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61A -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61A
KR20000017061A KR1019990031933A KR19990031933A KR20000017061A KR 20000017061 A KR20000017061 A KR 20000017061A KR 1019990031933 A KR1019990031933 A KR 1019990031933A KR 19990031933 A KR19990031933 A KR 19990031933A KR 20000017061 A KR20000017061 A KR 2000001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shielding
liquid crystal
ultraviolet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817B1 (ko
Inventor
다카사키이치로
모리이야스히로
미즈누마마사야
Original Assignee
히로 산쥬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산쥬,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스트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히로 산쥬
Publication of KR200000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영역의 주변부에서의 광누설을 유발하지 않고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된 액정표시장치 및 이 장치에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 접해서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1 기판,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전극, 이 표시용전극에서 표시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및 표시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함과 동시에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를 구비하고, 제1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과 제2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은 대향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봉지수지도포부에서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중의 어느한쪽에 차광질막이 형성되고 또한 다른쪽은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을 충분히 확보하여 표시영역 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을 작게 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18의 (a)는 도 17의 J-J선을 따른 단면모식도, 도 18의 (b)는 도 17의 K-K선을 따른 단면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 및 (2)는 대향배치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3a)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 (4)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seal)수지, (5)는 제2 기판(2)에 형성된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 (6)은 제2 기판(2)의 표시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표시용 전극, 전극레이아웃선 및 절연막 등(이하, 전극레이아웃선 등이라 한다), (7)은 봉지수지(4)를 경화시키기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이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대향하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접착함과 동시에 제1 기판(1)과 제2 기판(2)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4)를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투명한 부분에 도포하고, 투명한 기판측에서 자외선(7)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있다. 또, 제2 기판(2)의 주변부에는 전극레이아웃선 등(6)의 자외선을 차광하는 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외선(7)의 조사는 제1 기판(1)측에서 실행되고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의 주변부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의 차광질막(3a)가 폭P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에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폭Q을 갖는 투명부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고,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R은 폭P와 폭Q를 합친 폭이 필요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의 폭Q를 확보한 상태에서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R을 작게 하면,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의 차광질막(3a)의 형성영역이 불충분하게 되고 표시영역의 주변부에서 광누설이 발생하여 표시품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의 차광질막(3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기판(2)측에서 자외선(7)의 조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2 기판(2)의 주변부에 형성된 전극레이아웃선 등(6)이 자외선을 차광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봉지수지(4)의 경화가 불완전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표시영역의 주변부에서의 광누설을 유발하지 않고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이 장치에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평면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부분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의 단면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17은 종래의 이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18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단면모식도.
[부호의 설명]
1: 제1 기판, 2: 제2 기판, 3a: 차광질막, 3b: 차광질막, 4: 봉지수지, 5: 표시용 전극, 6: 전극의 레이아웃선 등, 7: 자외선, 9a, 9b: 슬릿, 10: 전극레이아웃선, 11a, 11b, 12a, 12b: 슬릿, 14 중첩기판, 15: 자외선램프, 16: 자외선투과 정반(定盤), 17: 얼라인먼트기구, 18: 차광판, 19: 파이버.
본 발명에 관한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 접해서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1 기판,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 이 표시용 전극에서 표시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및 표시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함과 동시에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구비하고, 제1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과 제2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은 대향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봉지수지 도포부에서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중의 어느 한쪽에 차광질막이 형성되고 또한 다른쪽은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상태이다.
또,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 접해서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1 기판,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과 이 표시용 전극에서 표시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된 전극레이아웃선 등의 차광체를 갖는 제2 기판,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함과 동시에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 및 차광질막 및 차광체에 형성되고 봉지수지 도포부에 자외선을 투과하기 위한 여러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슬릿은 대향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 슬릿은 봉지수지 도포부에 있어서 대향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그 자외선 투과부분이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 슬릿은 봉지수지 도포부에 있어서 대향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교대로 배치되고 또한 그 자외선 투과부분이 불연속인 상태이다.
또, 슬릿은 필요에 따른 임의의 이차원형상이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양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양측에서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다.
또,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한쪽면씩 교대로 실행하는 것이다.
또,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된 봉지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서 조사하는 자외선을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만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는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 자외선 투과영역을 갖는 차광판을 거쳐서 실행하는 것이다.
또, 중첩시킨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는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 파이버 등에 의해 자외선을 도광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또,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하는 봉지수지로서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사용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열처리를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액정표시장치를 도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2의 (a)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모식도, 도 2의 (b)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 및 (2)는 대향배치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 (3a)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 (3b)는 제2 기판(2)에 형성된 차광질막, (4)는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로서 대향하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접착함과 동시에 제1 기판(1)과 제2 기판(2)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한다. (5)는 제2 기판(2)에 형성된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 (6)은 제2 기판(2)의 표시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표시용 전극, 전극레이아웃선 및 절연막 등(이하, 전극레이아웃선 등이라 한다)이다. 또, (6)으로 나타내어진 영역에서는 차광질막에 의한 배선이나 투명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한 자외선의 반사에 의해 부분적으로 자외선이 차광된다. (7)은 봉지수지(4)를 경화시키기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이다. P는 액정표시패널의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의 폭, Q는 봉지수지(4)의 경화를 위해 조사되는 자외선(7)의 투과영역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으로서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서 계속해서 소정의 영역까지 제1 기판(1)에 차광질막(3a)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서 제1 기판(1)의 단부까지는 제1 기판(1)과 대향배치되는 제2 기판(2)에 차광질막(3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주변차광용막의 폭P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3a)의 폭과 제2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3b)의 폭을 합친 것으로 된다. 또, 제1 기판(1)에는 차광질막(3a)의 외측에 제2 기판의 차광질막(3b) 형성부분에 대응하는 폭Q를 갖는 투명부분이 형성되고 이 투명부분을 거쳐서 자외선(7)이 봉지수지(4)에 조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차광질막(3a) 및 (3b))을 대향배치되는 제1 기판(1)(차광질막(3a))과 제2 기판(2)(차광질막(3b))에 교대로(번갈아) 형성하고, 봉지수지(4)가 도포되어 자외선(7)이 조사되는 영역에서는 주변차광용막을 제2 기판(2)측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차광질막(3a) 및 (3b))이 형성되는 영역(폭P)내에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폭Q)을 제1 기판(1)측에 마련할 수 있으므로,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은 주변차광용막이 형성되는 영역의 폭P와 동등하면 좋고, 액자영역을 작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폭P)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표시영역 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4의 (a)는 도 3의 C-C선을 따른 단면모식도, 도 4의 (b)는 도 3의 D-D선을 따른 단면모식도이다. 도면중의 부호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제2 기판(2)에 전극의 레이아웃선 등(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으로서 제1 기판(1)에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서 기판단부까지 계속해서 차광질막(3a)를 형성하고,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는 제2 기판(2)측에서 실행한다.
또, 도 4의 (b)에 도시한 제2 기판(2)에 전극레이아웃선 등(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으로서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서 계속해서 소정의 영역까지 제1 기판(1)에 차광질막(3a)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서 제1 기판(1)의 단부까지는 제1 기판(1)과 대향배치되는 제2 기판(2)에 차광질막(3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주변차광용막의 폭P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3a)의 폭과 제2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3b)의 폭을 합친 것으로 된다. 또, 제1 기판(1)에는 차광질막(3a)의 외측에 제2 기판(2)의 차광질막(3b) 형성부분에 대응하는 폭Q를 갖는 투명부분이 형성되고, 이 투명부분을 거쳐서 자외선(7)이 제1 기판(1)측에서 봉지수지(4)에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의 (a)에 도시한 제2 기판(2)에 전극의 레이아웃선 등(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을 제1 기판(1)에 형성하고,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는 제2 기판(2)측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차광질막(3a))이 형성되는 영역(폭P) 전체를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폭Q)으로 할 수 있고, 또 도 4의 (b)에 도시한 제2 기판(2)에 전극레이아웃선 등(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을 대향배치되는 제1 기판(1)(차광질막(3a))과 제2 기판(2)(차광질막(3b))에 교대로 형성하고, 봉지수지(4)가 도포되어 자외선(7)이 조사되는 영역에서는 주변차광용막을 제2 기판(2)측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차광질막(3a) 및 (3b))이 형성되는 영역(폭P)내에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폭Q)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은 주변차광용막이 형성되는 영역의 폭P와 동등하면 좋고, 액자영역을 작게 해서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폭P)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표시영역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실시예 3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모식도, 도 6은 도 5의 E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F-F선을 따른 단면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9a)는 제1 기판(1)의 차광질막(3a)에 형성된 자외선투과용의 슬릿, (9b)는 제2 기판(2)의 주변부에 마련된 전극레이아웃선 등(6) 중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등(10)에 형성된 자외선 투과용의 슬릿이다. 또한, 미세한 배선부분에 슬릿(9b)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선의 전기적 저항값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려해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도 1 및 도 2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으로서 제2 기판(2)에 차광성을 갖는 전극의 레이아웃선 등(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제1 기판(1)에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서 기판단부까지 계속해서 차광질막(3a)를 형성하고, 도 6에 도시한 제2 기판(2)에 전극레이아웃선 등(1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제1 기판(1)에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서 기판단부까지 계속해서 형성된 차광질막(3a)의 봉지수지(4)가 도포되는 부분에 개구폭a, 간격b를 갖는 자외선투과용의 슬릿(9a)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 기판(2)의 주변부에 형성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등(10)의 봉지수지(4)가 도포되는 부분에 개구폭b, 간격a를 갖는 슬릿(9b)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배치했을 때 차광질막(3a)에 마련된 슬릿(9a)와 교대로 또한 연속하도록 배치한다.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는 대향배치된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의 양측에서 실행되고, 슬릿(9a) 및 (9b)를 거쳐서 봉지수지(4) 전체에 자외선(7)이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차광질막(3a))을 제1 기판(1)에 폭P를 갖고 형성하고, 봉지수지(4)가 도포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의 양쪽에 차광성을 갖는 막(차광질막(3a)와 차광성을 갖는 전극의 레이아웃선 등(1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차광질막(3a)와 전극레이아웃선 등(10)에 자외선투과용의 슬릿(9a) 및 (9b)를 교대로 연속하도록 마련하고,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를 대향배치된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의 양측에서 슬릿(9a) 및 (9b)를 거쳐 실행하는 것에 의해, 차광용막이 형성되는 영역(폭P)내에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슬릿(9a) 및 (9b))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은 주변차광용막이 형성되는 영역의 폭P와 동등하면 좋고, 액자영역을 작게 해서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폭P)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표시영역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3a)에 마련하는 슬릿(9a)와 제1 기판(1)과 대향배치되는 제2 기판(2)에 형성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등(10)에 마련하는 슬릿(9b)를 교대로 또한 개구부분이 연속하도록 배치했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질막(3a)에 마련하는 슬릿(11a)의 개구폭a와 전극레이아웃선(10)에 마련하는 슬릿(11b)의 개구폭b를 소정의 양만큼 축소하고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배치했을 때 슬릿(10a)와 슬릿(10b)의 개구부분이 불연속인 상태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에는 도 5에 있어서의 E 부분과 동일한 영역의 확대도를, 도 9에는 도 8의 G-G선을 따른 단면모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1a)는 제1 기판(1)의 차광질막(3a)에 형성된 자외선투과용의 슬릿, (11b)는 제2 기판(2)의 주변부에 마련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등(10)에 형성된 자외선투과용의 슬릿, a는 슬릿(11a)의 개구폭, b는 슬릿(11b)의 개구폭, c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배치한 경우의 제1 기판(1)에 마련된 슬릿(11a)와 제2 기판(2)에 마련된 슬릿(11b)의 개구부의 평면적인 격리폭이고, 즉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에 있어서 차광성을 갖는 막(차광질막(3a)와 전극레이아웃선 등(10))이 중첩해서 형성된 오버랩부분이다. 또한, 이 오버랩부분의 폭c는 봉지수지(4)에 자외선(7)을 조사할 때의 자외선(7)의 경사입사광이나 봉지수지(4)부분에서의 산란광의 효과에 의해 차광성을 갖는 막의 오버랩부분에 있어서의 봉지수지(4)를 경화시킬 수 있는 양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중첩하는 얼라인먼트(정합)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는 제1 기판(1)에 형성된 차광질막(3a) 및 제1 기판(1)과 대향배치되는 제2 기판(2)에 형성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등(10)에 마련하는 슬릿(9a), (9b)의 형상을 봉지수지(4)의 도포부분에 있어서는 직선형상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이나 기능을 고려한 임의의 이차원형상의 슬릿(12a), (12b)로 해도 좋고,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슬릿에지로부터의 반사산란광의 방지나 봉지수지(4)의 도포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12는 실시예 2, 3, 4 및 5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시켜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제1 기판, (2)는 제2 기판, (4)는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 (14)는 대향배치된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로서 중첩기판이라 한다. (15)는 자외선 램프, (16)은 중첩기판(14)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자외선투과 정반, (17)은 얼라인먼트기구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있어서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방법은 자외선(7)을 중첩기판(14)의 양면에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중첩기판(14)의 양측에서 양면을 동시에 또한 기판전면에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에 끼워유지된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를 중첩기판(14)의 양면에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봉지수지(4)의 자외선경화를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는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를 중첩기판(14)의 양측에서 양면 동시에 실행했지만,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씩 교대로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있어서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방법은 자외선(7)을 중첩기판(14)의 양면에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방법에서는 자외선의 조사장치는 2개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고, 우선 도 13의 (a)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장치를 사용해서 중첩기판(14)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기판(2)측)에서 자외선(7)을 조사하고, 다음에 도 13의 (b)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장치로 기판을 이동시키고 반대측(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1)측)에서 자외선(7)을 조사한다.
또, 도 14에 도시한 방법에서는 우선 중첩기판(14)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기판(2)측)에서 자외선(7)을 조사하고, 다음에 중첩기판(14)를 반전시켜서 반대측(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1)측)에서 자외선(7)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에 끼워유지된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를 중첩기판(14)의 양면에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도 14에 도시한 방법에 의하면, 장치구성을 단일체(單體)로 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5는 실시예 1, 2, 3, 4 및 5에 기재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시켜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경화형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마련되는 차광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8)은 봉지수지(4)를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7)의 투과가 필요한 영역 이외에 차광막을 갖는 차광판으로서, 자외선투과정반(16)에 중첩해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제조에 있어서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방법은 봉지수지(4)를 경화하기 위해 자외선(7)의 투과가 필요한 영역 이외에는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차광판(18)을 거쳐서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차광판(18)은 실시예 6 및 7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에 끼워유지된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4)로의 자외선(7)의 조사를 봉지수지(4)를 경화시키기 위해 자외선(7)의 투과가 필요한 영역 이외에는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차광판(18)을 거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특성에 관한 구성요소(예를 들면, 표시전극, 액정용 배향막 등)에 자외선조사에 의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서는 봉지수지(4)를 경화시키기 위해 자외선(7)의 투과가 필요한 영역 이외에는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는 차광판(18)을 거쳐서 중첩기판(14)에 자외선(7)의 조사를 실행했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15)에서 출사된 자외선(7)을 파이버(19) 등으로 도광하여 봉지수지(4)를 경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역에만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예 8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2)를 대향시켜 접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봉지수지(4)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사용했지만, 대신에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봉지수지(예를 들면, 아크릴계/에폭시계 혼합수지)를 사용한다.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봉지수지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반응이 유기되고 가열처리에 의해 경화반응이 촉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4에 도시한 제1 기판(1)과 제2 기판(2)에 있어서의 차광성을 갖는 막이 중첩해서 형성되는 오버랩부분의 폭c를 크게 한 경우에도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가열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봉지수지를 확실하게 경화시킬 수 있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중첩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미세이물부착 등에 의해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 경우에도 가열처리에 의해 봉지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표시영역의 주변차광용막을 대향배치되는 2개의 기판에 교대로 형성하고, 주변차광용막 형성영역내에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2개의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봉지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을 충분히 확보하여 표시영역 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을 작게 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봉지수지가 도포되는 부분에 있어서, 대향배치되는 2개의 기판의 양쪽에 차광질막 또는 차광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차광질막 또는 차광체에 자외선투과용의 슬릿을 교대로 연속하도록 마련하고 주변차광용막 영역내에 봉지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투명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주변차광용막의 형성영역을 충분히 확보하여 표시영역 주변부에 있어서의 광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표시영역의 외주부의 액자영역의 폭을 작게 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봉지수지가 도포되는 부분에 있어서, 대향배치되는 2개의 기판의 양쪽에 차광질막 또는 차광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차광질막 또는 차광체에 형성하는 자외선 투과용의 슬릿의 개구부분이 불연속인 상태 즉 2개의 기판에 있어서 차광성을 갖는 막이 중첩되는 오버랩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2개의 기판을 중첩할 때의 얼라인먼트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을 구성하는 2개의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중첩기판의 양면에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양측에서 동시에 실행하는 것에 의해, 봉지수지의 경화공정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중첩기판의 양면에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쪽면씩 교대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 조사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봉지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역에만 실행하는 것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특성에 관한 구성요소(예를 들면, 표시전극, 액정용 배향막 등)의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하여 표시품위가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봉지수지로서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원인으로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 경우에도 가열처리에 의해 확실하게 봉지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표시영역의 바깥가장자리부에 접해서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1 기판;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 이 표시용 전극에서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된 차광성을 갖는 전극레이아웃선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과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차광질막은 대향배치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봉지수지 도포부에서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차광질막이 형성되고 또한 다른쪽은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표시영역의 바깥 가장자리부에 접해서 형성된 차광질막을 갖는 제1 기판;
    화면표시를 실행하는 표시용 전극과 이 표시용 전극에서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된 전극레이아웃선 등의 차광체를 갖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대향시켜 접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액정을 봉입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 및;
    상기 차광질막 및 차광체에 형성되고 상기 봉지수지 도포부에 자외선을 투과하기 위한 여러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은 대향배치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봉지수지 도포부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자외선 투과부분이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봉지수지 도포부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서 자외선 투과부분이 불연속인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2항∼제4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필요에 따른 임의의 이차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중첩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양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양측에서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를 한쪽면씩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된 봉지수지를 경화시키기위해 조사하는 자외선을 상기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만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는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 자외선 투과영역을 갖는 차광판을 거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으로의 자외선의 조사는 봉지수지의 도포부분에 파이버 등에 의해 상기 자외선을 도광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도포하는 봉지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봉지수지 대신에 자외선반응 유기열 경화형의 봉지수지를 사용하고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열처리를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90031933A 1998-08-07 1999-08-04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2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17998A JP4065609B2 (ja) 1998-08-07 1998-08-07 液晶表示装置
JP1998-224179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61A true KR20000017061A (ko) 2000-03-25
KR100322817B1 KR100322817B1 (ko) 2002-03-18

Family

ID=1680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933A KR100322817B1 (ko) 1998-08-07 1999-08-04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842208B2 (ko)
JP (1) JP4065609B2 (ko)
KR (1) KR100322817B1 (ko)
TW (1) TW57693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562A (ko) * 2001-04-17 2002-10-28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17667B1 (ko) * 2000-08-09 2004-02-1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
KR100775709B1 (ko) * 2002-03-27 2007-11-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0864502B1 (ko) * 2002-12-06 2008-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0011B1 (ko) * 2002-07-19 2008-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531376B2 (en) 2001-05-22 2009-05-12 Lg Display Co., Ltd. Array substrate for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915B2 (ja) * 1998-11-27 2005-08-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0847809B1 (ko) * 2001-08-30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7295280B2 (en) * 2001-09-03 2007-11-13 Hannstar Display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one drop fil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7436473B2 (en) * 2002-11-27 2008-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242099A (ja) * 2004-02-27 2005-09-08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CN101424810B (zh) * 2004-07-15 2010-10-06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屏板
JP4944014B2 (ja) * 2005-03-18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52907B2 (ja) * 2005-06-29 2012-01-1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貼り合せ装置
JP2007065037A (ja) * 2005-08-29 2007-03-15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4987422B2 (ja) * 2006-10-24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1520B2 (ja) * 2009-02-20 2011-11-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用基板及び半導体装置
JP5375628B2 (ja) * 2010-01-22 2013-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088779B2 (ja) 2012-10-01 2017-03-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472630B (zh) * 2013-09-13 2015-09-0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封框胶固化辅助装置及固化方法
CN109656062B (zh) * 2019-01-09 2021-01-0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框胶固化机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0369A5 (ko) * 1977-01-28 1978-06-15 Bbc Brown Boveri & Cie
JP3088908B2 (ja) 1994-07-18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987295B2 (ja) 1994-09-16 1999-12-0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貼り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JP3083717B2 (ja) 1994-12-15 2000-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991407B2 (ja) 1995-02-24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90383A (ja) 1995-09-26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09311342A (ja) 1996-05-16 1997-1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3088960B2 (ja) 1996-10-22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3648337B2 (ja) 1996-11-14 2005-05-18 株式会社東芝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TW542933B (en) * 1996-12-19 2003-07-2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0301121A (ja) * 1997-04-25 1998-11-13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5959712A (en) * 1997-07-11 1999-09-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ving a decreased fluctuation of aperture ratio
JPH1152394A (ja) 1997-07-29 1999-02-26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12103A (ja) 1998-01-27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部品および液晶パネル
JP3874920B2 (ja) 1998-03-06 2007-01-31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6424394B1 (en) * 1998-07-13 2002-07-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rid-shaped light shielding films in peripheral reg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667B1 (ko) * 2000-08-09 2004-02-1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020081562A (ko) * 2001-04-17 2002-10-28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531376B2 (en) 2001-05-22 2009-05-12 Lg Display Co., Ltd. Array substrate for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75709B1 (ko) * 2002-03-27 2007-11-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0870011B1 (ko) * 2002-07-19 2008-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64502B1 (ko) * 2002-12-06 2008-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56316A (ja) 2000-02-25
KR100322817B1 (ko) 2002-03-18
US6842208B2 (en) 2005-01-11
US20060192910A1 (en) 2006-08-31
US20010028425A1 (en) 2001-10-11
JP4065609B2 (ja) 2008-03-26
US7227601B2 (en) 2007-06-05
US7196753B2 (en) 2007-03-27
TW576936B (en) 2004-02-21
US20050105019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81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5709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0433304B1 (ko) 액정 표시장치
JP5710302B2 (ja) 液晶表示装置
JPH115239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62009A1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0961829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120090846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8873493B (zh) 液晶显示面板、装置以及液晶显示面板的框胶固化方法
JP2008203875A (ja) 液晶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34837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6268896B1 (en) LCD having slits formed on shade film and shade wiring
JP2011033688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5896B2 (ja) 液晶表示パネル
US90306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489674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605241B2 (ja) 液晶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5398203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412673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0196A (ko) 기판 합착용 실런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와 그제조방법
US2006013951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nits
JP4646956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208479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貼り合わせ方法
JP2007171385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01660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貼り合わせ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