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511U -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511U
KR20000000511U KR2019980009969U KR19980009969U KR20000000511U KR 20000000511 U KR20000000511 U KR 20000000511U KR 2019980009969 U KR2019980009969 U KR 2019980009969U KR 19980009969 U KR19980009969 U KR 19980009969U KR 20000000511 U KR20000000511 U KR 20000000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uckle
pad
belt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09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511U/ko
Publication of KR20000000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511U/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안전벨트에서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패드 부재를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승탑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시켜 운전자는 운전 조작을 자유롭도록 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안전벨트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벨트 부위의 완충력이 증대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승탑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승탑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사고발생시 승탑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의무적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인 바, 안전벨트의 고유 기능인 사고 발생시 승탑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운전자의 운전 조작이 자유롭도록 하는데 설계상의 주안점이 두어지고 있다.
통상적인 안전벨트 장치는 안전벨트(1)를 감아주는 벨트 리트랙터(retractor)(2)와, 안전벨트(1)의 단부에 설치되는 텅 플레이트(tongue pleate)(3)와, 텅 플레이트(3)가 결합되어 승탑자의 신체를 고정시키는 버클(buckle)(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안전벨트 장치는 승탑자가 텅 플레이트(3)를 잡고 천천히 안전벨트(1)를 잡아당겨 텅 플레이트(3)를 버클(4)에 결합시킨 후 안전벨트(1)를 놓아주게 되면 안전벨트(1)는 벨트 리트랙터(2)에 의해 되감겨지면서 팽팽해져 신체에 일정한 압박을 가한 상태로 승탑자를 시트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벨트 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벨트와 신체가 접촉되는 특정부위만 계속해서 신체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에 운전 조작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장시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음에 따라 벨트의 접촉부위에서 느껴지는 압박감으로 인해 불쾌감을 호소하는 승탑자가 많고, 현실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게 되는 주요인으로 작용되어 사고 발생시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는 사례가 속출되고 있다.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에도 벨트와 신체가 직접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벨트의 재질이 승탑자의 신체를 완벽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승탑자가 어린이나 노약자인 경우에는 신체 보호의 역할이 충분하지 못한 형편이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벨트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운전 조작이 자유롭고, 승탑자에게 벨트 착용에 따른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발생에 대처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고 발생시 안전벨트가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의 쿠션력을 증대시켜 승탑자의 신체보호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안전벨트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탑자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패드버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전벨트 2 ; 벨트 리트랙터
3 ; 텅 플레이트 4 ; 버클
5 ; 센터 필러 6 ; 패드버클 수납부
11 ; 패드 12 ; 패드버클
12a ; 벨트유동공 12b ; 가이드공
13 ; 고정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는 승탑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상기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되감아주는 벨트 리트랙터와, 상기 안전벨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텅 플레이트와, 상기 텅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전벨트를 차체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버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에서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패드 부재를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 부재는 안전벨트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버클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버클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벨트유동공이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에는 안전벨트를 벨트유동공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패드버클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해당 부위에 패드(11)를 구비한 것이다.
패드는 승탑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벨트(1)에서 위치가 변경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패드(11)가 하면에 부착되는 패드버클(12)과, 패드버클(12)을 통과하는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3)을 구비하여 패드버클(12)을 안전벨트(1)의 어느 위치에나 고정되도록 한다.
패드버클(12)에는 길이방향으로 벨트유동공(12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폭방향으로는 고정핀(13)을 안내하는 가이드공(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공(12b)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13)이 가이드공(12b)의 경사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안전벨트(1)에 패드버클(12)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한다.
패드버클(12)의 하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고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버클(12)의 하면에 패드(11)가 부착된 상태도 라운드형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승탑자가 안전벨트를 사용하기 전에 패드버클(12)은 벨트와 함께 센터 필러(5)의 패드버클 수납부(6)에 도피되어 있는 상태이다.
승탑자가 안전벨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텅 플레이트(3)를 잡아당기면 안전벨트(1)가 센터 필러(5)에서 인출되면서 패드버클(12)도 패드버클 수납부(6)에서 동시에 인출되며, 텅 플레이트(3)를 버클(4)에 결합시키면 패드버클(12)은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데, 패드버클(12)에 하면에 부착된 패드(11)가 신체와 접촉되므로 벨트(1)로 인한 압박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만약 패드버클(12)의 위치가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은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면, 패드버클의 고정핀(13)을 도 4의 점선의 위치로 이동시켜 패드버클(12)을 안전벨트(1)에서 분리한 후에 패드버클(12)을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고정핀(13)을 다시 실선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안전벨트(1)에 패드버클(12)을 고정시키면 된다.
차량의 운행이 끝나 승탑자가 텅 플레이트(3)를 버클(4)에서 분리하면 벨트 리트렉트(2)에 되감기 작용에 의하여 안전벨트(1)는 센터 필러(5)의 내측으로 되감겨 수납되는 바, 이때 패드버클(12)도 패드버클 수납부(6)에 동시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는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벨트 부위에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승탑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시켜 운전자는 운전 조작을 자유롭도록 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안전벨트 착용감을 향상시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벨트 부위의 완충력이 증대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승탑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승탑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상기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되감아주는 벨트 리트랙터와, 상기 안전벨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텅 플레이트와, 상기 텅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안전벨트를 차체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버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에서 승탑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패드 부재를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재는 안전벨트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버클의 하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버클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벨트유동공이 형성되고, 폭방향으로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에는 안전벨트를 벨트유동공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KR2019980009969U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KR200000005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969U KR20000000511U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969U KR20000000511U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511U true KR20000000511U (ko) 2000-01-15

Family

ID=6951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969U KR20000000511U (ko) 1998-06-11 1998-06-11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51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H04278858A (ja) 自動車の膝保護装置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00000511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
KR100568669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구속력 향상장치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0185881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텅플레이트완충장치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KR20014184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0134776Y1 (ko) 자동차용 시트트랙의 이탈방지 구조
KR200145621Y1 (ko) 차량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0177423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0124233Y1 (ko) 시트 벨트의 스풀 아웃 감소장치
KR200261556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부착하는 심장보호 겸 메모포켓용안전패드
KR20010100115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부착하는 심장보호 겸 메모포켓용안전패드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200202493Y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19990031292U (ko) 시트벨트의 자동해제장치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KR0138513Y1 (ko) 자동차용 벨트 보호구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0130713Y1 (ko)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벨트의 벨트 자동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