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205A - 권축사 및 직편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권축사 및 직편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205A
KR20000016205A KR1019980709774A KR19980709774A KR20000016205A KR 20000016205 A KR20000016205 A KR 20000016205A KR 1019980709774 A KR1019980709774 A KR 1019980709774A KR 19980709774 A KR19980709774 A KR 19980709774A KR 20000016205 A KR20000016205 A KR 2000001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rimp
multifilament
yarns
crim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488B1 (ko
Inventor
케이타로 나베시마
카쯔시게 와니베
료수케 초노
히로아키 타쯔미
타쯔아키 마쯔다
츠카사 시바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riority to KR10-1998-070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4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터치 및 스트레치성을 보유하는 직.편물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권축사 및 그 권축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과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 권축사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진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로서 하기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사이다.
(가) 권축수(CA): 2.5 산/cm≤CA≤10 산/cm
(나) 발현권축수(CB): 8 산/cm≤CB≤30 산/cm
(다) 수축응력(TS): 0.0882≤TS(CN/dtex)≤0.221
(라) 외관 수축률(SC): 40%≤SC≤80
(마) 비등수 섬유수축률(SW): 2%<SW<8%
이 권축사는, 제사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리랙스 열처리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권축사 및 직편물과 그 제조방법
종래부터, 폴리에스테르섬유는 많은 뛰어난 성능을 가짐으로서 합성섬유의 주류로서 사용되고 있고, 특히 근년에서는 의료용분야에 있어서, 개질개량을 보탠 고도한감성을 가지는 고질감소재가 개발되어, 이들은 이른바「신합섬」의 명칭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신합섬」은,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원사의 제조기술의 고도화와 직편물을 만드는 고차가공단계의 기술의 쌍밥에 의하여, 종래의 제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고질감이 얻어진 것에 의하여, 시장에 받아들여진 것이다.
그러나, 이 고질감을 가지는「신합섬」은, 원사의 고도화나 고차가공공정이 복잡한 짜바춤에 의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비용면 및 품질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특히, 고질감이라고 하는 새로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복수의 원사를 사용하여 가연가공이나 혼직가공을 행하고, 다시 교연이나 교직복합하는 등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채용하므로, 대단히 고가로 되는 경향에 있다.
또, 상품의 일순에 의하여, 다시 다른 질감의 상품이 요구되고, 본능의 변화나 기능성 등에 한층 더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과제에 대하여, 예컨데, 표면변화가 있는 직편물을 얻는 기술로서는, 실을 끝꼬임 가연가공하여, 직편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가공비용이 높고, 새로운 표면감을 얻기가 어렵고, 또 연사하기 위해 직편물에 스트레치성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 직편물에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대단히 비용이 높고, 또 새로운 표면감도 얻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2종류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분이, 사이드, 파이, 사이드에 배치된 콘류게이트사에 의하여, 표면변화가 있는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지고 있고, 이에 다시 스트레치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연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예도 있으나, 이들의 방법에서는, 공정이 늘고 비용이 높아질 뿐 아니라, 풍합(볼품)도 굵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콘류게이트연신사를 미소장력하에서 이완열처리하여 권촉을 발현시켜 부피(용적)높은 실 혹은 부피 높은 직물, 편물을 얻는 방법이 JP-B51-37376호 공보 및 JP-B57-25650호 공보에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 의하면, 권축은 안정하게 발현시킬 수는 있지만, 직편물에 표면변화나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한편, 이들 종래의 원사에 의한 제작에 있어서, 수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이트원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물의 표면에 하등의 변화도 생기지 않고, 스트레치성도 부여되지 않는다.
또, 이 스트레이트원상 추연을 넣어서 직편물로 한 경우, 열을 가한때에 해연토크에 의하여 표면에 주름살을 일으켜 표면을 변화시킬 수는 있으나, 역시 스트레치성의 부여는 어렵다. 또, 일반적인 가연가공사의 경우에는, 권축은 존재하나, 존재하고 있는 권축발현능력은 없고, 또는 가연가공사의 경우 부여된 권축이 너무 미세하고, 또 위상이 밀리고 있다.
그 때문에, 부피높이성이나 방투성의 점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표면변화나 스트레치성부여력은 작다.
또,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는 열수축성을 달리하는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성분이 병렬적 혹은 심, 초형으로 접합된 콘류게이트사를 사용하면, 직편물의 안에서 구속력이 적은 영역에서는, 약간의 스트레치성은 얻어지나, 멀티필라멘트집합체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섬유수축은 이루어져도 편직물의 조직의 구속력에 이겨서 권축을 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종래의 단일폴리머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생사를 사용한 때와 마찬가지로 부피 높이성, 방투성에 빠지는 것이고, 표면변화를 부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등은, 직편물에 표면변화와 스트레치성의 양쪽을 부여하는 것을 예의 검토한 결과, 직편물의 제조에 있어서, 잠재 권축을 발현하기 쉬운 목적으로, 직물의 경우에는 실이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뜬 부분의 길이중에, 또 편물의 경우에는, 루프의 길이중에 각각 현재화권축을 존재시켜두면, 즉, 권축을 발현재화시켜두고, 나중에 권축을 발현시켜 권축을 발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도 달하였다.
또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천연섬유에서는 불충분한 특성으로부터의 아프로오치, 예컨데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을 가지며, 또한, 고반발성을 구비한 직편물의 개발이 기대대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제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먼저 든 JP-A5-247757호 공보의 발명이 있으나, 콘류게이트섬유의 권축과 가연가공에서 부여된 권축의 멀티필라멘트간의 위치밀림이 생기고, 큰 공극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경량화의 달성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 경량화에 대하여는, JP-A62-85048호 공보나 JP-A4-289219호 공보 등에 예시되는 것 같이, 중공섬유를 사용하는 수단이 있다. 이 방벙에서는, 경량화 게벨을 높이기 위해, 중공섬유의 중공율을 어떻게 크게 하는 것인가 과제이다.
그러나, 중공섬유의 중공율을 크게하면, 섬유직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고차가공상문제로 된다. 예컨데, 스트레치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연가공하면 중공이 찌브러지던가, 의복으로서 착용중에 중공이 갈라지던가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스트레치성과 경량화를 비용을 들이지 않고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고 되어 있었다.
또한, 직편물에 새로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복수의 원사를 사용하여, 복합가연가공이나 복합혼섬가공을 행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연가공이나 에어처리등 전력비가 대단히 높게되는 경향이 있다. 이 복합화 등에 의한 부가가치 비용은, 후지분야의 스쓰나코오드등, 비교적채산이 맞지 않는 분야에서는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될수록 가공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직물에 부가가치를 부여하기 위하여는, 복수원사에 의한 상승효과를 노려서, 복합사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어떻게 복합의 비용을 저감할 것인가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또, 가연복합가공에 의한 부가가치업으로서, 2층구조나 다층구조로하여 새로운 질감을 얻음과 아울러, 동시에 기능성으로서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데, JP-A5-247757호 공보에서는, 폴리에스테르콘류게이트사를 미리 가연권축가공하고, 계속해서 혼섬가공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가연가공과 에어혼섭가공공정이 늘어, 비용이 높아지고, 또 얻어진 직편물을 풍합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열수축특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집합체가 병력적 혹은 심(芯), 초(草)적으로 접합한 권축사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상에 있어서,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터치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얻는 것을 가능케 하는 권축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러한 권축성 콘류게이트필라멘트사로 구성된 특히 뛰어난 부피높이성 및 방투성, 또한 새로운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터치성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직편물을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사가 실의 길이방향으로 중공의 공동구조를 가지는 형상의 멀티필라멘트의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을 가지며, 또한 높은 반발성을 구비한 중공구조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뻗침성, 허리 및 소프트한 부푸름감을 가지며, 또한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복합사 및 그 실을 사용한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도 1∼도 10은, 어느 것이나 도면대용의 현미경사진이다.
도 1은, 방사연신하여 얻어진 권축발현능을 가지는 3차원라선형 코일형상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사진으로 (a)는 멀티필라멘트를, 또 (b)는 그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단필라멘트를 각각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축사의 권축형태를 표시하는 사진으로, (a)는 멀티필라멘트를 또 (b)는 그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단 필라멘트를 각각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고, 직물의 위사단면을 절단한 상태를 표시하는 위사단면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확대사진이고, 중심부에 공동구조를 가지는 중공구조를 표시한다.
도 5는, 멀티필라멘트사의 연사구조체에 있어서의 중공상태를 표시하는 측면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표시하는 확대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후술하는 실시예12에서 얻어진 복합사의 측면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후술하는 실시예12에서 얻어진 복합사의 절단단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5에서 얻어진 사용하는 가연가공사가 가지는 토오크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사한 권축부합사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16에서 얻어진 사용하는 가연가공사가 가지는 토오크의 방향과 동방향으로 연사한 권축복합사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고,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 터치성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얻는 것을 가능케하는 권축사 및 뛰어난 부피높이성 및 방트성, 또는 새롭게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터치성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을 제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직편물에 새로운 표면감과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는 원사를 적당한 비용으로 얻을 수 있는 권축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자신에 중공구조를 갖게 하는 이른바 중공섬유에 의한 것이 아니고, 멀티필라멘트의 집합체에 의하여 공동형상의 중공구조를 형성하고, 라선형상의 집합체의 신축성에 의하여 스트레치성, 경량감을 겸비한 중공구조체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뻗침성, 허리 및 소프트한 부푸름감과 경량감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복합사 및 그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은, 서로 열수축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집합체가 병력적 또는 심,초적으로 접합한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로서, 하기(a) 및 (b)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사이다.
(a) 2.5산/㎝≤권축수(CA)≤10산/㎝,
(b) 8산/㎝≤발현권축수(CB)≤30산/㎝,
본 발명에서는,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하기(c)∼(e)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0.0882≤수축응력(TS)(CN/dtex)≤0.221,
(d) 40%≤볼품수축율(SC)≤80%,
(e) 2%≤비수섬유수축율(SW)≤8%,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권축사는, 열수축특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집합체가 병렬적 또는 심,초적으로 접합한 권축성의 콘류게이트필라멘트사를 제조하여 얻어진 권축성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를 리락크스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 권축사를 제편직하여 얻어진 드라이엣칭성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직편물에 있어서는, 섬도 30∼350dtex의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사용되는 것,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구성사의 35중량%이상 사용하는 것, 열처리에 의하여 폭 및 길이방향으로 10∼60%수축시켜 권축을 발현시키는 것 및 권축을 발현시킨 권축사가 가열된 라선형상 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중심부에 공동구조를 가지는 권축사인 것이 바람직한 태얍으로서 함유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의 발명은, 멀티필라멘트사가 연사된 라선형상의 멀티필라멘트집합체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가지는 멀티필라켄스가로 구성된 중공구조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이,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권축이 발현되어서 이루어지는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인 것, 멀티필라멘트사가 중공사로 이루어지는 것 및 멀티필라멘트사가 연계수α3000∼30,000의 범위에서 가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3기재의 발명은, 열수축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권축현능을 가지는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가 연사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가 가연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인 것, 또한 이 복합사가, 가연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토오크와 역방향으로 연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으로 포함된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상기 복합사가 연계수α3,000∼2,500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20,000으로 가연되어 있는 것, 복합사의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가지는 것, 상기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섬도가 30∼350dtex이고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섬도가 30∼800dtex인 것, 상기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 및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에 대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접하는 비율이 중량비로 0.2≤A/(A+B)≤0.8인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또한, 상기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발현권축수(CB) 및 수측응력(TS)
이 다음식,
8≤CB(산/㎝)≤30,
TS(g)≥0.265CN/dtex
를 만족하는 것, 상기의 권축복합사에 열처리를 시행하여, 권축을 발현시켜서 되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이러한 복합사를 제편직하여 얻어진 뻗침성, 허리 및 소프트한 부풀음감과 경량감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직편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열수축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가 병렬적 혹은, 심, 초적으로 접합한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한다.
이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는, 가연가공이나 기타의 실가공에 의하여 권축구조를 부여된 것이 아니고, 열수축특성차에 의한 자기권축발현능을 가지며, 직편물로 하기 이전에 미리 리락스열처리가 시행되어서, 잠재권축발현능력을 남겨서 권축발현시킨 멀티필라멘트사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상태는 호적하게는 열고정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권축성콘류게이트필라멘트사는, 열수축특성에 의한 자기권축발현력을 가지며, 이 잠재권축발현능력을 가지고, 비수처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권축을 발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는, 주된 접는 단위가 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를 대상으로하고, 통상열수축특성을 달리하는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사용한다.
이 열수축성을 달리하는 폴리에스테르중합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호모폴리머로 중합도를 달리하는 것, 텔레프타르성분 및/또는 에틸렌글리콜성분이외의 제3성분을 공중합시킨 것, 다른 폴리머를 불랜드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수축성이 다른 폴리에스테르 단독 또는 에틸렌텔레프타레이트 단위 80몰 이상을 함유하는 고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서는, 이소프탈산, 금속슬포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프트탈산, 비스페놀산, 네오펜틸글리콜 혹은 1.6-시클로헥산디돌등 공지성분이 사용가능하다.
또, 폴리에스테르중에, 광택지움제, 자외선흡수제, 염색성개량성분 및 안료등 다른 개량제를 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축사는, 멀티필라멘트의 길이방향으로 원사의 권축수(CA)로서, 2.5∼10산/㎝, 바람직하게는 3.5∼7.5산/㎝를 가지며, 이것을 비수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권축을 발현한다. 발형권축수(CB)가 8∼30산/㎝, 바람직하게는 13∼27산/㎝의 잠재력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이나 편물은 구성하는 실이 교차하여, 조직적으로 구속력이 약한 부분과 강한부분이 존재한다.
즉, 직물에서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은 구속력이 강하고, 거꾸로 교차하고 있지 않는 뜬부분은 구속력이 작다.
또, 편물은 니들루푸와 싱거루푸에 의하여 구성되나, 구푸의 교차점은 구속력이 강하고, 루푸자체는 구속력이 약하다. 직물이나 편물에 사용되는 원사의 특성에 의하여, 직편물에 표면변화나 스트레치성을 부여함에는 교차점에서 실이 뜨고 있는 구속력이 작은 부분에, 형태변화를 갖게 함으로서 부여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원사에 의한 파부기케이숀에 있어서, 수축성을 가지는 스트레이트원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편물의 표면에 아무런변화도 생기지 않고, 스트레이치성도 부여되지 않는다. 또, 이 스트레이트원사에 추연을 넣은 실을 사용해서 편직물로 한 경우, 직편물에 열을 가하여, 해연토오크에 의하여 표면에 구김살을 일으켜 표면을 변화시킬 수는 있으나, 스트레치성의 부여는 어렵다.
또, 일반적인 가연가공사는, 권축은 존재하는 원래가지고 있는 권축성능이상의 발현능력은 없기 때문에, 표면변화 및 스트레치성부여력은 작다.
한편,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는 열수축성을 달리하는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가 병렬적 혹은 심,초적으로 접합한 콘류게이트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스트레치성부여는 가능하나, 표면변화를 부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등은, 직편물에 표면변화나 스트레치성의 양자를 부여하는 것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직편물의 제조에 있어서 나중에 잠재권축을 발현하기 쉽게하기 위해,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구속력을 받지 않는 뜬 부분의 길이중에, 편물에 있어서는 루푸의 길이중에, 현재화권축을 존재시켜두는 것, 즉 반현재화시켜두고, 내중에 다시 권축을 발현시켜 권축을 현재화시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다음에, 현재권축과 현재권축을 발현시키는 권축반현재화원사의 상세데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기본적특성으로서,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원사에 권축수(CA), 즉, 현재권축수로서 2.5∼10산/㎝을 가지며, 프리한 상태에서 비수수축처리한때의 발현권축수(CB)로서, 8∼30산/㎝의 발현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권축발현능력이, 직물이나 편물의 조직의 구속력하에서 권축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그 때문에 원사특성으로서, 수축응력(TS)은 0.0882≤TS(CN/dtex)≤0.22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비수수축율(SW)은 2부터 8%이하가 바람직하고, 외관수축율(SC)즉, 자유로운 상태에서 비수처리한 때에, 권축발현에 의한 수축율은 40부터 80%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특성의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① 원사의 권축수(CA)(산/㎝)
멀티필라멘트를 70㎜이상(측정하기 쉬운 길이)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한 단사를 유리판에 놓고, 1센치간의 산과골을 읽고, 이 합계를 2분의 1로 한다. 단사 10본에 대하여 구하고, 그 평균치로서 산출한다.
② 잠재발현권축수(CB)(산/㎝)
멀티필라멘트사를 끊는 물에서 15분간 처리한다. 끄낸 후 냉수중에 1분간 침지한다. 바람에 말린 후, 유리판에 놓고, 투영기로 스크린에 투영하여, 1센치간의 산과골을 읽고, 그 합계를 2분의 1로 한다.
단사 10본에 대하여 구하고, 그 평균치로서 산출한다.
③ 수축응력TS(g):
상온부터 250c근변까지 가열한대의 수축응력변화를 4케이지(왜곡계)로 검출하여, X, Y레코오더에 기록한다(시장:100㎜), 승온온도5℃/sec 초하중:(0.0882CN/dtexX2)g에서 승온한다. 차트로부터 최대응력(g)과 피크온도9℃)를 판독한다.
④ 외관(겉보기)수축율SC(%)
1주1.25m의 검척기로 10회 감아서 실패를 채취한다(0.000882CN/dtexX10X2)g의 하중을 걸어서 원장:(a)을 측정한다.
(끊는 물에서 15분간 처리하여, 냉수중에 1분간 침지시켜서 바람에 말린 후, 하중:(0.000882CN/dtexX10X2)g을 걸어서 원장:(b)를 측정한다.
다음의 계산식으로 외관축숙율을 구한다.
외관수축율SC(%)=(a-b)/a×100
⑤ 끊는 물수축율%, 외관수축을측정과 같은 샘플을 채취한다. 하중:(0.176CN/dtexX10X2)g을 걸어서 원장:(a)을 측정한다. 끊는 물에서 15분간 처리하고, 방냉 후, 하중:(0.176CN/dtexX10X2)(g)을 걸어서 원장:(b)를 측정한다.
다음의 계산식에서 비수(끊는물)섬유수축율을 구한다.
비수(끊는물)섬유수축율SW(%)=(a-b)/a×100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원사구성은, 열수축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병렬적으로 발라서 복합시키거나, 혹은 심성분을 초성분에 편심배치하는등 복합시킨 것으로, 방사, 연신 후, 특정의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신에 의하여 스파이랄상의 3차원권축을 발현하는 수축응력이 소멸하지 않는 조건에서 일부권축을 현재화시키기 위해, 리락스열처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수축특성의 다른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로서는, 한쪽을 저점도의 폴리에스테르성분으로하고, 다른쪽을 고점도의 폴리에스테르성분으로 하는 짜마춤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호모폴리에스테르성분의 경우, 상기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극한 점도는 0.35∼0.45이고,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극한점도는 0.65∼0.8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극한점도가 작게되면, 용융점도가 낮아져서 제사가 곤란하게 된다.
도,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근한점도가 너무 크면,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권축발현력이 부족하게 되고, 발현재화잠재권축발현력이 함께 저하한다.
또,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극한 점도가 너무 크면, 용융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방사나 연신이 어렵게 된다. 또,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극한점도가 작게되면, 권축발현력이 부족하게 된다.
또,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과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양자간의 극한점도차는 0.20∼0.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만, 한쪽에 공중합폴리에스테르성분을 사용하는 경우는, 양자의 성분의 극한점도차를 다시 접근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극한점도는, 온도 25℃에 있어서, 오르소크로페톨용액으로서 구한 것이다.
또,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과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복합비는, 중량비로 35∼50:65∼50이 바람직하고, 40∼50:60∼5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밖에서는 반현재권축, 잠재 권축의 발현성이 떨어지고,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경향을 표시한다.
또한, 섬유의 단면형상은, 둥근단면이 바람직하나, 예컨데 3각∼8각 단면과 같이 이현단면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권축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특징 있는 권축사는, 열수축특성이 다른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동링의 구금으로부터 병렬적 혹은 심초적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방사, 연신하고, 그후, 얻어진 연신사를 실모양으로 리락스열처리를 실행하여 얻을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수축이 다른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병렬적 혹은 심,초적으로 방사하여 얻어지는 콘류게이트사는, 그후의 공정에서 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3차원권축을 발현하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아직 발현력이 약하고, 직편물의 상태에서는 충분한 권축이 발현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콘류게이트사를 다시가연가공하여 권축을 부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이와 같이, 권축발현력을 높여서, 직편물에서 권축을 발현시키는 콘류게이트사의 제조방법을 검토한 결과, 방사연신하여 얻어진 콘류게이트사를 리락스상태에서 열처리하여, 잠재권축발현력의 일부를 발현시켜서 권축을 열고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의 권촉사가 가지는 권축수 CA는 2.5∼10산/㎝이나, 이 권축수 CA는직편물의 구조에 있어서의 눈금, 루프의 구속력의 작은 경우에 권축사의 권축의 산 혹은 골의 부분을 존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직편물의 염색공정에 있어서의 재차의 리락스열처리를 받은때, 다시 잠재능력으로서 가지고 있는 권축을 발현하기 쉽게 하는 것이고, 그 결과, 직편물의 표면에 권축을 발현시켜서 표면에 변화를 부여하여, 드라이한터치와 또한 스트레치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축사의 권축형태는, 방사, 연신사의 원사에 발현하는 권축형태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즉, 방사, 연신한대로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원사의 권축이 라선형의 3차원코일형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대하여, 본 발명의 자기 권축사의 구어툭형태는 이른바 3차원고일형상이나 2차원에 가까운 파도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파도형상형태는 3차원라선형코일형상의 콘류게이트사를 리락스열처리하면, 열수축차의 다른 폴리에스트레중합체가 수축하여 가벼운 열고정을 받아, 2차원에 가까운 파도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생각된다.
한편, 3차원 라선형코일형상형태는 권축의 신장응력이 작고, 발현응력도 작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리락스열처리를 실시하여 일부에 권축을 발현시켜, 가볍게 열고정한경우는, 권축의 산과골의 부분에 3차원타선형의 코일형상의 권축형태를 발현하는 잠재능력을 가진 상태에서 권축이 고정된다. 그 때문에, 권축의 신장응력이 크고, 직편물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구속력이 작은 부분에서 비뚤어짐을 회복하여, 비교적루즈한 상태로 되기 쉽다.
이들의 권축형태의 예를 도 1 및 도 2에 표시한다. 도 1은, 통상의 방사, 연신한 3차원라선형의 코일형상의 콘류게이트사이고, (a)는 멀티필라멘트를 또 (b)는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단필라멘트를 표시하는 사진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자기권축사의 권축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a)는 멀티팔라멘트이고, (b)는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단필라멘트를 표시하는 사진이다.
이들의 사진은 히다치세이사쿠쇼주식회사제의 주사형전자현미경에서 확대촬영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자기권축사의 특성으로서, 권축수 2.5∼10산/㎝를 가지는 자기 권축사를 사용하여 직편물로 하고, 염색공정에 잇어서의 재열처리에서 리락스열처리를 받은 때, 발현권축수8∼30산/㎝의 권축을 발현시키는 능력으로서의 바람직한 원사특성으로서는, 먼저 든 수축응력 TS:0.0882≤TS(CN/dtex)≤0.221,
비수(끊는물)섬유수축율 SW:2%≤SW≤8% 및 외관수축율 SC:40%≤SC≤80%가 있다.
자기권축사를 사용한 직편물을, 염색공정에서 래리락스얼처리로 권축을 발현시킴에 있어, 자기권축사의 비수수축율이 2%보다 작으면 권축이 발현되지 않고, 또, 8%보다 크면 발현한 것이 나무미세하여, 권축으로서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일이 있다.
그리고, 이 수축에 수반하여 발현하는 권축이 직편물에 있어서의 조직의 구속력에 항거하여, 발현시키기위한 특성으로서, 자기 권축사의 수축응력이 중요하다. 또, 자기권축사의 권축발현성을 판단할 수 있는 원사특성으로서, 외관수축율이 있다.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리락스열처리에서 권축발현시키는 수축응력, 섬유수축응력이 있는가 아닌가는, 이 외관수축율로 판단할 수 있다.
외관수축율은, 자기 권축사를 실패엥 감고, 비수(끊는물)수축처리를 한때의 권축발현에 따라서 수축하는 실패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외관수축율 SC가 40%보다 작고, 80%보다 많으면, 권축발현의 충분하지 않던가, 발현권축이 너무 잘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원사특성을 실현하는 기술포인트의 하나는, 따라서, 원사의 제사공정에 있어서,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방사, 연신한 후에, 권추글 발현시키면서 수축응력에 의한 잠재권축발현력을 갖게하는 권축발현재화리락스 열처리를 행하는 점이다.
통상, 고배향연신사를 리락스열처리하면 배향이 완화하며, 수축응력이 저하하라고 말하고 있으나, 본 발명자등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당해 콘류게이트원사에서는, 제사조건과 리락스조건에 의하여 리락스열처리하여 권축을 일부현대화시켜 열고정하여도 잠재 권축발현력을 갖게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락스열처리는, 방사, 연신에서 얻어진 연신사를, 바람직하게는 리락스율 2%∼12%,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에 있어서 권축을 바년재화시키고, 열고정함과 아울러, 수축응력의 저하를 적게 현재권축의 발현력을 크게 하기 위해, 처리온도는 바람직하게는 건열100℃∼17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60℃로 실현한다.
이락스율이 상기 2∼12%의 범위외에서는 반현재화권축량이 적던가, 오버피이드량이 너무 커서 권취속도에 추수하여 권축이 되지 않아 생산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또, 열처리온도가 너무 낮으면 권축이 십분발현, 열고정되지 않고, 또, 열처리온도가 너무 높으면 섬유자신의 수축에 의하여 발현한 권축의 너무 잘게되고, 혹은 2성분의 수축차가 없어져서 권축이 늘어난 것 같은 형태로 되고, 수축응력도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열처리방식으로선느, 접촉식 열판에 의한 방법, 비접촉식(중공히이터)에 의한 방법등이 있으나, 수열효과가 다르므로 히이터길이, 필요한 섬유특성 등을 감안해서 히이터터치시간을 설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열처리계로서는, 제사공정에 있어서의 방사, 연신의 연속공정으로서 혹은, 방사, 연신에서 얻은 연신사를 별도의 생산계에서 리락스열처리하는 분리방식에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권축사를 사용하여, 드라이터치성 및 스트레치성을 가지는 새로운 감각의 직편물이 제공된다. 직편물에 사용되는 권축성콘류계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섬도는 30∼350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dtex이다.
본 발명의 권축사를 포함하는 구성실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을 의료용도에 적영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샤츠나 블라우스 같은 박지에는 30∼100dtex의 세섬도의 실이, 또, 팬츠, 스커트등 보틈이나 슈트, 쟈켓트, 코오트등 후지직물에는 100∼1,000dtex의 실이 적합하고,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섬도는 30∼350dtx가 적합하다.
직물은, 경사와 위사로 구성되고, 조직의 자유도가 크고, 경사와 위사의 조직점이 교차하는 길이르 비교적 변화시키시 쉽다. 그러나, 박지직물의 경우, 지금까지에서는 위사에 강연사를 사용하여, 염색가공의 단계에서 해연토오크를 발현시켜, 구김살효과에 의한 표면효과를 갖게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추연이나 가연등 코스트가 걸리는 수단은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경사와 위사의 배열이나 밀도밸런스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직점의 길이의 변화에 의한 권축사의 권축의 산과 골을 존재시켜, 염색공정등에서의 리락스열처리로 권축을 발현시켜서, 직물의 표면에 3차원권축에 의한 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표면변화나, 드라이한 터치, 스트레치성이 한층 뛰어난 직물이 얻어진다. 후지직물에 있어서는, 섬도크기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표면변화스트레치성 및 드라이한 풍합의 효과를 얻기 쉽다.
직물의 경우는, 경편, 횡편(환편)어느 것이나 편목(루프)로 구성된 실의 굵기에 적합한 게이지로 편성된 것이면 졸고, 구우프의 길이는 편기의 게이지에 의하여 결정된다.
루우프길이를 크게하면 거칠고, 루우프길이를 작게하면 조밀하게 된다.
이 루우프길이와 권축의 크기에 의하여 편물의 표면변화와 스트레치성 및 드라이한 터치성이 변화한다.
예컨데,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권축수가 2.5∼10산/㎝의 경우, 1산의 길이는 4∼1㎜해당하고, 30∼100dtex의 편립에 사용되는 편기의 루우프길이는 4∼1.5㎜의 범위에 있다. 즉, 1루우프의 속에 권축사의 산이 부분 1산을 조재시킬 수 있고, 염색공정 등의 재열처리로 리락스열처리를 받은 때, 현재발현권축을 발현시켜, 용이하게 권축수를 8∼30산/㎝로 할 수가 있다. 발현권축의 형태가 3차원구조를 갖기 때문에, 편물의 표면에 새로운 표정이 부여된다.
또한, 권축성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를 구성하는 단필라멘트의 크기(단섬유섬도)가 1.1dtex이상인 것이, 권축발현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뛰어난 표면변화, 드라이감이 있는 직편물이 얻어진다. 또, 단섬유섬도가 15dtex이하이면, 발현권축의 3차원입체형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표면변화에 뛰어나고, 풍합면에서 뛰어난 것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섬유섬도는 2∼10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축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에 있어서는, 그 구성사의 35중량%이상으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35중량%미만이면, 권축발현력이 부족하게 되어 목적으로하는 부풀음(부피높이성)방투성, 표면효과 등의 표면변화나, 스트레치성, 또한 드라이터치한 푸합을 얻기 어렵다. 그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40중량%이상이고, 비율이 높을수록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진다. 100중량%라도 좋다.
직물의 경우, 경사 및/또는 위사가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이던가, 혹은 경사 및 또는 위사에 다른원사와 함께 배열시키던가, 다른 원사와 복합한 것이라도 좋다.
조합하는 다른 원사의 특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수수축율의 낮은 원사인 것이 스트레치성부여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한 직편물은, 이것을 다시 열처리하여, 그 실이 갖는 잠재 권축을 발현시켜 현재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부피높이성, 방투성, 새롭게 독특한 표면감, 드라이터치성 및 스트레치성의 뛰어난 편직물로 된다. 이 경우의 열수축율은, 폭 및 길이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섬유자신에 중공구조를 갖게한 이른바 중공섬유에 의한 것이 아니고, 멀티필라멘트의 집합체에 의하여 공동형상의 중공구조를 형성하여, 타선상집합체의 신축성에 의하여 스트레치성, 경량감을 겸비한 중공구조체사로 이루어지는 편직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편직물은,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연사된 라선상멀티팔라멘트집합체의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가지는 실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중공구조사로 된 직편물이다.
본 발명의 직편물을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가지는 중공구조사는, 권축발현능을 가지는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집합상태로 연사하여, 열처리하면 섬유의 길이방향에 라선형상의 권축이 발현할 때에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권축발현능을 가지는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에 대하여는, 두 종류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를 방사함에 있어, 점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과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복합비가 중요하다. 저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과 고점도폴리에스테르성분의 복합비는, 중량비로 35∼65:65∼35가 바람직하고, 40∼60:60∼4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복합형태는, 두성분을 병력적, 혹은 심초적으로 어는 것으로 하여도 좋으나, 병렬적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복합비와 2성분의 배열형태는, 콘류게이트섬유의 이완 열처리에 있어서 발현권축의 라선상코일의 직영의 크기에 관계하고, 코일지름이 큰쪽이 경량효과가 크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지름은, 200㎛이상, 1200㎛이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0㎛이상, 1200㎛이하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는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얻기 위한 방사속도는, 통상 1000m/분 이상의 저속영역부터 2500m/분 이상의 고속영역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방사된 미연신사, 반연신사의 연시는 공지의 현산장치에서 가능하고, 미연신사, 반연신사의 강신도 특성에 대하여 얻어지는 연신사의 강신도레벨, 보푸라기의 발생이 없는 조건에서 될 수 있게 연신사의 이완 열처리로 큰 수축응력이 얻어지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응력의 큰쪽이,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권축발현능을 높게 할 수 있고, 직편물의 이완열처리에서의 권축발현에 의한 라선형상코일의 중공구조가 얻어진다.
연신사로서,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구성하는 단섬유섬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1.1∼15dtex가 바람직하다.
1dtex보다 가는 영역에서는 현상의 기술수준에서는 제사가 어렵게 되는 점도 있으나, 라선상코일에 한계가 있고, 또 15dtex보다 크면 중공구조는 얻어지나 라선구조이기 때문에, 스트레이트구조보다 연하나 의료용도에서는 풍합이 딱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에 추연하는 연사방법은 특히 제한이 없고 공지의 기술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연사후, 꼬임멈춤셋트를 실시하여도 좋으나, 셋트온도는 제직, 제편에 문제가 없는 정도로 저온이 바람직하다.
추연을 실시한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라선상집합체의 중심부에 공동구조를 가지는 중공구조로 함에는, 실의 상태로 이완열처리를 실시하여 발현시켜도 좋으나, 통상의 방법으로서는 제직, 제편한 직,편물을 염색가공하는 공정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로서는, 단 필라멘트자신이 중공구조를 가지는 중공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직편물에 대한 경량과 고반발성의 효과를 더욱 높일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은, 리락스처리이나, 추연된 고임의 해연력과 콘류게이트사의 현재권축의 발현에 의하여 라선구조로 되도록 리락스시키는 조건을 채용한다. 권축성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에 추연을 실시하고, 필라멘트사를 수속시킨다. 직편물에 이완열처리를 실시한 때에, 열수축이 다른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집합체의 수축차에 의하여 생기는 라선상권축은, 예컨데, 도 1에 표시되듯이, 라선상으로서의 위상밀림이 없고, 개개의 필라멘트는 집합형태를 유지한채로의 상태로 될 수록 유지하는 것에의하여 발현사기 쉽게 된다. 이 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중심부에 공동이 생긴다.
또, 연수는, 이 중공구조에 의하여 필라멘트사의 겉보기 직경이 크게 되고, 구부림강성이 크게 되어서, 직물에 고반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도 중요한 요소이다.
또, 연수는 요구되는 풍합에 의해서조 중요하고, 직편물의 성능에 의하여 결정할 수가 있다. 연수가 너무 많으면, 스트레치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연사수는 라선형상멀티필라멘트사집합체중심부에 공동을 가지는 중공구조사로 하고, 경량감, 고반발성과 스트레치성을 부여하기 위한 범위로서는, 다음식에서 구하여지는 연계수가 3,000∼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0∼20,000의 영역이 적합하다.
연수T(T/M)=α,D1/2
다만, α:연(꼬임계수)
D:멀티필라멘트사의 섬도
이때에, 본발명에 있어서의 멀티팔라멘트사의 연사구조체에 있어서, 나선형상인 멀티필라멘트 집합체의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보유화는 중공구조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의 형태개념을 시작한 직물샘플에 대하여, 염색 완성후의 직물의 단면, 직물로부터 풀어낸 실(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측면을,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하고, 촬영된 것을 도면에 표시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이고, 직물의 씨실단면을 절단한 상태를 표시하는 씨실 단면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멀티필라멘트집합체의 확대사진니고, 중심부에 공동구조를 보유하는 중공구조를 표시한다. 도 5는, 멀티필라멘트실의 연사구조체에 있어서의 중공상태를 표시하는 측면사진이다. 도6은, 도 3의 요부를 표시하는 확대사진이다. 공동의 크기는, 보통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실의 지름보다 작은, 예컨댜. 20mm ∼ 20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원사인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실을 연사하므로, 원사인 코일 지름의 1/6∼1/10정도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실은, 다른 종류의 폴리에스테필라멘트실과 복합하며, 복합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권축발형능을 보유하는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B)를 합사하고, 연사하여 복합사로서 보빈에 권취한다. 이 연사공정은 보통, 직물의 제조에 았어서, 제직성의 향상이나 직물에 반발성이나 드레이프성을 부여하므로 보통사용 되는 공정이다. 이 연사공정에 있어서는, 단사로 연사하는 경우와, 복수본으로 연사하는 경우가 있다. 얻어진 복합사는 기술한바와 같이, 제편직되며, 염색 마무리 가공된다. 이 복합사는, 종래의 보통공정 장치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좋은 메릿 외에, 복합하는 상대 원사를 자유롭게 서택할 수 있는 메릿이 있다.
복합사에 있어선,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A)를 구성하는 단 필라멘트가, 되도록 집합상태로 있는 쪽이 나선 형상으로 권축을 발현하는 능력이 크므로 바람직하다. 단 필라멘트가, 임시로 꼬인 가공 등으로 권축이 부여된 것이나, 단 필라멘트가 분산된 상태에서는, 발현된 권축의 위상이 빗나가서 코일형상 (나선형상)인 권축으로 되기 어렵게 된다. 그 의미에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는, 에어 교락처리를 실시하여 집속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 복합 상대쪽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에는, 보통 연신사가 사용된다. 연신사의 종류로서는,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 되지 않지만, 비수 수축률이 되도록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 수축률 특성이 높으면, 염색공정에서 권축을 발현시킨때에,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가 권축성 콘류게이트 멀리필라멘트사(A)에서 내층으로 위치하고, 복합사에 있어서의 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일이 있다. 또, 권축사와 같이 수축률이 너무 지나치게 높으며, 수축시킨때에 고수축사가 최내층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되므로, 직물에 스트레치성을 부여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수축률은, 권축 발현 했을 때 스트레치성으로 방해 되지 않도록 낮은쪽이 좋고, 보통 10%이하, 바람직하게는, +8%∼-10%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또,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를 미리 느슨하게 열처리하고, 수축률을 작게하는 방법, 고배향 미연신사를 열처리하여 수축률을 저하 시킬수도 있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는, 그 복합하는 목적,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위한 특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소프트한 피륙의 촉감을 부여하므로, 극세사를 사용하며, 발색성을 훌륭하게 하기 위하여, 염색공정에 있어서의 알칼리 감량처리에 있어서, 섬유표면에 빛의 정반사를 감소하는 효과의 미크로비이드를 부여하는 세라믹스 미입자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는, 드라이한 피륙의 촉감을 부여하므로, 이형단면사나 미입자 첨가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복합 상대 원사에 의하여 각각 효과는 다르지만, 권축콘류게이트 멀리필라멘트사(A)와의 복합에 의하여, 염색공정에서의 권축발현에 의하여 부푼모양이 부여되었으므로, 복합상대사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그런점에서, 염색공정인 알칼리 감량처리에 있어서의 감량속도가 다른 원사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권축발현능을 보유하는 권축성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그보다 섬유표면이 알칼리 이용성분으로 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로 된 복합사에 있어서, 직물로 권축발현시킨후에 알칼리 감량처리하면, 비교적 내층에 위치하는 콘류게이트사와 비교적 외층에 위치하는 알칼리 이용성분 복합사 사이로 빈틈을 발생하며, 리랙스 공정후의 권축 발현력이 쉽게 되므로, 더욱 부품모양과 스트레치성이 발현하기 쉽게된다. 이 복합사의 복합은, 보통의 제직준비공정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연사공정으로 실시 할 수 있다.
이들의 양쪽실줄을 갖춰서 권취하며, 계속하여 더블 트위스터등에 걸어서 연사하는 방법, 합연기와 같이 갖춰서 연속하여 연사하는 방법의 어느것이라도 지장이 없다. 이 권축복합사의 추연 꼬임수는, 복합사로서 수속상태로 있으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상구조의 권축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꼬이는 계수(α)는 30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권축복합사의 토우틀 섬도에 관계하며, 대강 다음식으로 계산 했을 때, 꼬인 계수(α)가 20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800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α=T×D½
단, α: 꼬인계수
T: 꼬인수 (t/m)
D: 복합사의 섬도 (dtex)
꼬인계수가 20000보다 커질때는, 섬유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콘류게이트사의 권축 발현이 적고, 부푸는 모양이 충분하지 않고, 스트레치성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또, 꼬이는 토오크에 의한 얽힌실이 발생하기 쉬운 일이 있고, 제직공정의 통과성에 문제가 없는 정도로 꼬이는 토오크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꼬임 정지세트를 하는 일이 있다. 세트조건으로서는 문제가 없는 정도로 저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복합사의 구성요건으로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와의 구성비율, 구성섬도 및 복합상대인 원사의 특성등이 중요하다.
우선,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30∼150dtex이다. 또, 복합사에 있어서의 구성비율[{A/(A+B)}]으로서, 중량비에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가 30%이상 60%이하, 바람직하게는, 35%이상 55%이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비율은, 구성하는 상대원사인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에 의하여 좌우되고, 이 상대원사인 단 필라멘트의 섬도가 작은 것, 예컨대, 극세필라멘트사와 같은 구부림 강성인 작은 것은, 30%정도로 충분하지만, 추연 꼬임수가 많은 경우나 직물의 밀도를 높게할 필요가 있는 때등은,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비율을 높게한다. 또, 역으로 흑색 발색성을 훌륭하게 하기 위하여, 복합상대의 원사에 고발색성원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비율은 되도록록 낮게 한쪽이 좋고, 보통은 40%를 목표로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복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실의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중공구조를 보유한다. 즉, 나선구조인 권축에 의한 중공빈틈구조로 하므로서, 경량감과 고반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복합상대인 원사의 비수 수축률을 되도록 낮게하고, 추연 꼬임수를 적게 한쪽이 효과적이다.
여기에 설명된 복합사의 나선 형상인 권축의 발현에 의하여 생기는 중공구조의 일례를 도 7 및 도 8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후술하는 실시예12에서 얻어진 복합사의 측면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후술하는 실시예 12에서 얻어진, 복합사의 절단 끝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현미경사진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복합사가 훌륭하게 절단되지 않았으므로, 중공부가 약간 볼품이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상대방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는, 임시 꼬임가공이 실시된 권축가공사가 바람직하며, 연신사를 사용한 것. POY-DTY 더욱이는 2종류의 원사를 복합가공한 구조가공사라도 좋다.
권축복합사의 꼬이는 방향은, 꼬임수의 레벨이나 복합상대의 종류 추연의 꼬이는 방향등에 의하여 다르지만, 사용하는 복합 상대방의 임시로 꼬임 가공된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의 임시로 꼬임가공시의 가연 방향과 반대방향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추연에 있어서 임시로 꼬임 가공사의 보유하는 토오크와 반대방향으로 하므로서, 임시로 꼬임가공사의 단 필라멘트사가 열리는 방향, 즉 부푸는 모양의 방향 때문에,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자기 권축발현이 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또, 꼬임 토오크에 의한 얽힌실이 발생하기 쉬운일이 있고, 제직공정의 통과성에 문제가 없는 정도로 꼬임 토오크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꼬임 정지세트르르 하는 일이 있다. 세트조건으로서는, 문제가 없는 정도로 저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권축복합사의 구성요건으로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임시로 꼬임 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와의 구성 비율, 구성 섬도 및 복합상대원사의 특성 등이 중요하다.
우선,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임시로 꼬임 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복합에 있어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는, 30∼200dtex, 또, 복합사에 있어서의 구성비율[{A/(A+B)}×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비에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가 20%이상 80%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이상 60%이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비율은, 구성하는 상대 원사에 의하여 좌우되고, 상대원사의 단 필라멘트의 섬도가 작은 것, 예컨대, 극세 필라멘트사의 임시로 꼬인 권축가공사와 같은 부피의 높은섬을 보유하는 것은, 20%로 충분하지만, 보통은 30%를 목표로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복합 상대원사로서, 울리가공사나, 더욱이는 복합 임시꼬임가공사등의 임시로 꼬인 가공사를 사용하고 사용하는 임시로 꼬인 가공사가 보유하는 토오크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연사, 즉, 반대방향의 추연을 하면, 임시로 꼬인실의 단 필라멘트사가 부푸는 모양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이런조건일 때, 콘류게이트사의 체결력이 작아지며 권축발현 했을 때 나선형상인 권축에 의해서 빈틈을 보다 발생하기 쉽다. 또한, 사용하는 임시로 꼬인 가공사가 보유하는 토오크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연사된 것이라도 중공구조의 빈틈은 발생한다.
여기에 설명된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와 다른 가연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로된 복합사의 나선형상인 권축의 발현에 의해서 생기는 중공구조의 일례를 도 9 및 도 10에 표시한다.
도 9는, 본발명에 관한 실시예15에서 얻어진 사용하는 가연 가공사가 보유하는 토오크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사된 권축복합사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현미경사진이다.
도 10은, 본발명에 관한 실시예16에서 얻어진 사용하는 가연가공사가 보유하는 토오크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연사된 권축복합사의 섬유의 형상을 표시하는 현미경사진이다
다음에 본발명의 복합사를 사용한 직편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복합사는, 직물의 날실 및/또는 씨실로서 호적하게 사용된다.
제직공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날실 준비공정에서, 꼬임수가 느슨하게 꼬인 영역에서는 사이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외의 공정조건은 표준적이고 훌륭하다. 직기의 기종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직물조직과 밀도는, 요구되는 피륙의 촉감에 의하여 선택되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색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권축발현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하여, 보통보다 허술한 눈으로 설정하는 쪽이 좋다. 이 경우에 직물조직에 의하여 다르고, 염색후의 직물로서 봉제하여 착용하는 경우에 시선의 어긋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이상의 밀도가 얻어지도록 생기의 밀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직된 생기는「신합섬」에 사용되는 염색공정, 조건으로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표준적인 염색공정에서는 정련, 리랙스(예컨대, 소프서 m/c와 같은 확포상에서 60∼100℃), 프리세트(건열 170∼200℃), 알칼리 감량(N 감율 0∼35%), 염색(액류염색기 130∼135℃), 슈링크서파(오우버피드리랙스) 및 마무리세트(150∼180℃)이다.
가공조건으로서는 복합사의 권축발현을 충분히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리랙스 조건의 설정에 충분히 유의한다. 직물에 소프트한 반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알칼리 감량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사의 구성, 직물조직, 밀도에 의하여 좌우되며, 리랙스, 프리세트 후 갈량률을 변환하여 테스트해서 결정한다. 염색은 액류염색기를 사용하므로서, 홍견 효과를 높이고, 복합사의 숭고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복합사에 의하여 직물에 부푸는 모양과 스트레치를 부여하는데는, 사용하는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에 관하여, 비수처리 했을때의 발현 권축수(CB)가 바람직하게는 8∼3041/c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27 41/cm 인 잠재발현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호적인 것이다.
이 권축발현능력이 직물조직의 구속력하에서, 권축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그 권축을 구속력하에서 발현시키기 위하여, 권축발현능력을 보유하는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수축응력(TS)은 바람직하게는 0.265CN/dtex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91CN/dtex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N:뉴톤).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발현 권축수 및 수축응력일 작으면, 복합사에 연사를 가하고, 직물로한 후, 염색공정의 리랙스 열처리를 받았을 때, 수축하여 코일형상인 권축을 발현하기 어렵고, 그 결과로서 직물에 소정의 부푸는 모양과, 스트레치성을 부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실시예1∼4, 비교예1)
극한 점도 0.40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된 저점도성분과 극한 점도 0.75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된 고점도성분등을 중량복합비 50:50에서 병렬형으로 첩착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 미연신사(12필라멘트)를 방사한 후, 연신조건으로서 연신배율을 변경하여 섬유물성이 다른 표 1에 기재된 5종류의 연신사를 얻었다. 이들의 연신사를 사용하고, 리랙스 열처리조건을 변경하여 자기권축사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권축사를 32게이지 통편물기로 짜내고, 얻어진 편물을 100℃ 30분으로 염색하며, 표면의 요철변화(잔주름 발현), 피륙의 촉감, 스트레치성(파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1, 3, 4는 어느것도 리랙스 열처리후의 자기 권축사의 특성으로서의 권축수 및 발현권축수가 충분하며, 편물옷감의 바탕에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 실시예2는 자기 권축사의 권축수가 약간 낮으며, 섬유수축률 및 수축응력도 낮게 되므로 실시예1에 비하여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1은 방사. 연신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의 리랙스조건을 검토한 것이고, 원사 그 자체의 수축률은 크지만 수축응력이 작고 리랙스 열처리에서 충분한 리랙스율이 취하지 못하고, 그 결과, 권축수 발현권축수를 만족하는 자기 권축사를 얻지 못하였다.
(실시예5, 비교예2)
날실에 레귤러폴리에스테르 55dtex-36F 3각단면사에 사이징을 가한 실을 사용하며 또 실시예4 및 비교예1의 원사를 각각 데신용 규격의 씨실로서 집어넣고 생기를 직제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보통의 데신 직물의 염색 공정으로 투입하였다. 완성된 직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4의 원사를 사용한 직물은 직물표면에 잔주름이 발현되고, 요철변화가 있는 고상한 표정을 나타내며, 또 드라이한 터치의 옆 방향으로 스트레치성을 보유하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1의 원사를 사용한 직물은, 표면은 미끄러운 플랫한 외관을 나타내고, 터치도 매끄럽고, 거의 스트레치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6)
극한점도가 0.40의 폴리에틸렌텔레트탈레이트 100%로된 저점도 성분과 극한 점도가 0.75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된 고저도 성분 등을 중량복합비 50:50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로 첩착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 미연신사를 방사하여, 이것을 연신하여, 55dtex-12F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를 히터 길이 1m의 중공다우섬형히터를 장비하는 보통의 혼섬기로서 사용되는 실가공기를 사용하여, 리랙스 열처리를 실시하고, 권축사를 얻었다. 리랙스 열처리조건은, 히터온도 120℃ 리랙스율은 7%였다. 얻어진 권축사의 원사특성은, 섬도 55.0dtex, 권축수(CA) 5.4 산/cm, 잔재발현 권축수(CB)는 13.7 산/cm 수축응력은 0.194 CN/dtex (피크온도 188℃), 비수수축률 3.4% 및 외관 수축률 68.0%였다.
상기한 권축사를 2개 합쳐서, 이것에 1000t/m(Z연)의 가연을 가했다. 또 별도로, 폴리에스테르레귤러폴리머를 방사속도 3000m/분으로 방사된 신도 160%의 특성을 지닌 반연신사 88dtex-24 필라멘트사를 160℃건열히터로 열세트하고, 이실에 비수수축률 12%의 특성을 지닌 폴리에스테르레귤러실 110dtex-18필라멘트등을 인터레이스노즐로 공기교락처리를 실시하여, 170dtex-42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로하고, 이실에 800t/m(S연)의 추연을 가했다. 얻어진 2종류의 실을 어느것도 65℃에서 40분간의 스티임에서 꼬임정지 세트를 하였다. 이들의 실을 날실 및 씨실로 각각 1개 서로 번갈아 배열하고, 워터제트룸 (WJL)에서, 발이 가늘고 비스듬한 조직의 직물을 제직하였다. 또한, 사용된 이수축혼섬사의 비듬수 수축률은 8%였다. 작성된 생기의 밀도는 날실 117개/2.54cm , 씨실 79개/2.54cm 였다. 또 생기에 있어서의 권축사와 톨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중량비율은 39:61이였다. 이 생기에 대하여「신합섬」의 표준적 염색공정, 정련. 리랙스. 프리세트, 알칼리감량, 염색, 완성세트에 의하여 표준적 가공조건으로 가공을 실시하였다. 가공의 휘어진 정도의 밀도는 날실 182개/2.54cm, 씨실 100개/2.54cm이며, 생기에 대한 가공수축은 폭방향 55%, 길이 방향 26%이며, 권축발현에 의한 수축으로 다이아 형상인 주름에 의한 표면변화가 있고, 스트레치, 스트레치백에 우수하며, 터치도 섬세한 드라이감을 지닌 직물이 얻어졌다.
이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판 되어 있는 울리 가공사 110dtex-36F에 1000t/m의 가연을 가한 실과, 교직용원사로서 비드수 수축률 8%의 레귤러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 165dtex-48F에 800t/m의 추연을 가한 실을 날실 및 씨실로 각각 1개 서로 번갈아 배열하고, 실시예과 동일조건으로 제직하며, 염색마무리 가공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평가한바, 표면에 변화가 없는, 스트레치성도 없는 고급감으로 부족한 것이었다.
(실시예7, 비교예3)
실시예6에서 얻어진 권축사와 동일한 원사를 사용하여, JIL-7형 32게이지 30인치더블 둥근 편물기(복원정기제작소제)에 의하여, 인터록조직으로 짜내기를 실시하였다. 짜내기조건은 폭 180cm, 길이 64cm, 중량 8.9K(무게 140g/m)웰×코오스는 42.3×55, 루우프 길이 197mm/100W로 실시하였다. 계속하여, 얻어진 생기에 대하여, 정련. 리랙스, 예비세트, 알칼리감량, 염색, 마무리세트 공정에서 보통의 조건에 의하여 염색가공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마무리의 휘어진 정도의 성량은 폭 115cm, 길이 46.6m, 중량 7.4K(무게 160g/m), 웰×코오스 방향으로 40% 각각 수축하여 3차원 권축이 발현되고, 부피의 크기, 투명방지 효과를 구비함과 아울러 표면의 효과는 종래의 원사에서 얻을 수 없었던 3차원 권축 독특한 표정을 표시하는 것이고, 피륙의 촉감도 휩쓸은 드라이 터치를 보유하는 것이었다. 또, 표 2에 표시한대로, 스트레치성은 종래의 가연가공사의 편물에 비교하여 파워를 느끼는 것이고, 극히 신규성에 풍부한 것이었다. 이것은, 권축사에 발현 하였있는 권축수 5.4산/cm가 1.8mm/1산에 상당하는데 대하여, 루우프 길이가 1.97mm이므로 1루우프중에 권축 1산이 존재하여, 염색가공에서 발현하는 잠재 발현 권축수 13.7산/cm의 3차원 권축을 발현하기 쉽게 하고 있는 효과로 생각한다.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으로 시판 되어 있는 가연가공사 55dtex-24F(2히터가연 가공사)를 사용하여, 실시예7과 동일조건으로 짜내게 하여, 염색가공을 실시예품과 동시에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보통의 가공사의 표정을 표시하고, 숭고성, 방투명성은 멀티필라멘트 생사와는 다르고 우수한 것이지만, 고급감에 결여되어 스트레치성에 부족한 것이었다. 이들의 결과를 다음의 표 2로 표시한다.
[측정조건]
JIS(1018) 「메리야스천 시험방법」...그래프법에 준한다.
.움켜잡는 간격: 7.6cm
.인장속도 : 10cm/min
.챠아트 속도 : 20cm/min
.초하중: 3g
.정하중: 1.5kg신장
(실시예 8)
실시예6에서 얻어진 55dtex-12F의 권축사를 사용하여, 날실로짠 봇감의 바탕을 시작하였다. 28게이지 싱글 트리콧기에서 2장의 베틀의 바디가 함께 이 권축사를 사용하고, 애틀러스 조직으로 짜내어 실시하였다. 짜내는 조건은 폭 128.6cm, 길이 433래크, 중량 8.4K, 웰×코오스는 28.0×90.0으로 실시하였다. 계속하여 얻어진 이 생기에 대하여, 생기세트, 정련. 리랙스, 예비세트, 알칼리감량, 염색, 마무리세트공정에서 보통의 조건에 의하여 염색가공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마무리로 휘어지는 정도는 폭 115cm, 길이 46.6m, 중량 7.4K(무게 160g/m), 웰×코오스는 64.6×76.8이었다. 얻어진 날실 편물옷감은 웰 방향으로 24%, 코오스 방향으로 43% 각각 수축하여 3차원 권축이 발현 되고, 부피의 크기, 투명방지 효과를 구비함과 아울러 표면의 효과는 종래에 얻을 수 없었던 3차원 권축 독특한 표정을 표시하는 것이고, 피륙의 촉감도 휩쓸린 드라이 터치를 보유하며, 스트레치성은 종래의 가연가공사의 편물에 비교하여 파워를 느끼는 것이고, 극히 신규성에 풍부한 것이었다.
(실시예9, 비교예4)
극한 점도가 0.40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지는 저점도성분과, 극한 점도가 0.75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고점도성분등을 중량복합비 50:50에서 병렬형으로 첩착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 미연신사를 방사한 후, 보통의 연신기에 의하여 연신을 실시하며, 110dtex-24 필라멘트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제조하였다.
이 멀티필라멘트사의 섬유특성을 JISL 1023 「화학섬유 필라멘트사 시험방법」 및 JISL 1096 「합성섬유필라멘트 부피가 큰 가공사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결과 섬도 110.6dtex, 강도 3.26 CN/dtex 비등수 수축률 4.0% 수축응력:0.357 CN/dtex로 되어 있었다. 이 멀티필라멘트사에 1500T/M (연계수α=15000에 상당)의 추연을 가하여, 계속해서 65℃로 40분간 진공스티임세트에 의하여 꼬임정지세트르르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날실과 씨실의 양쪽으로 이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투일(twill)의 변화조직의 직물을 제직하였다. 이때의 밀도는 94×76개/in이었다. 얻어진 생기를 다음과 같이 염색가공 하였다. 즉 생기를 액류배치 방식에 의한 110℃에서 리랙스 열처리하고, 거열 190℃에서 핀텐터 방식에 의하여 중간 열세트하고 20%의 알칼리 감량을 하여 130℃에서 염색하였다. 마무리의 휘어지는 정도의 밀도는 123×92개/in으로 되어 있었다.
비교하기 위하여 보통 시판되어 있는 110dtex-48 필라멘트의 연신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추연의 꼬임수, 제직조건, 염색가공조건을 실시예9와 동일로하여 실시하고, 대략 동일규격의 직물을 작성하였다. 실시예9에서 얻어진 직물은, 대단히 고반발성을 보유하고, 또 가볍고 스트레치성이 풍족한 휩쓸은 드라이 느낌을 보유하는 직물로 되어있는 것에 대하여, 비교예4에서 얻어진 직물은 추연의 꼬임이 강한 느낌의 견고한 피륙의 촉감이고, 가벼움, 반발성, 경량감의 어느것도 실시예9에 멀리 미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10, 비교예5)
실시예9의 추연을 실시한 실을 사용하여, 28게이지 환편기에 걸어서 인터록조직으로 편물을 편성하였다. 비교하기 위하여, 레귤러 POY의 저온연신가연된 토오크의 작은 가공사 82.5dtes-24필라멘트사에 추연 연수 1200T/M에서 추연을 실시하고, 이것을 꼬임정지세트하고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28게이지 환편기에서 인터록조직으로 편물을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10, 비교예4와 마찬가지 염색마무리 가공을 하였다. 얻어진 편물은 실시예10에 의한 편물은 비교예5의 편물에 비하여, 반발성에 우수하고, 스트레치의 파워가크고 경랑감에 우수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었다.
(실시예11∼18, 비교예6∼9)
극한 점도가 0.40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진 저점도 성분과 극한 점도가 0.75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된 고점도 성분등을 중량복합비 50:50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형으로 첩착한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 미연신사를 방사하고 연신하여, 50dtex-12F의 권축연신사를 얻었다. 이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 권축사의 특성은 섬도 51.6dtex, 발현 권축수 15.2산/cm 수축응력 0.441 추/dtex(피크온도 155℃) 섬유수축률 4.6% 및 외관 수축률 65.2%로 되어 있었다.
얻어진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 권축사를 사용하여, 또 복합상대원사에 보통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 연신사,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와 고배향 미연사를 열처리하여 복합사 가공된 논토오크사 및 Z가연 울리가공사를 사용하여, 각각 복합사를 제조 하였다. 이들의 복합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시작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165dtex-48필라멘트의 울리가공사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직제하여 직물(와이빙크로스)을 얻었다. 직물조직은 어느것도 2/2투일에서 생기의 밀도는 데닐환산커버 팩터를 합하였다. 염색은, 리랙스, 프리세트, 알칼리 감량, 염색, 및 마무리 세트의 표준적 가공조건에서 가공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다음의 표 3과 표 4에 표시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열수축성이 다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병렬형 혹은 심지. 칼집형인 복합방사. 연신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를 리랙스 열처리하여 자기 권축사로 하고, 그 자기 권축사를 사용한 직편물을 염색공정으로 재차 리랙스처리하므로서, 직편물의 표면에 잔주름 효과에 의한 표면변화, 드리이터치와 스트레치성을 아울러 지닌 지금가지 없는 새로운 감각의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발명의 직편물은 그 중심부가 공동구조를 보유하는 멀티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중공구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의 추연을 가형 제직. 제편하여 얻어진 직편물에 비하여, 경량감과 스트레치성에 가하여 고반발성에 우수한 특징이 있는 직편물이고, 샤쓰나 블라우스 등의 경의료용도 분야에서 특징을 발휘 시킬수 있다.
더욱이, 본발에 의하면, 열수축성이 다른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혹은 심초형인 콘류게이트필라멘트사(A)와 다른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B)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권축사로서 권축발현처리에 의하여 복합사의 비교적 내층으로 콘류게이트필라멘트사(A)가 위치하여 자기 권축을 발현하고, 복합상대 외의 폴리에스테르멀티필라멘트사(B)를 실층의 비교적 외층으로 위치시킨, 중공구조를 보유하고, 땅김, 허리 및 소프트한 부푼모양의 느낌을 지니고, 스트레치성을 보유하는 권축복합사 및 직편물로 할수 있다. 이 직편물은 슈우트, 재킷, 보텀 및 코우트 등의 중의료분야 뿐만 아니라, 샤쓰나 블라우스 등의 경의료용도 분야에서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지며, 새로운 전개가 기대된다.

Claims (23)

  1. 열수축특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가 병렬적 혹은 심.초적으로 접합된 콘류게이트 멀티필라멘트사로서 하기의 (a) 및 (b)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사.
    (a) 2.5 산/cm ≤ 권축사(CA) ≤10 산/cm
    (b) 8 산/cm ≤ 발현권축수(CB) ≤ 30 산/c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하기 (c)∼(e)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축사
    (c) 0.0882 ≤ 수축응력(TS) (CN/dtex) ≤ 0.221
    (d) 40% ≤ 외관 수축률 (SC) ≤ 80%
    (e) 2% ≤ 비등수 섬유수축률(SW) ≤ 8%
  3. 열수축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성분의 폴리에스테르중합체가 병렬적 혹은 심.초적으로 접합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제사하고, 그 권축성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리랙스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권축사를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권축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5. 제4항에 있어서, 섬도 30∼350dtex의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를 구성사의 35중량%이상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7. 제4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열처리에 의하여, 폭 및 길이방향으로 10∼60% 수축시켜 권축을 발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권축을 발현시킨 권축사가 가열된 나선형상인 멀티필라멘트 집합체의 중심부에 동굴 구조를 보유하는 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9.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가 연사된 나선형상인 멀티필라멘트집합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그 중심부가 동굴 구조를 보유하는 멀티필라멘트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사로 이루어진 직편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멀티필라멘트사가 권축 발현되어서 이루어지는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사로 이루어진 직편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멀티필라멘트사가 중공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사로 이루어진 직편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멀티필라멘트사가 연계수(α)가 3000∼30000의 범위에서 가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구조사로 이루어진 직편물.
  13. 열수축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권축발현 능력을 보유하는 콘류게이트밀라멘트사(A)와, 그밖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 등이 연사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가 가연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사가 그 가연 가공된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토오크와 반대방향으로 연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합사가 연계수(α)가 3000∼25000으로 가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단, 연계수(α)=T×D½
    T: 꼬임수 (t/m)
    D: 복합사의 섬도 (dtex)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계수(α)가 3000∼2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중심부가 동굴구조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섬도가 30∼350dtex이고, 그밖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의 섬도가 30∼80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 및 그밖의 폴리에스테르필라멘트사(B)에 대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가 점유하는 비율이 중량비에서 0.2 ≤A/(A+B) ≤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21.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콘류게이트멀티필라멘트사(A)의 발현권축수(CB) 및 수축응력(TS)이, 다음 식
    8 ≤ CB(산/cm) ≤ 30
    TS(g) ≥ 0.265 CN/dtex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복합사에 열처리를 실시하고, 권축을 발현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사.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복합사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KR10-1998-0709774A 1997-03-31 1998-03-30 권축사및직편물과그제조방법 KR10047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774A KR100474488B1 (ko) 1997-03-31 1998-03-30 권축사및직편물과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8044 1997-03-31
JP97-114372 1997-04-15
KR10-1998-0709774A KR100474488B1 (ko) 1997-03-31 1998-03-30 권축사및직편물과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05A true KR20000016205A (ko) 2000-03-25
KR100474488B1 KR100474488B1 (ko) 2005-09-02

Family

ID=4366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74A KR100474488B1 (ko) 1997-03-31 1998-03-30 권축사및직편물과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32A3 (ko) * 2018-01-16 2019-09-06 주식회사 와이지켐 킨키 텍스처 및 나선형 회전 꼬임으로 경사 길이 특성이 구현된 필라멘트들의 연속 스트랜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32A3 (ko) * 2018-01-16 2019-09-06 주식회사 와이지켐 킨키 텍스처 및 나선형 회전 꼬임으로 경사 길이 특성이 구현된 필라멘트들의 연속 스트랜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50585A (zh) * 2018-01-16 2020-04-21 株式会社Yg化学 具有通过纽结纹理和螺旋旋转扭曲实现的梯度长度特性的长丝的连续股线及其制造方法
US11060209B2 (en) 2018-01-16 2021-07-13 Yg Chem Co., Ltd. Continuous strand of filaments having gradient-length characteristic implemented by kinky texture and spiral rotational twis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488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95568B (en) Coil stretch filament, composited yarn its fabric,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0246595B1 (ko) 혼섬복합 가연사와 그의 제조방법 및 그실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직물
KR100737976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제조 방법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3314718B2 (ja) 織編物とその製造法および複合糸
JP2006052505A (ja) 高密度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6237B1 (ko) 개질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20000016205A (ko) 권축사 및 직편물과 그 제조방법
JP2000192340A (ja) 複合糸とその製造方法
JP3304875B2 (ja) けん縮糸および織編物とその製造方法
KR100829477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편물
JP3534025B2 (ja) 交織織物
JP3531531B2 (ja) 長・短繊維複合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た織編物
JP4733879B2 (ja) 潜在捲縮性能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複合斑糸
JP3503530B2 (ja) 複合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た織編物
JP3501012B2 (ja) 複合糸およびその複合糸からなる織編物
JP3465640B2 (ja) 長短複合紡績糸および織物
KR100635858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4902421B2 (ja) 起毛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衣料
JP3285018B2 (ja) ポリエステル交織織物
JPS6081363A (ja) 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JP3418953B2 (ja) 繊維構造物
JP3988286B2 (ja) 織編物
KR930008383B1 (ko)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KR20030087237A (ko) 형태안정성 및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