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451A -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 Google Patents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451A
KR20000002451A KR1019980023206A KR19980023206A KR20000002451A KR 20000002451 A KR20000002451 A KR 20000002451A KR 1019980023206 A KR1019980023206 A KR 1019980023206A KR 19980023206 A KR19980023206 A KR 19980023206A KR 20000002451 A KR20000002451 A KR 2000000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bond
bond pad
bonding
semiconducto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470B1 (ko
Inventor
정진국
김학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4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groups H01L21/18 - H01L21/326 or H10D48/04 - H10D48/07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드패드의 부식을 억제하고, 본드 와이어(bond wire)와 본드패드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칩의 본드패드를 본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칩 외부로 연결하는 제1 공정과, 본드 와이어가 연결된 본드패드 상부를 절연막으로 덮는 제2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 및 이러한 본딩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Package)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드패드를 본드와이어로 외부로 연결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부(Wire bonding section) 및 본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은 칩(Chip)을 리드프레임(leadframe)이나 인쇄회로기판(PCB: Print Circuit Board)의 칩패드(Chippad)에 탑재(mounting)하고 칩의 기능을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수행한다. 그 후, 몰딩(Molding) 공정을 진행하여 칩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게 한다. 이때, 칩에서 본드 와이어(bond wire)와 연결되는 본드패드(Bondpad)는 도전막으로 구성되고 칩의 다른 영역과 달리 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이 덮여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패키징(Packaging) 공정을 완료한 후에 이 부분에 부식(Corrosion)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누설전류를 발생시켜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단선(Short) 결함이 발생하여 여러 가지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이 끝난 후에 칩의 본드패드를 보호할 수 있는 공정을 추가하여 상술한 본딩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에 의한 본딩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본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본딩(bonding)된 칩(Chip)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본딩방법에 의해 본딩된 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칩(Chip), 102: 본딩와이어(Bonding wire),
104: 본드패드, 106: 절연막,
108: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칩의 본드패드를 본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칩 외부로 연결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본드 와이어가 연결된 본드패드 상부를 절연막으로 덮는 제2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제2 공정 후에 상기 절연막의 경화를 위한 베이킹(baking)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공정의 절연막은 칩의 모든 본드패드를 덮거나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과, 상기 칩의 상부에 노출된 도전막으로 구성된 본드패드(bondpad)와, 상기 본드패드와 연결되어 칩 외부로 상기 집적회로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본드 와이어(bond wire) 및 상기 칩의 본드패드를 덮으면서 본드와이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재질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반도체 소자의 패키징 공정에서 칩의 본드패드에서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하여 누설전류의 증가나 단선결함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저하를 방지하고, 둘째 본드 와이어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억제하고, 셋째 본드 와이어와 본드패드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신뢰도가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본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본딩(bonding)된 칩(Chip)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드프레임(leadframe)이나 인쇄회로 기판(PCB)의 칩패드에 탑재된 반도체 칩(100)을 와이어 본딩 장비(Wire bonding machine)를 이용하여 본드 와이어(102)가 칩에 본드패드(104)에 연결되어 칩의 외부, 예컨대 리드프레임의 인너 리드 팁(Inner lead tip)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본드 패드(104)는 본드 와이어(102)의 접합을 위해 도전막 위에 보호막이 없는 상태로 다음 공정인 몰딩(molding) 공정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절연막(106),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막질은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본드 패드(104)를 덮도록 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본드 패드(104)가 후속공정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부식되어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은 칩에 있는 모든 본드 패드(104)를 전부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전원이 주로 인가되는 특정 본드패드(104)에만 선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부분을 절개(Cross section)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적회로가 형성된 칩(100)에는 외부 연결을 위해 도전막으로 구성된 본드패드(104)와, 상기 본드패드(104)와 연결된 본드 와이어(10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드패드(104)를 제외한 칩의 표면에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는 패시베이션층(108)이 덮여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절연막,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막이 패시베이션층(108)과 본드패드(104)를 덮으면서 본드 와이어(102)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106)은 본 발명의 핵심사상으로 본드패드(104)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본드 와이어(102)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는 기생용량을 억제하고, 본드와이어(102)와 본드패드(104)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드패드를 덮는 절연막 형성공정을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에 추가함으로써, 첫째 반도체 소자의 패키징 공정에서 칩의 본드패드에서 발생하는 부식을 억제하여 누설전류의 증가나 단선결함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저하를 방지하고, 둘째 본드 와이어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억제하고, 셋째 본드 와이어와 본드패드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신뢰도가 높은 반도체 패키지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칩의 본드패드를 본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칩 외부로 연결하는 제1 공정; 및
    상기 본드 와이어가 연결된 본드패드 상부를 절연막으로 덮는 제2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칩의 모든 본드패드를 덮거나 부분적으로 제한된 개수의 본드패드를 덮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후에 베이킹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방법.
  5.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상기 칩의 상부에 노출된 도전막으로 구성된 본드패드(bondpad);
    상기 본드패드와 연결되어 칩 외부로 상기 집적회로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본드 와이어(bond wire); 및
    상기 칩의 본드패드를 덮으면서 본드와이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절연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부.
KR10-1998-0023206A 1998-06-19 1998-06-19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KR10051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06A KR100510470B1 (ko) 1998-06-19 1998-06-19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06A KR100510470B1 (ko) 1998-06-19 1998-06-19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51A true KR20000002451A (ko) 2000-01-15
KR100510470B1 KR100510470B1 (ko) 2005-10-25

Family

ID=1954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206A KR100510470B1 (ko) 1998-06-19 1998-06-19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4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470B1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681B1 (ko) 몰드bga형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US5357139A (en) Plastic encapsulated semiconductor device and lead frame
US5708304A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80136015A1 (en) High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100825784B1 (ko) 휨 및 와이어 단선을 억제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제조방법
JP201609230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374969B2 (en) Semiconductor package with conductive molding compou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105609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半導体装置を組み込んだ電子装置
US6037656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short signal paths to terminals and process of fabrication thereof
US20060043605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510470B1 (ko)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부 및 본딩방법
JP2004289017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JPH0955597A (ja) 半導体装置
US7492038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378185B1 (ko) 테스트용 탭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비지에이 패키지 테이프
KR19980025889A (ko) 중합체층이 개재된 반도체 칩과 기판 간의 범프 접속 구조
KR100377468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검사 방법
KR100475335B1 (ko) 반도체칩패키지
KR100369397B1 (ko) 가요성회로기판을이용한볼그리드어레이반도체패키지
JP2001358172A (ja) 半導体パッケージ
JP3745106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199854B1 (ko) 칩 스케일 패키지용 리드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칩 스케일 패키지
KR100800148B1 (ko) Fbga 패키지
JPH04252041A (ja) 混成集積回路の製造方法
KR0138301B1 (ko) 리드 온 칩(loc) 구조의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