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137B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137B1
KR0155137B1 KR1019960018412A KR19960018412A KR0155137B1 KR 0155137 B1 KR0155137 B1 KR 0155137B1 KR 1019960018412 A KR1019960018412 A KR 1019960018412A KR 19960018412 A KR19960018412 A KR 19960018412A KR 0155137 B1 KR0155137 B1 KR 015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ight
sleeve
presen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209A (ko
Inventor
김중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6001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137B1/ko
Publication of KR97007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3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 본체(11);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1)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대응하는 쌍으로 천공된 다수의 구멍(21)을 지니며, 상기 각각의 쌍을 이루는 구멍(21)을 통해 돌출하고 상호간 스프링(23)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고정구(22)를 지니는 높이조절바(20); 및 상기 높이조절바(2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구(20)와 교합하는 수용홈(32)이 형성된 슬리브(30); 로 구성되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한손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 및 쇄정장치가 생략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제1도는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일부가 절취되어 도시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높이조절바의 슬리브의 상호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레스트 조립체 11 : 헤드레스트 본체
20 : 높이조절바 21 : 구멍
22 : 고정구 23 : 스프링
24 : 돌출부 25 : 플랜지
26 : 벨로우즈 30 : 슬리브
31 : 관통구 32 : 수용홈
S : 시트 SB : 시트백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고정구를 지닌 높이조절바(bar)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헤드레스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헤드레스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머리 또는 목부분을 지지하여 그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뿐 아니라 특히, 차량 충돌시 신체의 취약부분인 목뼈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승용차의 경우 전방시트에는, 이같은 헤드레스트들이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반면에 후방시트에는 그 시트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바, 이는 후방유리면을 통한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제1도에는 전방시트에 장착되는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따르면, 헤드레스트(1)의 하부에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고정로드(2)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로드(2)의 측방에는 일정간격으로 노치(3)가 형성되어 있다.
이같은 노치(3)는 시트(seat)(S)의 시트백(seat back)(SB)상부에 장입되어 설치된 슬리브(4)의 록킹레버(5)에 의해 쇄정되어 헤드레스트(1)를 일정높이로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레스트(1)의 고정로드(2)가 슬리브(4)내로 장입되며, 이같이 장입된 고정로드(2)의 노치(3)가 슬리브(4)의 록킹레버(5)에 의해 쇄정 또는 고정되므로 헤드레스트(1)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로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자신의 머리 또는 목높이를 고려하여 한손으로 헤드레스트(1)를 잡고 한손으로 록킹레버(5)를 조작하여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1)의 높이 조절방식은,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 아니라, 특히 운전중에 헤드레스트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몸을 헤드레스트 방향으로 전환하여 두손을 이용해야 하므로 불편하며 안전운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손만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바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헤드레스트 본체; 상기 헤드레스트본체의 하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대응하는 쌍으로 천공된 다수의 구멍을 지니며, 상기 각각의 쌍을 이루는 구멍을 통해 돌출하고 상호간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고정구를 지니는 높이조절바; 및 상기 높이조절바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구와 교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리브;로 구성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구는 상기 구멍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 및 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쌍을 이루는 각각의 고정구의 플랜지들에는 상기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한 벨로우즈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바의 고정구와 슬리브간의 교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2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10)는 헤드레스트 본체(11), 높이조절바(20) 및 슬리브(3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2개의 높이조절바(20)는 헤드레스트 본체(11)의 하부면(12)으로부터 연장된다. 물론, 높이조절바(20)의 일부는 헤드레스트 본체(11)내에 장입되어 그 헤드레스트 본체(11)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높이조절바(20)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바(20)에는 그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멍(2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멍(21)은 양측에 동일 간격으로 대응하게 천공되어 대응하는 구멍끼리 한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구멍(21)에는 고정구(22)가 돌출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쌍을 이루는 구멍에 제공된 고정구(22)는 스프링(23)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상기 고정구(22)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돌출부(24)와 고정구(22)를 구멍(22)에 유지시키기 위한 플랜지(25)를 포함한다.
이같은 구조에 따라, 쌍을 이루는 구멍(21)에 각각 제공된 고정구(22)는 스프링(23)에 의해 탄지되며, 상기 플랜지(25)가 상기 구멍(21)의 내측 외주면에 걸려서 높이조절바(2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쌍을 이루는 각각의 고정구(22)의 플랜지(25)에는 벨로우즈(26)가 제공되어 스프링(23)을 보호할 수 있다. 이같은 높이조절바(20)는 슬리브(30)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30)는 시트의 시트백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슬리브(30)는 관통부(31)를 지니는 원통형인바, 상기 관통부(31)의 내경은 상기 높이조절바(20)의 외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30)의 양측 중앙부에는 수용홈(32)이 형성되는바, 이같은 수용홈(32)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높이조절바(20)의 고정구(22)의 돌출부(24)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바(20)가 슬리브(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고정구(22)의 돌출부(24)는 높이조절바(20)의 구멍(21)을 통해 돌출되어 슬리브(30)의 스용홈(32)에 교합된다. 이때의 교합력 또는 쇄정력은 스프링(23)의 탄성력과 돌출부(24)와 수용홈(32)간의 마찰력에 비례한다.
이에 따라 이같은 힘 이상의 힘이 헤드레스트본체(11)에 가해지면, 고정구(22)가 높이조절바(20) 내부로 후퇴되어 높이조절바(20)가 슬리브(30)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구성 및 그것의 작동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방식에 의하면, 운전자 및 탑승자가 헤드레스트 본체(11)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때는 한손으로 헤드레스트 본체(11)를 당기거나 누름으로써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록킹레버와 같은 잠금수단을 한손으로 해제한 후 한손으로 헤드레스트 본체를 이동시킴없이, 한손으로 헤드레스트에 힘을 가하면 높이조절바(20)의 구멍(21)을통해 고정구(22)가 후퇴되고 돌출부(24)와 수용홈(32)간의 교합상태가 해제되어 높이조절바(20)가 슬리브(30)의 관통구(31)내에서 유연하게 이동된다. 이후,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헤드레스트본체(11)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용홈(30)에, 그 수용홈(3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높이조절바(20)의 고정구(22)를 교합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 본체(11)의 높이조절이 간단히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립체를 시트에 채용하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한손으로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중에도 정상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하면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도모된다. 또한 별도의 복잡한 구조의 록킹레버와 같은 쇄정장치가 생략될 수 있어 부품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헤드레스트 본체(11);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1)의 하방으로 돌출연장되고 대응하는 쌍으로 천공된 다수의 구멍(21)을 지니며, 상기 각각의 쌍을 이루는 구멍(21)을 통해 돌출하고 상호 스프링(23)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고정구(22)를 지니는 높이 조절바(20); 및 상기 높이조절바(20)를 수용하며, 상기 고정구(22)와 교합하는 수용홈(32)이 형성된 슬리브(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2)는 상기 구멍(21)의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24) 및 고정구(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각각의 고정구(22)의 플랜지(24)들에는, 상기 스프링(23)을 보호하기 위한 벨로우즈(26)의 양단부가 각각 접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19960018412A 1996-05-29 1996-05-2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KR015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412A KR0155137B1 (ko) 1996-05-29 1996-05-2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412A KR0155137B1 (ko) 1996-05-29 1996-05-2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209A KR970074209A (ko) 1997-12-10
KR0155137B1 true KR0155137B1 (ko) 1998-10-15

Family

ID=1946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412A KR0155137B1 (ko) 1996-05-29 1996-05-29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21A (ko) * 2002-11-21 2004-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209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4513A (en) Attachment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6270158B1 (en) Lumbar support locking apparatus for a car seat
KR101836503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US20040108766A1 (en) Articulated headrestraint system
CN110539675A (zh) 头枕以及车辆用座椅
JP3964670B2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015513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1683428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US4339149A (en) Child's automotive safety seat
US6736457B2 (en) Continuous seat adjustment mechanism
US11046213B2 (en) Seating assembly bracket
CN113002383B (zh) 儿童安全座椅
JP369516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構造
EP1167116A1 (fr) Dossier de siège de véhicule
KR011712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KR100449602B1 (ko) 적어도하나의승객시이트를구비한자동차
JPH101670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節機構
KR100284699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이송장치
KR920000994Y1 (ko) 전후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71656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mounting head rest of automobile)
KR100287589B1 (ko) 전후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21780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0132838Y1 (ko) 자동차 헤드 레스트 수납 케이스
JPH0994129A (ja) 自動車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