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383B1 -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 Google Patents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83B1
KR930008383B1 KR1019910015702A KR910015702A KR930008383B1 KR 930008383 B1 KR930008383 B1 KR 930008383B1 KR 1019910015702 A KR1019910015702 A KR 1019910015702A KR 910015702 A KR910015702 A KR 910015702A KR 930008383 B1 KR930008383 B1 KR 93000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shrinkage
polyester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205A (ko
Inventor
강신혁
안병훈
최왕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1001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83B1/ko
Publication of KR93000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본 발명은 미세한 표면효과와 유연한 촉감을 가지고 반발성과 부피감이 우수하며, 발수처리를 하였을 때 우수한 내구 발수성을 발휘하는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밀도직물로는 고수축사와 단사섬도가 1데니어 이하인 극세사를 공기r교락한 이수축혼섬사를 사용한 것(일본특공 소 63-36381)이 있다.
이것은 직물의 표면에 극세사의 미세한 루프와 표면 요철구조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비권축 필라멘트 상태의 이수축혼섬사를 사용했기 때문에 고수축사와 극세사의 필라멘트들 간에 섞임성이 나빠서 이수축효과 발현 후에 고수축사와 극세사의 필라멘트들이 각각 무리를 지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직물 표면에 고수축사와 극세사의 염색편차가 나타나기 쉽고, 직물의 표면에 극세필라멘트들이 밋밋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극세섬유 특유의 미끌미끌한 느낌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고수축사와 극세가연사로 구성된 혼섬사를 사용한 것(일본특개 소 62-15353)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부피감은 우수하나, 혼섬사를 구성하고 있는 고수축사가 비권축 필라멘트 상태이기 때문에 양 사조의 혼섬상태가 균일하지 않아 직물내에 공기층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우며, 고수축사의 퍼짐성이 불량하여 부분적으로 고수축 필라멘트들이 몰려 줄무늬 염차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사섬도가 0.5~1.5데니어의 가연극세사를 사용한 고밀도직물은(한국 특허공개 제91-6534호), 고밀도직물내에서는 가연사 특히 극세가연사의 권축이 효과적으로 복원될 수 없기 때문에, 촉감이 필라멘트 직물에 가깝고 부피감이 없어, 페이퍼 라이크한 느낌이 강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의 고밀도직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수축율이 서로 다른 2종의 폴리에스터 가연사를 혼섬한 혼섬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축율이 서로 다른 2종의 폴리에스터 가연사로 구성된 혼섬사가 경,위사 혹은 경사나 위사 중에 배치되어 있고, 전체 피복률이 1,8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조직물이다.
일반적으로 가연사는 구속이 없는 상태에서 권축을 복원하면, 개개 필라멘트에 크림프가 형성되어 부피감이 풍부해진다.
그러나 구속하에서는 권축복원의 정도가 급격히 낮아지게 되며, 특히 고밀도직물과 같이 직물내부응력이 큰 경우에는 가연산 특유의 크림프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연사는 구속력이 낮은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야 원하는 크림프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가연사와 고수축성 소재를 혼합한 혼섬사로 직물을 짜서 열처리하면, 고수축성 소재가 수축함으로써 가연사의 긴장 구속상태가 크게 완화되어 직물표면에 풍부한 크림프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고수축성분으로 비가연 고수축사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폴리에스터 가연사를 사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수축율이 서로 다른 2종의 폴리에스터 가연사란 바로 가연사를 고수축 성분으로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혼섬사는 이러한 수축율이 서로 다른 2종의 폴리에스터 가연사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혼섬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고밀도직물은 개개 필라멘트들의 분산성, 이동성, 퍼짐성 등이 뛰어난(가연사+가연사) 혼섬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연신사+연신사) 혼섬사 또는 (연신사+가연사) 혼섬사로 된 고밀도 직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종 필라멘트들 끼리의 뭉침이나 몰림현상이 거의 없으며, 균일한 부피감과, 부드러운 외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혼섬사는 어느 정도의 교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종의 가연사가 교락부를 가지지 않고 혼섬되어 있을 경우(예를 들면 합연)에는 양 사조가 분리되기 쉬어 공정통과성이 나쁘고, 염색가 공시 표면이 불균일해 질 우려가 있다. 교락은 혼섬사의 공정통과성, 직물촉감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교락부를 갖는 혼섬사를 제조하려면 통상의 유체난류나 인터레이스 혼섬상법을 사용하면 되는데 2종의 가연사를 유체난류 또는 인터레이스 처리하면 섞임성이 더욱 좋아져 촉감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적당한 집속성도 보유하게 되어 혼섬사의 형태 안정성이 높아져 공정통과성도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교락수는 20개/m 이상이 바람직하며 40~80개/m일 때 그 효과가 확실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섬사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터 가연사의 수축율 차는 2% 이상인 것이 좋다. 수축율차가 2% 이상인 2종의 폴리에스터 가연사로 구성된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수축율이 2% 이상 차이가 나는 1단 히터 가연사와 2단 히터 가연사를 혼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 1단 히터 가연사는 수축율이 3~7%에 불과하기 때문에 다양한 수축율차를 갖는 혼섬사를 구성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가연사의 수축율은 가연조건 중 가연히터 온도를 대폭 낮춤으로써 올릴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연히터 온도를 100~150℃ 정도로 할 때 5% 이상의 수축율을 나타내는 가연사를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이소프탈산과 같이 열수축성을 향상시키는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터를 방사하여 연신한 공중합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사용하면 수축율이 더욱 높은 가연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100~150℃로 가연한 폴리에스터 가연사를 고수축 가연사로 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터 가연사 즉, 190~220℃로 가연한 1단 히터 가연사 또는 2단 히터 가연사를 혼섬하면 구성 가연시간 수축율차가 큰 혼섬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섬사를 구성하는 2종 폴리에스터 가연사의 수축율차는 2% 이상 클수록 이수축효과의 발현과 직물조직의 수축 치밀화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어 부피감과 반발력이 더욱 향상된다.
그러나 2종 가연사의 수축율차가 12%를 초과하면 수축율이 낮은 가연사가 표면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어 꼬임 루프나 스날이 발생하게 되어 직물의 품위를 떨어뜨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혼섬사를 구성하는 2종 폴리에스터 가연사 2~12%의 수축율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5~8%정도일 때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고밀도직물의 표면은 주로 저수축 가연사의 필라멘트들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수축가연사는 단사섬도가 1.5데니어 이하 특히 1데이어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미세한 표면효과와 유연한 촉감, 발수가공시의 발수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볼 때 유리하다.
저수축 폴리에스터 가연사의 권촉복원율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1단 히트 가연사는 권축복원율이 25% 이상으로 권축이 매우 강한데, 이렇게 강한 권축성을 띠는 가연사를 저수축 가연사로 하면 고수축 가연사의 수축에 따른 저수축 가연사의 구속력 완화로 혼섬사 표면에 꼬임루프나 스날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직물의 외관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2단 히터 가연사의 경우에는 권축복원율이 20% 이하로 1단 히터 가연사보다 권축의 세기는 약하나, 형태는 균일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2단 히터 가연사를 혼섬사의 저수축 가연사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고수축 가연사와 저수축 가연사의 혼섬사로 직물을 구성하기 때문에 저수축 가연사로 권축복원율이 낮은 2단 히터 가연사를 사용하여도 열처리시 고수축 가연사의 수축에 따른 저수축 가연사의 구속이완으로 직물의 표면에 충분한 크림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권축복원율이 20% 보다 높으면 앞에서 설명한 이유 때문에 직물표면에 스날이나 꼬임 루프가 발생하여 직물의 품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따라서 저수축 가연사는 20% 이하의 권축복원율을 갖는 2단 히터 가연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권축복원율이 12% 이하인 2단 히터 가연사라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고밀도직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혼섬사가 경,위사 전부에 또는 경사나 위사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직물로서 직물의 피복율이 1,800 이상이어야만 한다. 피복율이 1,800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한 혼섬사가 직물상에 치밀·굴곡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직물내에 균일하게 충전된 공기층이 형성되기 어렵고 직물의 치밀성이 떨어져 부피감과 반발력을 겸비한 고품위의 고밀도직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피복율은 기본적으로 1,800이상은 되어야 하며, 2,100이상이면 더욱 좋다.
단, 피복율이 지나치게 높게 되면 직물의 촉감이 뻣뻣해지므로 2,100~3,200 수준이 가장 적당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축율과 권축복원율은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1) 수축율 ; 시료를 둘레길이 1.125인 검척기로 0.1g/d의 검척장력으로 10회 감아 루프를 형성하여 루프의 한쪽을 고정하고, 한쪽에는 원사 데니어×2g의 하중을 걸어, 30초간 방치 후 길이(ℓ0)를 측정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유리 수축관에 넣어 100℃ 비수중에 10분간 수축처리하고 나서, 24시간 실온에서 방치·건조한 후 원사 데니어×2g의 하중하에서 30초간 방치한 후 길이(ℓ1)을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 구하였다.
(2) 권축복원율 : 수축율 측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루프를 형성하여, 90℃ 열수 중에 15분간 처리하고나서, 24시간 실온에서 방치·건조한 후 데니어×1.05g의 하중을 걸어 냉수 중에 투입하여 2분 후에 길이(L0)를 측정하고, 계속해서 데니어×0.05g을 걸어 냉수 중에 투입하여 3분 후에(L1)을 측정, 아래의 식으로 구하였다.
[실시예 1]
수축율 6%인 50d/12 fil의 폴리에스터 1단 히터 가연사와 수축율 3%, 권축복원율 12%인 50d/36 fil의 폴리에스터 2단 히터 가연사를 인터레이스 혼섬하여 60개/m의 교락을 갖는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혼섬사를 경사 및 위사에 사용하여 전체 피복율이 1,940인 고밀도 평직물을 제직하였다(경사밀도 112본/인치, 위사밀도 82본/인치).
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릴렉스, 건조, 예시세트 후 15%의 감량을 실시하여 염색, 마무리 세트를 하였다.
최종 마무리 직물은 전체 피복율이 2,150인 고밀도 직물로서 부피감과 반발성이 우수한 고품위의 울라이크한 고밀도 직물이었다.
[실시예 2]
공중합 제 3 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사용한, 공중합을 7.5mol%인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용융방사하여 연신한 50d/24 fil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비수수축율 24%)를 가연(스핀들회전수 350,000 RPM, 가연온도 125℃, 가연수 3,723 TPM, 오버피드율-1%)하여 수축율 11% 고수축성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고수축성 가연사와 수축율 3%, 권축복원율 16%인 50d/96 fil의 가연극세사를 인터레이스처리(교락수 70개/m)하여서 된 혼섬사를 제조하였다.
이 혼섬사를 경사 및 위사에 사용하여 전체 피복율이 2,020인 고밀도 평직물을 제직하였다(경사밀도 126본/인치, 위사밀도 76본/인치).
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릴렉스, 건조, 예비세트, 염색한 후 마무리 세트시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 통상의 방법으로 발수처리를 하였다.
최종 직물은 전체 피복율이 2,310인 표면이 균일하고, 유연하며, 부피감이 풍부한 고밀도 직물이었다. 또한, 세탁 20회 후에도 90점 이상의 발수성을 유지하는 매우 우수한 내구발수성을 가지고 있었다.

Claims (4)

  1. 수축율차가 2~12% 범위에 있는 2종의 고수축성 폴리에스터 가연사(假撚絲)와 저수축성 폴리에스터 가연사(假撚絲)와의 혼섬사로 되어 있으며, 전체 피복율이 1,800~3,200인 고밀도 폴리에스터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혼섬사는 교락수가 20~80개/m인 인터레이스 혼섬사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폴리에스터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혼섬사 중의 저수축성 폴리에스터 가연사는 단사섬도가 1.5데니어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폴리에스터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혼섬사 중의 저수축성 폴리에스터 가연사는 권축복원율이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필라멘트 직물.
KR1019910015702A 1991-09-09 1991-09-09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KR93000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702A KR930008383B1 (ko) 1991-09-09 1991-09-09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5702A KR930008383B1 (ko) 1991-09-09 1991-09-09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05A KR930006205A (ko) 1993-04-21
KR930008383B1 true KR930008383B1 (ko) 1993-08-31

Family

ID=1931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702A KR930008383B1 (ko) 1991-09-09 1991-09-09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033A (ko) * 1998-03-27 1999-10-15 구광시 발수성 고밀도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205A (ko)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383B1 (ko) 고밀도 폴리에스터직물
JP3314718B2 (ja) 織編物とその製造法および複合糸
KR20030083577A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3786435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糸
JP2538735B2 (ja) ウ―ルライク織物の製造方法
JP3140822B2 (ja) 極細濃淡染着性糸及び高収縮性濃淡染着性糸
JP3304875B2 (ja) けん縮糸および織編物とその製造方法
JPH0711531A (ja) スパン複合嵩高糸
JP2000192340A (ja) 複合糸とその製造方法
JP2737171B2 (ja) シルキー風合いを有する霜降調織物及びその製造法
JP2703452B2 (ja) 特殊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48638B2 (ja) 高収縮ナイロンフィラメントからなる異収縮混繊糸
JPS61124637A (ja) 特殊混繊糸
JPS6323309B2 (ko)
JP2644825B2 (ja) 加工糸調の織編物
JP3526990B2 (ja) ポリエステル系異収縮混繊糸
JP3465640B2 (ja) 長短複合紡績糸および織物
JP4070849B2 (ja) 嵩高軽量ポリエステル繊維織物
JP2734452B2 (ja) 寝装資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78758B2 (ja) 嵩高交絡糸の製造方法
JPH0114695Y2 (ko)
JPH0533236A (ja) 特殊嵩高加工糸とその製造方法
JP2734453B2 (ja) 寝装資材用高密度織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72355B2 (ja) パイル布帛
JP2527212B2 (ja) ポリエステル加工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