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655B1 - 입체 계기판 - Google Patents

입체 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655B1
KR100916655B1 KR1020080076024A KR20080076024A KR100916655B1 KR 100916655 B1 KR100916655 B1 KR 100916655B1 KR 1020080076024 A KR1020080076024 A KR 1020080076024A KR 20080076024 A KR20080076024 A KR 20080076024A KR 100916655 B1 KR100916655 B1 KR 10091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housing
upper side
prism
illumin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덕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바닥면을 따라 세워지고 다양한 형상의 문형홀을 형성하는 제 1다이얼,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 1다이얼과 설정된 각도만큼 벌어진 둘레면에 문형홀 각각에 대응되는 인쇄문형을 새긴 제 2다이얼 및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링하고 제 2다이얼의 인쇄문형을 상부로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확산된 빛이 문형홀을 통과 후 대응되는 인쇄문형과 겹쳐진 상태로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투영판 및 제 1다이얼을 투과한 빛이 프리즘에서 확산되는 빛과 간섭 발생되지 않도록 제 1다이얼의 상측 전체에 걸쳐 연결되어 투영판의 하측에 접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계기판 상에 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나도록 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입체 계기판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76024
입체, 계기판

Description

입체 계기판{LIGHTING APPARATUS ON THE CLUSTER}
본 발명은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보는 다이얼에 숫자와 같은 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로써 실현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입체 계기판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는 차량 및 엔진의 운전정보를 문자나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해주기 위한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이 클러스터에는 눈금과 문자 및 지침이 구비된 문자판을 포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문자판은 원형의 평면판으로 형성된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좋은 디자인(Good Design)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상승됨에 따라 평면판의 형상이 아닌 곡면판 형상의 문자판이 포함된 클러스터의 적용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곡면판형의 문자판이 적용된 클러스터의 하우징 내측에는 미드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 하우징의 상부측에는 숫자 및 눈금이 표시된 원형의 문자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판의 중간부에는 측정된 값이 해당되는 눈금 및 숫자를 지시하기 위한 지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문자판은 그 측단면형상이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소비자의 좋은 디자인에 욕구충족을 위해서 클러스터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보다 입체적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눈금이 표시되는 문자판 외주연의 눈금표시부는 평면상으로 형성된다.
즉, 숫자가 표시되는 숫자 표시부와, 상기 눈금표시부의 경계가 되는 부분부터는 내측의 중앙부가 가장 오목한 형태가 되도록 그 측단면형상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기존 클러스터의 문자판은 프리즘의 확산을 이용해 문자를 띄우는 방식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보는 다이얼에 숫자와 같은 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로써 실현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입체 계기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계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고 외부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조명원을 갖으며 상측을 개방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따라 세워지고 다양한 형상의 문형홀을 형성하는 제 1다이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다이얼과 설정된 각도만큼 벌어진 둘레면에 상기 문형홀 각각에 대응되는 인쇄문형을 새긴 제 2다이얼, 상기 조명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다이얼의 각 문형홀의 형상을 유지한 채 빛을 확산 유도하는 프리즘,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링하고 상기 제 2다이얼의 상기 인쇄문형을 상부로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확산된 빛이 상기 문형홀을 통과 후 대응되는 상기 인쇄문형과 겹쳐진 상태로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투영판 및 상기 제 1다이얼을 투과한 빛이 상기 프리즘에서 확산되는 빛과 간섭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 1다이얼의 상측 전체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투영판의 하측에 접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은 굴절율을 높이기 위해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투영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 원 궤적 또는 원호 궤적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조명원은 상기 격벽과 상기 제 1다이얼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문형홀 각각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발광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하측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다이얼의 상측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계기판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운전자가 보는 다이얼에 숫자와 같은 문형을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미적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써 실현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계기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계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계기판은 하우징(30), 제 1다이얼(50), 제 2다이얼(60), 프리즘(70), 투영판(80) 및 프로텍터(90)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인쇄회로기판(10) 상에 형성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은 무브먼트(20)를 형성한다. 무브먼트(20)는 구동모터(22)와 구동축(2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22)는 인쇄회로기판(10)의 하측에 연결되고, 구동축(24)과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축(24)은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구동축(24)은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아울러, 구동축(24)은 지침(26)과 결합된다. 이 지침(26)은 차량의 온도 게이지, 엔진 회전계, 속도계 및 연료 게이지에 구비되어 측정된 값이 해당되는 눈금 또는 숫자를 지시한다. 구동모터(22)와 구동축(24) 및 지침(2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편의상 구동모터(22)와 구동축(24)을 도시하지 않는다.
한편, 하우징(30)은 외부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조명원(40)을 갖는다. 이 조명원(40)은 그 모양이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사각 모양으로 된 엘이디(LED)나 기타 일반적인 벌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은 상부를 개방한다. 편의상, 하우징(30)은 단면상 아래쪽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30)은 제 1다이얼(50)을 형성한다. 즉, 제 1다이얼(50)은 하우징(30)의 바닥면 중앙 부위에 호 궤적이나 원형 궤적을 따라 세워지게 구비된다. 아울러, 제 1다이얼(50)은 온도 게이지, 엔진 회전계, 속도계 및 연료 게이지 각각에 필요한 숫자 등과 같은 형사의 문형홀(52)을 통공한다. 특히, 문형홀(52)은 조명원(40)에서 발광되는 빛이 해당 형상을 유지한 채 투과된다. 이때, 제 1다이얼(50)이 하우징(30)에 고정되는 구조는 접착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30)은 제 2다이얼(60)을 형성한다. 제 2다이얼(60)은 하우징(3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 2다이얼(60)은 하우징(30)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0) 내부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다이얼(60)은 문형홀(52) 각각에 대응되는 인쇄문형(62)을 형성한다. 이 인쇄문형(62)은 문형홀(52)과 일정 각도 벌어지게 형성된다. 특히, 인쇄문형(62)은 조명원(40)에서 발광되는 빛이 문형홀(52)을 투과된 후 동일 형상의 인쇄문형(62)과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조명원(40)에서 발광되는 빛은 입체적으로 보여지기 위해 확산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명원(40) 상부에는 프리즘(70)이 구비된다. 이 프리즘(70)은 조명원(40)의 발광하는 빛을 투과시키면서 확산 유도함에 따라 제 1다이얼(50)의 각 문형홀(52) 형상에 맞는 문형을 대응되는 제 2다이얼(60)에 새겨된 인쇄문형(62)에 겹쳐지도록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조명원(40)의 빛은 프리즘(70)에서 확산되어 제 1다이얼(50)의 문형홀(52)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형상을 유지한 채 제 2다이얼(60) 내측면에 조사된다. 이때, 제 2다이얼(60)에는 각 문형홀(52)의 형상에 대응되는 인쇄문형(62)이 새겨져 있다.
그래서, 투영판(80)에는 문형홀(52)과 인쇄문형(62)의 대응되는 형상이 겹쳐지게 투영된다. 그래서, 투영판(80)에는 입체적으로 숫자 등의 문형이 비춰지게 된다. 이때, 투영판(80)은 적어도 문형이 투영되는 부위를 투명하게 형성한다.
특히, 문형홀(52)과 대응되는 인쇄문형(62)이 일부 겹쳐지게 투영판(80)에 투영되도록 제 2다이얼(60)의 내측면 기울기가 정해져야 한다.
여기서, 투영판(80)은 하우징(3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링하는 역할을 하고, 회전되는 지침(26)이 지시하는 문형을 통해 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투영판(8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프리즘(70)에서 확산되는 해당 문형 형상의 빛과 문형홀(52)을 통과한 빛이 서로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제 1다이얼(50)과 투영판(80) 사이에는 프로텍터(90)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프로텍터(90)는 제 1다이얼(50)의 상측 전체에 걸쳐 연결되어 투영판(80)의 하측에 접함으로써 문형홀(52)을 통과한 빛이 프리즘(70)에서 확산되는 빛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프로텍터(9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프리즘(70)은 굴절율을 높이기 위해 상측을 절곡하여 절곡부(72)를 형성한다. 이때, 절곡부(72)는 하측을 프로텍터(90)에 지지함과 더불어 상측을 제 2다이얼(60)의 하측에 접하도록 한다. 그래서, 프로텍터(90)는 고정된다. 또한, 제 2다이얼(60)의 프리즘(70)이 접하는 부분은 불투명하게 하여 빛의 확산을 방지한다.
아울러, 조명원(40)은 제 1다이얼(50)의 개수만큼 구비되고, 호 형상 또는 원형 형상의 제 1다이얼(50) 내측에 위치한다. 그러면, 조명원(40)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하우징(30)은 바닥면 중앙 부위에 원 궤적의 격벽(32)을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조명원(40) 전체는 격벽(32)과 제 1다이얼(50)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30)의 장착되며, 문형홀(52) 각각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 판(10)으로부터 발광신호를 받아 발광된다.
또한, 프로텍터(90)는 하측에 요입홈(92)을 형성하여 제 1다이얼(50)의 상측을 끼움에 따라 제 1다이얼(5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계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인쇄회로기판 20: 무브먼트
30: 하우징 32: 격벽
40: 조명원 50,60: 제 1,2다이얼
70: 프리즘 72: 절곡부
80: 투영판 90: 프로텍터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고, 외부 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조명원을 갖으며, 상측을 개방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따라 세워지고, 다양한 형상의 문형홀을 형성하는 제 1다이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다이얼과 설정된 각도만큼 벌어진 둘레면에 상기 문형홀 각각에 대응되는 인쇄문형을 새긴 제 2다이얼;
    상기 조명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다이얼의 각 문형홀의 형상을 유지한 채 빛을 확산 유도하는 프리즘;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링하고, 상기 제 2다이얼의 상기 인쇄문형을 상부로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확산된 빛이 상기 문형홀을 통과 후 대응되는 상기 인쇄문형과 겹쳐진 상태로 입체적으로 투영되는 투영판; 및
    상기 제 1다이얼을 투과한 빛이 상기 프리즘에서 확산되는 빛과 간섭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 1다이얼의 상측 전체에 걸쳐 연결되어 상기 투영판의 하측에 접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계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굴절율을 높이기 위해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투영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계기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 원 궤적 또는 원호 궤적의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조명원은 상기 격벽과 상기 제 1다이얼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문형홀 각각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발광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계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하측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다이얼의 상측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계기판.
KR1020080076024A 2008-08-04 2008-08-04 입체 계기판 KR10091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24A KR100916655B1 (ko) 2008-08-04 2008-08-04 입체 계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24A KR100916655B1 (ko) 2008-08-04 2008-08-04 입체 계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655B1 true KR100916655B1 (ko) 2009-09-08

Family

ID=4135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024A KR100916655B1 (ko) 2008-08-04 2008-08-04 입체 계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5308B2 (en) 2019-11-01 2024-04-02 Lg Electronics Inc. Spatial image cluster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272A (ko) * 1996-05-28 1997-12-10 양재신 자동차 계기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조명장치
KR20000019150A (ko) * 1998-09-09 2000-04-06 주종철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272A (ko) * 1996-05-28 1997-12-10 양재신 자동차 계기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조명장치
KR20000019150A (ko) * 1998-09-09 2000-04-06 주종철 자동차 계기판의 문자판 조명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5308B2 (en) 2019-11-01 2024-04-02 Lg Electronics Inc. Spatial image cluste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50583A1 (ja) 計器装置
JP3782731B2 (ja) 表示器
JP2013101075A (ja) 表示装置
KR100916655B1 (ko) 입체 계기판
JP4654091B2 (ja) 文字板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計器
JP2005338059A (ja) 計器装置
JP5857758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379812B2 (ja) 指示計器
JP2008116426A (ja) 計器装置
JP5247339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3065809A (ja) 表示装置
JP4992223B2 (ja) 表示装置
JP6020048B2 (ja) 計器装置
JP6754644B2 (ja) 車両表示装置
JP5134491B2 (ja) 計器装置
CN206297415U (zh) 仪表装置及车辆仪表系统
JP6018147B2 (ja) 計器装置
JP6597266B2 (ja) 計器用表示板
JP3840955B2 (ja) 計器
JP2005083847A (ja) メータ照明構造
JP201809176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303389B2 (ja) 表示板
JP4246033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00138189A (ko) 입체 계기판
JP2017106871A (ja) 計器用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