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901U -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 Google Patents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901U
KR20000006901U KR2019980018177U KR19980018177U KR20000006901U KR 20000006901 U KR20000006901 U KR 20000006901U KR 2019980018177 U KR2019980018177 U KR 2019980018177U KR 19980018177 U KR19980018177 U KR 19980018177U KR 20000006901 U KR20000006901 U KR 200000069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insertion hole
plug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효
Original Assignee
김성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효 filed Critical 김성효
Priority to KR2019980018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901U/ko
Publication of KR20000006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901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4개의 삽입공을 형성하되 플러그가 삽착되는 방향이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삽입공을 형성하여 일측에 위치한 2개의 +전류 삽입공 외주변에는 빨강색을 도색 표시하고, 대응되는 2개의 -전류 삽입공 외주변에는 청색을 도색 표시하여 플러그 삽착시 혼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 상하, 좌우, 대각선의 편리한 방향으로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 산업 현장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동시에 꽂을 때 플러그와 플러그가 서로 겹쳐 접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러그의 삽착 및 삽탈이 간단 용이하도록 고안된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 10 )는 도6의 (가)와 같이 플러그( 20 )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 30 )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3개 이상의 플러그 ( 20 )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콘센트( 10 )는 도6의 (나)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공( 30 )에 플러그( 20 )를 삽입하고 나면 가운데에 위치한 삽입공( 30 )에 플러그( 20 )를 꽂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즉, 가운데에 형성된 플러그( 20 )의 단자 삽입공( 30 ) 방향 위치가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 30 )방향 위치와 동일하므로 플러그( 20 ) 삽입시 양측에 삽입 돌출된 플러그( 20 )의 몸체에 의하여 걸리게 되므로 삽착이 불가능하게 되며 억지로 삽착할 경우에는 플러그 일측에 형성된 전깃줄이 상부로 절곡되어 단선이 발생됨으로써 항상 전기 사고의 위험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수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콘센트에 삽입공을 형성하되 플러그가 삽착되는 방향이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삽입공을 형성하여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동시에 삽착하더라도 플러그끼리 걸리거나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플러그를 콘센트에 무리하게 꽂아 전선의 단선에 의한 합선으로 전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전기배선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콘센트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6의 (가)는 종래의 콘센트 평면구성도.
(나)는 종래의 콘센트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콘센트, 2: 플러그, 3: 삽입공,
3a,3a': +단자 삽입공, 3b,3b': -단자 삽입공,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콘센트( 1 )에 다수의 플러그( 2 )를 삽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콘센트( 1 )에 플러그( 2 ) 단자가 삽착되는 4개의 삽입공( 30 )을 형성하되 일측 2개의 +단자 삽입공( 3a )( 3a' )은 외주변에 빨강색을 도색 표시하고 타측 2개의 -단자 삽입공 ( 3b )(3b' ) 외주변에는 청색을 도색 표시하여 +, -전류의 혼동을 방지하며, 플러그( 2 )의 방향이 좌우, 상하 대각선으로 삽착되도록 삽입공( 3 )을 형성하여 플러그 ( 2 )가 다방향으로 삽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4는 콘센트 내부 삽입공과 연결된 배선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콘센트( 1 )에 다수의 플러그( 2 )를 삽착할 때 도3과 같이 플러그( 2 )의 삽착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착되므로 콘센트( 1 ) 중앙에 위치하는 플러그( 2 )의 전선이 엉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콘센트( 1 )에 형성된 4개의 삽입공( 3 ) 중 빨강색이 주변에 도포된 2개의 삽입공( 3a )( 3a')에는 +전류가 흐르고, 청색이 주변에 도포된 2개의 삽입공( 3b )( 3b' )에는 -전류가 흐르도록 된 것으로서 사용시 같은 극의 전류에 플러그( 2 )가 삽착되지 않도록 하고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나 이러한 문제는 색깔 표시가 없더라도 같은 극의 전류에는 플러그( 2 )가 삽착될 수 없도록 된 것이다.
즉, 도1, 도2, 도4, 도5에 도신된 바와 같이 +, -극의 단자 삽이공( 3 )의 거리가 같은 극의 전류가 흐르는 삽입공( 3a )와 ( 3a' ), ( 3b )와 ( 3b')는 짧고, 서로 다른 전류의 삽입공( 3a )와 ( 3b ) 및 ( 3a' )와 ( 3b' )는 플러그( 2 )의 단자 이격 거리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관계로 사용자가 무심코 플러그( 2 )를 콘센트( 1 )에 삽착시킨다 하더라도 잘못 꽂아 합선될 위험은 전혀 없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콘센트( 1 )에 형성되는 삽착공( 3 )의 방향각은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동일한 극의 전류가 흐르는 삽입공( 3a )와 ( 3a' ) 및 ( 3b )와 ( 3b' )끼리는 제작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위치한 거리가 보다 이격되거나 근접시켜 형성하더라도 사용상에는 전혀 이상이 없으나, 4개의 삽입공 ( 3 ) 중 서로 다른 전류를 같는 2개의 삽입공( 3a' )( 3b' )은 약간 비틀림각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산업 사회가 발달하면서 동시에 정보화 시대로 접어드는 현대에는 가정에서도 컴퓨터, 무선전화기, 프린터, 팩스, 가정용 전자제품 등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센트는 대부분이 플러그가 3개 또는 5개 이상을 동시에 삽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게 되나 통상적으로 플러그를 3개까지 삽착할 수 있는 콘센트는 도1과 같은 형태의 콘센트를 사용하는 반면에 한 콘센트에 3개 이상의 플러그를 삽착시킬 경우에는 도4와 같이 콘센트 내에 과부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콘센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다수의 플러그를 삽착할 때 발생되는 과부화 또는 휴즈의 단선을 염려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한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삽착시키더라도 기존과 같이 플러그의 삽착 공간이 좁아서 중앙에 위치한 삽착공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첫째 : 좁은 공간에서도 상하, 좌우의 각 방향에서 플러그를 삽착시킬 수 있으므로 전선의 엉킴이 없고 절곡되어 단선될 위험이 없으며, 둘째 : 길이가 짧은 전기 코드라 하더라도 전선이 인입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삽착공에 플러그를 삽착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셋째 : 하나의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삽착하더라도 플러그의 몸체와 몸체가 위치한 방향이 서로 상이하므로 콘센트에 견고하게 삽착되므로 기존과 같이 컴퓨터 사용 중 플러그의 접속 불량으로 인하여 작성중인 문서가 지워지는 현상 또는 전기기의 전원 공급 중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게 되었다.

Claims (1)

  1. 하나의 콘센트( 1 )에 다수의 플러그( 2 )를 삽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콘센트( 1 )에 플러그( 2 ) 단자가 삽착되는 4개의 삽입공( 3 )을 형성하되 일측 2개의 +단자 삽입공( 3a )( 3a' ) 외주변에는 빨강색을 표시하고 타측 2개의 -단자 삽입공( 3b )( 3b' ) 외주변에는 청색을 표시하여 플러그( 2 ) 삽착시 혼동을 방지하며, 플러그( 2 )의 방향이 좌우, 상하, 대각선으로 삽착되도록 삽입공( 3 )을 형성하여 플러그( 2 )가 다방향으로 삽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KR2019980018177U 1998-09-23 1998-09-23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KR200000069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177U KR20000006901U (ko) 1998-09-23 1998-09-23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177U KR20000006901U (ko) 1998-09-23 1998-09-23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01U true KR20000006901U (ko) 2000-04-25

Family

ID=6952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177U KR20000006901U (ko) 1998-09-23 1998-09-23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90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667A (ko) * 2000-03-14 2001-02-05 김영태 십자형 콘센트
KR20020073319A (ko) * 2002-08-24 2002-09-23 경기엔지니어링(주) 면광원 안전 전열 아웃렛
KR100657042B1 (ko) *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667A (ko) * 2000-03-14 2001-02-05 김영태 십자형 콘센트
KR20020073319A (ko) * 2002-08-24 2002-09-23 경기엔지니어링(주) 면광원 안전 전열 아웃렛
KR100657042B1 (ko) *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665B1 (en) Multi-function outlet strip having cable organizing features
JPS63158774A (ja) 電気機械における電気的な接続部を電気的に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
JPS5927429A (ja) 端子架橋アダプタ
US9444175B2 (en) Socket connector
EP2917983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housing and a selector outlet
US6146206A (en) Power-supply connector
KR20000006901U (ko) 다방향 플러그 삽입 콘센트
US6139341A (en) Universal adapter equipped with retractable pins
CA1254275A (en) Eight conductor modular plug
CN219436295U (zh) 一种排插
KR200406540Y1 (ko) 보조 전원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JP3327093B2 (ja) 電源プラグ
CN218101962U (zh) 一种新型插座模组
JPH0223014A (ja) 電気通信用接続装置
KR200299285Y1 (ko) 콘센트
CN217740846U (zh) 插排的插座模块和插排
KR101949895B1 (ko)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EP1054482A2 (en) Electrical socket strip
JP7346127B2 (ja) プラグイン式ブレーカ
KR200419218Y1 (ko) 멀티탭 유닛들이 결합되는 부분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멀티탭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19980011549U (ko) 플러그
JPH05304712A (ja) 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