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405U -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 Google Patents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405U
KR20000010405U KR2019980022666U KR19980022666U KR20000010405U KR 20000010405 U KR20000010405 U KR 20000010405U KR 2019980022666 U KR2019980022666 U KR 2019980022666U KR 19980022666 U KR19980022666 U KR 19980022666U KR 20000010405 U KR20000010405 U KR 20000010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eans
bag
alarm
j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김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성 filed Critical 김우성
Priority to KR2019980022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405U/ko
Publication of KR20000010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05U/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들이나 젊은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배낭형 가방의 일측에 당기면 경보가 발생되는 경보수단을 내설함으로써, 가방사용자가 위기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 간편히 고리를 당겨 경보수단이 작동토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A)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방본체(a)일측에 경보수단 내설부(1)를 개폐가능하게 형성하고 잭(21)을 당겨내면 경보를 발하는 통상의 경보수단(2)을 판넬(3)에 설치하여 상기 경보수단 내설부(1)에 설치하며, 상기 잭(21)은 경보수단 내설부(1)외부에 덮개(4)에 의해 은폐되는 당김고리(5)와 연결끈(51)에 의해 연결하되, 내설부(1)내측의 연결끈(51)에는 걸림구(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이다.

Description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본 고안은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생들이나 젊은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배낭형 가방의 일측에 당기면 경보가 발생되는 경보수단을 내설함으로써, 가방사용자가 위기상황에 처하게되는 경우 간편히 고리를 당겨 경보수단이 작동토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늦은 시각 또는 외딴곳에서 여성이나 어린학생들이 불량배등에 의해 신변의 위협을 받게 되는 위기상황에 부닥쳤을때 지금까지의 대처방법은 기껏해야 소형 최루가스분사기나 호각등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위기상황으로 부터 탈피하고자 시도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갑작스럽게 닥치는 위기상황으로 부터 탈피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들은 위기상황이 닥쳤을때 신속하게 가방이나 호주머니등에 보관된 도구들을 꺼내 사용해야 하는 것이므로 위기상황의 발생특성상 연약한 여성이나 어린학생들이 어두컴컴한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신속하게. 대처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실질적으로 불량배들을 퇴치하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어서 어떠한 퇴치 수단도 가방이나 주머니에 보관되는한 초를 다투는 위기상황에서 이를 꺼내 대응하기위한 시간이 소요되게 되므로 효과적인 위기상황 극복수단이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위기상황극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각종 수단들을 위기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단의 잭을 빼내 분리하게 되면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을 가방일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경보수단의 잭과 연결된 연결고리를 손가락에 낀 상태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늦은밤길에 치한이나 불량배가 접근하는 위기상황 발생시 간단히 고리를 당겨 내는 것만으로 경보를 발생시켜 위기상황으로 부터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한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가방 1 : 내설부 2 : 경보수단
3 : 판넬 4 : 덮개 5 : 고리
6 : 걸림구 21 : 잭 51 : 연결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A)은, 가방본체(a)일측에 경보수단 내설부(1)를 개폐가능하게 형성하고 잭(21)을 당겨내면 경보를 발하는 통상의 경보수단(2)을 판넬(3)에 설치하여 상기 경보수단 내설부(1)에 설치하며, 상기 잭(21)은 내설부(1)외부에 덮개(4)에 의해 은폐되는 당김고리(5)와 연결끈(51)에 의해 연결하되, 내설부(1)내측의 연결끈(51)에는 걸림구(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가방본체(a)일측에 형성되는 경보수단 내설부(1)에는 통상의 경보수단(2)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판넬(3)을 끼워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경보수단(2)은 일측에 끼워진 잭(21)이 경보수단(2)으로 부터 빠져 분리되게 되면 대략 50-70db정도의 소리세기로 경보를 발하게 하는 것인바, 상기 잭(21)에는 경보수단 내설부(1)일측을 관통하는 연결끈(51)에 의해 당김고리(5)가 연결되어 유사시 가방사용자가 당김고리(5)를 당겨내게 됨에 따라 잭(21)이 경보수단(2)으로 부터 빠져 분리되어 경보를 발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A)은 가방본체(a)일측에 형성된 경보수단 내설부(1)외측으로 덮개(4)를 설치하여 평상시 경보수단 내설부(1)내의 경보수단(2)의 잭(21)과 연결끈(51)에 의해 연결끈 당김고리(5)를 은폐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경보수단 내설부(1)내측으로는 잭(21)에 연결된 연결끈(51)이 관통되는 걸림구(6)를 설치하여 경보수단 내설부(1) 외부에서 당김고리(5)를 너무 강하게 당겼을 경우 연결끈(51)과 연결된 잭(21)이 경보수단(2)으로부터 빠져 분리되면서 스토퍼역할을 하는 걸림구(6)에 의해 걸리면서 경보수단 내설부(1)의 연결끈 관통부가 충격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A)을 사용하는 경우, 평상시에는 덮개(4)에 의해 당김고리(5)를 은폐시킨 상태에서 가방(A)을 등에 멘 상태로 사용하다가 늦은밤이나 위험이 예견되는 상황에서는 경보수단 내설부(1)외측의 덮개(4)를 열고 당김고리(5)에 손가락을 끼워 걸은 상태에서 늦은밤이나 또는 대낮이라도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다른사람들에게 위기상황을 알려 도움을 청하려 할 경우에는, 손가락에 이미 끼워져 걸린 당김고리(5)를 그대로 당겨내게 되면 당김고리(5)와 연결된 잭(21)이 경보수단(2)으로 부터 간단히 빠져 분리되면서 경보수단(2)은 입력된 소정의 소리를 경보로 발하게 됨에 따라 인근에 있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켜 위기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되어 위기상황으로 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당김고리(5)를 당겨냄에 따라 경보수단(2)으로 부터 잭(21)을 분리시켜 경보를 발생시킨 후 위기상황이 해소되게 되면 분리된 잭(21)을 다시 경보수단(2)에 끼워 줌으로써 다시 경보준비 상태로 둔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 내설부(1)내측에는 연결끈(51)이 관통되는 걸림구(6)를 설치하고 있음으로 인해 당김고리(5)의 순간적인 당김동작에 의해 잭(21)이 경보수단(2)으로부터 빠져 분리되면서 스토퍼 역할을 하는 걸림구(6)에 의해 경보수단 내설부(1)외측으로의 과도한 진행이 억제되므로 경보수단 내설부(1)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본 고안에서는 경보수단(2)을 별도의 판넬(3)에 설치하여 이 판넬(3)을 가방본체(a)일측의 경보수단 내설부(1)에 끼워 넣은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판넬(3)없이 경보수단(2)만을 경보수단 내설부(1)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잭(21)에 연결된 연결끈(51)이 걸림구(6)를 개재하여 경보수단 내설부(1)외부의 당김고리(5)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에 의하면, 학생들이나 여성들이 등에 메고 사용하는 가방의 일측에 경보수단 내설부를 설치하여 일측에 끼워진 잭을 본체로부터 빼내 분리하게되면 경보를 발하는 공지의 경보수단을 내설한 상태에서 상기 잭에 연결끈을 개재하여 당김고리를 연결함으로써 가방사용자가 위기상황에 처한 경우 간단히 당김고리를 손가락으로 당겨내는 것에 의해 경보수단의 잭이 경보수단으로부터 빠져 분리되면서 설정된 경보음을 발하게 하여 위기상황에서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A)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방본체(a)일측에 경보수단 내설부(1)를 개폐가능하게 형성하고 잭(21)을 당겨내면 경보를 발하는 통상의 경보수단(2)을 판넬(3)에 설치하여 상기 경보수단 내설부(1)에 설치하며, 상기 잭(21)은 경부수단 내설부(1)외부에 덮개(4)에 의해 은폐되는 당김고리(5)와 연결끈(51)에 의해 연결하되, 내설부(1)내측의 연결끈(51)에는 걸림구(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KR2019980022666U 1998-11-20 1998-11-20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KR20000010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66U KR20000010405U (ko) 1998-11-20 1998-11-20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66U KR20000010405U (ko) 1998-11-20 1998-11-20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05U true KR20000010405U (ko) 2000-06-15

Family

ID=6950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66U KR20000010405U (ko) 1998-11-20 1998-11-20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4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24Y1 (ko) * 2008-04-10 2011-03-31 최요석 보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24Y1 (ko) * 2008-04-10 2011-03-31 최요석 보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1677A1 (en) Child safety alarm
US4665389A (en) Personal distress signalling device
US5955948A (en) Purse alarm
US5438315A (en) Security alarm system
US6686840B1 (en) Personal security alarm system
US4908607A (en) Anti-pickpocket alarm
KR20000010405U (ko) 경보수단이 내설된 가방
GB2101783A (en) Anti-theft device
US5920260A (en) Purse burglarproof structure
CA2546573A1 (en) Personal locator beacon
US6774798B2 (en) Personal alarm system
KR100972094B1 (ko) 성범죄 방지장치
CN212647635U (zh) 一种防走失儿童外套
JP3244956U (ja) 防犯用警報器
JP2000157320A (ja) 鞄並びにケ―ス及びトランク類の盗難防止装置
WO2021215398A1 (ja) 溺水報知器
JP3089725U (ja) 警報器付き杖
JPH0947522A (ja) 安全ベルト
JP2008226130A (ja) 警報器
JP3097869U (ja) 発音発光する防犯警報器
JP2003336116A (ja) 防犯ベル収納ポケットを有する衣服
JP3222975U (ja) 左右ボタンで操作する警告音機能付き防犯ブザー
JP2024012223A (ja) 携帯用小型防犯ブサー
JP3073197U (ja) 防犯用携帯警報器
JP2001275732A (ja) 防犯ブザ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