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262A - 액정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장치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262A
KR20000006262A KR1019990022783A KR19990022783A KR20000006262A KR 20000006262 A KR20000006262 A KR 20000006262A KR 1019990022783 A KR1019990022783 A KR 1019990022783A KR 19990022783 A KR19990022783 A KR 19990022783A KR 20000006262 A KR20000006262 A KR 2000000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device
light
fluorescent lamp
diverging plat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로우 오노
Original Assignee
카네코 히사시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코 히사시,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0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광을 공급하기위해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산 플레이트 배면에 위치한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에 관한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광원으로서 위치한 백라이트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광 반사성 물질로 구성된 반사기(a)와, 상기 반사기(3)내에 위치한 램프(4,14)와, 상기 반사기(3)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며 상기 램프(4,14)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를 발산하는 발산 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4,14)는, 원형 횡단면을 구비한 램프(102,2)로부터 상기 발산 플레이트(5)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의 양보다 더 많은 광의 양을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비스듬히 향하게 하는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는 상기 발산 플레이트에 수직인 긴 지름을 구비한 타원형 횡단면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서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얇은 두께로 제조가능하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장치{ BACK LIGHT DEVICE USED FOR LIQUID CRYSTAL DISPLAY }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산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한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발광기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통상 발광장치는 광원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백라이트장치로부터 발광된 광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경유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에서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장치는 발산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한 램프를 포함하는 제1형의 백라이트장치와, 발산 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위치한 램프를 포함하는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로 분류된다.
도1은 종래의 제1형의 백라이트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1에 설명된 바와같이, 제1형의 백라이트장치(101)는 개구부를 포함한 상자형 반사기(103)와, 상기 반사기(103)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발산 플레이트(105)와, 원형 횡단면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형광램프(102)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백라이트장치(101)는 액정 디스플레이(106)의 배면에 위치한다.
상기 형광램프(102)는 열 음극형 또는 냉 음극형이다. 상기 반사기(103)는 광반사형 금속 또는 이루어져 있다. 상기 형광램프(102)로 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는, 즉시 또는 상기 반사기(103)에서 반사된 이후, 상기 발산 플레이트(104)에 방사된다. 발산 플레이트(105)에 방사된 광 플럭스는 발산 플레이트(105)를 경유하는 동안 모든방향으로 발산되어, 그 후, 배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106)를 조사한다.
자명하지만, 형광램프(102)는 제1형의 백라이트장치(101)에서 액정 디스플레이(10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직하에 위치하므로, 형광램프(102)는 형광램프(102)의 직상 방향으로 최고의 휘도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백라이트장치(101)의 휘도의 불균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 즉, 백라이트장치(101)에서 휘도의 편차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휘도의 편차는 도2와 관련하여 상세히 언급된다. 도2는 도1에서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의 하나의 형광램프(102)를 도시하는 확대 횡단면도 이다. 도2에 있어서, 화살표는 형광램프(102)의 외주상에서 동일하게 분할된 지점으로 부터 방사된 광 플럭스를 나타낸다. 상기의 광 플럭스는 형광램프(102)의 중심(O)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방사되므로, 상기 광 플럭스는 동일한 휘도를 갖는다.
이제, 제1영역(A)은 발산 플레이트(105)상의 일 점(P)과 다른 일 점(Q)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영역(B)은 발산 플레이트(105)상의 상기 일 점(Q)과 다른 일 점(R)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일 점(P)은 발산 플레이트(105)와 형광램프(102)의 중심선(O)을 경유하여 발산 플레이트(105)에 수직인 선분의 교차점이다. 상기 일 점(Q)은 상기 일점(P)으로부터 거리 L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일점(R)은 상기 일점(Q)으로부터 거리 L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제1영역(A)과 제2영역(B)은 동일한 넓이를 갖는다.
도2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제1영역(A)에는 4개의 광 플럭스가 도달하는 반면에, 제2영역(B)에는 3개의 광플럭스가 도달한다. 상기 의미는 형광램프(102)에 근접 위치한 영역은 형광램프(102)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영역의 휘도보다 밝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 플럭스가 발산 플레이트(105)상에 도달하는 위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y = t × tanθ
여기서, "y"는 광 플럭스가 발산 플레이트(105)상에 도달하는 거리를 나타내고, "θ"는 선분(OP)와 광 플럭스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나타내고, "t"는 형광램프(102)의 중심선(O)과 발산 플레이트(105)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는 비선형 함수이므로, 발산 플레이트(105)상에 방사되는 광 플럭스의 밀도는 일정치 않다.
도3은 발산 플레이트(105)상의 휘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상기 휘도는 형광램프(102) 각각의 중심상에서 최고이고, 형광램프(102)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한다. 형광램프의 중심에서의 휘도와 형광램프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휘도의 차이는 휘도편차로서 관찰된다. 발산 플레이트(105)는 발산성능이 한정되므로, 형광램프(102)로부터의 발광이 발산 플레이트(105)에 도달하기 전에, 어느정도 까지는 휘도를 균일화 시킬 필요가 있다.
휘도의 균일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광램프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들면, 1987년 2월 21일에 공개된 일본국특개소 제62-40151호는, 상기와 같은 형광램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것이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 개시된 형광램프(112)는 광흡수 및 광반사성 물질로 구성된 패턴(116)을 갖는 표면에서 형성된다. 상기 형광램프(112)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패턴(116)은 최대의 면적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패턴(116)은 면적이 적게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1989년 4월 13일 공개된 일본국실개평 제1-59285호는, 외부 표면에 오목부를 구비한 형광램프를 포함한 제1형 백라이트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몇몇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형광램프는 발산 플레이트로부터 훨씬 멀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형광램프에서 발광된 광 플럭스는 발산 플레이트에 도달하기 전에 자연적으로 어느정도 발산된다.
이하에는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가 설명된다. 상기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는 통상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한 광도체의 말단에 위치한 반사피복과, 상기 반사피복에 위치한 형광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2형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는 반사피복에서 반사된다. 그러나 광 플럭스는 거의 대부분이 형광램프상으로 방사되어, 결과적으로 광 플럭스의 휘도가 약화된다. 따라서,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는 고휘도를 달성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1996년 1월 12일에 공개된 일본국특개평 제8-5840호는 도5에 나타난 바와같은 백라이트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에 제공된 백라이트장치는 광도체(127)의 가로방향으로의 길이를 구비하며, 광도체(127)의 세로방향으로의 길이보다는 짧은 형광램프(122)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반사피복(123)에서 반사된 광 플럭스의 양이 형광램프(122)상으로 적게 방사되도록 보장해준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종래의 백라이트장치는 이하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광흡수 및 광반사성 물질로 구성된 패턴(116)이 구비된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램프(112)를 포함하는 도4에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형광램프(112)는 보다 적은양의 광 플럭스를 발광하여, 결과적으로 백라이트장치의 휘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패턴(116)이 광흡수성 물질대신에 광 반사성 물질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패턴(116)에서 반사되어 형광램프(112)에 되돌아오는 광은 유리 또는 형광램프상에 코팅된 형광물질에 흡수되며, 그에따라 휘도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광은 백라이트장치에서 휘도를 향상시키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외부면에 오목부을 구비한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는, 형광램프의 표면상에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발산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백라이트장치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된다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없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통상 두께가 얇게 설계된 장치내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액정 디스플레이용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백라이트장치의 두께가 크다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예를들어, 각각의 직경이 3mm인 10개의 형광램프 및 두께가 2mm인 발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 20% 내의 휘도편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형광램프와 발산 플레이트가 14.5mm 또는 그 이상 서로 떨어져 배치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23mm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는, 백라이트장치가 고휘도를 달성하기가 상당히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광램프(122)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제2형의 백라이트장치는 형광램프(122)의 수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광은 반사기(123)의 측벽에서 보다 잘 반사되므로, 광은 광도체(127)에 효과적으로 방사되지 않고, 그 결과 휘도 또한 향상되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균일한 휘도의 향상이 가능하며, 두께를 얇게하여 제조가능한 백라이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광원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한 백라이트장치가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광반사성 물질로 구성된 반사기(a)와, 상기 반사기에 위치한 최소한 하나의 램프(b)와, 상기 반사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며, 램프에서 발광된 광 플럭스를 발산하여, 반사기의 외부로 향하게 하는 발산 플레이트(c)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램프로부터 발산 플레이트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량보다 다량의 광량을 발산플레이트에 비스듬히 향하게 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예를들어, 램프는 발산 플레이트에 근접 위치한 제1 절반부와 상기 제1의 절반부보다 발산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제2 절반부로 구성되어, 제1 절반부내의 발산 플레이트에 근접한 위치에서 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램프는 발산 플레이트에 수직인 장경을 갖는 타원형 횡단면을 구비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램프는 발산램프에 관해 경사진 최소한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예를들어, 램프는 마름모형의 횡단면을 갖게 설계 가능하다.
상기에 언급된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형광램프는 발산 플레이트의 배면에 위치한다. 상기 램프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램프로부터 발산플레이트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량보다 다량의 광을 발산 플레이트에 비스듬히 향하게 하는 형상이므로, 형광램프에서 발광된 광은 발산 조건에서 발산 플레이트에 방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형광램프는 종래의 백라이트장치보다 발산 플레이트에서 보다 짧게 떨어져 배치되므로,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다.
도1은 종래의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횡단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난 하나의 형광램프에 관한 확대된 횡단면도.
도3은 백라이트장치내의 발산 플레이트상의 휘도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
도4는 다른 종래의 백라이트장치에서 사용된 형광램프에 관한 평면도.
도5는 다른 종래의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의 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에 설치된 타원형 형광램프로 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와, 원형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발산 플레이트상의 타원형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와, 발산 플레이트상의 원형 형상램프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백라이트장치 2 : 원형 형광램프
3 : 반사기 4 : 타원형 형광램프
5 : 발산 플레이트
<제1실시예>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에 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1)는 개구부를 구비한 상자형 반사기(a)와, 인접한 램프와 평행으로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형광램프(b)와, 상기 반사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발산 플레이트(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기(3)는 금속 및 수지와 같은 광반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기(3)는 일 실시예에서는 상자형이지만, 형상이 형광램프(4)가 놓여지는 중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사기(3)는 반원형, V자형 또는 어떤 다른 형태가 되도록 설계가능 하다.
상기 형광램프(4)는 횡단면이 타원형이고, 타원형 형광램프(4)의 장경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 되도록 위치한다. 형광램프(4)의 수 및 인접한 형광램프(4)사이의 공간은 소요의 휘도 및 조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평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발산 플레이트(5)는 약간 불투명하며, 아크릴라이트와 같은 수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7과 관련하여,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형광램프(2)로부터 발광된 광의 패스와 비교하여, 하나의 형광램프(4)로부터 발광된 광의 패스가 설명된다. 도7에 있어서, 타원형 형광램프(4)는 외주의 길이는 원형 형광램프(2)와 동일하며, 타원형 형광램프(4)는 원형의 형광램프(2)와 겹쳐, 공통의 중심을 갖는다.
예를들어, 만일 타원형 형광램프(4)가 3mm의 장경과, 2mm의 단경을 갖도록 설계되면, 원형 형광램프(2)는 직경이 2.51mm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 타원원 형광램프(4)와 원형 형광램프(2) 두개 모두는 외주의 길이가 7.9mm이다. 타원형 형광램프(4) 및 원형 형광램프(2)가 공통의 외주길이를 갖으므로, 타원형 형광램프(4)로부터 발광된 광량은 원형 형광램프(2)로 부터 발광된 광량과 동일하다.
상기에서, A0 에서 AN까지는 타원형 형광램프(4)의 외주가 분할되는 지점을 나타내고, B0에서 BN 까지는 원형 형광램프(2)의 외주가 분할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광(9)은 화살표(9)로 표시된 방향으로 A0 에서 AN까지의 지점으로부터 발광되고, 광(8)은 화살표(8)로 표시된 방향으로 B0에서 BN 까지의 지점으로부터 발광된다. 상기 광(9)과 상기 광(8)은 양적으로는 동일하다.
상기 광(8) 및 상기 광(9)은 형광램프(2 및 4)의 표면의 법선방향으로 형광램프(2 및 4)로부터 발광된다. 형광램프(4)의 타원형 횡단면은 단경에 의해 분할된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1 절반부는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제2 절반부는 제1 절반부 보다는 발산 플레이트(5)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타원형 형광램프(4)는 장경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으로 되도록 위치하므로, 제1 절반부에서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곡률은 비교적 크고, 제2 절반부에서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곡률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타원형 형광램프(4)의 지점 A0 에서 AN까지의 지점으로부터 발광된 광과 타원형 형광램프(4)의 장경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B0에서 BN 까지의 지점으로부터 발광된 광과 타원형 형광램프(4)의 장경 사이에 형성된 각도보다 크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형광램프(4)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1)는 원형 형광램프(2)로부터 발산 플레이트(5)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량보다, 다량의 광량을 발산 플레이트(5)로 비스듬히 향하게 한다. 따라서, 백라이트장치(1)는 광을 모든 방향으로 방사하고 발산한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형광램프(4)로부터 발광된 광은 모든 방향으로 어느정도 미리 발산된 상태로 발산 플레이트(5)에 방사되어, 원형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종래의 백라이트장치에 비해 휘도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와는 다르게, 형광램프의 직상부에 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형광램프의 표면상에 패턴을 프린팅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형광램프(4)로부터 발광된 광은 도5에서 도시된 백라이트장치와는 다르게,반사기(3)의 측벽에서 반사되지 않으므로, 휘도가 감소되는것이 회피 가능하다.
백라이트장치는 가능한 얇게 제조되어야 한다고 할때, 휘도의 균일성의 향상은 형광램프(4)와 발산 플레이트(5)사이의 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백라이트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타원형 형광램프(4)로부터 발산 플레이트(5)상으로 발광된 광(9)과, 원형 형광램프(2)로부터 발산 플레이트상으로 발광된 광을 도시한 것이다.
원형 형광램프(2)에 있어서, 원형 형광램프(2)의 중심선과 발산 플레이트(5)사이의 거리는 ± 20% 내의 휘도편차로 제한하기 위하여, 14.5mm가 되어야 한다.
이제, 원형 형광램프(2)의 외주는 36개의 섹션으로 동일하게 분할되고, 상기 36개의 섹션에서 발광된 광(8)은 P0에서 PN까지의 발산 플레이트(5)의 위치에 도달한다고 가정한다. 만일 발산 플레이트(5)가, 타원형 형광램프(4)의 외주를 동일하게 분할함으로서 형성된 36개의 섹션에서 발광된 광(9)이 P0에서 PN까지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배치된다면, 타원형 형광램프(4)의 중심(O)과 발산 플레이트(5) 사이의 거리(d)는 9.4mm이다.
즉, 형광램프(4)와 발산 플레이트(5)사이의 거리를 5.1mm(14.5 - 9.4 = 5.1)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1)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장치(101)보다 5.1mm 얇게, 휘도편차 ± 20%내로 얇게 제조될 수 있다.
형광램프(4)가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 횡단면을 갖도록 설계 되더라도, 형광램프(4)의 횡단면은 타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제1절반부의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한 위치에서 보다 큰 중공을 구비하도록 형상이 설계된다면, 상기와 같은 백라이트장치(1)가 원형 형광램프(2)로부터 발산 플레이트(5)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량보다, 다량의 광량을 발산 플레이트(5)로 비스듬히 향하게 하므로, 형광램프(4)는 어떠한 형상도 구비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는, 제2실시예의 형광램프(14)가 마름모형 횡단면을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장치와 구조상 동일하다. 형광램프(14)는 마름모형 횡단면의 대각선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 되도록 반사기(3)에 봉입된다. 형광램프(14) 각각의 4개의 평면은 발산 플레이트(5)에 비해 경사진다.
마름모형 횡단면을 구비한 형광램프(14)는 아치형 평면으로 구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 형광램프(2 또는 4)와는 다르게, 4개의 평면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동일한 광량이 마름모형 형광램프(24)의 4개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동일한 광량이 발광된다. 결과적으로, 마름모형 형광램프(14)는, 마름모형 형광램프(14)의 주변길이와 동일한 주변길이를 갖는 타원형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광량보다 다량의 광량으로, 발산 플레이트(5)에 비스듬히 향하여, 휘도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정량의 광이 마름모형 형광램프(14)의 4개의 평면 각각으로부터 발광되므로, 휘도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돗트 패턴이 발산 플레이트(15)상에 프린트 되어, 휘도편차를 약간 보정하는 경우, 돗트 패턴의 밀도는 용이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마름모형 형광램프(14)가 장축 대각선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 되게 배치 되더라도, 마름모형 형광램프(14)는 단축 대각선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되게 배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주의할점은 장축 대각선이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되게 배치된 마름모형 형광램프(14)는 광을 보다 큰 각도로 발산 플레이트(5)에 방사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멀리 인접한 램프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반사기(13)에서 반사된 광이 효과적으로 발산 플레이트(5)에 향하도록 하여, 휘도의 감소를 제어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상기의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언급한 바와같이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고서도 균일한 휘도의 향상이 가능하며, 두께를 얇게하여 백라이트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Claims (8)

  1. 광원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한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개구부를 구비하며, 광 반사성 물질로 구성된 반사기(a)와,
    상기 반사기(3)내에 위치한 최소한 하나의 램프(4,14)와,
    상기 반사기(3)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며, 상기 램프(4,14)로부터 발광된 광 플럭스를 발산하는 발산 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4,14)는, 원형 횡단면을 구비한 램프(102,2)로부터 상기 발산 플레이트까지 비스듬히 향하는 광량보다는 다량의 광량을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비스듬히 조사하는 형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2. 제1항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4,14)는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하게 위치한 제1 절반부와, 상기 제1 절반부보다 상기 발산 플레이트(5)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제2 절반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램프(4,14)는 상기 제1 절반부내의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근접한 위치에서 보다 큰 중공을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3. 제2항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반부는 상기 램프(4,14)의 중심 부근에서 상호 좌우대칭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4. 제1항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4)는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인 장경을 갖는 타원형 횡단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5. 제4항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4,14)는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비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6. 제5항의 백라이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14)는 마름모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4)는 상기 마름모형 횡단면의 장축 대각선이 상기 발산 플레이트(5)에 수직이 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상기 반사기(3)로부터 동일하게 떨어져 평행으로 배치된 다수의 램프(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장치.
KR1019990022783A 1998-06-19 1999-06-17 액정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장치 KR20000006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73268 1998-06-19
JP10173268A JP2000010094A (ja) 1998-06-19 1998-06-19 バックライト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62A true KR20000006262A (ko) 2000-01-25

Family

ID=1595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783A KR20000006262A (ko) 1998-06-19 1999-06-17 액정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010094A (ko)
KR (1) KR20000006262A (ko)
TW (1) TW38708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103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611534B1 (ko) * 2000-03-30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타입의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7796B2 (ja) 2003-11-06 2008-02-13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両面型液晶表示装置
JP4866020B2 (ja) * 2005-05-02 2012-02-01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101212136B1 (ko) * 2005-06-29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리즘 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JP4797161B2 (ja) * 2005-07-27 2011-10-19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WO2007032320A1 (ja) 2005-09-13 2009-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陰極型放電ランプ、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JP4816437B2 (ja) * 2006-01-04 2011-11-1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285380B2 (ja) * 2008-10-03 2013-09-11 Idec株式会社 発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34B1 (ko) * 2000-03-30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타입의 액정표시장치
KR20030073103A (ko) * 2002-03-08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10094A (ja) 2000-01-14
TW387082B (en) 200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11723A (ja) 面状照明装置
JP200919366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2006173624A (ja) Led光源
EP2784377B1 (en) Optical lens,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7244480B2 (ja) 薄型直接式バックライトのための超広配光発光ダイオード(led)レンズ
US20020041500A1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including inclined light scattering portions
JP2003504681A (ja) 1または複数の一体型ディフューザを有する光導波路
KR20000006262A (ko) 액정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장치
US20070291510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JP2013012380A (ja) 光束制御部材、この光束制御部材を備えた発光装置およびこの発光装置を備えた面光源装置
JP2003281920A (ja) 照明装置
JPH08179318A (ja) 液晶用照明装置
JPH0935518A (ja) 液晶表示用導光板
JP2000098382A (ja) 透明導光板
JP2603650B2 (ja) 面状照明器具
JP2000243120A (ja) 面状照明装置
KR20000017639A (ko)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JP6785397B2 (ja) 面状照明装置
KR100402288B1 (ko) 산란패턴을 지닌 도광판
JP2001135121A (ja) 照明装置および同装置用導光板
KR100290774B1 (ko) 액정표시소자용 백 라이트 유니트의 휘선 저감 구조
JPH08201809A (ja) 照明装置
KR20030013105A (ko) 직하형 평면 광원 구조
JPH0812277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1052514A (ja) 平面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