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092A - 휴대용소형무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소형무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092A
KR20000006092A KR1019990021668A KR19990021668A KR20000006092A KR 20000006092 A KR20000006092 A KR 20000006092A KR 1019990021668 A KR1019990021668 A KR 1019990021668A KR 19990021668 A KR19990021668 A KR 19990021668A KR 20000006092 A KR20000006092 A KR 2000000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oop
loop antenna
terminal devic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라노노부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0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65Open ring dipoles; Circular di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는 루프 안테나가 접속된 무선 보드, 및 표시부와 배터리를 구비하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무선 보드와 평행하게 접속된 제어 보드로 구성된다. 상기 루프 안테나의 평행한 부분중 적어도 한 단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안테나의 루프면은 무선 보드 및 제어 보드와 수직을 이루며, 루프 안테나의 루프면과 무선 보드의 단부 사이에는 갭이 확보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PORTABLE COMPACT RADIO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이동 단말기에 적합하고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고성능화와 소형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기술들도 현저하게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회로 기술, 디바이스 등에서의 발전과 비교해 볼 때, 보다 우수한 성능과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안테나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은 이동 단말기를 설계할 때 문제가 된다.
사람들은 현재 가장 작은 이동 무선 장치로 간주되는 페이저(Pager)를 종종 휴대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페이저를 휴대했을 때에도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다. 루프 안테나(loop antenna)는 자계를 검출하여 사람들이 페이저를 휴대했을 때에도 안테나의 이득 감소가 없도록 설계한 안테나이다. 따라서, 최근의 많은 페이저들은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최근 페이저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페이저 내에 보다 소형화된 루프 안테나를 내장하고자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페이저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면, 종래의 루프 안테나의 기술 수준으로는 현재의 안테나 이득과 동일한 안테나 이득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안테나 루프의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안테나는 금속 부품들에 의해서 자계들과 간섭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안테나를 포함한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부품들이 안테나에 끼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안테나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루프 안테나가 접속된 무선 보드, 및 표시부와 배더리를 구비하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무선 보드와 평행하게 접속된 제어 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루프 안테나의 평행한 부분중 적어도 한 단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의 루프면은 상기 무선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수직을 이루며, 상기 루프 안테나의 루프면과 상기 무선 보드의 단부 사이에 갭이 확보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루프 안테나 개구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기의 측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와 종래의 안테나에 대하여 안테나 루프 길이와 안테나 루프의 개구 면적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루프
2 : 무선 보드
3 : 제어 보드
4 : 표시부
5 : 배터리
6 : 커넥터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선 I-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안테나 개구를 도시한다.
루프 안테나(1)는 두 위치에서 무선 보드(2)에 접속된다. 이 안테나의 접속부는 루프 안테나(1)의 루프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휘어져 있다. 루프 안테나(1)가 실장될 때, 무선 보드(2)와 제어 보드(3)는 루프 안테나(1)의 루프면과 수직을 이루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보드(2)와 루프 안테나(1)의 루프 부분 사이에는 갭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무선 보드(2)와 제어 보드(3)가 루프의 개구면을 블로킹하는 것을 방지한다. 무선 보드(2)로부터 루프 안테나를 분리시켜서, 금속 부품들이 안테나에 끼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갭은 클 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페이스를 고려할 때 갭은 약 5㎜가 한계이다. 또한, 표시부(4)와 배터리(5)는 무선 보드(2)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어 보드(3)에 접속된다. 제어 보드(3)는 커넥터(6)를 통해서 무선 보드(2)에 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루프 안테나(1)의 평행한 부분의 한 단부는 (화살표 A로 표시된 측부에서) 반원형의 벨트형 도체로 형성되고, 루프 안테나(1)의 접속부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도 3의 오른쪽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무선 보드(2)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측부(도 3의 하부 측부)에서 루프 안테나의 단부의 코너는 (화살표 B에 의해서 표시되는 측부에서) 1/4 원의 형태가 되어, 상기 단부가 무선 보드(2)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루프 안테나가 반원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때 가장 높은 이득을 갖는다고는 하지만, 안테나는 반원형 외에도 반타원형과 같은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루프 안테나(1)는 정합 회로를 통해 무선 보드(2) 상의 무선 회로에 접속된다. 그러나, 통상 하나 또는 두개의 접속부는 위상 정합 캐패시터에 의해서 접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안테나부, 위상 정합 캐패시터, 및 접지부가 하나의 루프를 구성하여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이 회로가 안테나로 동작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루프 안테나(1)와 무선 보드(2)의 2개의 접속부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보다 루프 안테나(1)의 평행 부분의 중간 부분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평행한 부분의 2개의 단부 (화살표 A와 B에 의해서 표시된 2개의 측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2개의 단부는 반원형 대신에 반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루프 안테나의 효율(η)은 안테나의 방사 저항과 손실 저항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낸다.
여기서, Rr은 방사 저항이고 R1은 손실 저항이다.
방사 저항(Rr)은 루프 개구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손실 저항(R1)은 루프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동일한 도체로 구성되고 동일한 안테나 루프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들은 동일한 손실 저항(R1)을 가지지만, 보다 큰 아안테나 루프 개구 면적을 가지는 안테나는 보다 큰 방사 저항(Rr)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큰 안테나 효율(η)을 갖게 된다.
도 5는 직사각형의 루프 안테나와 본 실시예의 2개의 반원형 단부를 가진 안테나가 동일한 안테나 루프 길이를 가질 때, 직사각형의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루프 개구 면적 및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반원형 단부를 가진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루프 개구 면적을 비교한 것이다. 직사각형의 루프 안테나는 1:1의 종횡비를 갖는다는 것을 숙지하자. 비교 결과, 반원형 루프 안테나와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가 동일한 안테나 루프 길이를 가질 때, 반원형 루프 안테나가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보다 큰 안테나 루프 개구 면적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본 실시예의 루프 안테나의 2개의 단부는 둥글기 때문에, 루프 안테나는 직사각형의 루프 안테나보다 높은 안테나 효율을 가진다. 특히, 두개의 단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될 때에 최대의 안테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하우징의 주변부를 둥근 코너부로 하므로써 보다 우수하게 설계할 수 있고 하우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서, 하우징에 통합되는 장치를 설계해야 한다. 하우징의 주변부에 통합될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가 하우징의 둥근 코너부를 피하는 형태가 되면, 안테나의 크기가 축소되어야 한다. 이것이 안테나 이득을 증가시킨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루프 안테나에서는, 하우징 내부의 둥근 코너부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높은 안테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선 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상에 따르면, 반원형으로 형성된 평행한 부분의 한 단부를 가지는 루프 안테나(1)의 안테나 도체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선형 도체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루프 안테나(1)의 손실 저항(R1)은, 동일한 도체 표면적을 가지는 벨트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도 1에서의 루프 안테나(1)와 비교했을 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는 안테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도 4의) 제2 실시예의 루프 안테나(1)의 안테나 도체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선형 도체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손실 저항(R1)이, 동일한 도체 표면적과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벨트형 도체를 사용하므로써 형성되는 도 4의 루프 안테나(1)의 손실 저항보다 작어진다. 또한, 두개의 반원형 단부를 가지는 루프 안테나는 최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 안테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의 하나 또는 두개의 짧은 측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종래의 직사각형 루프 안테나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는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하우징의 주변부중 코너부를 둥글게 하여 보다 우수한 설계를 하고 하우징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 하우징에 통합시킬 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주변부에 통합될 직사각형의 루프 안테나가 하우징의 둥근 코너부들을 피하도록 설계되었다면, 안테나의 크기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루프 안테나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의 둥근 코너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높은 안테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무선 보드, 제어 보드, 및 루프 안테나의 루프면이 서로 수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 보드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루프 부분 사이에 갭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무선 보드와 제어 보드가 루프의 개구면을 블로킹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 부품들이 안테나에 끼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9)

  1. 루프 안테나(1)가 접속된 무선 보드(2), 및 표시부(4)와 배터리(5)를 구비하며 커넥터(6)를 통해 상기 무선 보드와 평행하게 접속된 제어 보드(3)로 구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의 평행한 부분의 적어도 한 단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의 루프면은 상기 무선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수직을 이루며, 상기 루프 안테나의 상기 루프면과 상기 무선 보드의 단부 사이에는 갭이 확보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의 2개의 단부는 반원형(semicircular shape)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의 2개의 단부는 반타원형(semi-elliptic shape)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선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선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선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벨트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벨트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벨트형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소형 무선 단말 장치.
KR1019990021668A 1998-06-11 1999-06-11 휴대용소형무선단말장치 KR20000006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63381 1998-06-11
JP10163381A JPH11355021A (ja) 1998-06-11 1998-06-11 携帯用小型無線端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92A true KR20000006092A (ko) 2000-01-25

Family

ID=1577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68A KR20000006092A (ko) 1998-06-11 1999-06-11 휴대용소형무선단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25952B1 (ko)
JP (1) JPH11355021A (ko)
KR (1) KR20000006092A (ko)
CN (1) CN11261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257B2 (en) * 2002-02-22 2005-03-22 Sandisk Corporation Pipelined parallel programming operation in a non-volatile memory system
EP1416585B1 (en) * 2002-10-31 2009-02-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deband loop antenna
US7342539B2 (en) * 2002-10-31 2008-03-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deband loop antenna
US6842149B2 (en) * 2003-01-24 2005-01-11 Solectron Corporation Combined mechanical package shield antenna
CN100438213C (zh) * 2003-08-13 2008-11-2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垂直式倒f型天线
ATE488882T1 (de) * 2005-05-31 2010-12-15 Palm Inc Antennenstruktur für mobile kommunikationsendgeräte
US7202825B2 (en) * 2005-09-15 2007-04-10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battery/antenna system
US7671819B2 (en) * 2007-07-24 2010-03-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tenna assembly
US20090121944A1 (en) * 2007-11-08 2009-05-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deband antenna
CN104733838A (zh) * 2013-12-18 2015-06-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TWI673961B (zh) * 2017-02-16 2019-10-01 美商達創世界通訊公司 用於雙可程式化即按即說按鍵的可攜式無線電系統及其方法
WO2019130843A1 (ja) * 2017-12-29 2019-07-04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506A (ko) * 1992-09-03 1994-04-25 오오노 히로시 구두의 뒤축
JPH07263931A (ja) * 1994-03-25 199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823217A (ja) * 1994-07-06 1996-01-23 Kokusai Electric Co Ltd 小形無線受信機用アンテナ
JPH08130403A (ja) * 1994-10-31 1996-05-21 Nec Corp アンテナ内蔵型携帯用無線機
KR980006620A (ko) * 1996-06-17 1998-03-30 가네꼬 히사시 루프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09A (en) 1979-06-28 1981-01-22 Nisshin Steel Co Ltd Simultaneous recording method of input/output side width gauge
JPS59189308A (ja) 1983-04-13 1984-10-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と光導波路との接続方法
JPS6172906A (ja) 1984-09-17 1986-04-15 Babcock Hitachi Kk 冷却型低NOxバ−ナ装置
JPS6221302A (ja) 1985-07-22 1987-01-29 Oi Denki Kk 携帯型無線機用ル−プアンテナ
JPH0286201A (ja) 1988-09-21 1990-03-27 Harada Ind Co Ltd 自動車用ループアンテナ
JPH03289801A (ja) 1990-04-06 1991-12-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装置
JP2867710B2 (ja) 1991-01-09 1999-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ピン・グリッド・アレイ
JPH0597113A (ja) 1991-09-30 1993-04-20 Ricoh Co Ltd 記録装置の帯束機
JPH069217A (ja) 1992-02-25 1994-01-18 General Electric Co <Ge> 銀を含有するタリウム−カルシウム−バリウム−銅−酸化物超電導体とその製造方法
JPH06164432A (ja) 1992-11-18 1994-06-10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機
WO1994019873A1 (en) 1993-02-25 1994-09-01 Motorola Inc. Receiver having concealed external antenna
JP3040916B2 (ja) 1994-07-08 2000-05-15 国際電気株式会社 小形無線受信機用アンテナ
JPH08162823A (ja) 1994-12-08 1996-06-21 Citizen Watch Co Ltd ページャー受信機
JPH088629A (ja) 1994-12-08 1996-01-12 Nec Corp 小型無線機の内蔵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506A (ko) * 1992-09-03 1994-04-25 오오노 히로시 구두의 뒤축
JPH07263931A (ja) * 1994-03-25 199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823217A (ja) * 1994-07-06 1996-01-23 Kokusai Electric Co Ltd 小形無線受信機用アンテナ
JPH08130403A (ja) * 1994-10-31 1996-05-21 Nec Corp アンテナ内蔵型携帯用無線機
KR980006620A (ko) * 1996-06-17 1998-03-30 가네꼬 히사시 루프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188C (zh) 2003-10-29
JPH11355021A (ja) 1999-12-24
CN1240305A (zh) 2000-01-05
US6225952B1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996A (en) Clip and method therefor
US9484623B2 (en)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297702B1 (ko) 표면실장형안테나및이안테나를사용하는통신기기
CA2321788C (en) Uniplanar dual strip antenna
EP1633015B1 (en) Sealing member and sea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ircuit unit
EP1120855A2 (en) Antenna device
KR20000006092A (ko) 휴대용소형무선단말장치
JPH07249925A (ja)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
US8654014B2 (en) Inverted-F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1641074A1 (en) Antenna device
CA2321775A1 (en) Antenna with two active radiators
KR20040068207A (ko) 모노폴 슬롯 안테나
US20100033381A1 (en) Dual-band antenna
US20130321219A1 (en) Antenna in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ble radiator
US6008761A (en) Loop antenna
JPH07288415A (ja) 小型無線装置
JP2001085920A (ja) 携帯無線端末
US10720696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enhanced antenna performance
KR100346990B1 (ko) 휴대무선기의안테나장치
JPH09148805A (ja) デュアルバンド非可逆回路装置
TWI514673B (zh) 無線通訊裝置
US10727588B2 (en) Mobile device
JPH0993016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GB2423643A (en) Folding mobile radio device
JP2005534242A (ja) 薄型パッチ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