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20U -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 Google Patents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20U
KR20000017720U KR2019990003297U KR19990003297U KR20000017720U KR 20000017720 U KR20000017720 U KR 20000017720U KR 2019990003297 U KR2019990003297 U KR 2019990003297U KR 19990003297 U KR19990003297 U KR 19990003297U KR 20000017720 U KR20000017720 U KR 200000177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ase block
pack
vehicl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Original Assignee
신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식 filed Critical 신창식
Priority to KR2019990003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720U/ko
Publication of KR20000017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20U/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는 차량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팩에 흡수됨으로써 충돌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며, 차량과의 충돌 시 베이스 블록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충돌차량 탑승자의 안전 및 전반적인 도로교통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노면(R)에 놓여져 지지되는 바닥부(20a)와, 상기 바닥부(20a)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수직입설된 돌기부(20b)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역 T자형 베이스 블록(20)과; 상기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며,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완충팩(22)과; 상기 완충팩(22)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유동성 완충재(24)와; 상기 각 베이스 블록(2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팩(22)은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를 사이에 두고 이격 위치된 한쌍의 완충부(22a)와, 상기 돌기부(20b)의 중간에 형성된 공간부(20c)를 통해 상기 각 완충부(22a)의 밀폐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MEDIAN STRIP WITH SHOCK ABSORBING MEANS}
본 고안은 도로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성능이 향상되어 교통안전에 도움이 되는 도로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용도로 등과 같이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는 중앙선의 구분을 보다 확실히 함과 동시에 주행중인 자동차가 반대차선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도로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 분리대는 대체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장방형의 베이스 블록(10)이 다수개 일렬로 배치되고, 각 베이스 블록(10)의 위에는 광차단망(12)이 장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블록(10)은 통상 철근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기준치 이상의 하중을 갖는 크기로 제작되고, 도로상에 단순히 놓여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로중앙 분리대에 따르면 주행중이던 자동차가 돌발적인 상황발생 등에 의해 방향을 잃고 반대차선 쪽으로 향하더라도 베이스 블록(10)에 부딪혀 진로가 차단됨으로써 반대차선으로 들어가 대향방향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와 충돌하는 최악의 상황은 방지된다.
한편, 야간에는 광차단망(12)에 의해 반대차선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일부 차단됨으로써 운전자의 시각적인 피로감이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철근 콘크리트 재질의 베이스 블록(10)은 차량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거의 흡수하지 못하고 오히려 충돌차량에 반작용 충격을 함으로써 충돌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베이스 블록(10)은, 서로간의 연계구조 없이 도로상에 단순히 놓여지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대형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등과 같이 그 하중을 초과하는 충격량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넘어지거나 반대차선으로 밀려나감으로써 반대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 부딪히는 등 도로교통안전에 커다란 위험요소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베이스 블록의 배열이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충돌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전반적인 도로교통안전에도 도움이 되는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중앙 분리대의 구조와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Ⅱ - Ⅱ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Ⅲ - Ⅲ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에 구비된 완충팩의 작용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블록 12: 광차단망
20: 베이스 블록 20a: 바닥부
20b: 돌기부 20c: 공간부
20d: 관통홀 21: 앵커볼트
22: 완충팩 22a: 완충부
22b: 연결부 24: 완충재
26: 와이어 R: 노면
C: 차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는 노면에 놓여져 지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수직입설된 돌기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역 T자형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돌기부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며,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완충팩과; 상기 완충팩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유동성 완충재와; 상기 각 베이스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팩(22)은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 위치된 한쌍의 완충부(22a)와, 상기 돌기부의 중간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상기 각 완충부(22a)의 밀폐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부터 도 6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베이스 블록(20)과, 상기 각 베이스 블록(20)의 양측면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완충팩(22)과, 상기 완충팩(22)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완충재(24)(도 3, 4 참조)와, 상기 각 베이스 블록(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블록(20)과 완충팩(22) 및 연결수단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블록(20)은 노면(R)에 의해 넓게 지지되며 앵커볼트(21)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노면(R)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부(20a)와 상기 바닥부(20a)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수직 돌출형성된 돌기부(20b)로 구성되어 그 횡단면이 역T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완충팩(22)은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를 중심으로 분리되어 바닥부(20a)의 상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완충부(22a)와, 상기 돌기부(20b)의 중앙저면에 형성된 공간부(20c)를 관통하여 상기 각 완충부(22a)의 밀폐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재(24)는 유동 가능한 모래나 물과 같은 유동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26)는 각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계되는 관통홀(20d)에 공통삽입되어 각 베이스 블록(20)을 결속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과의 충돌 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충돌 차량의 차체(C)는 우선적으로 완충팩(22)의 어느 한 쪽 완충부(22a)에 부딪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22a)는 그 일면이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체(C)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착 변형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는 완충팩(22)의 변형에 따라 유동되는 완충재(24)에 의해 흡수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재(24)는 그 일부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난 것과 같이 연결부(22b)를 통해 반대측 완충부(22a)로 유동되므로 충격이 가해진 완충부(22a)의 부피변형량이 커짐과 동시에 충격에너지가 반대측 완충부(22a)의 완충재(24)에 까지 전달됨으로써 더욱 많은 충격에너지가 흡수된다.
따라서, 차량과의 충돌 시 차체(C)에 가해지는 충격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20)은 노면(R)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일정량 이하의 충격에 의해서는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과의 충돌 시 제위치에서 이탈되어 반대차선으로 돌출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대형차량과의 충돌 등에 의해 강한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베이스 블록(20)의 고정설치 상태가 해제되어 노면(R)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충격이 가해진 베이스 블록(20)이 함께 배열된 타 베이스 블록(20)들과 연결와이어(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위치에서 크게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각 베이스 블록(20)간의 연결구조는 하나의 베이스 블록(20)에 가해진 충격을 여러개의 베이스 블록(20)으로 분산시키는 작용 또한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에 의하면 차량과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팩에 흡수됨으로써 충돌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며, 차량과의 충돌 시 베이스 블록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충돌차량 탑승자의 안전 및 전반적인 도로교통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2)

  1. 노면(R)에 놓여져 지지되는 바닥부(20a)와, 상기 바닥부(20a)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일체로 수직입설된 돌기부(20b)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역 T자형 베이스 블록(20)과;
    상기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20b)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완충팩(22)과;
    상기 완충팩(22)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유동성 완충재(24)와;
    상기 각 베이스 블록(2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중앙 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팩(22)은 베이스 블록(20)의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 위치된 한쌍의 완충부(22a)와, 상기 돌기부(20b)의 중간에 형성된 공간부(20c)를 통해 상기 각 완충부(22a)의 밀폐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중앙 분리대.
KR2019990003297U 1999-03-03 1999-03-03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KR200000177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7U KR20000017720U (ko) 1999-03-03 1999-03-03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7U KR20000017720U (ko) 1999-03-03 1999-03-03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20U true KR20000017720U (ko) 2000-10-05

Family

ID=5475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297U KR20000017720U (ko) 1999-03-03 1999-03-03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72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85B1 (ko) * 2011-01-18 2012-05-18 권경원 충격흡수 방호울타리
KR102512579B1 (ko) * 2022-12-21 2023-03-22 구본일 풍력발전기 및 안전 하우징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85B1 (ko) * 2011-01-18 2012-05-18 권경원 충격흡수 방호울타리
KR102512579B1 (ko) * 2022-12-21 2023-03-22 구본일 풍력발전기 및 안전 하우징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904B1 (en) Traffic barrier with liquid filled modules
KR100666462B1 (ko) 가드레일판 차량방호책
JP2004000008U (ja) 安全梁
US6840706B1 (en) Multipurpose road barrier, having a double dampening-resistant effect
WO2000008259A1 (en) Devices for calibrating the deceleration of colliding vehicles
AU2006235939A1 (en) Guardrail type road safety barrier
KR20000017720U (ko) 완충식 도로중앙 분리대
JP3577497B2 (ja) 道路用防護装置
KR200262211Y1 (ko) 완충형 중앙분리대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KR100717609B1 (ko) 가드레일
EP1918460B1 (en) Improved system for contention of lateral vehicle impact, with a high capacity of contention and of energy absorption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KR100542541B1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100627235B1 (ko)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200320639Y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도로 중앙 분리대 충격흡수 고무커버구조
KR810000526B1 (ko) 차도에 설치한 안전 분리벽체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110054700A (ko) 충격흡수부를 갖는 중앙분리대
KR200269775Y1 (ko) 도로용 방호장치
KR102552040B1 (ko) 난간 충격완화장치
KR20190057209A (ko)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KR200228255Y1 (ko) 도로 유지 관리용 교체식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