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655U - 피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피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655U
KR20000004655U KR2019980015175U KR19980015175U KR20000004655U KR 20000004655 U KR20000004655 U KR 20000004655U KR 2019980015175 U KR2019980015175 U KR 2019980015175U KR 19980015175 U KR19980015175 U KR 19980015175U KR 20000004655 U KR20000004655 U KR 200000046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se
desktop
camera
not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22331Y1 (ko
Inventor
명주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5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3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피시 카메라의 경우 베이스(5)와 케이스(4)가 분리될 수 없어 운반시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휴대가 불편함과 아울러 사용자외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손에들고 사용하기가 불편하며, 노트북과 함께 사용할 때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상측면과 같이 평평하고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위치를 노트북 사용자의 정면에 확보할 수 없어 노트북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정상적으로 촬영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인식,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스크탑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평한 바닥에서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20)의 일정 각도에 걸친 상하회동을 구동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30)와,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모니터가 설치된 커버(40)의 상단에 하측이 고정되는 노트북용 베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를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시 카메라
본 고안은 동영상을 포착하여 신호선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하는 피시 카메라에 관한 것인데, 특히 데스크탑 컴퓨터는 물론 노트북 컴퓨터에도 장착하여 컴퓨터 사용자를 촬영가능함은 물론 컴퓨터 사용자 외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는 정보통신의 시대라 지칭될 만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전세계적인 네트워크화와, 기술 발전에 따른 네트워크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사용자간에 이메일 등을 통한 문자데이터 송수신 외에도 동영상,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고 이를 이용한 원격회의 혹은 원격진료기술이 시험단계를 지나 상용화단계에 이르고 있다.
피시 카메라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발되어 동영상 처리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컴퓨터에 신호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컴퓨터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하거나 기타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에 설치된 영상 캡쳐 보드와 같은 부가카드로 전송하여 동영상을 생성시키는 아날로그 피시 카메라와, 영상 캡쳐 보드등이 필요없이 범용 직렬 버스(USB)포트로 직접 전송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피시 카메라가 개발되어 있으며,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시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시 카메라는 전면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부(1a)가 형성되고 내부에 신호처리를 위한 각종 회로소자(미도시)가 설치되며 컴퓨터에서 나온 신호선(미도시)이 후면쪽에 연결되는 카메라 본체부(1)가 있고, 상기 카메라 본체부(1)의 렌즈부(1a)를 위한 회피공간이 전면에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부(1)를 내부에 장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케이스 탑(2)과 케이스 바텀(3)으로 구성되는 케이스(4)가 있으며, 상기 케이스(4)의 하부를 형성하는 반쪽인 케이스 바텀(3)에 고정되는 것으로 케이스(4)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와 마찬가지로 베이스(5)는 각각 상하부를 구성하는 반쪽인 베이스 탑(6), 베이스 바텀(7)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종래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4)와 베이스(5)의 결합구조를 그 분해사시도인 도 2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탑(6) 상면에는 중앙에 보스(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스(6a) 주위로는 오목한 만곡부(6b)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바텀(3)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일정길이의 전후 방향 홈으로서 상기 보스(6a)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회전 가이드홈(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6a)가 회전 가이드홈(3a)에 삽입된 다음에는 회전 가이드홈(3a) 상측으로부터 홀더(8)가 결합되고 홀더(8)의 상측으로는 스프링(9)이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9)에는 회전 가이드홈(3a)을 통해 보스(6a)가 이동시 케이스(4)가 부드럽게 상하로 회전하도록 하기위해 관통홈(9a) 주위로 다수개의 탄성편(9b)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홀더(8)에는 스프링(9)의 탄성편(9b)이 안착되는 탄성편 안착부(8b)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9)과 마찬가지로 관통홈(8a)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0)와 너트(11)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쪽의 순서로 베이스 탑(6), 케이스 바텀(3), 홀더(8), 스프링(9)이 결합되면서 케이스(4)의 상하 회전을 위한 케이스(4)와 베이스(5)간의 결합구조가 완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케이스(4)와 베이스(5)간의 결합구조가 완성된 다음에는 베이스 탑(6) 하측에 스크류(10')들을 이용하여 베이스 바텀(7)을 결합하게 된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3b는 카메라 본체부(1) 후방에 연결되는 신호선을 가이드하는 신호선 가이드홈을 나타낸 것이고, 12는 미사용시 렌즈부(1a)를 보호하기 위한 슬라이딩창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케이스(4)와 베이스(5)간의 결합구조를 채용한 종래 피시 카메라는 주로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사용될 것을 예정하고 제작된 것으로, 케이스(4)와 베이스(5)가 분리되지 못하여 항상 결합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상측에 놓은 상태로 주로 컴퓨터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되게 되고 케이스(4)의 상하 회전기능은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다른 높이에 있게 되는 사용자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놓일 수 있도록 렌즈부(1a)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피시 카메라는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 데스크탑 컴퓨터에 사용될 것을 예정하여, 또한 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모니터 상측면이 베이스 바텀(7)의 하면과 접하도록 피시 카메라를 놓은 후 컴퓨터 사용자를 촬영할때는 별다른 불편이 없었으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가능하고 이동중에도 사용가능한 장점을 갖춰 오늘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와 더불어 사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베이스(5)와 케이스(4)가 분리될 수 없어 운반시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휴대가 불편함과 아울러 사용자외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손에들고 사용하기가 불편하며, 노트북 사용시에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상측면과 같이 평평하고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위치를 노트북 사용자의 정면에 확보할 수 없어 노트북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정상적으로 촬영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먼저,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부분을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시 부피를 줄이므로써 휴대가 용이한 한편, 사용자외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손에 들고 사용하기 편리한 피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사용시는 물론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사용시에도 사용자 정면 충분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데 불편이 없는 피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피시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와 베이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가 노트북 컴퓨터와 더불어 사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와 데스크탑용 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와 데스크탑용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노트북용 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노트북용 베이스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카메라 본체부 2;케이스 탑
3,21;케이스 바텀 4,20;케이스
21a;슬라이딩 체결부 30;데스크탑용 베이스
31;상부부재 31a;삽입부
31b;관통공 31c;회동부
32;하부부재 32a;받침부(삽입부)
32b;보스 32c;회동가이드부
35;데프론시트 36;원호형 스프링
40;노트북 컴퓨터 커버 50;노트북용 베이스
51;제 1 부재 51a;슬라이딩 체결부
51b;몸체부 51c;제 1 물림턱
51d;가이드홈 51e;나사공
51f;용수철걸이 52;제 2 부재
52a;몸체부 52b;제 2 물림턱
52c;가이드리브 52c';용수철걸이홈
52d;장공 53;용수철
54;조임나사 54a;굴곡부
55;와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스크탑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평한 바닥에서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의 일정 각도에 걸친 상하회동을 구동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스크탑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평한 바닥에서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의 일정 각도에 걸친 상하회동을 구동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와,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모니터가 설치된 커버의 상단에 하측이 고정되는 노트북용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가 노트북 컴퓨터와 더불어 사용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피시 카메라는 렌즈와 각종 회로소자로 이루어진 카메라 본체부(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하측,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0)의 하부 반쪽인 케이스 바텀(21)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20)를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지에서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20)와 결합시 케이스(20)가 일정 각도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데스크탑 컴퓨터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으로 충분할 것이나 요즈음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모니터(41)가 설치된 커버(40)의 상단에 하측이 고정되는 노트북용 베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20)와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결합수단 혹은 데스크탑용 베이스(30)와 노트북용 베이스(50)의 결합수단으로는 일방에 나사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는 타방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나사홈에 나사를 결합하는 수단 등 일반적인 다양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겠으며, 그 중 하나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에 삽입부(31a,32a)를 형성하고 타방에 상기 삽입부(31a,32a)가 가이드되어 끼워지는 슬라이딩 체결부(21a,51a)를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3 에서는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삽입부(31a,32a)로 기능하고 케이스 바텀(21) 하면과 노트북용 베이스(50)의 상단에 슬라이딩 체결부(21a,51a)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경우 반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20)와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케이스(20)와 데스크탑용 베이스(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피시 카메라의 케이스 바텀(21) 하부에는 슬라이딩 체결부(21a)가 형성되고, 데스크탑용 베이스(30)는 평평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부(32a)가 하단에 형성된 하부부재(32)와 상기 케이스 바텀(21) 하부의 슬라이딩 체결부(21a)에 결합되는 삽입부(31a)가 상측에 형성된 상부부재(31)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31)는 하부부재(32)에 대해 일정 각도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위한 하나의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부재(32)의 받침부(32a) 상측으로는 일측면에 보스(32b)가 형성된 회동가이드부(32c)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부재(31)의 삽입부(31a) 하측으로는 관통공(31b)이 형성된 회동부(31c)를 돌출형성하여, 회동가이드부(32c)의 보스(32b)에 회동부(31c)의 관통공(31b)을 삽입한 후 와셔(33)가 부착된 스크류(34)로 회동부(31c)와 회동가이드부(32c)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원활하고 안정된 회동을 위해 회동가이드부(32c)의 보스(32b)에 테프론시트(35)를 삽입한 후 회동부(31c)를 결합하고, 원형의 탄성부(36a)가 형성된 원호형 스프링(36)을 와셔(33)와 회동부(31c)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노트북용 베이스(5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피시 카메라에서 노트북용 베이스(50)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피시 카메라는 종래 피시 카메라에서의 베이스(5)의 기능을 행함은 물론 착탈까지 가능한 상기의 데스크탑용 베이스(30)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트북 컴퓨터의 커버(40) 상단에 하측이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받침부(32a)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노트북용 베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노트북용 베이스(50)는 상측에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받침부(32a)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체결부(51a)가 형성되는 한편, 하측에는 노트북 컴퓨터에 따라 차이나는 커버(40)의 두께에 대응하여 폭이 변동되며 커버(40) 상단 양측면을 집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로 형성하되 제 1 부재(51) 상단에는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받침부(32a)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체결부(51a)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체결부(51a)의 하측으로는 몸체부(51b)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51b)의 하부 일측에는 제 1 물림턱(51c)이 형성되게 되고, 제 2 부재(52)는 상기 제 1 부재(51) 몸체부(51b)와 같은 정도의 상하 폭으로 되는 몸체부(52a)를 구비하고 그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물림턱(51c)과 마주보는 제 2 물림턱(52b)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51)의 몸체부(51b)와 제 2 부재(52)의 몸체부(52a)는 제 1 물림턱(51c)과 제 2 물림턱(52b) 사이의 폭이 탄성적으로 가변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변폭 고정수단으로는 용수철걸이홈(52c')이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리브(52c)를 일방 몸체부(52a)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52a)의 가이드리브(52c) 하측으로는 관통된 장공(52d)을 형성하며, 타방 몸체부(51b)에는 상기 가이드리브(52c)에 의해 관통되어 일방 몸체부(52a)의 타방 몸체부(51b)에 대한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1d)과 상기 장공(52d)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나사공(51e)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1d)의 일단 외측으로는 용수철걸이홈(52c')에 일단이 고정된 용수철(53)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는 용수철걸이(51f)가 형성되어, 용수철(53)의 양단을 상기 용수철걸이(51f)와 용수철걸이홈(52c')에 고정하는 한편 장공(52d)을 관통하여 나사공(51e)에 삽입되는 조임나사(54)와 조임나사(54)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55)를 사용하여 제 1 부재(51)와 제 2 부재(52)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나사(54)의 머리부에는 다수개의 굴곡부(54a)를 형성하여 미끄러짐 없이 손으로 조임나사(54)를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피시 카메라를 데스크탑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면서 컴퓨터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케이스(20)와 데스크탑용 베이스(30)를 결합한 상태에서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받침부(32a)를 모니터 상면에 접하도록 피시 카메라를 올려놓은 다음,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상부부재(31)를 하부부재(32)에 대해 상하회동시켜 적당한 촬영각도가 되도록 한 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면서 컴퓨터 사용자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노트북 컴퓨터의 커버(40) 상단에 노트북용 베이스(50)의 하단을 고정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임나사(54)를 적당히 푼 다음 제 1 물림턱(51c)과 제 2 물림턱(52b) 간의 거리가 충분히 벌어지도록 용수철(53)의 저항을 이기고 제 1 부재(51)에 대해 제 2 부재(52)를 이동시킨 후 노트북 컴퓨터 커버(40) 상단이 제 1 물림턱(51c)과 제 2 물림턱(52b) 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용수철(53)의 탄성을 이기고자 제 2 부재(52)에 가하던 힘을 빼 용수철(53)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물림턱(51c)과 제 2 물림턱(52b)이 노트북 컴퓨터 커버(40) 상단 양면에 접하도록 한 다음 조임나사(54)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데스크탑용 베이스(30)에 케이스(20)가 결합된 상태로 데스크탑용 베이스(30)의 받침부(32a)를 노트북용 베이스(50) 상단의 슬라이딩 체결부(51a)에 결합하여 노트북 컴퓨터 사용자를 촬영하게 되며, 사용자에 따른 촬영각도 조정을 위한 상하회동은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 사용자 이외의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20)로부터 데스크탑용 베이스(30)를 탈착하여 부피를 줄인 다음 카메라 본체부(미도시)를 둘러싸는 케이스(20) 외측을 손으로 잡고 카메라 본체부(미도시)에 연결된 신호선(미도시)이 허용하는 길이의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촬영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피시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를 지지하는 베이스(30,50)가 분리가능하므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한편, 베이스(30,50)를 탈착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여 컴퓨터 사용자 외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와 함께 사용시에도 노트북용 베이스(50)를 사용하여 노트북 컴퓨터 커버(40) 상단 즉 사용자 정면 충분한 높이에 피시 카메라가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는데 불편이 없게 된다.

Claims (11)

  1.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스크탑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평한 바닥에서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의 일정 각도에 걸친 상하회동을 구동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데스크탑용 베이스 중 일방에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타방에는 상기 삽입부가 가이드되어 끼워지는 슬라이딩 체결부를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3. 카메라 본체부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스크탑 모니터 상면과 같은 평평한 바닥에서 케이스를 지지하는 한편 케이스의 일정 각도에 걸친 상하회동을 구동하는 데스크탑용 베이스와,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모니터가 설치된 커버의 상단에 하측이 고정되는 노트북용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와 노트북용 베이스 중 일방에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타방에는 상기 삽입부가 가이드되어 끼워지는 슬라이딩 체결부를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 반쪽을 구성하는 케이스 바텀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체결부가 형성되고, 데스크탑용 베이스는 평평한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부가 하단에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케이스 바텀 하부의 슬라이딩 체결부에 결합되는 삽입부가 상측에 형성된 상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부재는 하부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받침부 상측으로는 일측면에 보스가 형성된 회동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부재의 삽입부 하측으로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부가 돌출형성되어, 회동가이드부의 보스에 회동부의 관통공이 삽입된 상태로 와셔가 부착된 스크류에 의해 회동부와 회동가이드부의 내측면이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와 회동가이드부를 결합할 때 회동가이드부의 보스에 테프론시트를 삽입한 후 회동부를 결합하고, 원형의 탄성부가 형성된 원호형 스프링을 와셔와 회동부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용 베이스는 상측에 상기 데스크탑용 베이스의 받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체결부가 형성되는 한편, 하측에는 노트북 컴퓨터에 따라 차이나는 커버의 두께에 대응하여 폭이 변동되며 커버 상단 양측면을 잡아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용 베이스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 1 부재 상단에는 데스크탑용 베이스의 받침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체결부의 하측으로는 몸체부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는 제 1 물림턱을 형성하고, 제 2 부재에는 상기 제 1 부재 몸체부와 같은 정도의 상하 폭으로 되는 몸체부의 하부 일측에 상기 제 1 물림턱과 마주보는 제 2 물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몸체부와 제 2 부재의 몸체부는 상기 제 1 물림턱과 제 2 물림턱 사이의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 카메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중 일방의 내측 에는 용수철걸이홈이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일방 몸체부의 가이드리브 하측으로는 관통된 장공을 형성하며, 타방 몸체부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관통되어 일방 몸체부의 타방 몸체부에 대한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장공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 외측으로는 용수철걸이홈에 일단이 고정된 용수철의 다른 일단이 고정되는 용수철걸이를 형성하여, 용수철의 양단을 상기 용수철걸이와 용수철걸이홈에 고정하는 한편 장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삽입되는 조임나사와 조임나사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를 사용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피시 카메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나사의 머리부에는 수개의 굴곡부를 형성하여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피시 카메라.
KR2019980015175U 1998-08-12 1998-08-12 피시카메라 KR200322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75U KR200322331Y1 (ko) 1998-08-12 1998-08-12 피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75U KR200322331Y1 (ko) 1998-08-12 1998-08-12 피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55U true KR20000004655U (ko) 2000-03-06
KR200322331Y1 KR200322331Y1 (ko) 2003-10-23

Family

ID=4941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175U KR200322331Y1 (ko) 1998-08-12 1998-08-12 피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3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43B1 (ko) * 2011-03-15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모듈 블록의 장착구조 및 이를 채용한 감시 로봇
KR101509525B1 (ko) * 2012-05-11 2015-04-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발칸포용 야간 조준기의 브라켓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야간 조준기
KR2022011999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43B1 (ko) * 2011-03-15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모듈 블록의 장착구조 및 이를 채용한 감시 로봇
KR101509525B1 (ko) * 2012-05-11 2015-04-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발칸포용 야간 조준기의 브라켓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야간 조준기
KR2022011999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331Y1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020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모니터 장착기구
US6501429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927699B2 (ja) スタンドとして使用できる回転式及び軸回転式ベルトクリップ
US6400560B1 (en) Engaging device for a computer screen in a car
JP3665164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を支えるための装置
JP2923472B2 (ja) 機器の設置角度調整機構
KR19980032456A (ko) 포터블 컴퓨터와, 그 분리가능한 디스플레이 지지용 디스플레이스탠드
US10365543B2 (en) Holder for mobile devices
JP3498447B2 (ja) 撮像機器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11163220B2 (en) Camera device with a clamping module
JP2019536485A (ja) ホルダ及び携帯電話ケース
KR100654797B1 (ko) 컴퓨터 장치
KR20000004655U (ko) 피시 카메라
JP3669244B2 (ja) 撮像装置
JP3833837B2 (ja) ビデオカメラ
CN112398981A (zh) 屏幕扩展支架和智能手机组件
KR200187429Y1 (ko) 폴더형 디지털 카메라
JP3894902B2 (ja) 拡大読書器
JP2003122447A (ja) コンピュータ装置、モニタユニットおよびモニタユニットの受入台
KR20130005070U (ko) 야외 사진촬영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17906651U (zh) 手机套
KR200224779Y1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JPH10173968A (ja) 収納ケースおよび撮像装置の固定装置
JPH10136241A (ja) カメ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