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939U - 꼬치 구이기 - Google Patents

꼬치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939U
KR20000018939U KR2019990005227U KR19990005227U KR20000018939U KR 20000018939 U KR20000018939 U KR 20000018939U KR 2019990005227 U KR2019990005227 U KR 2019990005227U KR 19990005227 U KR19990005227 U KR 19990005227U KR 20000018939 U KR20000018939 U KR 20000018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hanger
casing
center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국
원용묵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원용국
박상우
원용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국, 박상우, 원용묵 filed Critical 원용국
Priority to KR2019990005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939U/ko
Publication of KR20000018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39U/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되고, 하부 양측은 트여지게 설치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공간(11)에 설치되며, 내측으로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 상부로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가 안착되는 안착홈(24)이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부로는 걸이대(22)의 단부가 안착되게 안착홈(24)이 구비된 지지판(25)이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으로 화력원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몸체 중앙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대(30)와, 상기 설치대(30)의 상부에 안착되며, 몸체 내부로 화력원으로 사용되는 가열체를 담아 위치되는 수납망(40)과,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설치홈(12)에 위치되며 전면과 후면으로는 파지판(51)이 구비된 받침대(5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몸체 양측으로는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중앙부로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62)이 구비되고, 종방향 중앙에는 파지돌기(63)가 위치된 개방판(64)이 설치되며, 몸체 중앙 양측으로는 손잡이(65)가 구비된 덮개부(60)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꼬치 구이기(100)의 몸체부(20) 상부에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중앙부에는 투시창(62)이 구비된 덮개부(6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걸이대(22)의 전환시에도 덮개부(60)를 일체로 들지 않고도 전환코자 하는 걸이대(22)의 상부에 위치된 개방판(64)만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꼬치 구이기 {Roaster for food on a skewer}
본 고안은 꼬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꼬치 구이기의 상부로 몸체에 투시창을 구비하고 양측 개방판이 상부로 회동가능한 덮개부을 형성하여 외부에서도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걸이대의 전환이 용이하며, 꼬치 구이기 내부의 열손실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 구이기는 육류등과 같은 음식물을 걸이대에 끼워 거취시킨후 화력원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일종의 조리기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꼬치 구이기는 상면이 개방된 몸체 케이스의 상부로 걸이대를 안착시킬 수 있는 거취부를 형성한 후, 케이스의 저면에서 숫불등과 같은 화력원을 위치시켜 조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꼬치 구이기의 몸체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열내구성이 강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외벽을 차단시키고 내측으로 화력원이 위치될 수 있는 가열부를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바닥면에는 내용물을 가열하면서 낙하되는 기름등을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받침대를 설치하기도 한다.
또, 화력원으로는 숫불과 가스를 이용한 화력원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이대에 조리할 음식물을 끼워 화력원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화력원의 화력과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걸이대를 전환시켜 내용물을 조리하는 바람직 하다.
그리고, 최근에는 개방되게 형성되는 꼬치 구이기의 상면에 열손실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종래의 꼬치 구이기는 케이스의 상부로 화력원의 열이 손실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덮개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내부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걸이대를 전환시켜야 하므로 필요이상으로 내용물이 가열되거나 덜익혀져 조리물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꼬치 구이기의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부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된 케이스의 상부로 열손실이 발생되어 연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꼬치 구이기의 상부에 몸체에 투시창을 구비하고 양측 개방판이 상부로 회동가능한 덮개부을 형성하여 외부에서도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걸이대의 전환이 용이하며, 꼬치 구이기 내부의 열손실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꼬치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꼬치 구이기의 상부 덮개부는 양측 개방판이 상부로 개방이 가능하므로 걸이대의 전환시 덮개부를 일체로 들어 올리지 않고 필요한 부분의 개방판만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어, 여성이나 노약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꼬치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꼬치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꼬치 구이기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꼬치 구이기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꼬치 구이기의 형상 및 덮개부의 회동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꼬치 구이기의 일측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11 - 수납공간
12 - 설치홈 20 - 몸체부
21 - 공간부 22 - 걸이대
23 - 파지부 24 - 안착홈
25 - 지지판 26 - 이동홈
30 - 설치대 40 - 수납망
50 - 받침대 51 - 파지판
60 - 덮개부 61 - 힌지부
62 - 투시창 63 - 파지돌기
64 - 개방판 65 - 손잡이
70 - 구동모터 71 - 주동기어
72 - 종동기어 73 - 연동기어
80 - 송풍팬 81 - 가이드판
100 - 꼬치 구이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되고, 하부 양측은 트여지게 설치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공간(11)에 설치되며, 내측으로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 상부로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가 안착되는 안착홈(24)이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부로는 걸이대(22)의 단부가 안착되게 안착홈(24)이 구비된 지지판(25)이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으로 화력원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몸체 중앙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대(30)와;
상기 설치대(30)의 상부에 안착되며, 몸체 내부로 화력원으로 사용되는 가열체를 담아 위치되는 수납망(40)과;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설치홈(12)에 위치되며 전면과 후면으로는 파지판(51)이 구비된 받침대(5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몸체 양측으로는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중앙부로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62)이 구비되고, 종방향 중앙에는 파지돌기(63)가 위치된 개방판(64)이 설치되며, 몸체 중앙 양측으로는 손잡이(65)가 구비된 덮개부(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꼬치 구이기(100)의 몸체부(20) 상부에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중앙부에는 투시창(62)이 구비된 덮개부(60)가 설치되므로 외부에서 내용물의 익힘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걸이대(22)의 전환시에도 덮개부(60)를 일체로 들지 않고도 전환코자 하는 걸이대(22)의 상부에 위치된 개방판(64)만을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꼬치 구이기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꼬치 구이기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꼬치 구이기의 형상 및 덮개부의 회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꼬치 구이기의 일측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상태를 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꼬치 구이기(100)의 몸체부(20)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되고, 하부 양측은 트여지게 설치홈(12)이 위치된다.
상기 몸체부(20)의 수납공간(11)은 내측으로 후술될 몸체부(2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몸체부(20)의 열기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몸체부(20)의 크기보다 다소 폭이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양측에 트여지게 형성되는 설치홈(12)은 꼬치 구이기(100)의 작동시 조리되는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기름등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이 수납된 받침대(50)를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공간(11)에는 몸체 내측으로 공간부(21)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 상부로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가 안착되는 안착홈(24)이 양측에 형성되며, 타측부로는 걸이대(22)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4)이 구비된 지지판(25)이 설치되는 몸체부(20)가 장착된다.
상기 몸체부(20)의 내부 일측 상부와 지지판(25)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안착홈(24)은 걸이대(22)가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홈(24)의 높이 및 위치는 화력원의 설치장소를 감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의 내측으로는 화력원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몸체 중앙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대(30)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의 내측에 위치되는 설치대(30)에는 몸체 내부로 화력원으로 사용되는 가열체를 담아 위치되는 수납망(40)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망(40)은 내부에 가열체로 사용되는 숫불을 다수개 담아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몸체부(20)의 내부로 가열체인 숫불이 다수개 담긴 수납망(40)이 설치대(30)에 의해 위치되고, 상기 수납망(40)의 상부로는 걸이대(22)가 몸체부(20)와 지지판(25)의 안착홈(24)에 위치되므로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꼬치 구이기(100)의 몸체부(20) 상부로는 몸체 중앙부로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62)이 구비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몸체 종방향 중앙에는 파지돌기(63)가 위치된 개방판(64)이 설치되며, 몸체 중장 양측으로는 손잡이(65)가 구비된 덮개부(6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부(60)의 몸체 양측에 설치된 개방판(64)은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의 전환시 덮개부(60) 전체를 들어올리지 않고 각부에 위치된 개방판(64)을 상부로 회동시켜 걸이대(22)를 위치를 전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60)의 몸체 양측 중앙에 설치되는 투시창(62)은 사용자가 덮개부(60)를 일일히 들어올리지 않고도 내측의 내용물의 익힘상태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되는 내용물의 익힘 상태를 외부에서 덮개부(60)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리의 시간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방판(64)의 종방향 중앙으로는 개방판(64)의 상부 회동시 사용자가 쉽게 잡고 개방판(64)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파지돌기(63)가 형성된다.
또, 덮개부(60)의 양측으로는 덮개부(60)의 설치를 돕는 손잡이(65)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걸이대(22)의 전환시에도 각 위치에 해당되는 개방판(64)만을 상부로 회동시켜 사용하므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화력원의 가열로 조리되는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걸이대(22)에는 선택적으로 회전장치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대(22) 회전장치의 구성은 케이싱(10)의 일측 상부 중심에는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기어(71)를 형성하고, 상기 주동기어(71)의 양측으로는 종동기어(72)를 설치하며, 상기 종동기어(72)의 상부 중심에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에 형성된 연동기어(73)를 위치시켜 걸이대(22)가 자동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에 의해 주동기어(71)가 회전되면, 상기 주동기어(71)와 치차결합된 종동기어(72)와, 종동기어(72)와 결합된 연동기어(73)가 주동기어(71)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면서, 연동기어(73)가 설치된 걸이대(22)역시 회전되어,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이대(22)가 회전장치에 의해 소정의 회전주기를 갖고 자동으로 회전되므로, 내용물이 부분적으로만 익혀지거나 너무 타거나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타측부에는 선택적으로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이 숫불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수분부족 및 맛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분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케이싱(10)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50)에 물을 공급하고, 케이싱(10)의 타측 하부에는 송풍팬(80)을 설치하며, 몸체부(20)의 내측하부에도 송풍팬(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8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1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송풍팬(80)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몸체부(20)의 이동홈(26)을 통해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판(81)으로 이동되어 바람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받침대(50)을 수분을 숫불의 열기에 의해 동시에 상부로 이동시켜 수분부족을 방지하고 맛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팬(80)은 수분을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 외에 몸체부(20)내부로 열기가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과 내용물이 익혀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다시 순환시켜 자연스러운 훈제구이가 되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꼬치 구이기(100)에 선택적으로 수분공급장치가 구비 되어지므로 수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화력원의 열기를 몸체부(20)의 전체로 확산시킬 수 있으며, 내용물이 익혀지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순환시켜 훈제구이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꼬치 구이기(100)의 상부로 양측 개방판(64)이 회동가능하고, 투시창(62)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꼬치 걸이대(22) 자동 회전장치와 수분공급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꼬치 구이기(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60)에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투시창(62)이 설치되므로, 내용물의 익힘상태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덮개부(60)의 개방판(64)이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가능하므로 꼬치 걸이대(22)의 전환시 덮개부(60)전체를 오픈시키지 않고도 각 위치에 형성된 개방판(64)만을 회동에 의해 개방시켜 걸이대(22)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선택적으로 꼬치 걸이대(22)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지도록 할 수 있다.
넷째, 꼬치 구이기(100)의 일측으로 송풍팬(80)을 설치하여 수분 및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열기의 확산 및 연기의 순환으로 자연스러운 훈제구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되고, 하부 양측은 트여지게 설치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공간(11)에 설치되며, 내측으로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 상부로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가 안착되는 안착홈(24)이 양측에 형성되고, 타측부로는 걸이대(22)의 단부가 안착되게 안착홈(24)이 구비된 지지판(25)이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내측으로 화력원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몸체 중앙부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대(30)와;
    상기 설치대(30)의 상부에 안착되며, 몸체 내부로 화력원으로 사용되는 가열체를 담아 위치되는 수납망(40)과;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설치홈(12)에 위치되며 전면과 후면으로는 파지판(51)이 구비된 받침대(5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몸체 양측으로는 힌지부(61)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중앙부로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62)이 구비되고, 종방향 중앙에는 파지돌기(63)가 위치된 개방판(64)이 설치되며, 몸체 중앙 양측으로는 손잡이(65)가 구비된 덮개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22)가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내용물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일측 상부 중심에는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기어(71)를 형성하고, 상기 주동기어(71)의 양측으로는 종동기어(72)를 설치하며, 상기 종동기어(72)의 상부 중심에는 걸이대(22)의 파지부(23)에 형성된 연동기어(73)를 위치시켜 걸이대(22)가 소정의 회전주기를 갖고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함 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타측부에는 선택적으로 걸이대(22)에 끼워진 내용물이 숫불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수분부족 및 맛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타측 하부에는 송풍팬(80)을 설치하고 몸체부(20)의 내측하부에도 송풍팬(80)에서 공급되는 바람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판(81)을 형성하여 받침대(50)에 수납된 물을 상부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구이기.
KR2019990005227U 1999-03-31 1999-03-31 꼬치 구이기 KR200000189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27U KR20000018939U (ko) 1999-03-31 1999-03-31 꼬치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27U KR20000018939U (ko) 1999-03-31 1999-03-31 꼬치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39U true KR20000018939U (ko) 2000-10-25

Family

ID=5476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27U KR20000018939U (ko) 1999-03-31 1999-03-31 꼬치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9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11A (ko) * 2000-12-21 2002-06-27 임완 바베큐 꼬치 구이기
KR101476332B1 (ko) * 2012-12-13 2014-12-26 황지연 조명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11A (ko) * 2000-12-21 2002-06-27 임완 바베큐 꼬치 구이기
KR101476332B1 (ko) * 2012-12-13 2014-12-26 황지연 조명기능을 가지는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601B1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US6330855B2 (en) Rotisserie oven having a heat shield
US7500428B2 (en) Food cooking basket for a rotisserie oven
JP2735952B2 (ja) バーベキュー用器具
US7424849B2 (en) Rotisserie cooker
US6988445B1 (en) Enclosed rotisserie with added convenience
US7878111B2 (en) Heating and venting arrangement for a rotisserie oven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US20100260910A1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JPH04261621A (ja) 台座スタンド付き野外料理用装置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1241174B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00018939U (ko) 꼬치 구이기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0116298Y1 (ko) 가스오븐렌지용 회전선반
KR20030066053A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20067463A (ko) 내부열 차단구조에 의한 연기제거 육류 자동구이기
KR200217656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