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549U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549U
KR19980011549U KR2019960025056U KR19960025056U KR19980011549U KR 19980011549 U KR19980011549 U KR 19980011549U KR 2019960025056 U KR2019960025056 U KR 2019960025056U KR 19960025056 U KR19960025056 U KR 19960025056U KR 19980011549 U KR19980011549 U KR 199800115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piece
power cord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584Y1 (ko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염상호
대덕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상호, 대덕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염상호
Priority to KR2019960025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58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콘센트와 연결시켜 사용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전원 코드선과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에 착탈편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를 갖는 단자편을 플러그 몸체와 분이 구성하여 하나의 단자편을 몸체에 형성되는 착탈편을 이용하여 교체 결합하여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주고 단자편의 분실을 방지하며, 전원 코드선과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사용시 코드선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기능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콘센트와 연결시켜 사용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의 전원 코드선과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에 착탈편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를 갖는 단자편을 플러그 몸체와 분이 구성하여 하나의 단자편을 몸체에 형성되는 착탈편을 이용하여 교체 결합하여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주고 단자편의 분실을 방지하며, 전원 코드선과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사용시 코드선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는 전원을 연결 공급할 수 있도록 플러그가 전원 코드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는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 모양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플러그로서 110V와 220V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단자판이 결합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플러그를 보면 전원 코드선과 연결되는 몸체에 220V용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에 110V용으로 겸용하여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110V용 단자와 220V용 단자홈을 갖는 단자판을 별도로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는 220V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플러그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110V용 단자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므로 110V용 단자판을 별도로 보관하기 때문에 분실하는 예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플러그 자체를 110V용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220V용 단자에 110V용 단자가 설치되는 단자판을 추가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이 많았으며, 상기 플러그 몸체와 전원 코드선이 단일체로 구성되어 사용시 전원 코드선이 자주 꼬이는 현상이 나타나 전원 코드선의 연결부에 단선 현상이 나타나게 되너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제품의 전원 코드선과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에 착탈편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를 갖는 단자편을 플러그 몸체와 분이 구성하여 하나의 단자편을 몸체에 형성되는 착탈편을 이용하여 교체 결합하여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주고 단자편의 분실을 방지하며, 전원 코드선과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사용시 코드선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플러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플러그 분리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2 : 전원 코드선
3 : 몸체 4, 4' : 착탈편
5, 5' : 단자홈 6, 6' : 단자
7 : 단자편 8, 8' : 착탈홈
9 : 회전편 10 : 걸림편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품의 전원 코드선(2)과 연결되는 플러그(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의 몸체(3)에 전면 양측으로 착탈편(4)(4')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5)(5')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6)(6')를 갖는 단자편(7)을 플러그 몸체(3)와 분이 구성하며, 상기 단자편(7)의 양측에는 몸체(3)에 형성되는 착탈편(4)(4')에 걸릴 수 있도록 착탈홈(8)(8')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1)의 몸체(3)와 전원 코드선(2)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접속 연결되는 회전편(9)과 걸림편(10)으로 연결하여 구성하여 사용시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플러그(1)는 110V와 220V용 단자(6)(6')를 갖는 단자편(7)을 플러그 몸체(3)에 형성되는 착탈편(4)(4')를 이용하여 방향을 바꾸어 교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220V용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편(7)에 형성되는 110V용 단자(6)가 플러그 몸체(3)에 형성되는 110V용 단자홈(5)에 삽입되도록 착탈편(4)(4')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단자편(7)의 타측에 돌출되어 있는 220V용 단자(6')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어 플러그(1)를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플러그(1)를 220V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서 110V용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몸체(3)에 결합되어 있는 단자판(7)을 분리한 후 220V용 단자(6')가 플러그 몸체(3)에 형성되어 있는 220V용 단자홈(5')에 삽입되도록 방향을 바꾸어 착탈편(4)(4')과 착탈홈(8)(8')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단자판(7)에 형성되는 110V용 단자(6)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플러그(1)를 11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플러그(1)를 꽂아 사용할때 상기 플러그 몸체(3)와 전원 코드선(2)이 회전판(9)과 걸림편(10)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접속 연결되어 플러그(1)의 사용시 전원 코드선(2)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플러그(1)의몸체(3)와 110V와 220V용 단자(6)(6')를 갖느 단자판(7)을 방향으로 바꾸어 착탈식으로 분리 결합하여 하나의 단자판을 이용하여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주고 단자판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품의 전원 코드선과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에 착탈편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를 갖는 단자편을 플러그 몸체와 분이 구성하여 하나의 단자편을 몸체에 형성되는 착탈편을 이용하여 교체 결합하여 110V와 220V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주고 단자편의 분실을 방지하며, 전원 코드선과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사용시 코드선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기능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거이다.

Claims (2)

  1. 전원 코드선(2)과 연결되는 플러그(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의 몸체(3)에 전면 양측으로 착탈편(4)(4')과 110V 및 220V용 단자홈(5)(5')을 형성하고, 110V와 220V 단자(6)(6')를 갖는 단자편(7)을 플러그 몸체(3)와 분이 구성하며, 상기 단자편(7)의 양측에는 몸체(3)에 형성되는 착탈편(4)(4')에 걸릴 수 있도록 착탈홈(8)(8')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의 몸체(3)와 전원 코드선(2)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회전편(9)과 걸림편(10)으로 연결하여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플러그.
KR2019960025056U 1996-08-20 1996-08-20 플러그 KR200145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56U KR200145584Y1 (ko) 1996-08-20 1996-08-20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056U KR200145584Y1 (ko) 1996-08-20 1996-08-20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549U true KR19980011549U (ko) 1998-05-25
KR200145584Y1 KR200145584Y1 (ko) 1999-06-15

Family

ID=1946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056U KR200145584Y1 (ko) 1996-08-20 1996-08-20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5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3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테리텍 전원 연결용 키트
KR20190124833A (ko) * 2018-04-26 2019-11-06 곽덕영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20210068961A (ko) * 2019-12-02 2021-06-10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13B1 (ko) * 1997-12-05 200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케이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3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테리텍 전원 연결용 키트
KR20190124833A (ko) * 2018-04-26 2019-11-06 곽덕영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20210068961A (ko) * 2019-12-02 2021-06-10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WO2021112275A1 (ko) * 2019-12-02 2021-06-10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CN113454855A (zh) * 2019-12-02 2021-09-28 株式会社东山电子 电插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584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7952A1 (en) Coaxial plug connector
CA2355755A1 (en) Seven-way trailer connector
US5857875A (en) Multi-outlet electrical adapter
KR20000036907A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KR19980011549U (ko) 플러그
CN209641929U (zh) 一种超短型的电插塞连接器母座
US5322449A (en) Triple NEMA-Standard power plug receptacle
JP2001023740A (ja) 取り出し方向自在多連コンセント
EP1139512A1 (en) Portable socket outlet and system of portable socket outlets with modular structure
CN209389366U (zh) 电连接器组合
KR100608145B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GB2208259A (en) Video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200299285Y1 (ko) 콘센트
CN108551017A (zh) 一种适用多环境使用的电器插座
KR0118136Y1 (ko) 전원플러그의 코드 취부구조
KR960002350Y1 (ko) 배선꼬임 방지용 플러그
KR200351397Y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890000841Y1 (ko) 110v/220v 겸용 플럭
CN208385754U (zh) 一种实现接地短路的usb端子连接器
KR930003620Y1 (ko) 3선용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JPH0350618Y2 (ko)
KR950008265Y1 (ko) 100v/200v겸용 전원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