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160U - 천정몰딩 - Google Patents
천정몰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0160U KR20000020160U KR2019990007153U KR19990007153U KR20000020160U KR 20000020160 U KR20000020160 U KR 20000020160U KR 2019990007153 U KR2019990007153 U KR 2019990007153U KR 19990007153 U KR19990007153 U KR 19990007153U KR 20000020160 U KR20000020160 U KR 2000002016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ceiling molding
- molding
- space
- j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몰딩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 사이의 모서리 접합부(40)에 장착되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면과 측면부에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밀착력 향상을 위해 요철부(35)가 구비된 고정면(30)이 형성되고, 몸체 후측 중앙부로는 접합부(40)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50)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부에는 재료비의 절감을 위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관통되게 형성되는 공간부(60)로 구성되므로, 작업자는 천정몰딩(100)의 몸체 후측 중앙부에 천정면(10)과 벽면체(20)의 모서리 접합부(40)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경사부(50)로 인해 접합부(40)의 형상 및 각도에 무관하게 천정몰딩(100)의 장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부에는 공간부(60)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성형시 투입되는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자체 중량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장착후 천정몰딩(100)이 자체중량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천정몰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천정과 벽체가 이어지는 모서리 접합부분에 마감재로 쓰이는 장식용 천정몰딩의 배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모서리 접합부분의 형상 및 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 내측부에는 관통되게 공간부를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과 벽체의 접합면에는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정몰드를 이용하여 마감작업을 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천정과 벽체의 접합면에 설치되는 천정몰드는 직각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은 천정면의 석고보드과 고정이 이루어지고, 몸체 측면부는 벽면체와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천정몰딩의 몸체 전면부는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제작이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상기 천정몰딩을 천정면 및 벽면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먼저 천정몰딩의 상부면 및 측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킨 다음, 후작업으로 천정면의 석고보드에 접합하는 면에는 타카(못)를 박아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 천정몰딩은 한편, 천정몰딩은 부착시 타카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관계로 고정 후 결함 등으로 재시공 할 때 작업의 난해한 점을 감안하여 세심한 배려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천정몰딩은 천정과 벽체의 접합면에 설치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설치후의 수평각도와 견고함을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 천정몰딩은 배면 형상이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천정몰딩이 부착될 모서리면이 직각을 이루어지지 않는 장소에서는 천정몰딩의 설치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즉, 건물의 시공시 천정면과 벽면체가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시공작업을 수행하지만, 작업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점 등에 의해 직각이 이루어 지지 않고, 직각을 맞춘 후에도 건조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 및 내부 온도등에 의한 팽창 및 수축등에 의해 직각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정몰딩이 설치되는 장소가 정확한 직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관계로 천정몰딩의 장착시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천정몰딩은 비교적 몸체가 무겁게 형성되는 관계로 천정면과 벽면체에 설치후에도 자체 중량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점과, 재료비과 과다하게 지출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정과 벽체가 이어지는 모서리 접합부분에 마감재로 쓰이는 장식용 천정몰딩의 배면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모서리 접합부분의 형상 및 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 내측부에는 관통되게 공간부를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천정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착본드가 도포되는 천정몰딩의 상부면과 측면부에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천정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천정몰딩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천정몰딩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천정몰딩의 고정면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인 천정몰딩이 천정면 및 벽면체의 모서리 접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천정몰딩의 몸체 내측으로 보강살이 다수개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천정면 20 - 벽면체
30 - 고정면 35 - 요철부
40 - 접합부 50 - 경사부
60 - 공간부 65 - 지지살
100 - 천정몰딩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 사이의 모서리 접합부(40)에 장착되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면과 측면부에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밀착력 향상을 위해 요철부(35)가 구비된 고정면(30)이 형성되고, 몸체 후측 중앙부로는 접합부(40)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50)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부에는 재료비의 절감을 위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관통되게 형성되는 공간부(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천정몰딩(100)의 몸체 후측 중앙부에 천정면(10)과 벽면체(20)의 모서리 접합부(40)에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경사부(50)가 형성되므로, 접합부(40)의 형상 및 각도에 무관하게 천정몰딩(100)의 장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부에는 공간부(60)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성형시 투입되는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자체 중량 역시 감소시킬 수 있어 장착후 천정몰딩(100)이 자체중량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천정몰딩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천정몰딩의 고정면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천정몰딩이 천정면 및 벽면체의 모서리 접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천정몰딩의 몸체 내측으로 보강살이 다수개 설치되는 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천정몰딩(100)은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 사이의 모서리 접합부(40)에 장착되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면과 측면부에는 고정면(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면(30)은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에 밀착된 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에는 요철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35)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천정면(10) 및 벽면체(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면(30)에 요철부(35)가 형성 되어 있으므로, 판형상으로 고정면(30)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요철부(35)의 굴곡에 의해 고정력 및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천정몰딩(100)의 장착후 장시간 경과후에도 천정면(10) 및 벽면체(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중앙 후측으로는 경사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50)는 천정면(10)과 벽면체(20)의 모서리 접합부(40)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접합부(40)의 형상 및 각도에 관계없이 천정몰딩(100)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의 모서리 접합부(40)가 직각의 형상을 이루지 못하거나, 시공후 콘크리트의 흘러 내림현상 및 열에 의한 수축 팽창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천정몰딩(100)의 몸체 후측에는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합부(40)의 형상 및 각도에 간섭없이 천정몰딩(100)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천정몰딩(100)의 몸체 후측부에 형성되는 경사부(50)가 접합부(40)의 형상 및 각도에 관계없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부에는 제품 성형시 재료비 단가를 낯출 수 있도록 관통되게 공간부(6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60)는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천정몰딩(100)의 전체 형상에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상기 경사부(50)에 형성되는 공간부(60)는 천정몰딩(100)의 장착후에는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는 부위이므로, 제품이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통되게 공간부(60)를 형성하므로, 제품의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 공간부(60)에는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살(6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살(65)은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부를 재료비 절감을 위해 공간부(60)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천정몰딩(100)의 공간부(60) 중앙부로 제품 자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살(65)이 형성되어 지므로, 재료비는 절감효과와 동시에 제품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 공간부(60)에 형성되는 지지살(65)은 통상 한개를 기본으로 형성하나, 선택적으로, 자체 보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개 이상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천정몰딩(100)의 몸체 상부면과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면(30)에는 요철부(35)가 형성되어 있어, 장착시 고정력과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몸체 후측부에는 모서리 접합부(40)와 일정거리를 유지시켜, 제품의 장착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경사부(5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50)에는 제품의 성형시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는 공간부(60)가 형성되므로, 장착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제품의 생산단가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천정몰딩(100)의 몸체 후측부에는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의 모서리 접합부(40) 형상 및 각도등에 무관하게 천정몰딩(1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접합부(40)와 일정거리를 유지시키는 경사부(50)가 형성되므로, 작업의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천정몰딩(100)의 고정면(30)에는 요철부(35)가 형성되므로, 천정면(10) 및 벽면체(20)가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고정력 및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으로는 관통되게 형성되어 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60)가 형성 되어 지므로, 제품의 생산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천정몰딩(100)의 몸체 내측 공간부(60)에는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살(65)이 형성되므로, 공간부(60)를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제품의 생산단가의 저감으로 인한 제품의 판매단가를 낯출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 건축물의 천정면(10)과 벽면체(20) 사이의 모서리 접합부(40)에 장착되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면과 측면부에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시 밀착력 향상을 위해 요철부(35)가 구비된 고정면(30)이 형성되고, 몸체 후측 중앙부로는 접합부(40)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부(50)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부에는 재료비의 절감을 위하여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관통되게 형성되는 공간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몰딩.
-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60)의 내측 중앙부에는 공간부(60)의 형성으로 인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살(6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몰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7153U KR20000020160U (ko) | 1999-04-29 | 1999-04-29 | 천정몰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7153U KR20000020160U (ko) | 1999-04-29 | 1999-04-29 | 천정몰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0160U true KR20000020160U (ko) | 2000-11-25 |
Family
ID=5476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7153U KR20000020160U (ko) | 1999-04-29 | 1999-04-29 | 천정몰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20160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023Y1 (ko) | 2019-08-23 | 2021-01-19 |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 덧붙임용 몰딩 |
KR102665218B1 (ko) | 2023-03-15 | 2024-05-10 | 주식회사 돋움 | 천정 몰딩 구조 |
-
1999
- 1999-04-29 KR KR2019990007153U patent/KR2000002016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023Y1 (ko) | 2019-08-23 | 2021-01-19 |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 덧붙임용 몰딩 |
KR102665218B1 (ko) | 2023-03-15 | 2024-05-10 | 주식회사 돋움 | 천정 몰딩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63835A (en) | Molding assembly | |
US5303519A (en) | Shower stall with molded angle panel | |
KR20000020160U (ko) | 천정몰딩 | |
KR20000020161U (ko) | 천정몰딩 | |
KR20140003660U (ko) | 천정몰딩 시공체 | |
JPH08245151A (ja) | エレベータ入口の三方枠 | |
JPS62185952A (ja) | 外壁 | |
JP4282812B2 (ja) | 化粧材 | |
JP2515715Y2 (ja) | 出 隅 | |
JPH0941623A (ja) | 石材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 | |
JPH034672Y2 (ko) | ||
JPH0712527Y2 (ja) | 建築用仕上材片およびその接合構造 | |
JP3186435B2 (ja) | 縁部材出隅カバー具 | |
JPS5912346Y2 (ja) | 化粧板 | |
JPH0450758Y2 (ko) | ||
JPH0246578Y2 (ko) | ||
JPH0532582Y2 (ko) | ||
JPH04203141A (ja) | 間仕切パネルの設置構造 | |
JP2507368Y2 (ja) | 化粧廻り縁の取付け構造 | |
JP3640714B2 (ja) | 廻り縁構造 | |
JP3398488B2 (ja) | 隅棟瓦 | |
JPS6341469Y2 (ko) | ||
AU2001263650B2 (en) | Connector for cornices | |
JP3455940B2 (ja) | パネル状壁材 | |
JPH0817745B2 (ja) | 厨房家具等の設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