적이 요구되며, 경화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 소비량이 커서 생산성이 저하된다.
셋째, 최종적으로 얻어진 친수성 방담막의 내수성 및 내구성이 만족할만 한 수준이 아니다.
넷째, 용제를 사용하므로 환경문제가 발생된다.
반면, 자외선 경화법에 따라 친수성 방담막을 형성하면, 열경화법에 비하여 경화속도가 빠르고 경화장치 설치에 요구되는 면적와 환경공해가 적을 뿐만 아니라 경화후 에이징과정이 필요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양호하지 못하고, 표면경도, 내수성 및 내구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방담성은 물론이고 내스크래치성, 내수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의 특성이 개선된 방담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방담성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방담성, 내구성, 내수성, 경도 특성이 개선된 방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방담성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담성 필름 11... 기재
12... 방담층 13... 보호막
14... 접착층 15... 이형층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70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 내지 70중량의 반응성 희석제, 0.1 내지 10중량%의 광중합 개시제, 0.5 내지 30중량%의 내수성 향상제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방담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4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내수성 향상제는 플루오르화된(fluorinated)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한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필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PET 필름 등과 같은 플라스틱 기재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어떠한 프라이머층을 더 형성하지 않고서도 기재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스크래치성, 내수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방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담성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반응성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및 내수성 향상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친수성 지방족 아크릴레이트, 특히 4관능성의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관능성기가 4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친수성이 저하되고 4개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경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은 방담성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경도 특성이 충분치 않을 뿐만 아니라 방담성이 저하되고,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 및 코팅막의 부착력 특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방담성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데, 어떠한 모노머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조성물의 반응성과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 필름의 물성이 달라진다. 이러한 사실을 관능기의 수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능성기가 1개인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기재에 대한 부착성과 유연성은 우수하지만, 반응성이 느리고 과잉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착성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유발시킨다. 그리고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점도, 유연성 및 반응성 특성이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경도 및 반응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4 내지 6관능성 모노머는 반응성이 뛰어나며 가교밀도가 높아 경도가 우수한 반면,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모노머중에서 친수성의 에틸렌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방담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성 희석제의 함량은 방담성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희석제의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방담성막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성 희석제의 부가에 따른 점도 및 반응성 조절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위한 첨가제 즉, 내수성 향상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수성 향상제로는 발수성이 우수한 플루오르화된(fluorinated)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내수성 향상제의 함량은 방담성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방담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광중합개시제는 자외선(일반적으로 300 내지 360㎚의 파장)을 흡수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물질로서, 황변 타입과 저황변 타입이 있다. 광중합개시제로서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반응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막의 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 반응성이 향상된다. 반면, 형성시키고자 하는 막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전체적인 경화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광중합개시제로는 저황변 타입의 개시제인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계를 사용한다. 그중에서도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α,α-디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반응성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중합개시제의 함량은 방담성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중량%이다. 광중합개시제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성은 증가하지만 표면경도가 감소하고, 0.1중량%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담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레벨링제(levelling agent),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기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을 개선하는 습윤제(wetting agent), 자외선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첨가제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이 화합물을 방담성 조성물에 부가하면 젖음성과 레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함량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필름이 탁해지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담성 필름은 상술한 방담성 조성물을 기재의 일 면 또는 양 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여기에서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어-나이프(air-knife) 방식, 그라비아(gravure) 방식, 리버스 롤(reverse roll) 방식, 스프레이(spray) 방식, 키스 롤(kiss roll) 방식, 블래이드(blade) 방식 등을 기재의 형상 및 재질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담성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10㎛정도가 적당하다. 방담성 필름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막경도가 불량하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막의 유연성이 떨어져 막이 잘 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담성 필름 제조시, 기재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하여 가열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이러한 건조과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로서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무전극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자외선 램프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외선 램프의 출력은 60-240W/㎝정도의 것을 사용하여 벨트 콘베이어식으로 이동하여 코팅막을 얻고, 기재와 자외선 조사장치와의 거리는 광량을 고려하여 30 내지 300㎜내로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산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방담성 조성물의 도포 및 건조 과정들은 공기중에서 실시하여도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담성 필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방담성 필름 (10)은 기재 (11)의 일 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한 다음, 경화시켜 얻어진 방담층 (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방담층 (12) 상부에는 보호층 (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재 (11)의 다른 면에는 접착층 (14)과 이형층 (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는 방담성 필름 (10)은 이형층 (15)를 떼어 내서 방담성을 얻고자 하는 피부착체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 두께의 미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0.05㎜의 마이어 바(meyer bar)로 도포하고, 50℃에서 20초동안 건조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5㎛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 때 사용된 자외선 조사장치는 미국 퓨젼(fusion)사의 F450이며, 자외선 램프는 무전극형의 퓨전사 에에취-벌브(H-bulb)였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거리가 50㎜이고, 자외선 적산광량이 200mJ/sq.㎝가 되도록 벨트 속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EB 1672(4관능성 친수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UCB 케미칼사) 60.0 중량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30.0 중량부, EB 1673(UCB 케미칼사) 3.0 중량부, 이가큐어 184(Irgacure 184)(α-하이드록시-케톤, 시바-가이기(Ciba-geigy)사) 6.0 중량부, 실웨트 L7602(레벨링제,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사) 1.0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 알콜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00㎛ 두께의 미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200메시의 그라비아 롤(gravure roll)로 도포하고, 50℃에서 20초동안 건조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3㎛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 때 사용된 자외선 램프는 80W/㎝의 고압수은등이 4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자외선 조사거리가 150㎜이고, 자외선 적산광량이 200mJ/sq.㎝가 되도록 벨트 속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EB 1672 46.5 중량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40.0 중량부, EB 1673 7.0 중량부, 이가큐어 184 6.0 중량부, 플루라드 FC430(Fluorad FC430)(레벨링제, 3M사) 0.5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 알콜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00㎛ 두께의 미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3본 리버스 롤(reverse roll)로 도포하고, 50℃에서 20초동안 건조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5㎛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 때 사용된 자외선 램프는 120W/㎝의 고압수은등이 4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자외선 조사거리가 150㎜이고, 자외선 적산광량이 200mJ/sq.㎝가 되도록 벨트 속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EB 1672 40.4 중량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45.0 중량부, EB 1673 4.0 중량부, 이가큐어 184 5.0 중량부, 다로큐어 1173(Darocure 1173)(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시바-가이기(Ciba-geigy)사) 0.6 중량부, HS-300(레벨링제, UCB 케미칼사) 0.6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 알콜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00㎛ 두께의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Skyrol, SKC사)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마이어 바로 도포한 다음, 160℃에서 2분동안 경화시켜 3㎛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메틸에틸케톤 64.0 중량부에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30.0 중량부를 용해시키고, 여기에 멜라민 경화제(Uformite MM83, Rohm Chemical사) 7.0 중량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Akcros사) 1.0 중량부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Resistat PU101, 제일공업사) 5.0 중량부를 부가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00㎛ 두께의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Skyrol, SKC사)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마이어 바로 도포한 다음, 160℃에서 2분동안 경화시켜 3㎛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메틸에틸케톤 62.0 중량부에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Skyrol U0351C, SK Chemical사) 30.0 중량부를 용해시키고,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konnate L75, 화인케미칼사) 5.0 중량부 및 친수성 계면활성제(Resistat PU101, 제일공업사) 3.0 중량부를 부가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00㎛ 두께의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Skyrol, SKC사)상에 방담성 조성물을 마이어 바로 도포한 다음, 160℃에서 2분동안 경화시켜 3㎛ 두께의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이베크릴 254(Ebecryl 254)(2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0 중량부, SR 350(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사르토머(Sartomer)사) 20.0 중량부, NVP(N-비닐피롤리돈, ISP사) 15.0 중량부, 이가큐어 184 5.0 중량부 및 이소프로필 알콜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방담성 필름의 특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 부착력
필름을 1㎜ 간격으로 크로스해치crosshatch)한 다음, 여기에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한다. 그 후, 필름으로부터 셀로판 테이프를 박리시켰을 때,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셀로판 테이프의 갯수를 조사한다.
2) 연필경도
JIS-K5400의 조건하에서 연필경도계(Sheen사)와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 7H, 8H, 9H 연필(Steadler사)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3) 내스크래치성
직경 10㎛의 스틸 우드(steel wood)로 필름을 문질러 스크래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조사한다.
4) 내약품성
필름을 실온에서 5%의 NaOH 수용액 및 5%의 HCl 수용액에 4시간동안 각각 침적시킨다. 그 후, 필름의 물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여 양호 또는 불량으로 평가한다.
5) 내용제성
필름을 실온에서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틸아세테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48시간동안 침적시킨다. 그 후, 필름의 물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여 양호 또는 불량으로 평가한다.
6) 내열성
필름을 130℃의 오븐에서 13일동안 방치한 다음, 필름의 물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여 양호 또는 불량으로 평가한다.
7) 내수성
10℃, 50℃ 및 80℃의 항온항습조에 필름을 300시간동안 방치시킨 다음, 필름의 물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여 양호 또는 불량으로 평가한다.
8) 방담성
40℃, 100RH%에서 필름의 표면에 물응집 현상을 관찰하고, 240시간 경과후에도 물응집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9) 내구성
60℃, 100RH%의 조건에서, 필름에 0.77W/sq.m의 자외선을 4시간동안 조사한 다음, 50℃, 100RH%에서 콘덴세이션(condensation)을 4시간동안 실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필름의 물성이 변화되는 시간을 조사한다.
상기 평가방법에 따라 얻어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착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연필경도 H H H F F H
내스크래치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양호
내약품성 양호 양호 양호 - - -
내용제성 양호 양호 양호 - - -
내수성 양호 양호 양호 - - -
내열성 양호 양호 양호 - - -
방담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내후성 150 150 150 - - -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 비교예 1-2에 따른 방담성 필름은 PET 필름에 대한 부착력은 우수하지만, 방담성과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연필경도 특성이 F로서 충분치 않고, 비교예 3에 따른 방담성 필름은 내스크래치성과 연필경도 특성은 우수하지만 PET 필름에 대한 부착력과 방담성이 불량하였다.
반면, 상기 실시예 1-3에 따른 방담성 필름은 비교예 1-3의 경우와는 달리 방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부착력, 연필경도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하였다. 이밖에도, 실시예 1-3에 따른 방담성 필름은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내수성, 내구성 및 내후성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방담성 필름은,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PET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매우하다. 이밖에도,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투명성, 내수성 및 내구성 특성이 우수하다.

Claims (4)

  1.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70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1 내지 70중량의 반응성 희석제, 0.1 내지 10중량%의 광중합 개시제, 0.5 내지 30중량%의 내수성 향상제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방담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4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내수성 향상제는 플루오르화된(fluorinated)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
  3. 기재의 일 면 또는 양면상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한 코팅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필름.
KR1019980040469A 1998-09-29 1998-09-29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KR20000021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69A KR20000021399A (ko) 1998-09-29 1998-09-29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69A KR20000021399A (ko) 1998-09-29 1998-09-29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399A true KR20000021399A (ko) 2000-04-25

Family

ID=1955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469A KR20000021399A (ko) 1998-09-29 1998-09-29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39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7843A2 (en) 2001-03-30 2002-10-09 Alcatel UV-curable coatings composition for optical fiber for a fast cure and with improved adhesion to glass
KR20160083230A (ko) * 2014-12-30 2016-07-12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제 조성물
KR20160096850A (ko) * 2015-02-06 2016-08-17 (주)애니원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18912A1 (fr) 2019-07-29 2021-02-04 Decathlon Procédé de traitement antibuée d'une surface
CN116410659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涂料组合物、涂层及应用
FR3139341A1 (fr) 2022-09-02 2024-03-08 Decathlon Procédé de fonctionnalisation d’une surface d’un substrat optique en vue de lui conférer des propriétés antibué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7843A2 (en) 2001-03-30 2002-10-09 Alcatel UV-curable coatings composition for optical fiber for a fast cure and with improved adhesion to glass
EP1247843A3 (en) * 2001-03-30 2003-12-17 Alcatel UV-curable coatings composition for optical fiber for a fast cure and with improved adhesion to glass
KR20160083230A (ko) * 2014-12-30 2016-07-12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제 조성물
KR20160096850A (ko) * 2015-02-06 2016-08-17 (주)애니원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18912A1 (fr) 2019-07-29 2021-02-04 Decathlon Procédé de traitement antibuée d'une surface
FR3099480A1 (fr) 2019-07-29 2021-02-05 Decathlon Procédé de traitement antibuée d’une surface
CN116410659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涂料组合物、涂层及应用
FR3139341A1 (fr) 2022-09-02 2024-03-08 Decathlon Procédé de fonctionnalisation d’une surface d’un substrat optique en vue de lui conférer des propriétés antibué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5573C (en)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mirrors utilizing radiation curable coatings
KR101464017B1 (ko) 자외선 경화 인쇄 패턴을 가진 플라스틱 글레이징 패널과 상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32455B1 (ko) 단층막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재료
JPH02340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物品被覆用光硬化性組成物
KR20000021805A (ko) 인쇄적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KR20000021806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KR20000021399A (ko)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Decker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olefins by photografting of acrylic monomers
KR20000021808A (ko) 가필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이트보드용 필름
KR20000021809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형성 필름
KR20000021807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KR20000021804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 필름
KR101559922B1 (ko) 광원 보호경 및 그 제조방법
JPH03200815A (ja) 光重合性組成物、親水性重合体膜および親水性重合体膜で被覆された板状体
KR100400525B1 (ko) 내마모성이우수한광경화성아크릴계피복조성물
KR20000031488A (ko) 자외선 경화용 소광성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소광성 필름
JPH02248469A (ja) Uv硬化性で熱成形性の保護コーティング
KR100252030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필름
KR100252029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필름
KR100252032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KR100252031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JP2001232730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6264126A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KR20000021803A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 필름
JP2000109652A (ja) 紫外線遮蔽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硬化型被覆材料及びそれらが被覆された成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