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540A -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540A
KR20000005540A KR1019980708340A KR19980708340A KR20000005540A KR 20000005540 A KR20000005540 A KR 20000005540A KR 1019980708340 A KR1019980708340 A KR 1019980708340A KR 19980708340 A KR19980708340 A KR 19980708340A KR 20000005540 A KR20000005540 A KR 20000005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ead restraint
height
seat hea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드라즈
다미엥 파뜨
Original Assignee
올리비에 드라즈
뤽 방트르
다미엥 파뜨
상트르 데뛰드 에 레쉐르쉐 뿌르 로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604864A external-priority patent/FR2747628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615207A external-priority patent/FR2756789B1/fr
Application filed by 올리비에 드라즈, 뤽 방트르, 다미엥 파뜨, 상트르 데뛰드 에 레쉐르쉐 뿌르 로토모빌 filed Critical 올리비에 드라즈
Publication of KR2000000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60N2/82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using rubber-typ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전용 좌석 머리 받침대를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머리 받침대는 좌석의 프레임(2)에 부착된 부싱(1; 30)에 체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지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장치는 상기 부싱 내부의 하우징(12)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를 수용하고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링(3; 32)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 및 하우징은 연결 캠 표면을 구비하여, 그 결과 이 부싱이 지주를 통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선택적으로 이 지주를 고정시키거나 풀어 놓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좌석 전용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는 머리 받침대는 종래의 방식으로 나머지 한 단부가 좌석의 등 받침대(backrest) 속으로 들어가는 두 개 지주의 윗쪽 단부에 장착된 머리 받침대 쿠션을 포함한다. 이런 머리 받침대가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때, 이 지주는 일반적으로 좌석 프레임워크에 고정된 부싱에 미끄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 지주는 가능한 위치의 어떤 개수 중 하나로 머리 받침대의 높이를 잠그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접어 넣을 수 있는 핑거(fingers)와 협력하는 잠금 노치(locking notch)를 포함한다.
자동차 머리 받침대는 아주 명백히 승객의 편안함을 보장하려고 하지만, 특히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려고 한다. 특히, 자동차가 뒤에서 받혔을 때, 사용자의 몸통은 좌석 등 받침대에 대해 세게 밀리고 머리 받침대가 없는 경우는 그의 머리는 몹시 뒤쪽으로 쏠린다. 이는 목의 척추를 부러뜨리는 정도까지 가는 부상을 불러일으킨다.
게다가, 정면 충돌에서, 머리 받침대는 좌석 등 받침대의 앞쪽으로의 빠른 티핑(tipping)으로 유도된 원심력의 영향하에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연쇄 충돌일 경우에는, 정면 충돌은 종종 후방의 충돌이 뒤따른다. 전술한 다양한 영향이 다음에 축적된다.
이제, 이 안전 기능은 머리 받침대가 충분히 높거나, 좀 더 일반적으로 조절의 최적 위치에 머무르거나, 이 위치가 최적이 되기만 한다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어려움은 머리 받침대가 약간 낮다면 사용자의 머리는 뒤쪽으로 그리고 약간 아래쪽으로 머리 받침대를 두드림으로써 좌석의 등 받침대를 향하여 밀어내리고 따라서 이를 쓸모없게 한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머리 받침대 지주가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의 격렬한 힘을 받을 때 마운팅 부싱(mounting bushings)에 굳게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게다가, 머리 받침대의 편안함 기능으로 되돌아 가서, 머리 받침대는 높이에 따라 쉽게 조절될 수 있어야만 한다. 특히, 아래쪽으로 가해진 충격에 의해 머리 받침대를 아래로 밀기 위해 필요한 힘, 또는 일반적으로 머리 받침대가 조절된 설정을 손실하지 않도록 충돌의 경우 견디기에 필요한 힘 만큼 큰 힘을 조절하기 위해 가해서는 안된다는 점은 바람직하다.
결국, 힘의 좌우 대칭 때문에 그리고 머리 받침대가 높이에 따라 조절되는 동안 잼(jammed)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자는 좌석에 앉을 때 양 손을 사용해 이런 조절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녀야만 한다. 이는 버튼 또는 손잡이와 같은 조절 멤버(member)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시스템도 확실히 어렵게 추천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결점들을 다소 해결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손쉬운 조절을 허락하는 동안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 의해, 특히 아래쪽으로 가해진 충격의 경우에 효과적인 잠금을 허락하는,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의 높이를 잠그고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좌석 전용 머리 받침대와 상기 좌석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bushing)에 체결된 최소한 하나의 지주(post)를 포함하는 형태의 이런 종류의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좌석, 특히 자동차 좌석의 등 받침대 상에 머리 받침대를 장착하기 위해 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해된 투시도.
도 2는 이 장치의 부싱의 축 단면에서의 부분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정상적인 작동 위치에서 하우징에 위치한 전술된 링의 축 단면에서의 확대도.
도 5는 머리 받침대가 아래쪽으로의 충격을 수용할 때의 도 4의 도면과 비슷한 확대도.
도 6은 정상 작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횡단면도.
도 7은 머리 받침대가 자동차의 정면을 향하여 당겨질 때의 도 6의 도면과 비슷한 횡단면도.
도 8은 머리 받침대가 자동차 후방의 정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을 때의 도 6 및 도 7의 도면과 비슷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투시도.
도 10은 도 9의 장치의 작동을 예증하는 부분적인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6에 묘사된 링의 양자택일의 형태를 예증하는 횡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작동을 예증하는 축 단면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부싱 2 : 등 받침대의 프레임워크
3 : 링 4 : 리테이닝 플러그
10 : 좌석의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
11 : 머리 받침대 지주를 안내하기 위한 관 모양 부분
12 : 하우징 13 : 좌석의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부분
14 : 원통 모양의 부분 15 : 원뿔대 모양 표면
16 : 개구부 17 : 부싱의 표면
18 : 캠 표면 19 : 두 개의 핀
20 : 탄성 컷 탭 30 : 부싱 31 : 블록
32 : 링 33 : 잠금 멤버 34 : 리턴 워셔
35 : U자 모양의 스프링 36 : 누름단추 37 : 탄성 라이저
38 : 탄성 탭 39 : 보스 40 : V자의 정점
41 : V자의 아래 부분 42 : U자의 중앙 부분 43 : 시스
44 : 지주 45 : 노치 46 : 스터드
47 : 핀 48 : 하우징 50 : 정면
51,52 : 핀 53,54 : 캠 55 : 스톱
56,57 : 캠 표면
이것 때문에, 본 발명의 주제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머리 받침대는 상기 부싱의 하우징(housing)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를 수용하고 잡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ring)를 포함한다는 특징이 있는, 상기 좌석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에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링과 하우징은 링이 상기 지주를 통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지주 상에 그립(grip)을 조이거나 늦추도록 협력하는 캠(cam) 표면을 구비한다.
적절한 모양의 표면을 채택하므로써, 충격의 경우에 힘이 머리 받침대 상에 아래쪽으로 그리고/또는 뒤쪽으로 가해질 때 지주 상의 그립이 조여지게 하고, 그리고/또는 미리 결정된 힘이 이를 조절하려고 하는 사용자에 의해 머리 받침대 상에 앞쪽으로 가해질 때 지주 상의 그립을 풀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정면 충돌로 생긴 관성으로인해 앞쪽으로 가해진 격렬한 힘을 받아 지주 상의 그립을 조여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캠 표면은 지주 상의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의 작용으로써 링이 지주 상의 그립을 조이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링과 상기 하우징은 그립이 대략 수직으로 가해진 힘의 작용으로 조여진 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지주 상의 그립을 풀도록 되어 있는 상보적인 캠 표면을 포함한다.
그러한 배열(arrangement)은 수직 방향으로 충분히 격렬한 힘이 가해진 후,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어떠한 재밍(jamming)도 막는다.
일반적으로, 선결 값을 초과하는 힘의 경우에 지주 상의 링의 그립을 조여주도록 되어 있는 제한된 강도의 수단을 구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수단은 머리 받침대를 잠그는 것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히 격렬한 충격의 경우에, 다시 말해서 이를 조절하려고 하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질 것 같은 것 보다 훨씬 큰 힘의 경우에만 움직이기 시작한다.
특히, 상기 링은 대략 모면(generatrices) 중 최소한 하나를 따라 분할되고, 상기 하우징 표면의 부분은 높은 쪽으로 벌어진 대략 원뿔대 모양이고, 링이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을 받을 때 링을 조이도록 링 표면의 대략 원뿔대 모양인 부분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머리 받침대 상에 아래쪽으로 가해진 충격은 링의 원뿔을 부싱의 원뿔에 밀어넣고, 링을 조이게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은 대략 수직 축을 따라 대략 원통 모양이고, 상기 하우징도 또한 대략 수직 축을 따라 대략 원통 모양이지만,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길어져, 이 방향들 중 한 방향으로 링 상에 힘이 가해질 때 이 링은 상기 하우징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링과 하우징은 그런 움직임이 지주 상의 그립을 조이거나 풀게 하는 그런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런 배열은 본 발명의 머리 받침대의 증가된 안전과 손쉬운 사용 둘 다를 허락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링은 대략 모면(generatrices) 중 최소한 하나를 따라 쪼개지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개방되고, 이 링은 적어도 슬릿의 한 측면 상에 핀(fin)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의 링의 위치에 의존해 지주 상의 링의 그립을 다소 조이기 위하여 이 핀은 하우징의 개구부에 놓이고, 하우징의 개구부 표면과 협력하는 표면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표면과 협력하는 핀의 표면은 머리 받침대 지주에 의해 링 상에 가해진 힘에 의존하여 링을 다소 조이게 한다는 사실은 이해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략 뒤쪽으로 향한 힘을 상기 지주 상에 가하도록 되어 있는 리턴 수단(return means)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머리 받침대를 조절하기 위하여 앞쪽으로 당길 때, 정상적인 작동 위치로 뒤쪽으로 리턴되고, 이를 자동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이 안정한 정상적인 작동 위치는 충격의 경우에만 잠겨지는 지주를 잠그기(충격의 경우에 강해지는 잠금) 위해서나, 미끄러 들어감(sliding)을 허락하기 위해서 조절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수단은 부싱 상에 장착되고 지주가 통과하는, 지주를 뒤쪽으로 누르는 탄성 컷 탭(elastic cut tab)을 구비한 리테이닝 플러그(retaining plug)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수단은 지주가 통과하는 리턴 워셔(return washer) 및 상기 워셔를 뒤쪽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는 탄성 수단(elastic means)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워셔를 상기 부싱에 연결하는 최소한 하나의 탄성 탭(elastic tab)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리하게도, 상기 탄성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U자 모양의 스프링(spring)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브랜치(branch)의 단부는 상기 워셔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브랜치는 좌석의 구조물에 놓여 아래쪽으로 일반적으로는 지주의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프링의 중앙 부분은 지주에 놓인다.
이 경우, 상기 지주는 바람직하게도 상기 중앙 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노치(notch)를 단부 근처에 포함하고, 이런 이탈 수단(disengagement means)은 상기 중앙 부분을 상기 노치에서 뒤쪽으로 밀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배열은 지주 상의 원하는 앞쪽 힘과는 별도로, 머리 받침대가 좌석 점유자에 의해 너무 격렬하게 위쪽으로 당겨질 때나 격렬한 정면 충돌의 경우에, 머리 받침대가 좌석으로부터 끄집어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앤티-익스트랙션 수단(anti-extraction means)을 제공한다. 지주가 이제 막 운동의 끝에 도달하려고 할 때, U자 모양 스프링의 중앙 부분은 이 운동을 방해하거나, 실시예에 의존하여,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노치를 형성하여 노치에 체결된다.
이 운동이 방해받는 경우에는, 상기 이탈 수단은 유리하게도 좌석의 후면 또는 정면으로부터 특히 좌석 덮개(seat covering)를 통해 작동되고, U자 모양 스프링의 상기 브랜치를 밀도록 되어 있는 누름단추(push-button)를 포함한다.
따라서, 적어도 좌석 덮개 밑의 누름단추를 찾기 위한 장소를 아는 사용자는 머리 받침대를 제거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단추는 부싱에 탄력있게 연결되고, 부싱을 좌석 구조물에 스냅-고정시키기(snap-fastening)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이 누름단추는 머리 받침대와 지지 부싱(support bushing) 모두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단추는 상기 링을 수용하기 위한 블록에 탄성 라이저(elastic risers)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지주가 상기 부싱에 놓여 있는 동안 이 부싱이 제자리를 벗어나 클립되는(clipped) 것을 막기 위하여, 이 누름단추가 작동되고 지주가 제자리에 있을 때 지주에 대해 오르도록 되어 있는 스터드(stud)를 포함하는 상기 누름단추에 대한 바람직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에 관련한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이제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석의 등 받침대의 프레임워크(2)에 의해 어떠한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도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부싱(1)을 포함한다. 부싱(1)의 하우징에 위치하는 링(3)이 제공되고, 리테이닝 플러그(4)가 부싱(1)의 맨 위에 장착된다.
무엇보다도 부싱(1)은 단지 부싱의 내부 표면에 의해 도 1에 묘사된다고 보여진다. 단지 이 표면들은 본 발명에 실질적으로 중요하고, 부싱의 외부 모양은 단지 부싱이 프레임워크에 부착되는 방법에 의존한다. 게다가, 좌석 프레임워크는 여기에 U자 단면의 형태로 묘사되지만, 관(tube)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싱(1)은 좌석의 구조물(2)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10), 머리 받침대 지주를 안내하기 위한 관(tube) 모양 부분(11), 링 하우징(12) 및 (본 발명과 관련없는) 좌석의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부분(13)으로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2)은 윗면이 벌어지고 캠으로써 작동할 수 있는 원뿔대 모양 표면(15)의 바닥에서 끝나는 대략 원통 모양의 부분(14)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하우징(12)은 장치의 전체 축에 평행한 길어진 개구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모면(generatrix)을 따라 측면 표면에 정면을 향하여 개방된다. 개구부(16)의 모서리의 표면(17)은 이면각(dihedron)을 형성하고, 이의 횡단 각은 이 축에 평행하고, 이의 평면은 또한 나중에 보여질 바와 같이 캠을 형성한다.
결국, 하우징(12)은 세로 방향에 횡단하여, 길어진 저부를 지닌 대략 원통 모양이다. 개구부(16)는 축으로부터 떨어진 하우징(12)의 단부 중 하나에 형성된다.
링(3)은 대략 원통 모양이다. 캠 표면(15)에 부합하는 부분에 링은 다른 하나의 캠 표면(18), 즉 원뿔대 모양이고 윗쪽이 벌어진 외부의 것을 갖는다. 링은 또한 모면 중 하나를 따라 분할되고, 휴식중에 분할된 슬릿의 모서리는 링이 하우징 내에 있을 때 부싱의 표면(17)에 대해 누르는 두 개의 핀(19)에 의해 늘어난다.
리테이닝 플러그(4)는 부싱(1)의 윗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에 형성된다. 이의 내부 표면은 대략 원통 모양이고, 측면 벽은 안쪽으로 삐죽 나온 탄성 컷 탭(elastic cut tab)(20)을 형성한다.
이제 막 기술된 이 조립체가 조립될 때, 부싱(1)은 차량 정면을 향하는 하우징(12)의 개구부(16)로 프레임워크(2)에 고정된다. 링(3)은 하우징(12)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4)는 부싱(1)에 장착되어 컷 탭은 차량의 정면을 향하여 놓인다. 결국, 묘사되지 않은 머리 받침대 지지 지주는 부싱(1)에 놓이고 링(3)과 플러그(4)를 통과한다. 링(3)은 지주를 꼭 잡고 플러그(4)의 컷 탭(20)은 이를 뒤쪽으로 밀어낸다.
정상 위치에서, 특히 핀(fin)(19)에 의해 표면(17) 상에 가해진 힘과 컷 탭(20)에 의해 지주 상에 가해진 힘은 평형 상태에 있어, 링(3)은 하우징(12)에서 횡단하여 차량의 세로 방향에 관련한 중앙 위치에 있는다. 수직으로, 링(3)은 표면들(15 및 18)이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힘이 머리 받침대 상에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가해질 때, 지주는 도 5에 묘사된 바와 같이 링(3)을 아래쪽으로 밀어낸다. 이 운동에서, 캠 표면(18)은 눌러지는 캠 표면(15)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링(3)은 닫혀(close up) 지주를 더욱 더 세게 붙잡는 경향이 있고, 지주가 부싱(1) 속에 밀어지는 것을 막는다.
예를 들어 좌석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목덜미 뒤에서 두 손으로 머리 받침대를 붙잡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으로 당길 때, 지주는 링(3)을 앞쪽으로 밀어, 표면(17)에 의해 형성된 앞쪽으로 향하는 벌어진 이면각(dihedron)에 좀 더 넓은 공간을 얻는 핀(19)은 분리되고 링(3)은 개방된다. 따라서, 링은 사용자가 쉽게 미끄러져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지주 상의 그립(grip)을 푼다.
특히 정면 충돌의 경우에 앞쪽으로 가해진 훨씬 격렬한 힘은 링(3)이 지주 상의 그립을 또 다시 조이게 한다는 사실은 도 14를 고려할 때 중요하고 이에 주목해야한다. 발생한 것은 하우징(12)과 핀(19)의 덮개 정면의 표면들은 일단 이들이 접촉하기 시작해서 서로에 계속 힘이 가해질 때, 링의 지름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뒤쪽으로 머리 받침대 상에 충격이 가해질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는 하우징(12)의 뒤쪽을 향하여 링(3)을 밀어낸다. 이 운동에서, 핀(19)은 캠 표면(17)에 의해 함께 가까이 밀리고, 이는 링(3)이 닫혀 지주 상의 그립을 조이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지주의 어떠한 수직 운동도 방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편에서는 아래쪽으로 향한 충격의 경우에 머리 받침대를 잠그고, 다른 한편에서는 또한 뒤쪽으로 향한 충격의 경우에도 머리 받침대를 잠글 수 있게 하고, 결국 앞쪽으로 당기는 작동에 의해 열리게 한다. 그러나, 이 세 동작은 동일한 멤버(member)에 의해 상보적인 방법으로 가해질지라도 독립적이고,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의 결합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9 및 10은 부싱(30)이 한편에서는 바닥을 향하여 잠금 멤버(locking member)(33)를 지지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위를 향하여 리턴 워셔(return washer)(34)를 지지하는, 링(32)을 수용하기 위한 블록(block)(31)에 제한되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록(31)과 링(32)은 동일한 형태이고, 하우징(12)과 링(3)처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고, 따라서 부가적으로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잠금 멤버(33)는 U자 모양의 스프링(35)과 누름단추(36)를 포함한다.
누름단추(36)는 본래 두 개의 탄성 라이저(37)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를 연결하는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 라이저(37)는 블록(31)에 연결된 다른 단부를 지니고, 이 블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나고; 특히 블록(31)과 함께 단일 부분으로 주조된다. 누름단추(36)는 라이저(37)에 관하여 차량의 뒤쪽을 향하여 삐죽 나온다.
부수적으로 슬리브(sleeve) 또는 워셔의 부분이거나 선택적으로 레스팅 패드(resting pad)인 리턴 워셔(34)는 세 개의 탄성 탭(38)에 의해 블록(31) 상에 장착된다. 탭(38)과 워셔(34)는 유리하게도 블록(31)과 함께 적절하게는 라이저(37)와 누름단추(36)와 함께 단일 부분으로써 주조된다.
워셔(34)는 또한 U자 모양 스프링(35)의 브랜치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는 두 개의 보스(boss)(39)를 구비한다. 이 브랜치들은 아래쪽으로 휘어서 각각은 매우 넓은 V자를 형성하고, V자의 정점(vertex)(40)은 차량의 정면을 향하고, V자는 라이저(37)의 앞쪽에 놓인다. 따라서, V자의 아래 부분(41)은 차량의 아래쪽과 뒤쪽을 향한다. 이 부분(41)은 라이저(37)를 향하는 아래쪽 단부를 지니고, 누름단추(36)가 눌렸을 때 누름단추는 U자 모양 스프링의 브랜치에 의해 형성된 V자를 개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U자 모양 스프링(35)의 브랜치의 아래 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수평인 U자에 의해 연결되고, 따라서 대략 수평인 U자의 중앙 부분(42)은 U자 모양 스프링(35)의 중앙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중앙 부분(42)은 본래 전술한 정점(40)의 아래에 있다.
이제 막 기술된 이 조립체는 좌석의 구조물에 고정된 예를 들면 관(tube)인 시스(sheath)에 유지된다.
머리 받침대는 각 지주(44)를 사용하여 리턴 워셔(34)에, 링(32)에 그리고 결국 누름단추(36)와 스프링(35)의 중앙 부분(42) 사이에 조립된다. U자 모양 스프링(35)의 각 브랜치에 의해 형성된 V자의 정점(40)은 이 위치에서 시스(43)의 정면 벽에 놓여 있게 된다.
따라서, 머리 받침대가 제자리에 있을 때, U자 모양 스프링(35)의 브랜치의 윗부분은 시스(43)에 대한 정점(40)의 반동에 의해,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힘을 워셔(34) 상에 그리고 지주(44) 상에 가한다. 이 힘은 미리 기술된 실시예에서처럼 특히 링(32)에 의해 가해진 힘과 평형 상태에 있다.
(도 10에 묘사되지 않은, 블록(31)도 마찬가지인) 탄성 탭은 또한 바람직하게도 이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한 힘을 가한다. 그러나, 이 힘은 무시할 수 있다. 역으로, 이 힘이 충분히 크고 시간에 대해 일정하다면, 스프링(35)은 제외되고, 이 경우 이는 이제 기술될 작용을 수행하지 못한다.
바닥 단부에서, 지주(44)는 스프링의 중앙 부분(42)에 평행하고 이 부분과 동일한 면 상에 노치(45)를 갖는다. 이 노치(45)는 바닥에 가파른 플랭크(flank)와 정상에 기울어진 플랭크를 갖는다. 지주(44)의 바닥 단부는 둥글거나 원추형이거나 원뿔대 모양이다.
따라서, 머리 받침대가 조립되기 위하여 밀어질 때, 지주(44)의 아래 단부는 스프링(35)의 아래 부분을 앞쪽으로 밀어낸다. 이 스프링의 중앙 부분(42)은 이 지주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고, 노치(45)에 놓이고, 또 다시 노치의 윗쪽으로 기울어진 표면으로 인하여 노치를 놓아 둔다.
반면에, 급격히 머리 받침대를 끄집어내는 계획적인 또는 다른 시도가 있을 때, 중앙 부분(42)은 노치(45)에 놓이지만, 이 노치가 바닥에 갖고 있는 가파른 플랭크 때문에 다시 밖으로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스프링(35)을 변형시켜 노치(45)로부터 벗어나고, 머리 받침대를 끄집어내기 위하여, 누름단추(36)를 누르는 것이 필요하다.
윗부분과 바닥 모두에 경사진 플랭크를 갖고 있는 노치는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 머리 받침대를 끄집어낼 수 있게 하지만, 사용자가 머리 받침대를 들어올림에 따라 최대 높이 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부수적으로, 지주 상의 일련의 노치는 스프링의 중앙 부분(42)이 머리 받침대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핑거(finger)로써 사용되도록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누름단추(36)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삐죽 나와서, 부싱(30)이 제자리에 있을 때 시스(43)의 아래 단부로부터 불쑥 나온다. 따라서, 누름단추가 장착될 때, 시스 상에 스냅-고정시킨다(snap-fasten). 따라서, 일단 머리 받침대가 제거되면 누름단추(36)를 눌러서 부싱(30)을 제거할 수 있다.
결국, 스터드(stud)(46)는 스프링의 부분(42)처럼 동일한 면 상에, 대략 중앙에 있는 누름단추(36)로부터 불쑥 나온다. 지주(44)가 제자리에 있는 동안 누름단추를 작동시키려고 시도할 때, 스터드는 지주에 대해 오르고, 따라서 누름단추가 시스(43)에서 클립(clip)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사전에 머리 받침대를 제거하지 않고 부싱(30)을 풀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절히 부싱에 클립되지 않는 시스에 머리 받침대의 지주를 삽입할 수 있다.
아주 명백하게, 여기에 기술된 캠의 모양은 어떤 방법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기 위해, 도 11 내지 13은 링의 세 가지 모양과 적절할 것 같은 대응하는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핀(47)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갈라지지 않고 한데 모아지며, 여기서 하우징(48)은 (49)의 후미를 향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과 후미가 관련되는 한 이 동작은 반대이다.
하우징(48)은 또한 정면(50)을 향하는 횡단면에서 감소되어, 그 결과 앞쪽 또는 뒤쪽으로의 머리 받침대의 운동은 지주를 잠그게 한다. 물론 모든 예에서, 다양한 모양은 이 바램이 한 면으로부터 또는 다른 면으로부터의 충격의 경우에 잠금을 달성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여 정면에서 후미로 바뀐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것과 비슷한 동작 계획안을 묘사한다. 핀(51 및 각각의 52)은 대응하여 모양진 하우징(48)의 캠 표면과 협력하는 이면각(dihedron)의 형태이다. 따라서,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의 지주의 운동은 그립을 조이도록 하고, 이 지주는 묘사된 위치에서 평형상태에 있다.
도 14에서, 원뿔대 모양의 축 캠(15, 18)은 V자 모양의 캠(53, 54)으로 교체된다. 이 실시예는 두 개의 좀 더 특정한 특징을 갖는다.
우선, 하우징의 정면(또는 후미) 스톱(55)은 작은 두께 때문에 강도를 제한한다. 링의 바깥 표면과 하우징의 내부 표면이 정면에서 접촉하기 시작할 때 까지의 미끄러짐을 일으키는 사용자의 보통의 힘은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링을 개방하는 유일한 결과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스톱(55)을 파괴하는 훨씬 큰 힘은 링을 훨씬 앞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지주 상의 그립을 또 다시 조이게 한다.
링과 하우징은 또한 각각 서로를 향하는 앞쪽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기울어진 표면(56 및 57)을 갖는다. 힘이 머리 받침대 상에 아래쪽으로 가해지고, 머리 받침대가 다양한 협력하는 캠 표면에 의해 잠겨질 때, 머리 받침대가 올려진 위치로 되돌아 오기는 불가능하다. 머리 받침대가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질 때, 링은 캠 표면(56 및 57)의 협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지고, 따라서 머리 받침대를 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따라 자동차 승객은 편리함, 편안함 및 안전을 제공받을 수 있어 앞으로의 이용이 주목된다.

Claims (17)

  1. 좌석의 구조물(2)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에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주를 포함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부싱(bushing)(1; 30)의 하우징(housing)(12)에 위치하고 지주(post)를 수용하고 잡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ring)(3; 32)을 포함하고, 상기 링 및 하우징은 링이 지주를 통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지주 상의 그립(grip)을 조이거나 늦추도록 협력하는 캠 표면(cam surface)(15, 17, 18, 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표면은 지주 상에서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의 작용으로 링이 지주 상의 그립을 조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대략 모면(generatrices) 중 최소한 하나를 따라 분할되고, 상기 하우징 표면의 부분(15)은 윗쪽을 향해 벌어진 대략 원뿔대 모양이고, 링이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을 받을 때 링을 조이도록 링 표면의 대략 원뿔대 모양인 부분(18)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대략 수직축에 따라 대략 원통 모양이고, 상기 하우징도 또한 대략 수직축에 따라 대략 원통 모양이지만, 좌석의 세로 방향으로 길어져, 이 방향들 중 한 방향으로 링 상에 힘이 가해질 때 이 링은 상기 하우징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고, 링과 하우징은 그런 움직임이 지주 상의 그립을 조이거나 풀거나 하는 그런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대략 모면(generatrices) 중 최소한 하나를 따라 분할되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개방되고, 이 링은 적어도 슬릿의 한 측면 상에 핀(fin)(19)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의 링의 위치에 의존해 지주 상의 링의 그립을 많이 혹은 적게 조이기 위하여 이 핀은 하우징의 개구부에 놓이고, 하우징의 개구부 표면(17)과 협력하는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대략 뒤쪽으로 향한 힘을 지주 상에 가하도록 되어 있는 리턴 수단(return means)(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수단은 부싱 상에 장착되고 지주가 통과하는, 지주를 뒤쪽으로 누르는 탄성 컷 탭(elastic cut tab)(20)을 구비한 리테이닝 플러그(retaining plug)(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수단은 지주가 통과하는 리턴 워셔(return washer)(34) 및 상기 워셔를 뒤쪽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는 탄성 수단(elastic means)(35; 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워셔를 상기 부싱에 연결하는 최소한 하나의 탄성 탭(elastic tab)(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U자 모양의 스프링(spring)(35)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브랜치(branch)의 단부는 상기 워셔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브랜치는 좌석의 구조물에 놓여 아래쪽으로 일반적으로는 지주의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프링의 중앙 부분(42)은 지주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중앙 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노치(notch)(45)를 단부 근처에 포함하고, 이런 이탈 수단(disengagement means)(36)은 상기 중앙 부분을 상기 노치에서 뒤쪽으로 밀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수단(36)은 좌석의 후면 또는 정면으로부터 특히 좌석 덮개(seat covering)를 통해 작동되고, U자 모양 스프링의 상기 브랜치를 밀도록 되어 있는 누름단추(push-butt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추는 부싱에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부싱을 좌석 구조물에 스냅-고정시키기(snap-fastening)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추는 상기 링(32)을 수용하기 위한 블록(31)에 탄성 라이저(elastic risers)(3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추는 상기 지주가 상기 부싱에 체결되어 있는 동안 이 부싱이 제자리를 벗어나 클립되는(clipped) 것을 막기 위하여, 이 누름단추가 작동되고 지주가 제자리에 있을 때 지주에 대해 올라가도록 되어 있는 스터드(stud)(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그립이 대략 수직으로 가해진 힘의 작용에 의해 조여진 후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지주 상의 그립을 풀도록 되어 있는 상보적인 캠 표면(56, 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17. 제 1 항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결 값을 초과하는 힘의 경우에 지주 상에서 링의 그립을 조여주도록 되어 있는 제한된 강도의 수단(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머리 받침대, 특히 자동차 좌석 머리 받침대를 높이에 따라 잠그기 위한 장치.
KR1019980708340A 1996-04-18 1997-04-15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KR20000005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4864 1996-04-18
FR9604864A FR2747628B1 (fr) 1996-04-18 1996-04-18 Dispositif de blocage en hauteur d'un appui-tete, notamment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9615207A FR2756789B1 (fr) 1996-12-11 1996-12-11 Dispositif de blocage en hauteur d'un appui-tete, notamment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96/15207 1996-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40A true KR20000005540A (ko) 2000-01-25

Family

ID=2623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340A KR20000005540A (ko) 1996-04-18 1997-04-15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909244A1 (ko)
JP (1) JP2001517968A (ko)
KR (1) KR20000005540A (ko)
CN (1) CN1218438A (ko)
AU (1) AU2642697A (ko)
BR (1) BR9708693A (ko)
CA (1) CA2251901A1 (ko)
EA (1) EA199800937A1 (ko)
WO (1) WO19970388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8375B2 (en) 2005-06-13 2009-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veling apparatus for a monito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690B1 (fr) * 1998-06-15 2000-08-18 Cera Dispositif de blocage en hauteur d'un appui-tete notamment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2821590B1 (fr) * 2001-03-02 2003-05-16 Cera Dispositif de coulissement et de blocage d'une tige lisse, notamment pour le reglage d'appuis-tete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DE102004013979B3 (de) * 2004-03-19 2005-06-30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Komponente, insbesondere eine Kopfstütze und insbesondere in oder an einem Fahrzeug
DE102008057792B4 (de) * 2008-11-17 2013-08-14 Johnson Controls Gmbh Crashaktive Kopfstütze mit einem sperrenden Druckknopf
CN101746298B (zh) * 2008-12-01 2013-03-27 李尔公司 具有可调节的头部支撑装置组件的座椅组件
KR101621548B1 (ko) 2009-11-18 2016-05-16 주식회사다스 다이알타입 시트높이고정장치
DE102011114546A1 (de) * 2011-07-14 2013-01-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Querelement für integrierte und separateKopfstützen
KR101327394B1 (ko) 2011-11-23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5-11-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06314221B (zh) * 2016-08-29 2018-07-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2429A (en) * 1967-08-26 1970-11-24 Toyota Motor Co Ltd Adjustable head rest for vehicle seat
DE2512147A1 (de) * 1975-03-20 1976-10-28 Daimler Benz Ag Befestigung eines fuehrungskoerpers fuer eine kopfstuetzentragstange in einer fuehrungsschiene
AU564777B2 (en) * 1984-02-22 1987-08-27 Tachikawa Spring Co. Ltd. Head rest
FR2571317B2 (fr) * 1984-10-05 1990-06-01 Daimler Benz Ag Dispositif de deverrouillage pour le degagement d'une tige portante guidee d'appui-tete
DE3436541C1 (de) * 1984-10-05 1986-05-2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ndlagesicherung fuer eine gefuehrte Tragstange einer Kopfstuetze
DE3436540A1 (de) * 1984-10-05 1986-04-1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ndlagesicherung fuer eine gefuehrte tragstange einer kopfstuetze
US5056867A (en) * 1990-06-18 1991-10-15 Hoover Universal, Inc. Head restraint adjustment mechanism
DE19524831C2 (de) * 1995-07-07 1998-06-04 Audi Ag Halte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an einem Fahrzeugsi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8375B2 (en) 2005-06-13 2009-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veling apparatus for a moni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17968A (ja) 2001-10-09
EP0909244A1 (fr) 1999-04-21
CN1218438A (zh) 1999-06-02
EA199800937A1 (ru) 1999-04-29
WO1997038874A1 (fr) 1997-10-23
BR9708693A (pt) 1999-08-03
CA2251901A1 (fr) 1997-10-23
AU2642697A (en)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5540A (ko)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US3563602A (en) Adjustable headrest for vehicle seat
US4854642A (en) Head restraint guide assembly
US6742846B1 (en) Modified head restraint assembly for motor vehicle seats
EP0462930A1 (en) Adjustable lock infant seat
US5934755A (en) Adjust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headrest
AU641606B2 (en) Shoulder adjuster
US6572186B1 (en) Multiple function sleeve
US20220097577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20160362025A1 (en) Seat with multiple strap mechanism for securing a headrest
EP1046541A1 (en) Adjusting mechanism for a vehicle's seat headrest
US20120032477A1 (en) Character form child seat
AU1339099A (en) Restraint device with a safety belt
US20020038969A1 (en) Seat headrest mounting
JPH07165016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KR10101684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US5662382A (en) Vehicle seat with integral child restraint seat and interlocking headrest assembly
JP3690592B2 (ja)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機構
RU2007307C1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втулка для подголовников сидений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985702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락킹구조
KR20014306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7145400B2 (ja) シートバックテーブル
KR100395162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015513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KR012770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