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150A -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150A
KR20000019150A KR1019980037101A KR19980037101A KR20000019150A KR 20000019150 A KR20000019150 A KR 20000019150A KR 1019980037101 A KR1019980037101 A KR 1019980037101A KR 19980037101 A KR19980037101 A KR 19980037101A KR 20000019150 A KR20000019150 A KR 20000019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al
light source
instrument panel
refl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철 filed Critical 주종철
Priority to KR101998003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150A/ko
Publication of KR2000001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1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문자판은 반투명인쇄부(12) - 베이스(11) - 불투명인쇄부(13), 또는 베이스(11) - 반투명인쇄부(12) - 불투명인쇄부(13)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광원(L)의 조명이 반투명인쇄부(12)를 통과하여 불투명인쇄부(13)의 노출부(13a)를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되므로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약하므로 시인성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투명인쇄부(12)를 통하지 않고 광원(L)의 빛이 문자판(10)에 전달되도록 한 구조로서, 눈금 및 숫자를 나타내는 노출부(13a)가 형성된 불투명인쇄부(13)를 투명한 베이스(11)에 형성하고 그 하방에는 광원(L)의 빛이 반사되는 반사판(20)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문자판에 나타나는 눈금 및 숫자는 반사판(20)의 색상으로 인식됨과 동시에 직접적인 조명효과로 인하여 고휘도의 발광을 이루도록 하므로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차량운행의 안전성, 차량의 상품성 향상의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투명인쇄부를 형성하지 않은 문자판을 구비하고 이러한 문자판의 하방에는 반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광원의 빛이 손실없이 문자판에 원활이 전달되며 운전자의 인식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계기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와 그 외 장치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인식하고 있는 운전자가 차량의 안전운행과 정비 및 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기장치는 운전석에 설치된 계기판[Instrument Panel]을 통해 운전자에게 각종 차량 정보를 인지시키도록 되며 이러한 계기판은 보통 속도계, 회전계, 연료계, 수온계 등 각종 미터류 등이 수납된다.
이러한 각종 미터는 나타나는 눈금 및 숫자 등이 구비된 문자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운전자의 인식을 돕기 위하여 조명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적용부위인 문자판 중 속도계를 예시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문자판(10)은 이를 조명하기 위하여 도 7에 단면도로 예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투명한 재질의 베이스(11) 상면에 반투명한 반투명인쇄부(12)를 형성하고, 이러한 반투명인쇄부(12)의 상면에 불투명인쇄부(13)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 때 불투명인쇄부(13)에는 눈금 및 숫자모양으로 형성한 노출부(13a)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반투명인쇄부(12)의 색상, 즉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눈금 및 숫자의 색상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하방의 광원(L)에서 조명하면, 이러한 광원(L)의 빛이 문자판(10)의 투명한 베이스(11)를 통과하고 반투명인쇄부(12)를 통과하여 불투명인쇄부(13)에 투사되고, 일부 빛은 불투명인쇄부(13)의 노출부(13a)를 통과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운전자는 노출부(13a)가 이루는 눈금 및 숫자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은 다른 구성으로 된 종래 자동차 계기판의 조명구조를 나타낸 예시단면도로서, 투명한 베이스(11)의 저면에 반투명인쇄부(12')를 형성하고 베이스(11)의 상면측에 노출부(13a)를 형성한 불투명인쇄부(13)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도 8의 예에서 광원(L)의 빛은 저부로부터 반투명인쇄부(12') 및 베이스(1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불투명인쇄부(13)에 이르면 일부의 빛이 노출부(13a)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출부(13a)의 모양인 눈금 및 숫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 및 도 8에 예시한 종래의 구성은 반투명인쇄부(12)(12')의 위치가 투명한 베이스(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순서만 다를 뿐 광원(L)의 빛이 베이스(11) 및 반투명인쇄부(12)(12')를 투과하는 구성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문자판 조명구조는 광원(L)의 조명이 반투명인쇄부(12)를 통과하여 불투명인쇄부(13)의 노출부(13a)를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구조이므로, 운전자가 볼 때는 투과율이 저하되어 휘도가 약하므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휘도의 광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제작단가의 상승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의 조명이 반투명인쇄부를 통과하지 않고 문자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휘도의 발광을 이루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에 대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 구성단면도,
도 7은 종래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단면도,
도 8은 종래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자판 11 ; 베이스
12 ; 반투명인쇄부 13 ; 불투명인쇄부
13a ; 노출부 20 ; 반사판
31 ; 프리즘 32 ; 반사경
33 ; 다방향프리즘 L ; 광원
C ; 케이스 M ; 지침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에 구비된 미터의 문자판(10)을 조명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0)을 조명하는 광원(L)의 빛이 직접적으로 문자판(10)의 투명한 베이스(11)를 투과하고 불투명인쇄부(13)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문자판(10)에 나타나는 눈금 및 숫자의 인식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투명한 베이스(11) 상면에 미터의 눈금 및 숫자를 이루는 노출부(13a)가 형성된 불투명인쇄부(13)만을 구비한 문자판(10);
상기 문자판(10)의 하방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에 투사되는 광원(L)의 빛이 상향으로 반사되도록 구비한 불투명의 반사판(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 고안의 설명과 동일한 부위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문자판(10)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불투명인쇄부를 제외시키고 투명한 베이스(11) 상면에 불투명인쇄부(13)만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불투명인쇄부(13)에는 눈금 및 숫자모양으로 형성한 노출부(13a)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자판(10)의 하방에 소정간격을 두고 반사판(20)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반사판(20)은 불투명체로서 본 도에 도시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투사된 빛이 상향으로 빛이 모아져 반사되도록 하향으로 요입된 만곡부를 구비한 것이며 소정의 색상을 구비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C'는 케이스, 'M'은 지침구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시되지 않은 광원의 빛이 반사판(20)에 반사된 후 문자판(10)을 직접적으로 조명하게 하여 문자판의 노출부(13a)가 이루는 눈금 및 숫자를 확실하게 조명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식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눈금 및 숫자의 색상은 반사판(20)의 색상이 된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도로서, 베이스(11) 상면에 노출부(13a)가 형성된 불투명인쇄부(13)가 구비된 문자판(10)과, 이 문자판(10)의 하방에 구비된 반사판(20)의 일측에 광원(L)을 설치한 것이다. 이는 광원(L)의 빛이 수평방향으로 직접 투사되도록 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투사된 빛은 반사판(20)에서 반사되어 불투명인쇄부(13)의 노출부(13a)로 유출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인식되도록 된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에 대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단면도로서, 광원(L)의 위치가 반사판(20)의 일측 하방에 위치되고 상향으로 빛을 투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0)의 일측, 즉 광원(L)의 상방에는 광원(L)으로부터 상향 투사된 빛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반사부재인 프리즘(31)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 투사된 광원(L)의 빛이 상기 프리즘(31)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투사되어 반사판(20)에 이르도록 되므로, 반사판(20)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문자판(10)의 불투명인쇄부(13)에 형성된 노출부(13a)로 유출되어 운전자에게 눈금 및 숫자 등으로 인식된다.
또한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에 대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구성단면도로서, 상기 도 4에 예시된 제2실시예에서 광원(L)의 빛을 절곡시키도록 하는 반사부재로서 반사경(32)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역시 상향으로 투사된 광원(L)의 빛을 반사경(32)이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반사판(20)으로 전달되게 한다. 이하 반사판(20)에서 문자판(10)에 이르는 빛의 경로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에 대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 구성단면도로서, 반사판(20)의 중앙부에 여러 방향으로 빛을 굴절시켜 전달되도록 하는 다방향프리즘(33)을 구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다방향프리즘(33)은 여러 방향으로 빛이 전달되어 굴절되도록 역원추형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그 하방의 소정위치에 빛을 상향으로 투사하도록 광원(L)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향으로 투사되는 광원(L)의 빛은 상기 다방향프리즘(33)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투사되어 반사판(20)에 이르게 되고, 이 반사판(20)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판(10)으로 투사된다. 그리고 문자판(10)의 투명한 베이스(11)를 통과한 빛은 불투명인쇄부(13)의 노출부(13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운전자에게 인식된다.
즉, 이상과 같이 예시된 각 실시예로 설명한 본 발명은 광원(L)의 빛이 투명한 베이스(11)를 통해 불투명인쇄부(13)로 직접 전달되어 눈금, 숫자 등의 모양으로 된 노출부(13a)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을 조명하여 이 문자판에 형성된 눈금 및 숫자 등을 운전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의 조명이 불투명인쇄부를 투과하지 않고 문자판을 조명하게 되므로 문자판에 나타나는 눈금 및 숫자가 고휘도의 발광을 이루도록 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다 명확한 계기판의 지시를 인식할 수 있어서 차량운행의 안전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며 차량의 품위를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투명한 베이스(11) 상면에 미터의 눈금 및 숫자를 이루는 노출부(13a)가 형성된 불투명인쇄부(13)만을 구비한 문자판(10);
    상기 문자판(10)의 하방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에 투사되는 광원(L)의 빛이 상향으로 반사되도록 구비한 불투명의 반사판(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0)은 하향으로 요입된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L)은 반사판(20)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L)은 반사판(20)의 일측 하방에 빛이 상향으로 투사되도록 설치하고 그 상방에는 광원(L)의 빛이 수평으로 반사되어 반사판(20)에 이르도록 하는 반사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리즘(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반사경(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20)의 중앙부에 여러 방향으로 빛이 굴절되도록 형성한 다방향프리즘(33)을 구비하고, 광원(L)은 상기 다방향프리즘(33)의 하방 소정위치에서 빛을 상향으로 투사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KR1019980037101A 1998-09-09 1998-09-09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KR20000019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101A KR20000019150A (ko) 1998-09-09 1998-09-09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101A KR20000019150A (ko) 1998-09-09 1998-09-09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50A true KR20000019150A (ko) 2000-04-06

Family

ID=1955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101A KR20000019150A (ko) 1998-09-09 1998-09-09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1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1307A1 (en) * 2003-05-15 2004-11-25 Ekolite Co., Inc An indicator display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79130B1 (ko) * 2008-09-23 2009-01-19 (주)진원테크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KR100879128B1 (ko) * 2008-05-27 2009-01-19 (주)진원테크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KR100916655B1 (ko) * 2008-08-04 2009-09-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입체 계기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1307A1 (en) * 2003-05-15 2004-11-25 Ekolite Co., Inc An indicator display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79128B1 (ko) * 2008-05-27 2009-01-19 (주)진원테크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KR100916655B1 (ko) * 2008-08-04 2009-09-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입체 계기판
KR100879130B1 (ko) * 2008-09-23 2009-01-19 (주)진원테크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368A (en) Meter dial illuminating device
US9302585B2 (en) Meter
JPH09159493A (ja) 指針式表示装置
KR20000019150A (ko)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GB2119729A (en) Motor vehicle instrument support assembly
JP4566728B2 (ja) 指針計器
JP2003214912A (ja) 照明装置
JP2003329491A (ja) 指針計器
JP2002372441A (ja) 車両用計器
JP4075843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4265514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4224751B2 (ja) 表示装置
JP4199383B2 (ja) 計器用表示装置
KR100287925B1 (ko) 자동차 계기판용 지침
JP4218642B2 (ja) 計器
US20040189446A1 (en) Vehicle dashboard
JP4684596B2 (ja) 光透過発光式指針
JP4796720B2 (ja) 自発光指針及び指針式表示装置
JP2001066166A (ja) 計器用表示装置
JP2006176121A (ja) 指針計器
JP2004325652A (ja) 車両用インジケータ表示装置
JP2006194892A (ja) 指針計器
JP2006138725A (ja) 指針と車両用指針計器
JP2003329964A (ja) 表示装置
JP200530915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