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049U -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049U
KR20000020049U KR2019990006965U KR19990006965U KR20000020049U KR 20000020049 U KR20000020049 U KR 20000020049U KR 2019990006965 U KR2019990006965 U KR 2019990006965U KR 19990006965 U KR19990006965 U KR 19990006965U KR 20000020049 U KR20000020049 U KR 20000020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lock
moving
jo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근
김진용
류근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90006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049U/ko
Publication of KR20000020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4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12Grippers co-operating frictionally with tr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3Analysing solids in the interior, e.g. by shear waves

Abstract

본 고안은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스트립 이송용 롤러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트립을 이송토록 하는 이송롤러의 교체 작업이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됨과 동시에, 베어링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은, 레일(26a)을 따라 운동하는 이동대차(22)와, 그 일측으로 적재대차(24)가 연설되는 대차부(20)와, 상기 이동대차(22)의 중앙에 연설된 회전바아(32)의 상단에 수평 결합된 고정블록(34a)의 내측으로 이송토록 연설되는 이동바아(34)의 선단부 하측에는 고정 및 이동죠그(38a) (38b)가 개폐토록 설치되는 롤러 이송부(30) 및, 상기 죠그블록(46)의 전방으로 베어링을 검사토록 측정기(52)가 하향 연설되는 베어링 검사부(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이송롤러의 원활한 교체로 제조라인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예방되고, 베어링의 정확한 측정으로 이송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An apparatus for exchanging rollers with function examining bearings}
본 고안은 강판제조 공정시 스트립을 이송토록 테이블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이송롤러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는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트립을 이송토록 하는 무거운 중량의 이송롤러를 수작업없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한편, 이송롤러의 베어링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 베어링 불량으로 인한 스트립의 이송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제품, 특히 무거운 중량의 스트립(STRIP) 또는 슬래브(SLA
B)등은 테이블상에 배열 설치된 이송롤러로서 이송시키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송롤러 교체작업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크레인(100)의 연결와이어(102)로서 이송롤러(110)를 묶은후, 크레인(100)으로서 이송롤러(110)를 교체토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10)의 양측으로 이송롤러(110)를 실질적으로 회전작동토록 하는 베어링이 내설된 베어링블록(112)이 연설되어 이송중인 스트립(130)과 상기 베어링블록(112)이 접촉하면서 베어링블록(112)내의 베어링이 손쉽게 파손되어 이를 파악하여 불량 베어링을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청음봉(140)등으로 작동상태를 간접 검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송롤러 교체작업에 있어서는, 이송롤러(110)가 강판제조시의 고열로 인하여 열팽창이 손쉽게 발생되고, 이에따라 이송롤러 (110)의 열변형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송롤러(110)를 원활하게 교체하기가 어렵게되며, 또한 그 작업시간도 극히 지연되는 한편, 특히 무거운 중량의 이송롤러 (110)를 권취하는 작업중에, 이송롤러(110)의 낙하등으로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솔롤러(110)의 베어링 검사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청음봉(140)등으로 베어링의 회전음을 간접 검사할 수 밖에 없어, 특히 스트립 이송라인에서 발생되는 여러 소음으로 정확한 베어링 검사작업이 어렵게 되며, 이에 따라 불량 베어링에 의한 스트립제품의 이송도 불량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저하는 물론, 강판제조라인의 설비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거운 중량의 스트립 제품을 이송토록 하는 이송롤러의 교체 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송롤러의 회전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베어링을 동시에 정밀하게 검사함으로 인하여, 보다 정밀하고 원활한 스트립 이송이 가능하여 강판 제품의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이송용 롤러의 교체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이송롤러 교체장치의 베어링 검사부분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롤러 교체장치 10.... 롤러부
12.... 이송롤러 14.... 베어링브록
16.... 테이블 20.... 대차부
22.... 이동대차 24.... 적재대차
24a,26.... 이송바퀴 28,40.... 구동모터
30.... 롤러 이송부 32.... 회전바아
34.... 이동바아 34a.... 고정블록
36.... 죠그블록 38a,38b.... 고정 및 이동죠그
42,44,46,48.... 제 1,2,3 및 제 4 실린더
50.... 검사부 52.... 측정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스트립 을 이송토록 테이블상에 다수개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그 양측으로 연설되는 베어링블록으로 된 롤러부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토록 이동대차가 마련되고, 그 일측으로 적재판이 일체로 연설되는 대차부와,
상기 이동대차의 중앙에 회전토록 설치된 회전바아의 상단에는 고정블록이 수평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블록의 내측으로 전후 이송토록 설치된 이동바아의 단부 하측에는 상하 이송토록 죠그블록이 연설되고, 상기 죠그블록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 및 이동죠그가 서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롤러 이송부 및,
상기 죠그블록의 전방으로 베어링블록에 내설된 베어링을 검사토록 측정기가 하향 연설되는 베어링 검사부로서 구성되는 베어링 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이송롤러 교체장치의 베어링 검사부분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롤러부(10)와 대차부(20)와 롤러 이송부(30) 및 검사부(50)로서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10)는, 스트립제품(S)을 이송토록 테이블(16)상에 다수개가 순차로 횡설되는 이송롤러(12)와, 그 양측으로 상기 이송롤러(12)를 회전토록 베어링이 내설되는 베어링블록(14)이 연설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일측으로 이송되면서 이송롤러(12)를 교체하고 적재토록 하는 상기 대차부(20)는, 상기 테이블(16)의 일측으로 직선운동토록 이동대차 (22)가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이송롤러(12)를 적재 이송토록 하는 적재대차(24)가 일체로 직선운동토록 결합된다.
상기 대차부(20)의 이동대차(22)의 저면 전후 양측에는 상기 테이블(16)의 일측으로 병렬 설치된 레일(26a)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바퀴(26)가 상기 이동대차 (22)에 저부 양측에 결합된 지지축(26b)(22b')의 양단부에 연설되며, 상기 이동대차(22)의 전후 및 좌우측에는 상기 레일(26a)에 고정되어 이동대차(22)를 정지시키는 스토퍼(48a)가 하측에 연설되는 제 4 실린더(48)가 각각 하향 설치된다.
또한, 일측 하부에 이송바퀴(24a)가 설치되는 상기 적재대차(24)의 상부에는 다수의 적재블록(24b)이 마련되며, 상기 일측 지지축(26b)에는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28)와 회전토록 체결된 구동벨트(24)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차 (22)는 전후 이송토록 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2)를 작동으로 취출 교체토록 하는 롤러 이송부(30)는, 상기 이동대차(22)의 중앙으로 회전토록 설치되는 회전바아(32)의 상단에 수평하게 일체로 결합된 고정블록(34a)의 내측으로 이동바아(34)가 연설되며, 상기 이동바아(34)의 단부 하측에 상하 이송토록 연설되는 죠그블록(36)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가 서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바아(32)는 하단에 설치된 회전기어(32a)가 상기 이동대차(22)상에 수직 설치된 구동모터(40)의 구동기어(40a)와 맞물리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회전바아(32)의 상부에 수평 연설되는 이동바아(34)는 상기 고정블록(34a)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된 제 1 실린더(42)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록(34a)을 통하여 전후 이송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죠그블록(36)은 이동바아(34)의 단부에 직립하여 설치된 제 2 실린더(44)의 하측으로 연설되어 상하 이송되며, 상기 죠그블록(36)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는 고정죠그(38a)를 관통하여 힌지핀(38c)으로서 고정되는 제 3 실린더(46)로서 개폐하면서 이송롤러(12)를 고정 이송토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2)의 양측으로 연설되는 베어링을 검사토록 하는 검사부(50)는, 상기 죠그블록(46)의 전방으로 이송롤러(12)의 양측 베어링블록(14)내에 내설된 베어링을 검사토록 측정기(52)가 하향 연설된다.
한편, 상기 측정기(52)는 죠그블록(36)의 전면에 일체로 결합된 지지블록 (54)의 저부에 하향 설치되어 상기 제 2 실린더(44)로서 일체로 상하 이송하며, 상기 측정기(52)는 상,하 이송시 베어링블록(14)과 접촉하여 내부 베어링의 상태를 측정하는 초음파 측정기로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거운 중량의 스트립(S)을 이송토록 테이블(16)상에 설치되는 이송롤러(12)의 교체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하며,이와 동시에 상기 이송롤러(12)의 회전작동을 가능토록 양측의 베어링블록(14)내에 내설되는 베어링을 간편하게 측정하여 이송롤러(12)의 교체 및 베어링 검사가 용이한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측으로 다수개의 이송롤러(12)와 양측의 베어링블록(14)으로 된 롤러부(10)가 장착되는 테이블(16)의 일측에는 병렬 설치된 레일(26a)을 따라 이동대차(22)의 하측으로 설치된 이동바퀴(26)가 이송되며, 이때 상기 이송바퀴(26)는 상기 이동대차(22)의 저부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축(26b)(26b')의 양단에 연설되며, 작업자가 상기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28)를 작동시키면, 이에 체결된 구동벨트(24)가 상기 일측 지지축(26b)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지지축(26b)의 회전작동하여, 상기 이동대차(22)는 테이블(16)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이동대차(22)의 중앙에 덮개판으로서 직립하여 설치된 회전바아 (32)는, 작업자가 이동대차(22)의 중앙에 설치된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기어(40a)가 회전하면서 회전바아(32)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기어(32a)와 맞물리고, 결국 상기 회전바아(32)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바아(3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된 고정블록 (34a)의 내측에는 제 1 실린더(42)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제 1 실린더 (42)를 전진시키면 그 선단부에 결합된 이동바아(34)가 상기 고정블록(34a)의 내측을 통하여 전진 작동되며, 이에따라 상기 이동바아(34)의 전방 양측에 하향 설치된 제 2 실린더(44)가 일체로 전진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 2 실린더(44)의 하단에는 결합된 죠그블록(36)도 일체로 전진하고. 상기 제 2 실린더(44)의 하강작동시 하강하며, 따라서 상기 죠그블록(36)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도 일체로 하강 또는 상승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죠그(38a)와 이동죠그(38b)는 고정핀으로서 죠그블록 (36)의 하측으로 각각 연설되고, 따라서 상기 고정죠그(38a)를 통하여 횡설된 제 3 실린더(46)가 전진하면, 그 로드 단부에 힌지핀(38c)으로서 연결되는 상기 이동죠그(38b)는 제 3실린더(46)의 작동시 전진하여 별려지고 반대로 제 3 실린더(46)가 후진 작동하면, 상기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는 내측으로 오므려 지면서, 상기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의 개,폐 작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롤러(12)는 취출 이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동대차(22)를 이송시키어 적당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대차(22)의 일측으로 하향 설치된 제 4 실린더(48)를 상승시키어 그 하단에 연설된 스토퍼(48a)가 레일(32a)에 걸리어 고정되도록 하여 이동대차(22)를 정지상태로 있게 하며, 상기 이동대차(22)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이송바퀴(24a)로서 이송하는 적재대차(24)의 적재블록(24b)에 안착된 이송롤러(12)를 교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2, 3 및 제 4 실린더(42)(44)(46)(48)는 유압실린더로서 상기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유압유니트(U)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콘트롤박스(C)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각 구동모터 (28)(40) 및 실린더(42)(44)(46)(48)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크레인(100)을 이용하여 무거운 중량의 이송롤러(110)를 교체하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인 교체장치(1)로서 자동적으로 이송롤러(12)를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이 극히 향상되는 동시에, 무거은 이송롤러(12)의 낙하등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예방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롤러부(10)의 교체작업시 이송롤러(12)를 회전토록 하는 베어링의 상태를 검사하여야 하는데,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죠그블록(36)의 전방으로 하양 설치된 초음파 측정기기인 측정기(52)를 제 1 실린더(42)로서 전진시키면서 베어링블록(14)의 표면에 측정기(52)의 하단을 밀착시키어 측정한다.
따라서, 직선 운동하는 이동대차(22)상에서 베어링을 검사하여 불량으로 판정된 이송롤러(12)를 취출하여 적재대차(24)상으로 이송 적재시키고, 이때 상기 적재대차(24)상의 적재블록(24b)은 이송되는 이송블록(12)의 안착각도에 맞추어 설치각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서,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송롤러(12)의 교체와 베어링의 검사작업을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립의 이송중에도 베어링을 검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에 의하면, 무거운 중량의 스트립을 이송토록 하는 이송롤러의 교체 작업이 자동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이송롤러의 회전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베어링을 동시에 정밀하게 검사토록 함으로 인하여, 보다 원활한 스트립 제품의 이송으로 스트립 제품의 전체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트립(S)을 이송토록 테이블(16)상에 다수개 설치되는 이송롤러(12)와, 그 양측으로 연설되는 베어링블록(14)으로 된 롤러부(10)와,
    상기 테이블(16)의 일측으로 설치된 레일(26a)을 따라 직선 운동토록 이동대차(22)가 마련되고, 그 일측으로 적재대차(24)가 일체로 연설되는 대차부(20)와,
    상기 이동대차(22)의 중앙에 수직 회전토록 설치된 회전바아(32)의 상단에는 고정블록(34a)이 수평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블록(34a)의 내측으로 전후 이송토록 설치된 이동바아(34)의 단부 하측에는 상하 이송토록 죠그블록(36)이 연설되고, 상기 죠그블록(36)의 하부 양측에는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가 서로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롤러 이송부(30) 및,
    상기 죠그블록(46)의 전방으로 베어링블록(14)에 내설된 베어링을 검사토록 측정기(52)가 하향 연설되는 베어링 검사부(5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22)의 하측에는 레일(26a)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바퀴(26)가 저부 지지축(26b)(22b')의 양단부에 연설되며, 상기 일측 지지축 (26b)에는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28)로서 구동되는 구동벨트(24)가 연결되며, 상기 적재대차(24)의 상, 하부에는 이송바퀴(24a)와 적재블록(24b)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대차(22)의 전후 및 좌우측에는 스토퍼(48a)가 각각 수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이송부(30)의 회전바아(32)는 그 하단에 설치된 회전기어(32a)가 이동대차(22)상에 설치된 구동모터(40)의 구동기어(40a)와 회전 작동토록 맞물리고, 상기 이동바아(34)는 고정블록(34a)의 내측에 결합된 제 1 실린더(42)와 연설되어 전,후 이송되고, 상기 죠그블록(36)은 이동바아(34)에 수직 결합된 제 2 실린더(44)의 하측에 연설되며, 상기 죠그블록(36)의 고정 및 이동죠그(38a)(38b)는 일측으로 설치된 제 3 실린더(46)와 힌지핀(38c)으로서 서로 개폐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50)의 측정기(52)는 죠그블록(36)의 전면에 결합된 지지블록(54)에 하향 설치되며, 상기 측정기(52)는 베어링블록(14)의 표면에 접촉하여 내부 베어링상태를 측정하는 초음파 측정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KR2019990006965U 1999-04-27 1999-04-27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KR200000200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65U KR20000020049U (ko) 1999-04-27 1999-04-27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65U KR20000020049U (ko) 1999-04-27 1999-04-27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49U true KR20000020049U (ko) 2000-11-25

Family

ID=547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65U KR20000020049U (ko) 1999-04-27 1999-04-27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04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474A (ko) *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기의 스프레이 폭 조정 실린더 탈부착용 받침장치
CN107717384A (zh) * 2017-11-06 2018-02-23 苏州展德自动化设备有限公司 汽车千斤顶轴承自动供料机构
CN111318784A (zh) * 2020-02-27 2020-06-23 莱州中杰机器人有限公司 双法兰环缝自动焊接设备及工作方法
KR20210054840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 자동 재배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474A (ko) *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기의 스프레이 폭 조정 실린더 탈부착용 받침장치
CN107717384A (zh) * 2017-11-06 2018-02-23 苏州展德自动化设备有限公司 汽车千斤顶轴承自动供料机构
KR20210054840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식물 자동 재배시스템
CN111318784A (zh) * 2020-02-27 2020-06-23 莱州中杰机器人有限公司 双法兰环缝自动焊接设备及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369B2 (en) Machine tool and associated pallet changer
CN111573191B (zh) 一种包含抽检台的发动机缸体下料系统
WO2010047197A1 (ja) タイヤ検査装置及びタイヤ検査方法
KR20000020049U (ko) 베어링 검사기능을 갖는 이송롤러 교체장치
US5116183A (en) Apparatus for unloading freight from an open freight car
JP4376172B2 (ja) ユニフォミティ装置とユニフォミティ検査ライン
CN210854198U (zh) 一种下片正抓辊台的侧推气缸定位装置
JPS63295353A (ja) ロールから帯材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CN107367623B (zh) 一种棒料自动探伤设备
CN112934723B (zh) 一种打包车自动上车装置的使用方法
CN212374339U (zh) 一种输送机用的180°翻转设备
KR20230120280A (ko) 배터리셀 외관 검사장치
JP3592521B2 (ja) 円筒形ワークの表面品質自動検査装置及び方法
JP4204537B2 (ja) タイヤ用移載装置及びタイヤ試験機
US5157977A (en) Inspection machine
CN107052103A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JP3792414B2 (ja) 鋼製枕木の連続製造設備
JPS6337706B2 (ko)
KR20020080839A (ko) 열연정정코일라인에서 강판불량부 처리 및 샘플채취장치
CN115213786B (zh) 工件双面检测的翻转设备
KR200182979Y1 (ko) 냉연 샘플강판 취출 및 검사장치
JPH0750359Y2 (ja) 原紙掛け機
KR200194332Y1 (ko) 핫 코일의 외관 검사장치
CN219025043U (zh) 一种金属棉生产用质量监测装置
CN215159354U (zh) 一种打包车自动上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