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794A - 판재압연기 - Google Patents

판재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794A
KR20000005794A KR1019990019974A KR19990019974A KR20000005794A KR 20000005794 A KR20000005794 A KR 20000005794A KR 1019990019974 A KR1019990019974 A KR 1019990019974A KR 19990019974 A KR19990019974 A KR 19990019974A KR 20000005794 A KR20000005794 A KR 20000005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atic pressure
pressure bearing
support
work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다겐이치
니헤이미츠오
히라마유키오
다카쿠라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2000000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5Lateral support devices for rolls acting mai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2031/206Horizontal offset of work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 개시전후의 과도상태에 있어서도 정압베어링과 롤 사이의 거리를 항상 확보하여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수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하 작업롤(2, 3)과 작업롤(2, 3)를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아이들롤(8 내지 11)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12 내지 15)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100)에 있어서,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사이의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을 설치한다.

Description

판재 압연기{PLATE ROLLING MILL}
본 발명은 판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지름 작업롤을 사용한 경질재나 극박재의 압연에 적합한 판재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압연기에 있어서 작업롤의 지름이 작을 수록 압연 한계를 크게 취하기(보다 얇은 두께로 할 수 있음)때문에 스테인레스강 등의 경질재나 극박재의 압연에는 작은 지름의 작업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작업롤 지름이 작아지면 작업롤 자체의 비틀림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압연에 필요한 토오크를 작업롤에 부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작은 지름 작업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작업롤 이외의 롤(예를 들어 중간롤 등)을 구동롤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작업롤은 압연중에 있어서 그것에 접한 롤(예를 들어 중간롤)로부터의 구동접선력 및 압연재로부터의 전방장력·후방장력을 받는 것으로 된다. 이들은 모두 작업롤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하, 수평력이라 함)이나, 작업롤이 작은 지름화할수록 롤 자체의 굽힘강성이 작아지기때문에 이들 수평력에 의해서 수평면내에서 작업롤의 휨이 생기게 된다.
이 수평 휨이 발생하면 판재의 형상(평탄도)의 흐트러짐을 크게 한다. 또 작업롤이 상·하에서 역방향(한쪽이 입구쪽, 다른쪽이 출구쪽)으로 휘는 경우에는 상·하 작업롤의 중앙부가 서로 이반하는 방향의 힘을 받아 이 역방향 휨을 가속도적으로 조장시킨다. 이 경우에는 압연하중을 과도하게 크게 하면 롤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압연하중을 너무 크게할 수 없었다.
상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센지마밀을 비롯한 클러스터 타입의 압연기나,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60-182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작업롤 몸통부를 수평방향에서 지지롤로 서포트하는 수평 휨 방지기구를 구비한 압연기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압연기에 있어서는 롤 몸통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지지롤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분할된 지지롤에 의한 마크전사에 의해 재료의 표면성상이 악화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2-147108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분할 지지롤로 수평방향에서 작업롤 몸통부를 서포트함과 동시에 그 지지롤의 몸통부를 다시 정압베어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작업롤의 휨을 억제하는 구성이 제창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평 2-147108호 공보의 압연기에서는 이하와 같은 다른 과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종류의 압연기에 있어서, 박판의 압연을 개시할 때의 순서는 통상,
① 작업롤을 패스라인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압연재를 통판(단 압연재는 정지상태) ;
② 작업롤을 단단히 조여 압연재를 소정 하중으로 압압;
③ 압연재에 전방장력 및 후방장력부여;
④ 중간롤의 회전으로 작업롤을 구동하여 압연개시;
라는 차례로 된다.
상기 ① 내지 ④의 순서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순서④) 직전에 있어서는 구동접선력이 아직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데 대하여, 압연개시와 동시에 급격하게 작업롤에 구동접선력이 발생하는 상태로 된다. 압연개시 조작은 이와 같은 불연속인 조건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압연개시 직후에는 작업롤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여 정압베어링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커진다.
여기서 정압베어링은 유체(예를 들어 오일)의 정압에 의해서 롤을 부상시켜 비접촉상태로 지지한다는 구조상, 상기 과도적인 수평력에 의해서 롤 부상량(정압베어링과의 간극)이 순간적으로 작아진다. 또 롤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은 장력 등도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이들 때문에 롤과 정압베어링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롤이 손상되면 그 상처는 판의 표면에 전사되어 판이 불량품으로 되기 때문에 상처가 난 롤 및 정압베어링을 전부 교환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나 수율의 저하라는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초기의 조임 하중을 작게 하여 정압베어링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하고, 롤이 회전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의 하중까지 조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압연개시 직후의 판은 소정의 판두께로 되어 있지 않아 수율의 저하라는 문제는 잔존한다.
한편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61-193704 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정압베어링과 롤과의 거리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탄성수단으로는 부여하는 힘을 크게 하여 가면 변형량도 크게 할수 있기 때문에 롤과 정압베어링 사이의 거리를 항상 어느 정도이상 확보하여 접촉에 의한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연개시 전후의 과도상태에 있어서도 정압베어링과 롤 사이의 거리를 항상 확보하여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판재 압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상작업롤 부분의 수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
도 4는 압연개시시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정압베어링부근의 상세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VI-V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
도 8은 부상용 유체공급의 압력이 일정할 때의 아이들롤과 정압베어링의 사이에 가해지는 수평 압압력(S)과 양자 사이의 간극(부상량)(G)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부상량이 지나치게 큰 경우의 부적합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0은 간극 규정롤을 늘린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아이들롤을 늘린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작업롤을 정압베어링으로 비접촉 지지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아이들롤에 접하는 간극 규정롤을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간극 규정롤을 늘린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정압베어링과 아이들롤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작업롤 초크를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정압베어링과 아이들롤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작업롤 초크를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스토퍼수단에 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XVIII- XV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
도 19는 작업롤을 중간롤에 대하여 옵셋시킨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옵셋량의 산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1은 작업롤의 옵셋한 쪽에서만 아이들롤을 설치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2는 옵셋시키는 방향을 상·하 역으로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상작업롤부분의 수평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상작업롤부분의 수평단면도,
도 25는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정하여 아이들롤의 부상량을 조정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수평벤딩력을 부여하여 수평으로 휘는 것을 억제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7은 정압베어링과 아이들롤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작업롤 초크를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상작업롤부분의 수평단면도,
도 29는 아이들롤의 정압베어링으로부터의 부상량에 의거하여 옵셋위치를 제어하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30은 중간롤을 옵셋시킨 변형예에 의한 압연기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1은 도 30에 있어서의 작업롤부분의 수평단면도,
도 32는 정압베어링을 한쪽에만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33은 상 하비대칭인 5단 압연기에 적용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작업롤 8 ~ 11 : 아이들롤(지지롤)
10a : 아이들롤(제 1 지지롤) 10b, c : 아이들롤(제 2 지지롤)
12 ~ 15 : 정압베어링 16 ~ 19 : 지지빔(빔)
23 ~ 26 : 간극 규정롤(롤러수단, 스토퍼수단)
25A, 26A : 간극 규정롤(롤러수단, 스토퍼수단)
28, 29 : 하우징 포스트(하우징) 31, 32 : 하우징 포스트(하우징)
54 : 간극검출기(검출수단) 56, 57 : 작업롤 초크(유지수단)
58, 59 : 아이들롤 초크(유지수단)
70, 71 : 작업롤 이동장치(롤러 진퇴수단, 초크 진퇴수단)
72, 73 : 유압실린더(롤러 진퇴수단, 초크진퇴수단)
77a, b : 간극 규정블록(블록부재, 스토퍼수단)
81, 82 : 작업롤 초크(유지수단)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하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기 작업롤또는 상기 지지롤 사이의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압연개시 직후에 작업롤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여 그 작업롤 (또는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롤)을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에가해지는 수평력이 커지고, 정압베어링과 롤과의 간극(롤부상량)이 순간적으로 작아지려고 한 경우에도 그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압베어링과 작업롤(또는 지지롤)과의 간극을 소정치 이상으로 항상 확보하여 양자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된 롤러수단이다.
(3)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4)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5)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6) 상기 (5)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롤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작업롤에 직접 접촉하여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제 1 지지롤과, 이 제 1 지지롤에 상하방향 복수개소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2 지지롤을 포함하고,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제 2 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제 1 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7)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대하여 상하방향 복수개소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8)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정압베어링이 접속된 빔에 고정되어 있다.
(9) 상기 (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판재 압연기의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롤러수단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롤러 진퇴수단을 더욱 설치한다.
(10) 상기 (1)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상기 정압베어링에 고정된 블록부재이다.
(11) 상기 (2) 또는 (1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수단 또는 블록부재는 압연재의 최대 판폭에 대응하는 영역보다도 축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촉에 의한 마크전사에 의거하는 판재 표면성상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또 본 발명은 상·하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각각 지지하는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으로 지지되는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과의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한다.
유지수단으로 정압베어링과 작업롤(또는 지지롤)의 간극이 소정치로 유지됨으로써 압연개시 직후에 작업롤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여 그 작업롤(또는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롤)을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커진 경우에도 이것에 관계없이 정압베어링과 작업롤(또는 지지롤) 의 간극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13) 상기 (1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초크를 구비하고 있다.
(l4) 상기 (l3)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크는 상기 정압베어링이 고정된 빔에 접속되어 있다.
(15) 상기 (13)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크는 상기 판재 압연기의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초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초크 진퇴수단을 더욱 설치한다.
(16) 상기 (1) 또는 (1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베어링의 축방향 폭은 압연재의 최대 판폭이상으로 되어있다.
(17) 상기 (1) 또는 (1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압베어링과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 사이의 간극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정압베어링의 상기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가진다.
(1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또한 본 발명은 상·하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기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 이상으로 확보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2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의 상작업롤 부분의 수평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압연기(100)는 판재(1)를 압연하는 상·하작업롤 (2, 3)과, 이들 작업롤(2, 3)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중간롤(4, 5) 및 보강롤(6, 7)과, 작업롤(2, 3)를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아이들롤(8, 9, 10, 11)과, 이들아이들롤(8 내지 11)의 몸통부를 유체(예를 들어 오일)압력을 거쳐 비접촉상태로 (간극을 가지고)부상시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정압베어링(12, 13, 14, 15)과, 이들 정압베어링(12 내지 15)이 각각 부착되어 충분한 강성을 구비한 지지빔(16, 17, 18, 19)과, 작업롤(2, 3)의 중간롤(4, 5)에 대한 입·출구측 방향위치를 변화가능한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 22) 등[이하 적절히 간단하게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 22)라 함)과, 작업롤(2, 3)중, 최대 판폭의 판재(1)가 통과하는 영역보다도 축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작업롤(2, 3)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 도록(미소간극을 거쳐 대향하거나 접촉해도 좋음)설치된 간극 규정롤(23, 24, 25, 26)등 을 가지고 있다.
작업롤(2, 3)은 입구쪽·출구쪽 양방향으로부터 아이들롤(8 내지 11) 및 간극 규정롤(23 내지 26)로 지지됨으로써 압연기(100)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롤(4, 5)은 도시 생략한 모터에 접속되어 구동되고, 작업롤(2, 3)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정압베어링(l2 내지 15)은 그 축방향 폭이 판재(1)의 최대 판폭이상으로 되어있다.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는 하우징 포스트(28, 29)사이에 걸쳐진 빔(30)에 설치되고 있고, 각각 모터(20a, 21a)와 이 모터(20a, 21a)의 구동력에 의해 진퇴하는 스크류 샤프트(20b, 21b)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다른 정압베어링 이동장치 (22) 등도 같은 구조이다. 이들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내지 22)에 의한 이동기능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실현하여도 좋다.
지지빔(18, 19)은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내지 22)로 입구쪽·출구쪽 방향의 위치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작업롤(2, 3)의 중간롤(4, 5)에 대한 입출구측 방향위치를 변화가능토록 되어 있다.
지지빔(16, 17)은 하우징 포스트(31, 32)사이에 걸쳐진 빔(33) 등[이하 적절히, 간단하게 간극 규정롤(23, 24, 25, 26)이라 함]에 설치된 압압실린더(34, 35, 36)등에 의해서 작업롤(2)에 있는 일정한 힘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빔(16, 18)은 롤 교환시의 경우에는 후방으로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간극 규정롤(23, 24 및 25, 26)은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사이의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지지빔(16 및 18)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때의 고정방법은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지지빔(16, 18)에 가공된 나사구멍(도시 생략)에 간극 규정롤(23, 24 및 25, 26)이 각각 걸어맞춰진 나사(37, 38 및 39, 4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나사(37 내지 40)의 풀림 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정압베어링(12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사이의 최소 간극을 적절하게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에 있어서 아이들롤(8 내지 11)이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을 구성하고,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이 작업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된 롤러수단을 구성하고, 또한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지지롤과의 사이의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의 압연기(100)에 있어서 압연을 개시할 때는 이러한 종류의 압연기의 통상의 순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상작업롤(2)를 예로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롤(2, 3)을 패스라인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판재(1)를 통판(단 압연재는 정지상태)하고, 작업롤(2, 3)을 단단히 조여 판재(1)를 소정하중(P)으로 내리 누른다. 그리고 압연재에 전방장력(Tf) 및 후방장력(Tb)을 부여한 후, 중간롤(4, 5)을 토오크(T)로 회전시키고, 그 구동접선력(Ft)에 의해서 작업롤(2, 3)을 구동하여 압연을 개시한다.
이들 순서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의 직전에 있어서는 구동접선력(Ft)이 아직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데 대하여, 압연개시와 동시에 급격하게 작업롤에 구동접선력(Ft)이 발생하는 상태로 된다. 이 불연속인 조건때문에 압연개시 직후에는 작업롤(2, 3)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아이들롤(8 내지 11)을 거쳐 정압베어링(12 내지 15)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커진다. 그 때문에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롤부상량)이 순간적으로 작아지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롤(2, 3)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것이 스토퍼가 되어 작업롤(2, 3)은 항상 압연기(100)의 대략 중심에 놓여지고,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을 소정치 이상으로 항상 확보하여 양자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판재(1)의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때, 간극 규정롤(23, 24, 25, 26)은 작업롤(2, 3)중 최대 판폭의 판재(1)가 통과하는 영역보다도 축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작업롤(2, 3)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마크전사에 의거하는 판재 표면성상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압베어링(12 내지 15)으로 통상시(압연개시 직후의 과도적상태 이외를 포함함)에 행하여지는 아이들롤(8 내지 11)의 롤부상량의 제어에 관하여 특히 언급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행하여도 좋다. 그 제어내용을 정압베어링(12)을 예로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정압베어링(12) 부근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VI-V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 정압베어링(12)은 아이들롤(8)과 접하는 면에 아이들롤(8)을 부상시키는 힘을 발생하는 오일고임 포켓(41, 42, 43, 44)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 생략한 유체원으로부터의 부상용 유체(예를 들어 오일)는 급유콘트롤러(후술)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제어밸브에 의해서 그 유량을 제어한 후, 주급유구멍(45)으로 도입되고, 다시 주급유 구멍(45)으로부터 나누어지는 가늘은 지름의 종급유 구멍(46, 47, 48, 49, 50, 51, 52, 53)을 거쳐 포켓(41 내지 44)으로 보내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아이들롤(8)의 부상량은 정압베어링(12)의 중앙부에 매립된 간극 검출기(54)로 검출되어 앰프(55)로 증폭되고, 도시생략한 급유콘트롤러로 출력된다.
이 때, 부상용 유체공급압력 q = (일정) 의 조건에서의 아이들롤(8)과 정압베어링(12)의 사이에 가해지는 수평 압압력(S)과 양자 사이의 간극(부상량)(G)의 관계를 도 8에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간극(G)의 최적치(Go)는 아이들롤(8) 직경의 약 1/1000 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거하여 아이들롤(8)의 반경은 정압베어링(12) 내면의 반경보다 Go 만큼 작아지도록 미리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부상량 G < Go 가 되면, 아이들롤(8)과 정압베어링(12)의 바닥부가 접촉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손상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한편, 부상량(G)이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즉 부상량이 크면, 아이들롤(8)의 위치가 불안정해지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휘청거리기 때문에 그 때에 정압베어링(12)의 어깨부(12a, 12b)와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들과 같이 부상량(G)은 작더라도 지나치게 크더라도 손상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은 어느 허용범위(Gm≤G≤GM)가 존재한다. 그래서 도 8 에서 상기 부상량의 허용범위에 대응하는 적정 압압력의 범위(S1≤S≤S2)가 결정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급유콘트롤러는 수평 압압력(S)을 상기 적정범위로 유지하도록 유량제어를 행하고, 이것에 의해서 부상량(G), 즉 아이들롤(8)과 정압베어링(l2)과의 간극을 적정치로 유지한다. 또 상기의 간극검출기(54)가 정압베어링과 지지롤 사이의 간극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급유콘트롤러가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정압베어링의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대하여 입구쪽·출구쪽 2 개소의 조작측·구동측, 합계 4 개소에있어서 각각 1개의 간극 규정롤(25)(또는26, 27, 28)을 접하도록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간극 규정롤[도 10의 예에서는 간극 규정롤(25U, 25L)]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설치를 위해 보다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나, 상하방향의 안정성도 생각한 경우는 이들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를 응용하여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을 3개의 아이들롤(10a, 10b, 10c)로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세하게는 아이들롤 (10a)이 상작업롤(2a)에 직접 접촉하여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고, 이 아이들롤 (1Oa)에 대하여 아이들롤(1Ob, lOc)이 상·하방향 두 곳에서 접촉하여 지지하고, 이들 아이들롤(10b, 10c)의 몸통부를 정압베어링(18A)으로 비접촉 지지한다. 이 경우,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정압베어링에 유지되는 롤은, 비접촉 지지를 위해 지름의 미소한 변화가 부상량의 변화에 이어져 부상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구성재료로서 마모가 적은 비교적 높은 경도의 것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또 작업롤도 압연롤로서의 기능상, 구성재료로서 비교적 높은 경도의 것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압베어링 (12 내지 15)에 지지되는 아이들롤(8 내지 12)이 작업롤(2, 3)에 직접 접하는 구조로 하면, 만일 이물이 그 접하는 롤사이에 맞물린 경우에는 양자 모두 높은 경우도이기 때문에 쌍방이 손상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압베어링(18A)에 지지되는 아이들롤(10b, 10c)과 작업롤(2)과의 사이에 아이들롤 (1Oa)이 개재하는 구조로 하면, 이 아이들롤(1Oa)을 비교적 낮은 경도의 재질로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이 저강도의 롤(1Oa)만이 손상되게됨으로써, 아이들롤(1Ob, 10c) 및 작업롤(2)을 손상없이 잔존시킬 수 있다. 이들의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대하여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을 직접 접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작업롤(2)자체는 이것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아이들롤(8, 10)을 거쳐 정압베어링(12, 14)으로 지지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작업롤(2)자체를 정압베어링 (14A) 등(한쪽만 도시)으로 비접촉 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아이들롤과 작업롤과의 대응관계(아이들롤에 대한 각종 수단은 작업롤에 대해서도 응용가능한 것)는 특히 반복하지 않으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각 구조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 반대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작업롤(2)을 아이들롤(8, 10)을 거쳐 정압베어링(12, 14)으로 지지하는 한편, 간극 규정롤(25A, 26A) 등(한쪽만 도시)도 아이들롤(8, 10)에 접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간극 규정롤(25A) 등을 상·하 2개의 롤(25U, 25L)로 나누어 상·하 두 곳에서 아이들롤(10)에 접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수단으로서의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을 설치함으로써,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이 되는것을 방지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지지롤과의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다.
도 15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의 양 축단에 작업롤(2)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작업롤 초크(56, 57)를 설치하고, 이들 초크(56, 57)를 정압베어링(12, 14)이 부착된 지지빔(16, 18)에 연결한 것이다. 또한 롤교환시에는 그 초크(56, 57)와 지지빔(16, 18)과의 연결은 개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6은 예를 들어 상작업(2)을 지지하는 아이들롤(10)등(한쪽만 도시) 의 양 축단에 아이들롤(10)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아이들롤 초크(58, 59)를 설치하고, 이들 초크(58, 59)를 고정대(60, 61)를 거쳐 정압베어링(14)이 부착된 지지빔(18)에 연결한 것이다.
이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하면, 초크(56, 57)(또는58, 59)에 의해서 정압베어링(14) 등과 아이들롤(10) 등과의 간극이 구조적으로 결정되는 소정치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 직후에 작업롤(2) 등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여 그 작업롤(2) 등을 지지하는 아이들롤(10) 등을 지지하는 정압베어링(14)등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커진 경우에도 이에 관계없이 정압베어링(14) 등과 아이들롤(10) 등과의 간극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 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으로서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을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스토퍼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17 및 도 18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은 이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수평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 XVIII- XVIII 단면에 의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관한 서포트롤(10)을 비접촉 지지하는 정압베어링(14)의 축방향 양측[판재(1)의 최대 판폭에 상당하는 영역의 바깥쪽 위치)에 스토퍼수단으로서의 간극 규정블록(77a, 77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간극 규정블록(77a, 77b)은 서포트롤(10)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또 간극 규정블록(77a, 77b)과 정압베어링(14) 내면간의 단차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허용최소간극량(Gmin) (도 8의 Gm과 동일하여도 좋다)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간극 규정블록(77a, 77b)은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마모나 표면 거칠음이 생긴 경우에는 교환할 수 있다. 또 이들 블록(77a, 77b)은 순간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이고, 항상 큰 힘으로 슬라이딩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그 재질은 특히 금속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테프론이나 수지 등에 의해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압연개시 직후에 예를 들어 작업롤(2)을 크게 휘게 하고자 하는 힘이 과도적으로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서포트롤(10)이 정압베어링(14)에 접근하면 정압베어링(14)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양쪽 끝부의 간극 규정블록 (77a, 77b)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정압베어링(14)과 아이들롤(10)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이 경우 허용 최소간극량(Gmin)]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서포트롤(10)의 간극 규정블록(77a, 77b)과 접촉한 부분에는 슬립 손상이 생길 가능성도 있으나, 이 상처는 판재(1)의 최대 판폭에 상당하는 영역의 바깥쪽 위치가 되기 때문에 판재(1)에 대한 악영향은 방지된다.
따라서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이 정압베어링(14)등과 아이들롤(10)등과의 간극을 소정치 이상으로 항상 확보하여 양자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도 확실하게 방지하여 판재(1)의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연개시 직후의 과도적인 수평력 발생에 의한 정압베어링(14)등과 아이들롤(10)등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주안으로 하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작업롤(2, 3)은 압연기(100)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압연개시후의 압연중에 있어서의 수평력에 의한 수평 휨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공지의 옵셋제어를 조합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 22)등을 이용하여 작업롤(2, 3)의 중간롤(4, 5)에 대한 입출구측 방향이치를 변화시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롤(2, 3)을 중간롤(4, 5)에 대하여 y 만큼 옵셋시켜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옵셋제어에 적용한 경우에 고유의 효과도 있게 된다. 그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즉, 통상 옵셋제어에 있어서는 그 옵셋량(y)을 압연하중, 압연토오크, 전후장력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 적합한 값으로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서 작업롤(2, 3)에 인가되는 수평방향의 힘을 억제한다. 그것을 위한 옵셋량(y)의 산출방법을 도 20에 의해 설명한다.
도 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힘(SL)은, 도 4와 같이 판재(1)에 인가되는 후방(입구쪽) 장력을 Tb, 전방(출구쪽)의 장력을Tf, 중간롤(4)의 토오크(T)에 의한 구동접선력을 Ft, 압연하중(P)의 수평분력을 FP로 하여
SL = Tf-FP + (Tb - Tf) / 2
이 된다. 이 때, 구동접선력(Ft) 및 하중수평분력(FP)은 중간롤(4)의 반지름을 RI, 작업롤(2)의 반지름을 RW로 하고
Ft = T / RI
FP = P ·y / (RI + RW)
이 된다.
그리고 식 (1)에 식 (2) 및 식 (3)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수평력이 SL 일 때의 옵셋량(y)은,
y = (T / RI + (Tb - Tf) / 2 - SL) (RI + RV) / P
가 된다.
여기서 식 (4)중 압연하중(P), 토오크(T), 장력(Tb, Tf)은 압연조건이 결정되면 계산이 가능하고, 롤지름(RI, RW)도 미리 구조적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압연개시 전에 식 (4)에서 SL을 허용치이하인 값(일반적으로는 0)으로 함으로써 과대한 수평력이 인가되지 않는 최적의 옵셋량(yo)을 미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롤(2, 3)의 중심을 보강롤(4, 5)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yo 만큼 어긋나게 세트환 후에 압연을 행하면, 작업롤(2, 3)에 과대한 수평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롤(2, 3)의 수평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이 옵셋제어에 의한 작업롤의 수평 휨 억제방법의 개요이다.
여기에 있어서, 그 수평력이 SL = O 으로 되는 옵셋량(yo)은 어디까지나 압연중의 상태이다. 그런데 실제의 작업을 행할 때는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의 직전에 있어서는 구동접선력(Ft)이 아직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식 (1)에 있어서 토오크에 의한 접선력(Tf)이 존재하지 않고, 하중분력(FP)만이 존재함으로써, 이 때 작업롤(2)에 가해지는 수평력(SL')은 식 (1)에 Tf = 0 을 대입하여,
SL' = -FP + (Tb - Tf) / 2
가 된다. 이 상태에서 SL'을 0 으로 하고자 하면 후방장력(Tb)을 크게하는 것 밖에는 없으나, 후방장력을 크게 하면 압연개시시에 슬립을 일으켜 안정된 압연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통상 전후의 장력(Tb, Tf)은 대략 동일치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압연하중(P) 부가후 중간롤(4)이 회전개시하기 까지의 사이(통상, 예를 들어 수초간)는 SL' ≒ -FP 로 되어, 압연하중이 크면 SL' 도 비교적 큰 값이 되기 때문에 정압베어링(12)에 가해지는 수평력이 그동안 현저하게 커진다. 그 때문에 정압베어링(12)에 대한 아이들롤(8)의 부상량(간극)이 그동안 작아지려고 한다.
그러나 본변형예에서는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롤(2, 3)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와 같은 압연개시시에 있어서의 옵셋제어 고유의 수평력(SL')에도 대응하여 그들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이 그 수초동안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정압베어링 (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이 되는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옵셋한 작업롤(2, 3)의 입·출구측의 양쪽에서 아이들롤(8 내지 11)를 거쳐 정압베어링(12 내지 15)으로 지지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롤(2, 3)의 옵셋한 쪽에서만 아이들롤 (10, 11)을 거쳐 정압베어링(14, 15)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쪽에서만 간극 규정롤(도시생략)로 지지해도 된다. 이에 따라 설비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옵셋시키는 방향을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에서 반대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도 23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정압베어링을 아이들롤에 내리 누르는 힘을 조절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경우의 실시형태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200)의 상작업롤 부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과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의한 압연기(200)가 제 1 실시형태의 압연기(100)와 다른 점은 작업롤(2, 3)를 지지하는 아이들롤(8 내지 11)을 비접촉 지지하는 정압베어링(12 내지 15)이 지지빔(16 내지 19)에 직접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빔(16 내지 19)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유압실린더(62, 63, 64, 65 및 66, 67, 68, 69)등[지지빔(16, 18)에관한 구조만 도시]에 의해서 소정의 힘으로 작업롤(2, 3)에 내리 눌러져 있는 점이다.
또한 이 때의 유압실린더(62 내지 69)등에 의한 압압력의 제어는, 도 5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먼저 설명한 정압베어링(12 내지 15)에 대한 급유컨트롤러의 유량제어와 아울러 최종적으로 정압베어링(l2 내지 15)에서의 아이들롤(8 내지 11)의 압압력(S)이 도 8에 나타내는 적정 압압력 범위(S1≤S≤S2)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도 24 내지 도 27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간극 규정롤을 하우징 포스트에 고정한 경우의 실시형태이다. 제 1 및 제 2의 실시형태와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300)의 상작업롤 부분의 수평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300)가 제 1 실시형태의 압연기(100)와 다른 점은 간극 규정롤(23 내지 26)등이 지지빔(16 내지 19)등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간극 규정롤(25, 26)은 하우징 포스트(28, 29)에 배치된 작업롤 이동장치(70, 71)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쪽의 간극 규정롤(23, 24)은 하우징 포스트(31, 32)에 배치된 유압실린더(72, 73)에 의해서 소정의 힘으로 작업롤(2)에 내리 눌러지는 것이다.
작업롤 이동장치(70, 71)측(도 24에 있어서 좌측)에 있어서는 먼저, 그 작업롤 이동장치(70, 71)에 의한 작업롤(2)의 위치설정[예를 들어 압연기(300)의 중앙]후에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의 위치설정을 행하고, 아이들롤(10)과 정압베어링(14)과의 간극이 소정치(Go)[예를 들어 아이들롤(10)의 직경의 1/1000]가 되도록 설정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정압베어링(14)의 부상용 공급압력을 0 으로 하여 매우 약한 힘으로 정압베어링(14)과 아이들롤(10)을 접촉시키고, 이 상태를 간극(G)의 0점으로 결정한 다음,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에 의해서 정압베어링 (14)을 Go만큼 움직이면 된다.
유압실린더(72, 73)측(도 24에 있어서 우측)에 대해서는 하우징 포스트(31, 32)에 배치되어 간극 규정롤(23, 24)을 압압하는 유압실린더(72, 73)는 압연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는 큰 힘을 가한다. 또한 정압베어링 (12)의 압압실린더(34, 35)에 의한 압압력은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적정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구성에 있어서 유압실린더(72, 73) 및 작업롤 이동장치(70, 71)가 롤러수단을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롤러 진퇴수단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및 제 2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에 관해서 도시좌측에 작업롤 이동장치(70, 71)를, 우측에 유압실린더(72, 73)를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모두 작업롤 이동장치로 하여도 좋다.
또 양자모두 유압실린더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유압실린더의 유압을 조정하여 아이들롤(10)의 부상량을 조정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25에 의해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압연기(300A)에 있어서, 도 24에 있어서의 작업롤 이동장치(70, 71)의 대신에 지지빔(18)을 압압하는 유압실린더(74, 75)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아이들롤(10)과 정압베어링(14)사이의 간극(부상량)(G)이 측정기(76)로 검출되어 앰프(78)로 증폭된 후, 컨트롤러(79)에 입력된다. 컨트롤러(79)에서는 검출된 G와 도 8을 이용하여 상기한 허용하한치(Gm) 및 상한치(GM)와의 대소를 비교한다. G < Gm의 경우에는 컨트롤러(79)는 유압원(도시생략)으로부터 유압실린더(74, 75)에 대한 압유압력을 조정하는 유압제어밸브를 구비한 유압조절장치(80)에 감압신호를 출력하고, 압유압력을 작게 하여 정압베어링(14)의 아이들롤(10)에 대한 압압력(S)을 작게 한다. 한편 G > GM 이 되면, 유압조절장치(80)에 증압신호를 보내고 압유압력을 크게하여 정압베어링(14)의 아이들롤(10)에 대한 압압력 (S)을 증가시킨다.
또한 유압실린더(74, 75)가 아닌 도 24와같이 작업롤 이동장치(70, 71)를 이용하여 이 작업롤 이동장치(70, 71)의 구동을 상기와 같이 측정기(76)로 검출된 간극(G)에 따라 제어하여도 좋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 3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도 25의 변형예를 다시 응용하여 상기 검출된 간극(G)을 이용하여 수평 벤딩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즉 압연개시후의 압연작업중에 있어서는 작업롤 (2)등의 끝부 위치는 간극 규정롤(23 내지 26) 등에 의해서 거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연작업중에 부상량 검출기(76)로 간극(G)의 변화를 검출하였다고 한다면, 그것은 주로 수평력에 의거하는 작업롤(2)등의 휨에 의한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수평 벤딩력을 부여하면 이 휨을 억제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26에 나타낸다.
도 26에 있어서 압연기(300B)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의 양 축단의 간극 규정롤(23 내지 26)대향부보다도 더욱 축방향 바깥쪽에 작업롤(2)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작업롤 초크(83, 84)를 설치하고, 이들 초크(83, 84)에 대하여 하우징 포스트(28, 31)에 각각 배치된 유압실린더(85, 88)및 하우징 포스트(29, 32)에 각각 배치된 유압실린더(86, 89)에 의해서 수평방향의 굽힘력(벤딩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측정기(76)로 검출된 아이들롤(10)과 정압베어링(14)사이의 간극(부상량) (G)은 앰프(78)로 증폭후에 컨트롤러(79)에 입력된다. G < Gm의 경우에는 컨트롤러(79)는 유압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유압실린더(85, 88) 또는 유압실린더(86, 89)에 대한 압유압력을 조정하는 유압제어밸브를 각각 구비한 벤딩제어장치(90, 9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들을 거쳐 유압실린더(88, 89)에 굽힘력을 부여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부상량을 크게하는 방향의 수평굽힘을 가한다. 한편 G > GM 이 되면, 반대로 벤딩제어장치(90, 91)에 제어신호를 거쳐 유압실린더(85, 86)에 굽힘력을 부여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부상량을 작게 하는 방향의 수평굽힘을 가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제 3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압연중인 작업롤의 수평 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수단으로서의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을 설치함으로써 정압베어링(12 내지 15)과 아이들롤(8 내지 11)과의 간극이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하게 하여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지지롤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27에 나타낸다. 도 24 및 도 25와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에 있어서 압연기(300C)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의 양 축단에 작업롤 (2)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작업롤 초크(81, 82)를 설치하고, 이들 초크(81, 82)의 위치를 하우징 포스트(28, 29)에 배치된 작업롤 이동장치(70, 71) 및 하우징 포스트(31, 32)에 배치된 유압실린더(72, 73)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도 정압베어링(12, 14)등과 아이들롤(8, 10)등과의 사이의 간극조정은 유압실린더(34, 35, 74, 75)등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작업롤 이동장치(70, 71) 및 유압실린더(72, 73)가 초크를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초크 진퇴수단을 구성한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 3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연개시 직후의 과도적인 수평력 발생에 의한 정압베어링(14)등과 아이들롤(10)등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주안으로 하고, 작업롤(2)등은 압연기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9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후의 압연중에 있어서의 수평력에 의한 수평 휨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공지의 옵셋제어를 상기제 3의 실시형태에 조합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실시형태를 이하, 제 4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도 28 내지 도 33에 의해 설명한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400)의 상작업롤 부분의 수평단면도이다. 제 3의 실시형태와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압연기(400)가 제 3의 실시형태의 압연기(300)와 다른 점은, 예를 들어 작업롤 이동장치(70, 71)에 의해서 작업롤(2)을 상기한 도 19에서 예시한 것 같은 소정의 옵셋위치로 이동하고, 그 때 작업롤(2)에 가해지는 수평력을 받는 간극 규정롤(23 내지 26)의 부하를 간극 규정롤(25, 26)의 배후에 설치된 로드셀(92, 93)로 검출하는 것이다. 각각의 로드셀(92, 93)로 검출된 힘은 컨트롤러(94)에 의해 합계되어 수평력(SL)이 구해지고, 이동장치 제어장치(95)로 수평력(SL)이 0 이 되도록 작업롤(2)의 옵셋위치가 피드백 제어된다. 이 때 동시에 정압베어링이동장치(20, 21)도 동일 양만큼 움직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동일신호가 이동장치 그들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에도 출력된다.
상기한 피드백 제어를 행할 때의 옵셋량(y)의 설정위치는 예측되는 압연하중 (P)이나 장력(Tf, Tb) 등에 의거하여, 상기한 식 (4)로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3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도 19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개시시 에 있어서의 옵셋제어 고유의 수평력(SL')에도 대응하여 정압베어링(12, 14)등과 아이들롤(8, 10)등과의 간극이 미리 설정된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제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의 옵셋위치의 제어를 로드셀(92, 93)에 의한 검출하중에 의거하여 행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이더라도 좋다. 그와 같은 변형예를 도 29에 나타낸다.
도 29에 있어서 압연기(400A)는 예를 들어 아이들롤(10)의 정압베어링(14)으로부터의 부상량에 의거하여 상작업롤(2)의 옵셋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아이들롤(10)등과 정압베어링(14)등의 간극의 변화는 작업롤(2_등의 수평 휨에 의한 가능성이 크지만, 그 수평 휨은 압연중에 작용하는 수평력 (SL)에 의한다. 그래서 옵셋조정에 의해 수평력(SL)을 제어하면 압연중에 있어서도 간극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압연기(400A)는 이와 같은 목적의 것이다.
즉 도 26과 같이 측정기(76)로 검출된 아이들롤(10)과 정압베어링(14) 사이의 간극(부상량)(G)은 앰프(78)로 증폭한 후에 컨트롤러(79)에 입력된다. G < Gm의 경우에는 컨트롤러(79)는 도 29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이 커졌다고 판단하고, 이동장치 제어장치(86)를 거쳐 작업롤 이동장치(70, 71)에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롤(2)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동시에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에도 동일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G > GM 이 되면 도 29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이 커졌다고 판단하고, 이동장치 제어장치(86) 및 작업롤 이동장치(70, 71)를 거쳐 작업롤(2)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정압베어링 이동장치(20, 21)에도 동일신호를 출력한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도 28의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 제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옵셋량(y)은 중간롤와 작업롤의 상대적인 양이기 때문에 작업롤(2) 등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중간롤쪽을 역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동일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중간롤을 이동시킨 변형예를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다.
도 30은 이 변형예에 의한 압연기(400B)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1은 그 작업롤 부분의 수평단면도이다. 구조가 유사한 도 27이나 도 28과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압연기(400B)에 있어서, 중간롤(4, 5)을 각각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중간롤 초크(96, 97)에 옵셋방향 이동장치(98, 99) 및 그 반대측에 유압실린더(101, 102)가 접속되어 있고, 예를 들어 도 28에 나타낸 컨트롤러(9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중간롤 초크(96, 97)가 옵셋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작업롤(2)을 지지하는 작업롤 초크(81, 82)는 하우징 포스트(31, 28 및 32, 29)에 각각 부착된 프로젝트 블록(103, 104 및 105, 106)에 의해서 위치가 규정되어 있고, 작업롤(2, 3)은 항상 동일 위치(통상은 압연기의 대략 중심)에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때, 작업롤(2)에 가해지는 수평력을 측정하는 로드셀(108, 109)은 초크(81, 82)와 프로젝트 블록(103, 104 및 105, 106)사이에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도 28 및 도 29의 변형예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단스탠드의 리버스 압연기에서는 판두께가 큰 소재로부터 압연패스를 거듭하여 박판까지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판두께가 큰 소재를 지름이 작은 작업롤로 압연하면 맞물림 각이 커진다. 판을 맞물리기 위해서는 마찰계수가 맞물림 각도이상이 아니면 안되어, 큰 압하량을 취하려고 하면 맞물림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작은 지름 롤이면 압하율에 제한이 생겨, 패스회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판두께가 클 때는 지름이 큰 롤이 유리하나, 한쪽에서 판두께가 작아지면 큰 지름 롤에서는 압연하중이 커져, 작은 지름 롤쪽이 큰 압하율를 얻을 수 있다. 또 압연가능한 최소 판두께도 작은 지름 롤쪽이 작다. 이와 같이 판두께에 따라 롤지름을 전환하는 것은 생산성의 향상에 이어진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작업롤 초크(81, 82)의 부착에 프로젝트 블록(103 내지 106)을 이용함으로써 작업롤 초크(81, 82)주변에 이동장치나 압압실린더 등의 복잡한 기구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필요한, 정압베어링에 의한 지지를 필요로 하는 작은 지름 작업롤과 이것을 통상 필요로 하지 않는 큰 지름 작업롤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큰 지름, 작은 지름 양쪽의 롤초크 치수를 어느정도 공통화하면 더욱전환은 용이해져 단시간에서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단, 중간롤 초크(96, 97)주변에는 이동장치(98, 99)나 유압실린더(101, 102)등이 부착되나, 부착공간이 작업롤 초크(81, 82)주변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설계상 그것들의 부착은 용이하며 전환의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관해서 양측에 정압베어링(12, 14)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라도 좋다. 이와 같은 정압베어링을 한쪽에만 설치한 경우의 변형예를 도 32에 의해 설명한다. 구조적으로 유사부분이 있는 도 27, 도 28, 도 25와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에 나타내는 압연기(400C)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작업롤(2)은 아이들롤(10)을 거쳐 한쪽측의 정압베어링(14)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이 경우, 지금까지 설명하여 왔던 바와 같은 수평력(SL = O)으로 하는 것 같은 작업롤 옵셋위치제어를 행하면, 이하와 같은 단점이 생긴다. 즉 수평력(SL = 0)으로 하도록 제어를 행하여 작업롤(2)이 휨이 0 으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가령, 외란등에 의해 정압베어링(14)이 없는 쪽(도 32에 있어서 오른쪽)을 향하여 수평력이 약간이더라도 작용한 경우 그 쪽에는 상작업롤(2)을 지탱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수평 휨이 생기고, 또한 유압실린더(72, 73)의 압압력(Q)이 그 수평력(SL)에 지게 되면 작업롤(2)이 튕겨져 나간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컨트롤러(94)는 수평력(SL)을 0 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수평력(SL)이 정압베어링(14)측을 향하는 방향(도 32에 있어서 왼쪽) 의 소정치가 되도록 작업롤(2)의 옵셋위치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작업롤(2)은 항상 정압베어링(14)측으로 내리 누르게 되기 때문에 롤위치가 안정된다.
또한 이때, 컨트롤러(94)에서는 급격한 외란에 의한 작업롤(2)의 튕겨져 나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력 SL < 0 으로 되었을 때, 유압제어밸브를 내장한 압압력 조절장치(110)에 의해 유압실린더(72, 73)의 압유압력을 증가시켜 Q를 증대시키는 제어도 아울러 행한다.
즉, 이때의 Q의 증가량(△Q)은 예를 들어 다음식과 같이 - 수평력의 절대치에 비례한 양으로 한다.
△Q = α |SL |
여기서 α는 비례정수이다.
식 (6)에서 산출된 △Q는 압압력 조절장치(110)에 출력되고, 이것에 의해서 유압원으로부터의 압유공급량이 증대하고, 유압실린더(72, 73)의 압압력이 커진다. 이 제어는 어디까지나 SL 이 - 가 된 때에만 실행된다.
또한, 로드셀(92, 93)의 측정치(SLo)는 이 Q도 포함한 값이고, 정확한 수평력(SL)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Q의 값을 줄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94)는 압압력 조절장치(110)로부터 유압실린더(72, 73)의 압유압력(Q)도 도입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작업롤(2)에 관하여 한쪽의 정압베어링 (14)만 설치하면 좋고, 설비비용의 대폭적인 감소가 도모된다. 또 반대측에는 지지장치 등의 복잡한 기구가 없고, 냉각용 쿨런트를 걸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롤의 냉각효율이 양호해지고, 압연의 고속화나 고압하율화가 가능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6단 압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4단 압연기나, 예를 들어 도 33에 나타내는 상하 비대칭인 5단 압연기(단, 부호는 도 2에 준하여 붙이고 있다)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이들의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개시 전후의 과도상태에 있어서도 정압베어링과 롤 사이의 거리를 항상 확보하여 접촉에 의한 손상을 충분하고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품질의 저하가 없어져 수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 정압베어링이나 아이들롤의 손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교환을 위한 장시간에 걸친 운전정지도 하지 않아도 좋아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지름의 작업롤도 안정되게 사용가능해지기 때문에 경질이면서 얇은 판재를 효율적으로 압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4)

  1. 상·하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사이의 간극이 소정치 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된 롤러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롤러수단은 상기 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작업롤에 직접 접촉하여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제 1지지롤과, 상기 제 1지지롤에 상하방향 복수개소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 2지지롤을 포함하고,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제 2지지롤의 몸통부를 비접촉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제 1지지롤에 대략 수평방향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대하여 상하방향 복수개소에서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정압베어링이 접속된 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판재 압연기의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롤러수단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롤러진퇴수단을 더욱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상기정압베어링에 고정된 블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1.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 또는 블록부재는 압연재의 최대 판폭에 대응하는 영역보다도 축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2. 상·하 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각각 지지하는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초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는 상기 정압베어링이 고정된 빔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는 상기 판재 압연기의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초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초크 진퇴수단을 더욱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6.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의 축방향 폭은 압연재의 최대 판폭이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7.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과의 사이의 간극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정압베어링의 상기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8. 상·하 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의 몸통부 또는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비접촉으로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을 가지는 판재 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과 이 정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과의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 이상으로 확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19. 판재를 압연하는 상·하 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과,
    롤축방향에서 상기 지지롤의 양측에 배치되고, 대략 수평방향에서 상기 작업롤 위치를 소정위치로 설정하는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짐과,
    상기 지지빔을 거쳐 상기 정압베어링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장치를 설치하고,
    대략 수평방향에서 상기 작업롤 위치를 소정위치로 설정하는 부재의 한쪽을 상기 지지빔에 부착하고, 또한 회전롤러 또는 블록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21. 판재를 압연하는 상·하 작업롤과,
    상기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하는 정압베어링과,
    상기 정압베어링과,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과의 간극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상기 검출장치로 검출된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정압베어링의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압연기.
  22. 판재를 압연하는 상·하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롤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대략 수평방향에서 유체 지지하고,
    압연개시 전후에 롤 축방향에서, 상기 지지롤의 양측에서, 대략 수평방향에서 상기 작업롤 위치를 소정위치로 설정하도록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방법.
  23. 판재를 압연하는 상·하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롤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유체압력을 거쳐 대략 수평방향에서 유체지지하고,
    압연개시 전후에 압연재의 최대 판폭에 대응하는 영역보다도 축방향 바깥측 위치에서 대략 수평방향에서 상기 작업롤 위치를 소정위치로 설정하도록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방법.
  24. 판재를 압연하는 상·하 작업롤을 대략 수평방향에서 지지롤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지지롤의 몸통부를 정압베어링의 유체압력을 거쳐 대략 수평방향에서 유체지지하고,
    상기 정압베어링과, 상기 작업롤 또는 상기 지지롤과의 간극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극치에 의거하여 상기 정압베어링의 유체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방법.
KR1019990019974A 1998-06-02 1999-06-01 판재압연기 KR20000005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34798A JP3283823B2 (ja) 1998-06-02 1998-06-02 板材圧延機
JP10-153347 1998-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94A true KR20000005794A (ko) 2000-01-25

Family

ID=1556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974A KR20000005794A (ko) 1998-06-02 1999-06-01 판재압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250126B1 (ko)
JP (1) JP3283823B2 (ko)
KR (1) KR20000005794A (ko)
DE (1) DE1992486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985A (ko) * 2012-01-26 2013-08-0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3314A1 (de) * 2001-07-12 2003-01-23 Ecoroll Ag Verfahren und Werkzeug zum Walzen eines Werkstücks und Anordnung aus einem Walzwerkzeug und einem Werkstück
US6938451B2 (en) * 2002-08-15 2005-09-06 Jon Elmaleh Dynamic tapered extrusion system
DE10257971A1 (de) * 2002-12-12 2004-06-24 Sms Demag Ag Mehrwalzengerüst zum Walzen eines Metallbandes
US7185522B2 (en) 2005-05-10 2007-03-06 T. Sendzimir, Inc. Side supported 6-high rolling mill
DE102008009902A1 (de) * 2008-02-19 2009-08-27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insbesondere Schubwalzengerüst
JP4585627B2 (ja) * 2008-03-04 2010-11-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板圧延機および板圧延方法
AU2009222686B2 (en) * 2008-03-11 2011-09-22 Nippon Steel Corporatio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for flat products of steel
US8339475B2 (en) * 2008-12-19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High dynamic range image combining
WO2011018126A1 (fr) * 2009-08-12 2011-02-17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Sas Méthode et dispositif de réglage automatique de la position des cylindres de travail d'une installation de laminage
DE102009058358A1 (de) * 2009-12-15 2011-06-16 Sms Siemag Ag Walzgerüs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alzgerüsts
DE102011018874B3 (de) 2011-04-28 2012-08-30 Saueressig Gmbh + Co. Kg Walzenanordn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Regelung des Walzenspaltes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des Walzenspaltes in einer Walzenanordnung
JP6470134B2 (ja) 2015-07-08 2019-02-13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EP3381576A1 (fr) 2017-03-31 2018-10-03 Primetals Technologies France SAS Cage de laminoir équipée d'un dispositif de contrôle de stabilité de laminage et méthode associée
CN113646099B (zh) * 2019-04-04 2023-08-08 日本森吉米尔公司 多辊轧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9013A (en) * 1970-02-16 1971-11-09 Giddings & Lewis Preloaded hydrostatic way-bearing
CH613134A5 (ko) * 1976-11-02 1979-09-14 Escher Wyss Ag
US4270377A (en) * 1978-05-19 1981-06-02 T. Sendzimir, Inc. Eighteen high rolling mill
US4212504A (en) * 1979-02-26 1980-07-15 Bakanov Anatoly I Backing device for a working roll of a roll stand
AT381514B (de) * 1981-01-15 1986-10-27 Escher Wyss Ag Einrichtung an einem walzgeruest
DE3109536C3 (de) * 1981-03-13 1994-04-14 Escher Wyss Ag Regelanordnung für ein Quarto-Metallwalzwerk
CH657547A5 (de) * 1982-08-31 1986-09-15 Escher Wyss Ag Walzwerk fuer ein bahnfoermiges material.
JPS6018206A (ja) * 1983-07-11 1985-01-30 Nippon Roll Seizo Kk エツヂサポ−トサイドロ−ルを備えた直列式圧延機
JPS61193704A (ja) * 1985-02-21 1986-08-28 Kawasaki Steel Corp 多段クラスタ−圧延機
JPS61193708A (ja) * 1985-02-22 1986-08-28 Hitachi Ltd 圧延機
JPH0620561B2 (ja) * 1985-04-03 1994-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のロ−ルベンデイング装置
DE8533987U1 (de) * 1985-12-03 1987-05-07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rah & Co, 5870 Hemer Walzgerüst, insbesondere Reversierwalzgerüst
JP2714071B2 (ja) * 1988-11-30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
FR2670410B1 (fr) * 1990-12-14 1995-02-24 Cleciml Installation de laminage de produits plats.
FI87485C (fi) * 1991-01-07 1993-01-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Boejningsreglerbar vals
JP2972401B2 (ja) * 1991-08-26 1999-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及び圧延方法
JP3249417B2 (ja) 1997-02-24 2002-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985A (ko) * 2012-01-26 2013-08-0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83823B2 (ja) 2002-05-20
JPH11347607A (ja) 1999-12-21
US6250126B1 (en) 2001-06-26
DE19924860A1 (de) 1999-12-09
US6446477B2 (en) 2002-09-10
US20010020380A1 (en) 2001-09-13
DE19924860B4 (de)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5794A (ko) 판재압연기
KR101223696B1 (ko) 판 압연기 및 판 압연 방법
US5406817A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4481800A (en) Cold rolling mill for metal strip
JP3121471B2 (ja)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KR101232360B1 (ko) 판 압연기 및 판 압연 방법
US6003355A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KR20020066931A (ko) 탠덤 압연기 설비 및 이것을 사용하는 압연 방법
KR980008371A (ko) 압연기용 구동 장치, 압연기 및 압연 방법
KR20010085456A (ko) 판재 압연기 및 판재 압연 방법
JP2004314174A (ja) クロスロール圧延機及びそれを用いた圧延方法
JPS60255204A (ja) 圧延機
JPS60247407A (ja) 帯鋼圧延における絞り込み防止方法
JPH06269812A (ja) 圧延機及び圧延機のロールクロス方法
JP2002066619A (ja) 鋼帯の冷間圧延方法
JP3075107B2 (ja) 圧延装置
JPS61232002A (ja) 冷間圧延機の圧延方法
JPS626881B2 (ko)
KR20200075432A (ko) 압연기
JPH04304963A (ja) ベルト式研削機
JPH08132112A (ja) 形鋼の自動板厚制御方法
JPH0255602A (ja) 金属帯圧延時の幅反り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