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094B1 - 성범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성범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094B1
KR100972094B1 KR1020100019116A KR20100019116A KR100972094B1 KR 100972094 B1 KR100972094 B1 KR 100972094B1 KR 1020100019116 A KR1020100019116 A KR 1020100019116A KR 20100019116 A KR20100019116 A KR 20100019116A KR 100972094 B1 KR100972094 B1 KR 10097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astener
buckle
fix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범 filed Critical 이대범
Priority to KR102010001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성추행이나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성범죄 방지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성범죄 방지장치는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에 상기 체결구가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성범죄 방지장치에 의하면,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버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를 신속하게 잠금함으로써, 치한에 의해 바지가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성범죄로부터 여성이나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고, 버클과 체결구의 잠금시 꺼지지 않고 경보음을 계속 발생시키거나 메시지를 발생시켜 주변에 위급한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범죄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EXUAL ASSAULT}
본 발명은 성범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며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신속한 조작에 따라 바지가 벗겨지지 않도록 잠금될 수 있고,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켜 착용자를 성추행이나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성범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범죄는 반사회적인 범죄로 편향된 성차별을 비롯하여 각종 성교육의 부재와 범죄 예방적인 측면에서의 사회적 인식부족으로 오늘날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성범죄의 주요 대상은, 주로 힘없고 나약하며 사회적으로 권익을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는 여성이나 어린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직장이나 학교 내에서의 남성 피해자도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충분한 성교육과 도덕교육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각종 음란물이 그릇된 성의식을 주어 청소년 가해자들을 양산하고 있고, 원하는 않는 성추행이나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는 육체적, 정신적 충격에 의해 올바른 교육과 성장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성폭력에 대한 예방과 대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성범죄의 특성상, 종래에는 피해자가 정신을 잃었을 때나, 완력에 의해 굴복하여 옷이 벗겨지는 등에 대한 대비가 전혀 없었고, 성범죄는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할 수 있기에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주택가나 차량 내부 등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 등 최근 나약한 피해자들의 불안함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성이나 어린이 등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성추행이나 성폭행 등의 성범위 폭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이 간편하며 성범죄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신속한 조작에 따라 어떠한 완력 등에도 바지가 벗겨지지 않도록 잠금될 수 있고,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켜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성범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구비한 성범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결구 잠금수단은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의 내부에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의한 누름시 일측에 형성되는 잠금돌기가 상기 체결구에 형성되는 잠금부에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누름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내공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누름 잠금부재를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잠금돌기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돌기 당김바; 및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누름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의 잠금을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타측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안내공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고정돌기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돌기가 형성되는 해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체결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체결구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걸림시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회전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잠금부재; 및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시 상기 체결구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홈의 상부측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걸림시켜 잠금하는 걸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버클의 전면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을 고정하는 회전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회전고정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 및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회전 잠금부재와 상기 회전고정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고정돌기에 의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지지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에 상기 체결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에 의한 당김시 상기 걸림고리를 상기 체결구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걸림시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당김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당김에 따른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당김을 고정하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멈춤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멈춤돌기를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멈춤돌기 당김바; 및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당김 잠금부재와 상기 멈춤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멈춤돌기에 의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멈춤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빌번호 입력시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조작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경보알림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알림수단은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접촉에 의해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경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향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알림수단에는 상기 제어부의 경보신호에 따라 지정된 번호로 경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송신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의 내부에는 격자형상의 보강와이어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벨트조절부재는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벨트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감부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시 상기 마감부재에 조임과 풀림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의하면,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버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를 신속하게 잠금함으로써, 치한에 의해 바지가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성범죄로부터 여성이나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고, 버클과 체결구의 잠금시 꺼지지 않고 경보음을 계속 발생시키거나 문자메시지를 발생시켜 주변에 위급한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자물쇠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경보알림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벨트조절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자물쇠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경보알림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에 구비된 벨트조절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100)와, 벨트(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112)이 형성되는 버클(110)과, 벨트(1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체결홈(112) 내로 끼워져 버클(110)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100), 버클(110) 및 체결구(120)로 구성되는 성범죄 방지장치는 바지가 벗겨지지 않도록 착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버클(110)과 체결구(120)는 결합과 분리될 수 있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이러한 버클(110) 및 체결구(120)의 체결구조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버클(110)과 체결구(120)의 체결구조는 본 실시 예에 도시된 원터치 방식의 체결구조 이외에도 자동차, 항공기, 가방 등의 버클(110)과 체결구(120)의 체결시 사용되는 공지된 모든 원터치 방식의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10)에는 성범죄 방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체결구 잠금수단(200), 고정수단(300),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및 경보알림수단(600)이 구비되어 있다.
체결구 잠금수단(200)은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바지가 치한에 의해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착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잠금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114)의 내부에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누름 잠금부재(210)로 이루어진다. 이때, 누름 잠금부재(210)는 안내공(114)의 내부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누름 잠금부재(210)의 일측에는 체결구(120)에 형성되는 잠금공(1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잠금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212)에는 고정수단(3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잠금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 잠금부재(210)는 성범죄 발생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착용자에 의해 눌리는 경우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잠금돌기(212)가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잠금공(122)에 끼워짐으로써 체결구(120)가 버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게 된다.
고정수단(300)은 잠금 누름부재(210)를 걸림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안내공(114)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고정돌기(3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돌기(310)는 착용자에 의해 눌리는 누름 잠금부재(210)가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되고 잠금돌기(212)가 체결구(120)의 잠금공(122)으로 끼워지는 경우 해당위치에서 탄성에 의해 잠금홈(214)에 걸림되어 누름 잠금부재(210)를 고정하게 된다.
해제수단(400)은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돌기(3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돌기 당김바(410)와,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버클(110)의 외부에서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412)로 구성된다.
즉, 해제수단(400)은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12)를 잡고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고정돌기(3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서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고정돌기 당김바(410)는 연결바(411)를 매개로 고정돌기(310)와 연결되어 버클(110)의 내부에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해제레버(412)는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표면으로부터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버클(110)의 상면부에는 해제레버(412)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해제장공(4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해제레버(412)는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방향으로 당길 경우 해제장공(413)을 따라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돌기 당김바(41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정돌기(310)에 의해 고정된 누름 잠금부재(210)를 해제할 경우에는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12)를 이용하여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자물쇠수단(500)은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잠금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돌기(310)로 누름 잠금부재(210)를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510,512)과, 제 1,2 접점(510,512)의 접촉시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잠금하고 착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잠금을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514)로 구성된다.
즉, 자물쇠수단(500)은 착용자에 의해 누름 잠금부재(210)가 눌리고 고정돌기(310)로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수단(400)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제 1,2 접점(510,512)은 누름 잠금부재(210)에 형성된 잠금돌기(212)의 잠금홈(214) 및 잠금홈(214)과 대응되는 고정돌기(310)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 1,2 접점(510,512)은 고정돌기(310)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시 서로 접촉된다.
당김바 잠금부재(514)는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잠금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516)와, 솔레노이드(516)에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해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이얼 번호키를 갖는 자물쇠부재(518)로 구성된다.
즉, 당김바 잠금부재(514)는 제 1,2 접점(510,512)의 접촉시 솔레노이드(516)로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잠금하게 되고, 착용자 및 가족 등에 의한 다이얼 번호키의 조작시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해제 신호를 발생시켜 솔레노이드(516)에 의한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버클(110)의 내부에는 제 1,2 접점(510,512)의 통전과 당김바 잠금부재(514)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건전지 등을 갖는 전원부(미도시), 및 제 1,2 접점(510,512)의 통전시 당김바 잠금부재(514)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부에 의해 제 1,2 접점(510,512) 및 당김바 잠금부재(514)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제 1,2 접점(510,512)의 통전시 당김바 잠금부재(514)를 회로구성으로 제어하는 것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516)의 해제를 위한 자물쇠부재(518)의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다이얼 번호키 대신에 버튼식 번호키가 적용될 수도 있다.
경보알림수단(600)은 누름 잠금부재(21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누름 잠금부재(210)와의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610)와, 감지센서(610)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620)와, 제어부(620)의 경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향부재(630)로 구성된다.
즉, 경보알림수단(600)은 착용자의 조작으로 누름 잠금부재(21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감지센서(610)로 누름 잠금부재(210)의 눌림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2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620)는 감지센서(61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음향부재(630)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감지센서(610)는 버클(110)의 내부에 누름 잠금부재(210)의 눌림시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감지센서(610)는 누름 잠금부재(210)와의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2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620)는 감지센서(610)의 감지신호를 감지한 후 기저장된 정보에 따라 경보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음향부재(630)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제어부(620)의 경보신호는 감지센서(610)의 감지신호가 소멸될 때까지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음향부재(630)는 제어부(620)의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음향부재(630)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또한, 경보알림수단(600)에는 제어부(620)의 경보신호에 따라 지정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송신모듈(64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경보알림수단(600)에는 음향부재(630) 또는 무선송신모듈(640)이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620)의 경보신호시 경보음 혹은 문자메시지를 각각 발생시키거나 혹은 음향부재(630)와 무선송신모듈(640)이 같이 구비되어 제어부(620)에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음과 문자메시지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트(100)는 내부에 격자형상의 보강와이어(10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보강와이어(102)는 벨트(100)가 칼 또는 가위 등의 절단도구에 의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벨트(100)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벨트조절부재(104)가 구비되어 있다. 벨트조절부재(104)는 체결구(120)를 관통하는 벨트(100)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마감부재(106)와, 마감부재(106)에 조임과 풀림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임부재(108)로 구성된다.
즉, 벨트조절부재(104)는 마감부재(106)로부터 조임부재(108)를 풀림하여 마감부재(106)와 조임부재(108) 사이로 통과되는 벨트(100)의 길이를 조절하고 벨트(100)의 길이조절 후에는 조임부재(108)를 다시 마감부재(106)에 조임하여 벨트(100)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때, 조임부재(108)는 조임나사(109)를 매개로 마감부재(106)와 조임 및 풀림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조임나사(109)는 마감부재(106)에 조임과 풀림에 따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발생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과 체결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누름 잠금부재(210)를 누르게 되면, 누름 잠금부재(210)의 잠금돌기(212)는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잠금공(122)에 끼워져 체결구(120)가 버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게 된다.
고정돌기(310)는 누름 잠금부재(21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에 따라 해당위치에서 탄성에 의해 잠금돌기(212)에 형성된 잠금홈(214)에 걸림되어 누름 잠금부재(21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310)와 연결된 고정돌기 당김바(410)는 자물쇠수단(500)에 의해 잠금되어 고정돌기(310)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를 방지하게 된다.
즉, 고정돌기(310)가 누름 잠금부재(210)의 잠금돌기(212)에 형성된 잠금홈(214)에 걸림되는 경우 자물쇠수단(500)의 제 1,2 접점(510,512)이 통전되고, 제 1,2 접점(510,512)의 통전에 따라 당김바 잠금부재(514)의 솔레노이드(516)가 작동되어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잠금하게 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516)에 의한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잠금상태는 비밀번호을 입력하는 자물쇠부재(518)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으므로 치한에 의한 해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경보알림수단(600)은 누름 잠금부재(21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감지센서(610)로 누름 잠금부재(210)의 눌림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2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620)는 감지센서(61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음향부재(630)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경보알림수단(600)에는 무선송신모듈(6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송신모듈(640)은 제어부(620)의 경보신호시 지정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누름 잠금부재(210)를 신속하게 눌러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잠금시킴으로써 치한에 의해 착용자의 바지가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경보알림수단(600)의 경보음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주변에 위급한 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성범죄 등의 위급 상황의 해제 후, 자물쇠부재(518)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솔레노이드(516)가 작동되어 고정돌기 당김바(4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제레버(412)를 잡고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해제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돌기(310)가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이동되어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후 누름 잠금부재(210)는 고정돌기(310)에 의한 해제시 탄성에 의해 안내공(114)을 따라 복원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제레버(412)와 자물쇠수단(500)이 삭제된 상태에서, 고정돌기 당김바(410)에 의해 누름 잠금부재(210)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고정돌기 당김바(41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해제레버(412)가 삭제된 상태에서는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방향으로 당길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장공(413)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날카로운 핀이나 송곳을 이용하여 고정돌기 당김바(4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부에 구비되는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버클(110)의 표면에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여 평상시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건전지의 교체시에는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버클(110)에는 전원부에 구비된 건전지의 상태에 따라 램프를 녹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고정수단(300)을 구성하는 고정돌기(310)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구조가 본 발명의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다른 구조를 가지며, 고정돌기(310)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돌기(310)는 누름 잠금부재(210)의 타측에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누름 잠금부재(210)의 타측은 도면상에서 누름 잠금부재(210)의 상부면을 말한다.
즉, 고정돌기(310)는 버클(110)과 체결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누름 잠금부재(210)를 누르게 되면, 누름 잠금부재(210)의 눌림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버클(110)의 양측에서 안내공(114) 측으로 돌출되어 누름 잠금부재(210)의 타측을 고정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해제수단(400)은 안내공(11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고정돌기(3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돌기(422)가 형성되는 해제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잠금부재(210)에 의해 체결구(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이를 해제하기 위하여 해제부재(420)의 일측을 안내공(114)으로 삽입하게 되면, 해제돌기(422)가 안내공(114)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돌기(310)를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고정돌기(310)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부재(420)는 치한의 강탈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가 불가능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보호자가 보관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돌기(310)로 고정되는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가 해제부재(420)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으므로 자물쇠수단(500)은 구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누름 잠금부재(210)의 잠금상태가 해제부재(420)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누름 잠금부재(210)의 해제에 따른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100)와, 벨트(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112)이 형성되는 버클(110)과, 벨트(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체결홈(112) 내로 끼워져 버클(110)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120)를 포함하고, 버클(110)에는 성범죄 방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체결구 잠금수단(200), 고정수단(300),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및 경보알림수단(600)이 구비되어 있다.
체결구 잠금수단(200)은 성추행,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치한에 의해 바지가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착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잠금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전면부에 회전축(22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잠금부재(220)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22)에는 체결구(120)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요철부(124)에 걸림될 수 있도록 체결구(120)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110)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회전 잠금부재(220)의 일측면에는 고정수단(300)에 걸려 회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고정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2)에는 회전 잠금부재(220)의 회전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알림수단(600)의 감지센서(6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바(2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잠금부재(220)는 성범죄 발생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착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222)의 걸림돌기(224)가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요철부(124)에 걸림되어 체결구(120)가 버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게 된다.
이때, 회전 잠금부재(22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 후 고정수단(300)이 회전고정홈(226)에 걸림되므로 회전 잠금부재(22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수단(300)은 회전 잠금부재(220)를 걸림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전면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회전고정돌기(320)로 이루어진다. 회전고정돌기(320)는 회전 잠금부재(220)의 회전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탄성에 의해 회전고정홈(226)에 걸림되어 회전 잠금부재(220)의 회전을 고정하게 된다.
해제수단(400)은 회전 잠금부재(22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고정돌기(32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와,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버클(110)의 외부에서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432)로 구성된다.
즉, 해제수단(400)은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32)를 잡고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고정돌기(3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서 회전 잠금부재(2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는 연결바(431)를 매개로 회전고정돌기(320)와 연결되어 버클(110)의 내부에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해제레버(432)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의 표면으로부터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버클(110)의 상면부에는 해제레버(432)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해제장공(4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해제레버(432)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경우 해제장공(433)을 따라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회전고정돌기(320)에 의해 회전이 고정된 회전 잠금부재(220)를 해제할 경우에는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32)를 이용하여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자물쇠수단(500)은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잠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물쇠수단(500)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의 자물쇠수단(50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 예의 도면상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경보알림수단(600)은 회전 잠금부재(22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보알림수단(600)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의 경보알림수단(60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 예의 도면상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회전 잠금부재(22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걸림돌기(224)를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요철부(124)에 걸림시켜 체결구(120)를 잠금하고, 회전고정돌기(226)에 의해 회전 잠금부재(22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고정돌기(226)에 의한 회전 잠금부재(220)의 고정 후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경보알림수단(600)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제레버(432)와 자물쇠수단(500)이 삭제된 상태에서,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에 의해 회전 잠금부재(220)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해제레버(432)가 없는 상태에서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방향으로 당길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장공(433)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날카로운 핀이나 송곳을 이용하여 회전고정돌기 당김바(430)를 회전 잠금부재(22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부에 구비되는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버클(110)의 표면에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여 평상시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건전지의 교체시에는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버클(110)에는 전원부에 구비된 건전지의 상태에 따라 램프를 녹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4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체결구 잠금수단(20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구조가 본 발명의 전술한 제 3 실시 예와 다른 구조를 가지며, 체결구 잠금수단(200)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서, 버클(110)과 체결구(120)의 체결구조는, 버클(110)에 형성되는 안착홈(116)으로 체결구(12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체결구(120)에는 체결구 잠금수단(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126)이 형성된다.
체결구 잠금수단(200)은 회전축(232)을 매개로 버클(1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잠금부재(230)와,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시 체결구(120)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홈(116)의 상부측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버클(110)과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걸림시켜 잠금하는 걸쇠(234)로 구성된다.
회전 잠금부재(230)는 회전축(232)을 매개로 버클(110)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232)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걸쇠(234)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회전축(23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걸쇠(234)에는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시 체결구(120) 방향으로 이동되고 체결구(120)를 잠금할 수 있도록 회전축(232)의 기어부(233)와 맞물리는 기어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232)과 걸쇠(234)의 기어부(233,235)는 상호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걸쇠(234)에는 회전 잠금부재(23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알림수단(600)의 감지센서(6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바(2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10)의 안착홈(116)에 체결구(120)가 자성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잠금부재(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걸쇠(234)가 체결구(120) 방향으로 이동되어 체결구(120)의 끼움공(126)에 끼움 고정되어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가 잠금됨과 동시에 회전고정돌기(320)가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고정홈(226)에 걸림되어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이 고정된 후 고정수단(300),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경보알림수단(600)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걸쇠(234)가 체결구(120)에 끼움 고정되어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잠금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 잠금부재(230)의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축(232)의 회전구조 대신에 소형 모터로 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회전축(232)이 소형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버클(110)의 표면에 소형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부를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따라 소형 모터를 구동시켜 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성범죄 발생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소형 모터로 회전축(232)을 회전시켜 걸쇠(234)에 의한 체결구(120)의 신속한 잠금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버클(110)에는 버튼부의 조작에 따라 소형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로 소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5 실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성범죄 방지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100)와, 벨트(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110)과, 벨트(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체결홈(112) 내로 끼워져 버클(110)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120)를 포함하고, 버클(110)에는 체결구 잠금수단(200), 고정수단(300),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및 경보알림수단(600)이 구비되어 있다.
체결구 잠금수단(200)은 성폭행 등과 같은 성범죄 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시 치한에 의해 바지가 강제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착용자의 당김조작에 따라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를 잠금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전면부에 지지축(242)을 매개로 당김 가능하게 결합되는 당김 잠금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지지축(242)에는 체결구(12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걸림공(128)에 걸림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의 걸림고리(24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242)에는 당김 잠금부재(240)의 당김시 고정수단(3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242)에는 당김 잠금부재(240)의 당김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알림수단(600)의 감지센서(6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바(2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당김 잠금부재(240)는 성범죄 발생 등과 같은 위급 상황시 착용자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지지축(242)의 걸림고리(244)가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걸림공에 걸림고리(244)가 걸림되어 체결구(120)가 버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게 된다.
이때, 당김 잠금부재(24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 후 고정수단(300)이 해당위치에서 멈춤홈(246)에 걸림되므로 당김 잠금부재(240)는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멈추도록 고정된다.
고정수단(300)은 당김 잠금부재(240)의 당김이 멈출 수 있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지지축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는 멈춤돌기(3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멈춤돌기(330)는 착용자에 의해 당김 잠금부재(240)가 당겨져 체결구(120)를 잠금하는 경우 해당위치에서 탄성에 의해 멈춤홈(246)에 걸림되어 당김 잠금부재(240)를 고정하게 된다.
해제수단(400)은 당김 잠금부재(24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멈출돌기(330)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멈춤돌기 당김바(440)와,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버클(110)의 외부에서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442)로 구성된다.
즉, 해제수단(400)은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42)를 잡고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멈춤돌기(33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서 당김 잠금부재(24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멈춤돌기 당김바(440)는 연결바(441)를 매개로 멈춤돌기(330)와 연결되어 버클(110)의 내부에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해제레버(442)는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멈춤돌기 당김바(440)의 표면으로부터 버클(110)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버클(110)의 상면부에는 해제레버(442)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해제장공(4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해제레버(442)는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경우 해제장공(443)을 따라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멈춤돌기 당김바(44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멈춤돌기(330)에 의해 당김이 고정된 당김 잠금부재(240)를 해제할 경우에는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레버(442)를 이용하여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자물쇠수단(500)은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잠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물쇠수단(500)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의 자물쇠수단(50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 예의 도면상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경보알림수단(600)은 당김 잠금부재(240)에 의한 체결구(120)의 잠금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보알림수단(600)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의 경보알림수단(60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실시 예의 도면상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당김 잠금부재(240)를 당기는 조작에 의해 걸림고리(244)를 버클(11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120)의 걸림공(128)에 걸림시켜 체결구(120)를 잠금하고, 멈춤돌기(330)에 의해 당김 잠금부재(240)의 당김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멈춤돌기(330)에 의한 당김 잠금부재(240)의 고정 후 해제수단(400), 자물쇠수단(500), 경보알림수단(600)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성범죄 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해제레버(442)와 자물쇠수단(500)이 삭제된 상태에서, 멈춤돌기 당김바(440)에 의해 당김 잠금부재(240)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멈춤돌기 당김바(440)는 버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해제레버(442)가 없는 상태에서는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당김 잠금부재(240)의 해제방향으로 당길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버클(110)의 외부에서 해제장공(443)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날카로운 핀이나 송곳을 이용하여 멈춤돌기 당김바(440)를 당김 잠금부재(210)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부에 구비되는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버클(110)의 표면에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하여 평상시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건전지의 교체시에는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버클(110)에는 전원부에 구비된 건전지의 상태에 따라 램프를 녹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어부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0: 벨트 102: 보강와이어
104: 벨트조절부재 110: 버클
120: 체결구
200: 체결구 잠금수단 210: 누름 잠금부재
220: 회전 잠금부재 230: 회전 잠금부재
240: 당김 잠금부재
300: 고정수단 310: 고정돌기
320: 회전고정돌기 330: 멈춤돌기
400: 해제수단 410: 고정돌기 당김바
412: 해제레버 420: 해제부재
432: 해제레버 430: 회전고정돌기 당김바
440: 멈춤돌기 당김바 442: 해제레버
500: 자물쇠수단 510: 제 1 접점
512: 제 2 접점 514: 당김바 잠금부재
600: 경보알림수단 610: 감지센서
620: 제어부 630: 음향부재
640: 무선송신모듈

Claims (22)

  1. 삭제
  2.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구비한 성범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의 내부에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의한 누름시 일측에 형성되는 잠금돌기가 상기 체결구에 형성되는 잠금공에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누름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내공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누름 잠금부재를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잠금돌기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돌기 당김바; 및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누름 잠금부재와 상기 고정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의한 누름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고정돌기 당김바의 잠금을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누름 잠금부재의 타측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안내공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고정돌기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돌기가 형성되는 해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9.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구비한 성범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체결구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체결구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걸림시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회전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0.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구비한 성범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잠금부재; 및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시 상기 체결구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착홈의 상부측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걸림시켜 잠금하는 걸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버클의 전면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회전을 고정하는 회전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회전고정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고정돌기 당김바; 및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회전 잠금부재와 상기 회전고정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고정돌기에 의한 상기 회전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 상기 회전고정돌기 당김바를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4.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홈이 형성되는 버클,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 내로 끼워져 상기 버클과 결합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구를 구비한 성범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위급 상황시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하는 체결구 잠금수단;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을 걸림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버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은 지지축을 매개로 상기 버클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에 상기 체결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에 의한 당김시 상기 걸림고리를 상기 체결구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걸림시켜 상기 버클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체결구를 잠금하는 당김 잠금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당김에 따른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당김을 고정하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멈춤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멈춤돌기를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멈춤돌기 당김바; 및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상기 버클의 외부에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해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클의 상면부로 돌출형성되는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잠금할 수 있도록 자물쇠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자물쇠수단은 상기 당김 잠금부재와 상기 멈춤돌기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멈춤돌기에 의한 상기 당김 잠금부재의 고정시 통전될 수 있도록 접촉되는 제 1,2 접점; 및
    상기 제 1,2 접점의 접촉시 멈춤돌기 당김바를 잠금하고 상기 착용자에 의한 비빌번호 입력시 상기 멈춤돌기 당김바를 해제하는 당김바 잠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8. 제2항, 제9항, 제10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조작에 의한 상기 체결구의 잠금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경보알림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알림수단은 상기 체결구 잠금수단의 접촉에 의해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경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향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알림수단에는 상기 제어부의 경보신호에 따라 지정된 번호로 경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송신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내부에는 격자형상의 보강와이어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벨트조절부재는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벨트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마감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감부재와의 사이로 통과되는 상기 벨트의 길이 조절시 상기 마감부재에 조임과 풀림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범죄 방지장치.
KR1020100019116A 2010-03-03 2010-03-03 성범죄 방지장치 KR10097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16A KR100972094B1 (ko) 2010-03-03 2010-03-03 성범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16A KR100972094B1 (ko) 2010-03-03 2010-03-03 성범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094B1 true KR100972094B1 (ko) 2010-07-22

Family

ID=4264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116A KR100972094B1 (ko) 2010-03-03 2010-03-03 성범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55Y1 (ko) 2011-06-30 2011-11-21 이대범 성범죄 방지장치
KR20230028155A (ko) * 2021-08-19 2023-02-28 브로젠트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잠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패스너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99U (ko) * 1998-07-28 1998-10-26 우석도 화물차용 적재함 카바 개폐장치
KR20010019493A (ko) * 1999-08-27 2001-03-15 김현우 정조대
KR20030055544A (ko) * 2001-12-27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용 인젝터
KR20040026724A (ko) * 2002-09-25 200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355544Y1 (ko) * 2004-04-09 2004-07-07 이명진 바지 잠금장치
KR200426724Y1 (ko) 2006-05-26 2006-09-19 문상철 성폭력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99U (ko) * 1998-07-28 1998-10-26 우석도 화물차용 적재함 카바 개폐장치
KR20010019493A (ko) * 1999-08-27 2001-03-15 김현우 정조대
KR20030055544A (ko) * 2001-12-27 200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용 인젝터
KR20040026724A (ko) * 2002-09-25 200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355544Y1 (ko) * 2004-04-09 2004-07-07 이명진 바지 잠금장치
KR200426724Y1 (ko) 2006-05-26 2006-09-19 문상철 성폭력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55Y1 (ko) 2011-06-30 2011-11-21 이대범 성범죄 방지장치
KR20230028155A (ko) * 2021-08-19 2023-02-28 브로젠트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잠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패스너 장치
JP2023029320A (ja) * 2021-08-19 2023-03-03 智▲ウェイ▼資訊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ロック固定状態を表示可能なバックル装置
KR102650325B1 (ko) 2021-08-19 2024-03-21 브로젠트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잠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패스너 장치
JP7460191B2 (ja) 2021-08-19 2024-04-02 智▲ウェイ▼資訊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ロック固定状態を表示可能なバック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579A (en) Personal alarm safety system
US5939988A (en) Child proximity monitor and alarm
US7106191B1 (en) Child distance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DE602005002695T2 (de) Persönlicher Tätigkeits-Sensor und Such-Vorrichtung
US20060267760A1 (en) Child safety alarm
US20120050532A1 (en) Electronic Latch and Locking Device for a Personal Locating and Tracking Device
EP2645349B1 (en) Method to activate emergency alarm on a personal alarm safety system device
BR0013295A (pt) Alarme de segurança para correia
US4665389A (en) Personal distress signalling device
KR100972094B1 (ko) 성범죄 방지장치
US5640148A (en) Dual activation alarm system
CN105882411A (zh) 防酒驾系统、防酒驾的方法、可穿戴装置及车辆控制装置
WO2018185796A1 (en) Alert and monitoring system with operating method
EP3382664A1 (en) Buckle for electronic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of opening the same
KR101874713B1 (ko) 자동 해제가 가능한 안전벨트 시스템
US6118380A (en) Switch arrangement for child finder apparatus
US20170297485A1 (en) Car Seat Alarm System
JP2020152361A (ja) 居眠り防止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カバー
JP4554182B2 (ja) ワイヤレス防犯システム
KR101393894B1 (ko) 선박의 휴대형 데드맨 알람 시스템 및 방법
DE2603435A1 (de) Schloss fuer sicherheitsgurte mit integrierter leuchttaste und akustischem melder
JP3242404U (ja) ヘルメット
US3772687A (en) Electrically-controlled alarm system
CN210299801U (zh) 一种防拆卸表带与防拆卸智能穿戴设备
JP3640481B2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の生理状態検出センサの外し忘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