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416A -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 Google Patents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416A
KR19990087416A KR1019980706834A KR19980706834A KR19990087416A KR 19990087416 A KR19990087416 A KR 19990087416A KR 1019980706834 A KR1019980706834 A KR 1019980706834A KR 19980706834 A KR19980706834 A KR 19980706834A KR 19990087416 A KR19990087416 A KR 1999008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
boc
ppa
pro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톤 엑버트 피터 아당
자코부스 알버트러스 마리아 피터스
Original Assignee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치. 리링크,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이.에이치. 리링크
Publication of KR1999008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the structure -NH-X-X-C(=0)-, X being an optionally substituted carbon atom or a heteroatom, e.g. beta-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the structure -X-C(=O)-(C)n-N-C-C(=O)-Y-; X and Y being heteroatoms; n being 1 or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the structure -X-C(=O)-(C)n-N-C-C(=O)-Y-; X and Y being heteroatoms; n being 1 or 2
    • C07K5/022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the structure -X-C(=O)-(C)n-N-C-C(=O)-Y-; X and Y being heteroatoms; n being 1 or 2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e.g. Pro, Tr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7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04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acidic
    • C07K5/06113Asp- or Asn-amino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39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응고 활성을 지니며, 트롬빈 관련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 B, X, Y 및 r은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세린 프로테아제는 다단계의 혈액 응고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물질 중에서 중요한 효소이다. 이러한 프로테아제 군의 일원의 예로는 트롬빈, 트립신, 인자 VIIa, IXa, Xa, XIa, XIIa 및 단백질 C가 있다.
트롬빈은 다단계의 응고 반응에서 마지막 단계를 조절하는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트롬빈의 주된 기능은 피브리노겐을 분해하여 피브린 단량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브린 단량체는 가교 반응에 의해 불용성 겔을 형성한다. 또한 트롬빈은 다단계에서 초기에 인자 V 및 VIII를 활성화시켜 그 자체의 생성을 조절한다. 또한, 이는 세포성 단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이때는 혈소판 응집, 내피 세포 활성화 및 섬유아세포 증식을 야기하는 특정 수용체상에 작용한다. 그래서, 트롬빈은 지혈 및 혈전 형성에서 중추 조절 작용을 한다. 트롬빈 억제제는 광범위한 치료학적 용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는 집중적인 연구가 행해져 왔다.
세린 프로테아제, 특히 트롬빈의 합성 억제제의 개발에서, 천연성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단백분해 효소에 의해 인지되는 작은 합성 펩티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그 결과, 신규한 펩티드형 억제제, 예를 들면, 트롬빈의 전이 상태의 억제제가 제조되어 왔다.
낮은 투약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심각한 부작용이 감소된 트롬빈 억제제를 얻고자 효능 및 선택성이 더욱 큰 트롬빈 억제제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경구 생체 이용율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강력한 정맥내 트롬빈 억제제는 임상적으로 트롬빈 관련 질환의 치료를 요하는 급성 관리하의 조절시에 유효하다. 그러나, 특히 심근 경색, 혈전증 및 발작과 같은 트롬빈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장기간을 요하는 치료이며, 항응고제를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펩티드형 트롬빈 억제제는 아르기닌 측쇄를 포함한다. 이러한 아르기닌 측쇄를 함유한 트롬빈 억제제의 문제점은 이들의 경구 생체이용율이 낮다는 점이다. 아르기닌 대신 리신 측쇄를 함유한 수많은 트롬빈 억제제가 문헌 중에 보고된 바 있다. 아르기닌에 비해 리신의 염기성도는 낮기 때문에, 경구 생체이용율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리신을 함유한 트롬빈 억제제의 예로는 억제제 N-Me-D-Cha-Pro-Lys-COOH 및 이의 유도체[존스 등, J. Enzyme Inhibition, 9(1995), 43~60에 기재됨] 및 억제제 N-Me-D-Phe-Pro-Lys-X(이때, X는 카르복스아미드 또는 카르복실산임)[루이스 등, Thrombosis and Haemostasis, 74(4)(1995), 1107~12]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기대된 개선점은 관찰되지 않았고, 아르기닌 측쇄를 갖는 억제제에 대하여 보고된 것과 유사한 몇가지 리실 트롬빈 억제제의 경구 생체이용율은 관찰되지 않았다(루이스 등, Thrombosis and Haemostasis, 74(4)(1995), 1107~12). 다른 트롬빈 억제게가 국제 공개 제94/25051호에 기재되어 있는 데, 이때 리신 또는 아르기닌 측쇄는 리신 등 배전자체로 간주되는 아미노시클로헥실 부분으로 치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페리딘 측쇄를 갖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뿐 아니라, 상기 억제제를 트롬빈 관련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I의 알키닐아미노 측쇄를 갖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특히 트롬빈, Xa 및 VIIa 억제제, 이의 약물 전구체, 이의 약학적 허용염이 강력하고 선택성이 있는 억제제라는 사실이 지금에서야 발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화합물은 경구 투여후 생체이용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식에서, A는 H, 임의로 치환된 D,L α-히드록시아세틸, R1, R1-O-C(O)-, R1-C(O)-,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고, 이때, R1은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및 C3-C8시클로알킬(이때 기들은 C3-C8시클로알킬, C1-C6알콕시, 옥소, OH, COOH, CF3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 및 C6-C14아릴, C7-C15아르알킬 및 C8-C16아르알케닐(이때, 아릴기는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6알콕시, OH, COOH, CF3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되며, 각각의 R2기는 각각 H이거나 또는 R1과 동일하고, m은 1, 2 또는 3이며;
B는 결합, 화학식 -NH-CH[(CH2)pC(O)OH]-C(O)-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이때, p는 0, 1, 2 또는 3임), -N(C1-C12알킬)-CH2-CO-, -N(C2-C12알케닐)-CH2-CO-, -N(C2-C12알키닐)-CH2-CO-, -N(벤질)-CH2-CO-,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염기성 또는 중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또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는 각각 R1, R1-O-C(O)-, R1-C(O)-,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거나 또는 R3및 R4중 하나는 R5에 연결되어 이들이 결합하게 되는 "N-C"와 함께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는 지방족 6원 고리 또는 방향족 6원 고리로 축합될 수 있으며; R5는 소수성, 염기성 또는 중성 측쇄임]이며;
X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세린, 트레오닌, 시클릭 아미노산(이때, 시클릭 아미노산은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부가의 이종 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C1-C6알킬,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됨)이거나, 또는 X는 -NR2-CH2-C(O)- 또는 분절또는(이때, n은 2, 3 또는 4이고, W는 CH 또는 N임)이고;
Y는 H, -CHF2, -CF3, -CO-NH-C1-C6알킬렌-C6H5, -COOR6(이때, R6는 H 또는 C1-C6알킬, -CONR7R8이며, R7및 R8은 각각 H 또는 C1-C6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C3-C6알킬렌임)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티아졸린, 2-벤조티아졸, 2-옥사졸, 2-옥사졸린 및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이며, 이때, 헤테로사이클은 C1-C6알킬, 페닐,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은 0, 1, 2 또는 3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트롬빈 중개 질환 및 트롬빈 관련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이는 다단계의 응고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다수의 혈전증 및 프로트롬빈 상태를 포함하나, 이들로 국한된 것은 아니며, 이의 예로는 심재 정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 혈전성 정맥염, 혈전증 또는 색전증으로부터의 동맥 폐색증, 혈관성형술과 혈전용해중에 또는 이후의 동맥 재폐색증, 동맥 손상 또는 침입성 심장 처치후의 재발협착증, 수술후 정맥 혈전증 또는 색전증, 급성 또는 만성 동맥경화증, 발작, 심근 경색증, 암 및 전이, 신경변성 질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투석 및 수술시에 필요한 체외 혈액 순환시에 항응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외 항응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며, 이때, X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세린, 트레오닌 또는 -NR2-CH2-C(O)-이다. 화학식 I의 기타의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A는 전술된 바와 같으며; B는 결합, 화학식 -NH-CH[(CH2)pC(O)OH]-C(O)-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이때, p는 0, 1, 2 또는 3임), -N(C1-C6알킬)-CH2-CO-, -N(C2-C6알케닐)-CH2-CO-, -N(벤질)-CH2-CO-,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며; X는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부가의 이종 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C1-C6알킬,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릭 아미노산이거나 또는 X는 -NR2-CH2-C(O)- 또는 분절또는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로서, 이때, A는 H, 2-히드록시-3-시클로헥실-프로피오닐-, 9-히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 R1,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때, R1은 C1-C12알킬, C2-C12알케닐, C6-C14아릴, C7-C15아르알킬 및 C8-C16아르알케닐로부터 선택되며, 각각의 R2기는 각각 H이거나 또는 R1과 동일함)이며;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며; Y는 -CO-NH-C1-C6알킬렌-C6H5, -COOR6, -CONR7R8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티아졸린, 2-벤조티아졸, 2-옥사졸, 2-옥사졸린 및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A가 H, R1-SO2- 또는 R2OOC-(CHR2)m-이고;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2OOC-(CHR2)m- 또는 R1-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C7-C15아르알킬, R1-SO2- 또는 R2OOC-(CHR2)m-이며, R5는 소수성 측쇄임]이며; Y는 -CO-NH-C1-C6알킬렌-C6H5, -COOR6(이때, R6는 H 또는 C1-C3알킬임), -CONR7R8(이때, R7및 R8은 각각 H 또는 C1-C3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C3-C5알킬렌임)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벤조티아졸, 2-옥사졸 또는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합물이다.
A가 R2OOC-(CHR2)m-인 경우, B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2OOC-(CHR2)m-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C2-C6알케닐, C3-C8시클로알킬, 벤질, R1-SO2- 또는 R2OOC-(CHR2)m-임]이며; X는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 또는 -[N(C3-C8) 시클로알킬]-CH2-C(O)-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A는 HOOC-CH2-이며; B는 D-Phe, D-Cha, D-Coa, D-Dpa, p-Cl-D-Phe, p-O메틸-D-Phe, p-O에틸-D-Phe, D-Nle, m-Cl-D-Phe, 3,4-디-OMe-D-Phe, D-Chg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HOOC-CH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4알킬, C1-C4알킬-SO2- 또는 HOOC-CH2-이며, R5는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4알킬, 페닐, 벤질이며, 이들 기는 염소 또는 C1-C4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됨]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A는 HOOC-CH2이고, B는 D-Cha이며, X는 프롤린 또는 -[N(시클로펜틸)]-CH2-C(O)인 화합물이다.
A가 R1-SO2-인 경우,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1-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또는 R1-SO2-임]이며; X는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 -[N(C3-C8) 시클로알킬]-CH2-C(O)- 또는 분절또는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A가 에틸-SO2- 또는 벤질-SO2-이고; B는 결합, D-Phe, D-Cha, D-Coa, D-Dpa, p-Cl-D-Phe, p-O메틸-D-Phe, p-O에틸-D-Phe, D-Nle, m-Cl-D-Phe, 3,4-디-OMe-D-Phe, D-Chg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에틸-SO2- 또는 벤질-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또는 R1-SO2-이며, R5는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4알킬, 페닐, 벤질, 디페닐메티닐이며, 이들 기는 염소 또는 C1-C4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됨]인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A가 에틸-SO2-이고, B는 D-Cha이며, X는 프롤린 또는 -[N(시클로펜틸)]-CH2-C(O)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I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r이 1인 화합물이다.
A기의 정의에서 정의된 N-보호기는 펩티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N-보호기이다. 적절한 N-보호기는 티.더블유. 그린 및 피.지.엠. 우츠의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판 (윌리, 뉴욕, 1991) 및 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 Vol. 3E. 그로스 및 제이. 마인호퍼 편저, 아카데믹 프레스, 뉴욕, 1981]에 기재되어 있다.
용어 "임의로 치환된 D,L α-히드록시아세틸"이라는 것은 식 HO-CRaRb-C(O)-의 기를 나타내며, 이때, Ra및 Rb는 각각 H, 소수성 측쇄이거나 또는 Ra및 Rb는 함께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며, 이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6-원 고리로 임의로 축합되고, 5-원 또는 6-원 고리는 탄소 및, 임의로 N, O 및 S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이종 원자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D,L α-히드록시아세틸기는 2-히드록시-3-시클로헥실-프로피오닐- 및 9-히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이다.
용어 "C1-C12알킬"이라는 것은 1∼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t-부틸, 이소펜틸, 헵틸, 도데실 등이 있다. 바람직한 알킬기의 예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C1-C6알킬기이다. R6, R7및 R8의 정의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C1-C3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이 있다.
C2-C12알케닐기는 2∼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다. C2-C6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이의 예로는 에테닐, 프로페닐, 알릴 등이 있다.
용어 "C1-C6알킬렌"이라는 것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렌기, 예를 들면, -(CH2)m-[이때, m은 1∼6임], -CH(CH3)-, -CH(CH3)-(CH2)-등이다. Y의 정의에서의 바람직한 알킬렌기는 에틸렌 및 메틸렌이다.
C2-C12알키닐기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며, 2∼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쇄 또는 직쇄 탄화수소기이다. 에티닐 및 프로피닐과 같은 C2-C6알키닐기가 바람직하다.
C6-C14아릴기는 6∼1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기이다. 아릴기는 N, S 또는 O와 같은 1종 이상의 이종 원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이소)퀴놀릴, 인다닐 등이 있다. 페닐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C7-C15아르알킬 및 C8-C16아르알케닐기는 각각 1종 이상의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 및 알케닐기이며, 총 탄소 원자 수는 각각 7∼15개 및 8∼16개이다.
용어 "C1-C6알콕시"라는 것은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알킬기는 전술된 바와 같은 정의를 갖는다.
용어 "C3-C8시클로알킬"이라는 것은 3∼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 등이 있다.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이 바람직한 시클로알킬기이다.
용어 "할로겐"이라는 것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낸다.
용어 "에스테르 유도체"라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에스테르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또는 t-부틸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1-Tiq 및 3-Tiq"라는 것은 각각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1-카르복실산 또는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을 나타내며, 용어 "1-Piq 및 3-Piq"라는 것은 각각 1-카르복시퍼히드로이소퀴놀린 및 3-카르복시퍼히드로이소퀴놀린을 나타내고, 용어 "Atc"라는 것은 2-아미노테트랄린-2-카르복실산을 나타내고, 용어 "Aic"라는 것은 아미노 인단 카르복실산을 나타내고, 용어 "Phe"는 페닐알라닌을 나타내고, 용어 "Cha"라는 것은 시클로헥실알라닌을 나타내며, 용어 "Dpa"라는 것은 디페닐알라닌을 나타내며, 용어 "Coa"라는 것은 시클로옥틸알라닌을 나타내며, 용어 "Chg"라는 것은 시클로헥실글리신을 나타내며, 용어 "Nle"라는 것은 노르류신을 나타내며, 용어 "Asp"라는 것은 아스파르트산을 나타낸다.
용어 "소수성 측쇄"는 1종 이상의 C3-C8시클로알킬기 또는 C6-C14아릴기(이는 질소와 같은 이종 원자를 포함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 시클로옥틸, 페닐, 피리디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C1-C12알킬을 나타내며, 소수성 측쇄는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 알킬(예, 메틸 또는 에틸), 저급 알콕시(예, 메톡시), 페닐옥시, 벤질옥시 등과 같은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치환된" 것이라는 의미는 1종 이상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
염기성 측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의 예로는 아르기닌 및 리신, 바람직하게는 아르기닌이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중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이라는 것은 메티오닌 설폰 등과 같은 아미노산을 나타낸다.
시클릭 아미노산의 예로는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1-아미노-1-카르복시-(C3-C8)-시클로알칸(바람직하게는 C4, C5또는 C6), 4-피페리딘 카르복실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아자프롤린,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및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용어 "약물 전구체(prodrug)"라는 것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피페리딘기가 예를 들면 히드록시, C1-C6알콕시 또는 C1-C6알콕시카르보닐기에 의해 보호된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적절하게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사체를 커플링시킨 후,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도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I에 의한 화합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피페리딘 측쇄를 포함하는 개질된 아미노산을 기타의 아미노산에 대해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투입한다.
이를 위해, 적절히 Nα 보호된(반응성 측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측쇄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펩티드를 활성화시키고 적절히 카르복실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유도체를 용액내에 또는 고형 지지체상에 커플링시킨다. α-아미노 작용기의 보호는 대개 산 불안정성 t-부틸옥시카르보닐기(Boc), 벤질옥시카르보닐(Z)기 및 치환된 유사체 또는 염기 불안정성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Fmoc)기등의 우레탄 작용기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Z기는 촉매 수소화 반응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기타의 적절한 아미노 보호기의 예로는 Nps, Bmv, Bpoc, Msc 등이 있다. 아미노 보호기에 대한 참고는 문헌[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 Vol. 3E. 그로스 및 제이. 마인호퍼 편저, 아카데믹 프레스, 뉴욕, 1981]에 기재되어 있다. 카르복실기의 보호는 메틸에스테르 또는 에틸에스테르와 같은 염기 불안정성 에스테르, t-부틸에스테르등의 산 불안정성 에스테르 또는 벤질에스테르와 같은 가수소분해 불안정성 에스테르등의 에스테르의 형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피페리딘 측쇄의 보호는 전술된 기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적절하게 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의 카르복실기의 활성화는 아지드, 혼합 무수물, 활성 에스테르 또는 카르보디이미드법에 의해 특히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3-히드록시-4-옥소-3,4-디히드로-1,2,3-벤조트리아진,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스이미드와 같은 촉매 및 라세미화 억제 화합물을 첨가하므로서 발생될 수 있다. 참고 문헌[The Peptides, Analysis, Synthesis, Biology(상기 참조) 및 Pure and Applied Chem. 59(3), 331~344 (1987)].
본 발명의 화합물(유리 염기의 형태일 수도 있음)은 약학적 허용염의 형태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유리될 수 있다. 약학적 허용염은 또한 화학식 I의 유리 염기를 유기산 또는 무기산, 예컨대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요오드화 수소, 황산, 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말레산, 말론산, 메탄설폰산, 푸마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이상의 키랄 탄소 원자를 지닐 수 있으며, 그래서,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로서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또는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서 얻을 수 있다.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광학 활성 산 및 라세믹 화합물로부터 얻은 염을 결정화시키거나 또는 키랄 칼럼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가 있다. 부분 입체 이성질체의 경우, 직상 또는 역상 칼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장내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사람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체중 1 ㎏당 0.001∼100 ㎎, 바람직하게는 체중 1 ㎏당 0.01∼10 ㎎의 일일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문헌[겐나로 등,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 판, 맥 퍼블리슁 컴파니, 1990, 특히 Part 8을 참고함: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ir Manufacture]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적절한 보조제와 혼합한 상태에서, 화합물은 고형 투여량 단위, 예를 들면, 환약, 정제로 압축될 수 있거나 또는 캡슐 또는 죄약으로 처리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적절한 액체에 의해서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주사 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제, 현탁제,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비강 분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분무제로 사용될 수 있다.
정제와 같은 단위 투여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충전제, 착색제, 중합체성 결합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임의의 약학적 허용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는 적절한 담체의 예로는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되는 유당,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부가로 예시된다.
용어 PpaΨ[COCO]-OH, -Ppa-OMe 및 -Ppa-(2-티아졸릴)은 하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화합물에서, Y는 각각 COOH, OCH3및 2-티아졸릴이다.
Azt =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Boc = t-부틸옥시카르보닐; Cbz = 벤질옥시카르보닐; TsOH = p-톨루엔설폰산.
실시예 1
HOOC-CH2-D-Cha-Pro-PpaΨ[COCO]-OH
(a) H-D-Cha-OMe·HCl
냉각된(-20℃) 무수 메탄올(195 ml)에 티오닐클로라이드(28 ml)를 첨가하였다. H-D-Cha-OH·HCl(40 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키고, 메탄올과 함께 공증발시켰다(3회). 잔류물을 메탄올/디에틸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H-D-Cha-OMe·HCl을 백색 결정 분말로 얻었다(40.9 g).
TLC:Rf=0.66, 실리카겔, n-부탄올/아세트산/물 10/1/3 v/v/v.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D-Cha-OMe
t-부틸-브로모아세테이트(36 g)를 아세토니트릴 400 ml에 용해된 교반된 H-D-Cha-OMe·HCl(40.9 g)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pH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물로 세정하였다. 이후에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헵탄/에틸 아세테이트(9/1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D-Cha-OMe을 얻었다(64 g).
TLC:Rf=0.2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M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D-Cha-OMe(64 g)와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40.3 g)의 용액의 pH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차가운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정하였다. 이후에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물을 증발시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Me을 무정형 고형물로 얻었다(59.6 g).
TLC:Rf=0.5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d)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
디옥산/물(9/1 v/v) 90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 OMe(59.6 g) 용액을 충분량의 6N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pH를 12로 유지하였다. 산성화시킨 후, 혼합물을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54 g)를 얻었다.
TLC:Rf=0.60,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Bzl
N,N-디메틸포름아미드(15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 Cha-OH(13.5 g)의 차가운(0℃) 용액에 1-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7.09 g),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DCCI)(7.61 g), H-Pro-OBzl·HCl(9.31 g) 및 트리에틸아민(6 ml)을 차례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밤새 실온을 유지하였다. 이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탄산수소나트륨, 물, 3% 시트르산 및 염수 순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Bzl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중발시켰다. 수득량: 15 g.
TLC:Rf=0.70,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f)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
메탄올(15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Bzl(15 g)의 용액에 10% 팔라듐/목탄(750 m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의 대기합하에서 1 시간 동안 가수소화하였다. 팔라듐 촉매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 제거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11.2 g)을 얻었다.
TLC:Rf=0.6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213/20/6/11 v/v/v/v.
(g) 디에틸 2-아세트아미도-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
나트륨 금속의 분획 46 g을 에탄올 3.5 ℓ에 첨가하고, 가열하였다. 디에틸 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217 g)와 4-피콜릴 클로라이드 염산염(164 g)을 얻어진 나트륨 에폭사이드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아셀 및 실리카겔상에서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1 ℓ로 처리하고,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수득량: 142 g.
TLC:Rf=0.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5/1.5/2.75 v/v/v/v.
(h) 에틸 2-아세트아미도-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
에탄올 2 ℓ 및 물 800 ml 중의 수산화칼륨 46 g과 디에틸 2-아세트아미도-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 142 g의 용액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산성화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과 톨루엔으로 동시증발시켜 에틸 2-아세트아미도-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염화칼륨 포함함) 187 g을 얻었다.
TLC:Rf=0.9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 63/5/1.5/2.75 v/v/v/v.
(i) 에틸 2-N-아세틸아미노-3-(피리딘-4-일)-프로파노에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ℓ 중의 2-아세트아미도-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394 g)의 용액을 1½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pH를 11.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수율: 158.8 g
TLC:Rf=0.3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5/1.5/2.75 v/v/v/v.
(j) Ac-Ppa-OEt
에탄올 1 ℓ 중의 에틸 2-N-아세틸아미노-3-(피리딘-4-일)-프로파노에이트 39.5 g의 용액을 수소 대기하에서 촉매로 10%의 활성화된 탄소상 팔라듐 4 g을 사용하여 환원시켰다. 18 시간 후, 상기 촉매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물을 농축 건조시켜 소정 화합물 40 g을 얻었다.
(k) H-Ppa-OH
6N 염산 중의 Ac-Ppa-OEt 81.5 g의 용액을 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H-Ppa-OH·HCl 90 g을 얻었다.
TLC:Rf=0.97, 실리카겔, 1-부탄올:피리딘:아세트산:물 8/3/1/4 v/v/v/v.
(l) Cbz-Ppa(Boc)-OH
물(1730 ml)과 디옥산(1250 ml) 중의 H-Ppa-OH 90 g, 황산구리(II) 펜타히드레이트 51.23 g 및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66 g의 용액의 pH를 2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9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잘 세정하였다. 필터케이크를 디옥산에 용해하고, pH를 4N 수산화나트륨 12.5 g과 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숙신이미드 200 g을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디옥산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작은 용적으로 농축시키고, pH를 2.5로 조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후에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60 g을 얻었다.
TLC:Rf=0.77,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m) Cbz-Ppa(Boc)-OMe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 v/v) 3 ℓ 중의 Cbz-Ppa(Boc)-OH 160 g의 용액에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120 g을 첨가하였다. 그후,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5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2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이후에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9/1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이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디에틸 에테르로 결정화시키고, 소정 생성물 75 g의 제1 분획을 얻었다. 모액을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8/2 v/v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Cbz-Ppa(Boc)-OMe 34 g을 얻었다.
TLC:Rf=0.77,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n) 2-아세톡시-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부탄니트릴
-78℃에서, 미리 냉각시킨 디이소부틸알루미늄 수화물(헥산 중의 1.0M 용액) 908 ml을 디클로로메탄 3ℓ 중의 Cbz-Ppa(Boc)-OMe 109 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되, 온도가 -70℃ 이하로 유지되는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7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시트르산 포화 용액 1ℓ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시트르산 용액 2ℓ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0℃로 냉각시킨 다음, 벤질트리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5 g, 무수아세트산 58 ml 및 물(1.5ℓ) 중의 나트륨시아니드 118 g을 차례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0분 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2회 세정하였다. 그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6/4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고형물로 얻었다(98 g).
TLC:Rf=0.65,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o) Cbz-PpaΨ[CHOHCO]-OMe
디에틸에테르/메탄올 9/1 v/v의 혼합물 3ℓ 중의 2-아세톡시-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부탄니트릴 98 g의 교반 현탁액을 -20℃에서 기상 염화수소(260 g)로 처리하였다. 이 혼합물을 0~5℃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물 408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유기층을 분리시켰다. 수성층의 pH를 25%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8로 조정한 다음, 이 유기층을 1-부탄올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Cbz-PpaΨ[CHOHCO]-OMe 57 g을 얻었다.
TLC:Rf=0.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p) Cbz-Ppa(Boc)Ψ[CHOHCO]-OMe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0 ml 중의 Cbz-PpaΨ[CHOHCO]-OMe(57.9 g)과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40 g의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5분 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0.1 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무수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6/4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오일 31 g을 얻었다.
(q)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OMe
N,N-디메틸포름아미드(4 ml) 중의 Cbz-Ppa(Boc)Ψ[CHOHCO]-OMe 120 mg, 1N 염산 0.27 ml 및 촉매인 10%의 활성화된 탄소상 팔라듐 12 mg의 용액을 대기압하에서 가수소화시켰다.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촉매를 제거하고,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5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 137 mg,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40 mg 및 1,3-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61 mg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이 잔류물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소정 화합물 220 mg을 얻었다.
TLC:Rf=0.6,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5/1.5/2.75 v/v/v/v.
(r)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 -OH
디옥산/물 9/1 v/v 15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 Pro-Ppa(Boc)Ψ[CHOHCO]-OMe 220 mg의 용액의 pH를 1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12로 조정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를 1N 염산을 사용하여 2.5로 조정하였고, 혼합물을 물에 부었다. 그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무수 상태로 증발시켰다. 표제 화합물의 수득량은 210 mg이었다.
TLC:Rf=0.21,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5/1.5/2.75 v/v/v/v.
(s)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OCO] -OH
디클로로메탄 2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 (Boc)Ψ[CHOHCO]-OH 210 mg의 용액에 1,1,1-트리아세톡시-1,1-디히드로-1,2-벤즈요오도옥솔-3-(1H)-온(데스 마틴 시약) 177 m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티오황산나트륨(물 중의 5%)의 용액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수득량 340 mg.
TLC:Rf=0.4,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t) HOOC-CH2-D-Cha-Pro-PpaΨ[COCO]-OH
9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 D-Cha-Pro-Ppa(Boc)Ψ[COCO]-OH 340 mg의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A: 20%; B: 80%; C: 0% → A: 20%; B: 55%; C: 25%의 구배 용출계를 사용하여 유속 20 ml/분으로 조제용 HPLC supelcosil LC-8-BD 칼럼으로 정제하였다. (A: 0.5M 인산염 완충액 pH = 2.1; B: 물; C: 아세토니트릴:물 3:2 v/v). 부분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수득량 53.7 mg.
Rt(LC): 22.65분; A: 20%; B: 80%; C: 0% → A: 20%; B: 20%; C: 60%, 40분.
실시예 2
HOOC-CH2-D-Cha-N-시클로펜틸-Gly-PpaΨ[COCO]-OH
(a) N-시클로펜틸-Gly-OMe·HCl
H-Gly-OMe·HCl(46.4 g)을 메탄올 400 ml에 용해시키고, 시클로펜타논(34 g)과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4 g)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pH가 2가 될 때까지 6M 염산으로 급냉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6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10 이상으로 조정하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그후,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결정화하여 HCl 염으로 얻었다. 수득량: 43.5 g.
TLC:Rf=0.71,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88/31/18/7 v/v/v/v.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N-시클로펜틸-Gly-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N-시클로펜틸-Gly-OH는 활성제로 TBTU를 사용하여, 디펩티드 부분에 대한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c) HOOC-CH2-D-Cha-N-시클로펜틸-Gly-PpaΨ[COCO]-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N-시클로펜틸-Gly-OH와 H-Ppa(Boc)Ψ[CHOHCO]-OMe·HCl 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반응, 비누화 반응,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t(LC): 29.72분; 20% A/80% B → 20% A/80% B/60% C, 40분.
실시예 3
HOOC-CH2-D-Phe-Pro-PpaΨ[COCO]-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Phe-Pro-OH는 H-D-Phe-OH·HCl을 출발 물질로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Phe-Pro-OH와 H-Ppa(Boc)Ψ[CHOHCO]- OMe·HCl 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 공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t(LC): 17.77분 및 18.19분. 20% A/80% B → 20% A/80% B/60% C, 40분.
실시예 4
HOOC-CH2-m-Cl-D,L-Phe-Pro-PpaΨ[COCO]-OH
H-m-Cl-D,L-Phe-OH·HCl은 3-클로로벤질브로마이드를 출발 물질로하여 실시예 5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그 다음, 완전 보호된 트리펩티드를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따라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t(LC): 22.24/23.07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
HOOC-CH2-p-Cl-D-Phe-Pro-PpaΨ[COCO]-OH
(a)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OH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H-p-Cl-D-Phe-OH·HCl(10 g)을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OH로 전환시켰다. 수득량: 16.7 g.
TLC:Rf=0.27,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9/1 v/v.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OSu (Su=숙신이미드)
아세토니트릴 25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OH (14.67 g) 용액을 N-히드록시숙신이미드(4.11 g)와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6.86 g)으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유기 상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활성 에스테르 19.11 g을 얻었고, 이는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
H-Pro-OH·HCl(10.79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와 물 10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8로 조정한 다음,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0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 Phe-OSu(19.11 g)를 적가하였다. 반응을 실온, pH 약 8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1N 염산을 사용하여 pH 2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9/1→1/1 v/v 구배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정제하여 소정 디펩티드 7.04 g을 얻었다.
TLC:Rf=0.24,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8/2 v/v.
(d) HOOC-CH2-p-Cl-D-Phe-Pro-PpaΨ[COCO]-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N-시클로펜틸-Gly-OH와 H-Ppa(Boc)Ψ[CHOHCO]-OMe·HCl 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 공정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t(LC): 23.67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6
HOOC-CH2-D-p-MeO-Phe-Pro-PpaΨ[COCO]-OH
트리펩티드는 H-p-MeO-D-Phe-OH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얻었다.
Rt(LC): 19.18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7
HOOC-CH2-D,L-Coa-Pro-PpaΨ[COCO]-OH
(a) 시클로-옥틸메틸 브로마이드
시클로-옥틸메탄올(8.16 g)을 47% HBr 용액(70 ml)에 용해시키고, 130℃에서 1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500 ml)에 붓고,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500 ml)을 첨가하였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상을 물,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그후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톨루엔을 사용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시클로-옥틸메틸 브로마이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수득량: 9.85 g.
TLC:Rf=0.95, 실리카겔, 톨루엔
(b) (R,S)-에틸-2-아세틸아미노-2-시아노-3-시클로옥틸-프로피오네이트
칼륨 t-부틸레이트(6.85 g)과 에틸 아세트아미도시아노아세테이트(8.1 g)을 실온에서 디메틸설폭사이드(100 ml)에 용해시켰다. 시클로옥틸메틸 브로마이드를 디메틸설폭사이드(25 ml)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후, 침전물을 물 500 ml에 붓고, 여과한 후 건조시켜 (R,S)-에틸-2-아세틸아미노-2-시아노-3-시클로옥틸프로피오네이트(2.95 g)를 얻었다.
TLC:Rf=0.50,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7 v/v.
(c) H-D,L-Coa-OH·HCl
(R,S)-에틸-2-아세틸아미노-2-시아노-3-시클로옥틸프로피오네이트(2.95 g)를 20% 염산 100 ml에 현탁시키고, 2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수득량: H-D,L-Coa-OH·HCl 2.69 g.
TLC:Rf=0.27,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실시예 1에서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HOOC-CH2-D,L-Coa-Pro-PpaΨ[COCO]-OH를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은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 얻었다.
Rt(LC): 15.19분; 20% A/60% B/20% C → 20% A/80% C, 30분.
Rt(LC): 25.71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8
HOOC-CH2-D-Nle-Pro-PpaΨ[COCO]-OH
트리펩티드는 H-D-Nle-OH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얻었다.
Rt(LC): 19.50분 및 20.24분; 20% A/80% B → 20% A/50% B/30% C, 40분.
실시예 9
HOOC-CH2-D-Dpa-Pro-PpaΨ[COCO]-OH
트리펩티드는 H-D-Dpa-OH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얻었다.
Rt(LC): 29.18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0
D-Hpl-Pro-Ppa-(2-티아졸릴) (Hpl=2-히드록시-3-페닐 락트산)
(a) THP-D-Hpl-Pro-OH
H-D-Cha-OH를 출발 물질로 하여 THP-D-Hpl-Pro-OH를 실시예 20에 따라 합성하였다.
(b) D-Hpl-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THP-D-Hpl-Pro-OH와 H-Ppa(Cbz)-(2-티아졸릴)·TFA를 커플링한 다음, 탈보호 및 정제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D-Hpl-Pro-Ppa-(2-티아졸릴)을 얻었다.
Rt(LC): 23.42분 및 24.36분; 20% A/60% B/20% C → 100% C, 40분.
실시예 11
HOOC-CH2-p-Me-D-Phe-Pro-Ppa-Ψ[COCO]-OH
(a) Fmoc-p-Me-D-Phe-OMe
Fmoc-p-Me-D-Phe-OH(5 g)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50 ml)에 용해시켰다.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4.4 g)을 첨가하고,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차가운 1N 염산 용액,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 순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하여 Fmoc-p-Me-D-Phe-OMe 5.6 g을 오일로 얻었다.
TLC : Rf=0.55, 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헵탄 6/4 v/v.
(b) H-p-Me-D-Phe-OMe
Fmoc-p-Me-D-Phe-OMe(5.6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피페리딘(4/1) 35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0.1M 염산으로 세정하였다. 합쳐진 수층의 pH를 1M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9로 조정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얻은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95/5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H-p-Me-D-Phe-OMe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수득량: 2.33 g.
TLC:Rf=0.10,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2 v/v.
그 다음, 완전히 보호된 트리펩티드를 실시예 1에서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 유리시켰다.
Rt(LC): 22.55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2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S-PpaΨ[COCO]-OH
노르Leu(시클로)-Gly는 하기 화학식의 구조를 갖는다.
(a) 3-(피페리딘-4-일)-프로판산
에탄올 1ℓ와 1N 염산 83 ml 중의 3-(4-피리딜)-아크릴산 12.5 g 및 촉매로 Pd/C 10% 1.25 g의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64 시간 동안 잔탕시켰다. 촉매를 여과로 제거하고, 여과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소정 화합물 13 g을 얻었다.
TLC:Rf=0.7, 실리카겔, 부탄올/피리딘/아세트산/물 4/1/1/2 v/v/v/v.
(b) 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0 ml 중의 3-(피페리딘-4-일)프로판산의 현탁액을 디 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0.9 g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의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고,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된 2N 수산화나트륨 용액 6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다. 수성 상을 2N 염산으로 산성화하여 pH를 2로 하였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하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소정 화합물 37 g을 얻었다.
TLC:Rf=0.7,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c) (4S)-3-[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1-옥소-프로필]-4-(페닐메틸)-2-옥사졸리디논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25 ml 중의 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27 g을 -72℃에서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13.7 ml와 트리에틸아민 15.6 ml로 처리하여 전환시켰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25 ml 중의 S-4-벤질-2-옥사졸리디논 18.5 g의 용액에 헥산 중의 1.4M의 n-BuLi 용액 75 ml를 -72℃의 질소 대기하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20분 간 교반하였다. 제조된 혼합 무수물의 현탁액을 첨가하여 혼합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0분 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물을 부어 정지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차가운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이 용액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오일로 47.5 g을 얻었다.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상의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2 g을 얻었다.
TLC:Rf=0.7,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d) (3(2S),4S)-3-[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1-옥소-프로필]-4-(페닐메틸)-2-옥사졸리디논
-78℃의 질소 대기하에서 교반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10 ml에 톨루엔 중의 0.5M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지드 136 m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이미 -78℃로 냉각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350 ml 중의 (4S)-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1-옥소-프로필]-4-(페닐메틸)-2-옥사졸리디논 25 g을 캐뉼라를 사용하여 첨가하고, -75℃의 질소 대기하에서 30분 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75℃에서 교반된 포타슘에놀레이트의 상기 용액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15 ml 중의 트리실라지드(litt. JCS Perkin Trans(1991), 1629) 24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5분 후에, 반응을 아세트산 17 ml를 사용하여 정지시켰다. 이 혼합물을 -75℃에서 20분 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로 용출되는 실리카겔상의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헵탄으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9 g을 고형물로 얻었다.
TLC:Rf=0.6, 실리카,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9/1 v/v.
(e) (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0℃의 질소 대기하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600 ml 중의 (3(2S),4S)-3-[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1-옥소-프로필]-4-(페닐메틸)-2-옥사졸리디논 19 g, 과산화수소 30% 18 ml 및 물 170 ml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고형물 3.7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의 질소 대기하에서 30분 간 교반하였다. 물 133 ml 중의 황산나트륨 25.3 g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530 m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온도는 실온으로 상승되었고, 교반은 30분 간 지속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다. 수성 상을 6N 염산을 사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헵탄으로 결정화하여 결정 고형물 11.9 g을 얻었다.
TLC:Rf=0.8,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f) (2S)-N-메틸-N-메톡시-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50 ml 중의 (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5.7 g의 용액에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HCl 2.1 g과 TBTU 6.4 g을 첨가하였다.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간 교반하였다. 이후에,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 7.4 g을 얻었다.
TLC:Rf=0.6,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g) 메틸(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100 ml 중의 (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실시예 12e)과 TBTU 6.94 g의 혼합물의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간 교반하였다. 이후에,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 7.4 g을 얻었다.
TLC:Rf=0.8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h) H-S-Ppa(Boc)-OMe
테트라히드로푸란(300 ml) 중의 메틸 (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7.4 g), Pd/C(10%) 0.5 g 및 1N 염산 21.9 ml의 용액을 대기압에서 가수소화시켰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그후 에테르로 처리하여 결정 고형물 6.8 g을 얻었다.
TLC:Rf=0.85,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252/20/6/11 v/v/v/v.
(i) Cbz-S-Ppa(Boc)-OMe
N,N-디메틸포름아미드 70 ml 중의 H-S-Ppa(Boc)-OMe 6.5 g과 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 숙신이미드 5.6 g의 용액의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에 부은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정하였다. 이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7.9 g을 오일로 얻었다.
TLC:Rf=0.85, 실리카,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j) Cbz-S-Ppa(Boc)-H
-75℃의 질소 대기하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225 ml 중의 Cbz-S-Ppa(Boc)- OMe 7.5 g의 용액에 헥산 중의 디이소부틸알루미늄 수화물의 1M 용액 68.1 ml를 적가하되, 온도는 -70℃를 유지하게 하였다. 이 혼합물을 -75℃의 질소 대기하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시트르산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7.5 g을 얻었다.
TLC:Rf=0.4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k) (3S)-2-아세톡시-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부타니트릴
Cbz-S-Ppa(Boc)-H(7.5 g)(실시예 12j)를 실시예 1(n)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3S)-2-아세톡시-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부타니트릴로 전환시켰다.
TLC:Rf=0.7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l) Cbz-S-Ppa(Boc)Ψ[CHOHCO]-OMe
(3S)-2-아세톡시-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부타니트릴를 실시예 1(o)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로 전환시켰다.
TLC:Rf=0.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m) H-S-Ppa(Boc)Ψ[CHOHCO]-OMe·HCl
H-S-Ppa(Boc)Ψ[CHOHCO]-OMe·HCl을 실시예 1(q)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n) N-Boc-L-α-아미노-ε-카프롤락탐
디옥산/물(2/1 v/v)(30 ㎖)에 용해된 L-α-아미노-ε-카프롤락탐(10 g)의 교반된 용액에 1N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7.8 ㎖)을 첨가한 후,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8.8 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헥산으로 분해하고, 여과시킨뒤, 진공하에 건조시켜 N-Boc-L-α-아미노-ε-카프롤락탐(16 g)을 얻었다.
TLC:Rf=0.8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o) Boc-노르Leu(시클로)-Gly-OMe
N-Boc-L-α-아미노-ε-카프롤락탐(10 g)을 디클로로메탄(100 ㎖)에 용해시켰다. -2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시클로헥산(1/1 v/v)(1 당량)에 용해된 1M의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4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시클로헥산(1/1 v/v)에 용해된 부가의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를 첨가하여 반응을 완결시킨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0.1N의 염산 용액, 물, 5%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용출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6/4 v/v)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Boc-노르Leu(시클로)-Gly-OMe (12 g)을 얻었다.
TLC : Rf=0.5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6/4 v/v
(p)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Me
Boc-노르Leu(시클로)-Gly-OMe(3 g)을 TFA/디클로로메탄 1/1 v/v (30 ㎖)에 용해시키고,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아민을 디클로로메탄(25 ㎖)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10 ml) 중의 벤질설포닐클로라이드(2.25 g)를 첨가하고, 서서히 0℃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반응중에 pH를 8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뒤,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이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95/5 v/v)로 정제하여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Me(3.9 g)을 얻었다.
TLC:Rf=0.40, 실리카,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9/1 v/v.
(q)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H
100 ㎖의 디옥산/물 9/1에 용해된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Me(3.9 g) 용액을 충분량의 1N의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pH를 13으로 유지하였다. 산성화시킨 후, 혼합물을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3.6 g)을 얻었다.
TLC : Rf=0.60,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r)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S-PpaΨ[COCO]-OH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H와 H-S-Ppa(Boc)Ψ[CHOHCO]-OMe·HCl 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을 수행하였다.
Rt(LC):27.41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3
1-Piq-Pro-PpaΨ[COCO]-OH
N-(Cbz)-1-Piq-OH
N-(Cbz)-1-Piq-OH는 EP0643073,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TLC:Rf=0.8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a) N-(Cbz)-1-Piq-Pro-OtBu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중의 N-(Cbz)-1-Piq-OH(500 mg)의 냉각(0℃) 용액에 DCCI(342 mg), HOBT(319 mg), H-Pro-OtBu(270 mg) 및 트리에틸아민(0.55 ㎖)을 차례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교반시키고, 실온으로 밤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DCU(1,3-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시켜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 구연산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물: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4/1 v/v)로 정제하여 N-(Cbz)-1-Piq-Pro-OtBu(634mg)을 얻었다.
TLC:Rf=0.90,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N-(Cbz)-1-Piq-Pro-OH
N-(Cbz)-1-Piq-Pro-O-t-Bu(600mg)을 디클로로메탄(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 아니솔(0.15㎖)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저온의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pH 9.5의 물에 용해시켰다.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한 후, 수성 층을 2M 염산 용액으로 pH 2.5로 산성화시켰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N-(Cbz)-1-Piq-Pro-OH (588mg)을 얻었다.
TLC:Rf=0.54,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0/3/1/2 v/v/v/v.
(c) 1-Piq-Pro-PpaΨ[COCO]-OH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N-(Cbz)-1-Piq-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유리하였다.
Rf(LC): 19.8분 및 20.31분, 20% A/ 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4
H-D-Phe-Pro-PpaΨ[COCO]-OH
Boc-D-Phe-Pro-OH를 실시예 1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Boc-D-Phe-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16.24분 및 16.90분, 20% A/ 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5
3.3-디페닐프로필-Pro-PpaΨ[COCO]-OH
3,3-디페닐프로피닐-Pro-OH를 실시예 1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3,3-디페닐프로피오닐-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36.60분, 20% A/ 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6
H-(N-Me)-D-Cha-Pro-PpaΨ[COCO]-OH
(a) Boc-D-Cha-OMe
Boc-D-Cha-OH(20 g)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400㎖)에 용해시켰다.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트리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7g)을 첨가하고, 트리에틸아민(10 ㎖)을 첨가하여 용액을 pH 8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차가운 1N 염산 용액,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키고 용출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2/3 v/v를 사용하여 용출시킨 실리카상에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Boc-D-Cha-OMe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증발시켰다. 수득량: 19.38 g.
TLC: Rf=0/9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1 v/v.
(b) Boc-(N-Me)-D-Cha-OMe
Boc-D-Cha-OMe(19.35 g)을 질소 대기하에서 200 ㎖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메틸요오드화물(4.22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2.71 g의 수소화나트륨(오일 중 60% 분산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0.1M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켜 농축시켰다. 수득량: 21.07 g.
TLC: Rf=0.5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7 v/v.
(c) H-(N-Me)-D-Cha-Pro-PpaΨ[COCO]-OH
Boc-(N-Me)-D-Cha-Pro-OH를 실시예 1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Boc-(N-Me)-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유리하였다.
Rf(LC): 23.14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7
H-(N-Me)-D-Phe-Pro-PpaΨ[COCO]-OH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Boc-(N-Me)-D-Phe-Pro-OH를 제조하였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Boc-(N-Me)-D-Phe-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16.26/16.90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8
에틸SO2-D-Cha-Pro-PpaΨ[COCO]-OH
Boc-D-Cha-Pro-OPac(OPac=펜아실 에스테르)
Boc-D-Cha-OH와 H-Pro-OPac를 사용하여 Boc-D-Cha-Pro-OPac를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TLC: Rf=0.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a) 에틸SO2-D-Cha-Pro-OPac
Boc-D-Cha-Pro-OPac(3.8 g)을 TFA/디클로로메탄 1/1 v/v(25㎖)에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아민을 디클로로메탄(50㎖)에 용해시키고 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0.8㎖)를 -78℃에서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반응중 pH 8을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물(25㎖)을 첨가하였다. 30분 더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용액,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메탄올로 분쇄하여 에틸SO2-D-Cha-Pro-OPac(3.0 g)을 얻었다.
TLC: Rf=0.6,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b) 에틸SO2-D-Cha-Pro-OH
테트라히드로푸란(250 ㎖)에 용해된 에틸SO2-D-Cha-Pro-OPac(10 g)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84 ㎖)에 용해된 1M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를 물(1ℓ)에 부었다.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1N 염산 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결정화하므로써 정제하여 에틸SO2-D-Cha-Pro-OH(6.0 g)을 얻었다.
TLC: Rf=0.2,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믈 163/20/6/11 v/v/v/v.
(c) 에틸SO2-D-Cha-Pro-PpaΨ[COCO]-OH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35.90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19
N-Me-D-Cha-Azt-Ppa-(2-티아졸일)
(a) H-Azt-OBzl.HCl
N-Boc-Azt-OH(4.60 g)을 디클로로메탄(50 ㎖)에 용해시키고, 벤질 알코올(2.47 g), 2-(1H-벤즈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7.40 g) 및 트리에틸아민(6.3 ㎖)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염산 용액으로 희석한 후, 유기 상을 분리하여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여과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으며, 이 생성물을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Boc-Azt-OBzl(6.0 g)을 얻었다. 이어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Boc 보호기를 디옥산(60 ㎖)에 용해된 3M 염산 용액으로 제거하고, 증발시켜 건조시킨 후, 소정 생성물(5.26 g)을 얻었다.
TLC: Rf=0.5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Boc-(N-Me)-D-Cha-Azt-OH
1.5 g의 Boc-(N-Me)-D-Cha-OH(실시예 58 참고) 및 1.5 g의 H-Azt-OBzl·HCl을 디펩티드의 합성을 위한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커플링시켰다. 벤질 에스테르의 가수소분해(실시예 1 참고)로 1.22 g의 Boc-(N-Me)-D-Cha-Azt-OH를 얻었다.
TLC: Rf=0.5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63/20/6/11 v/v/v/v.
(c) N-Me-D-Cha-Azt-Pap(2-티아졸일)
실시예 48에 개시된 방법으로 Boc-(N-Me)-D-Cha-Azt-OH(370 mg)와 H-Ppa(Teoc)-(2-티아졸일)·TsOH(610mg)를 커플링시켜 Boc-(N-Me)-D-Cha-Azt-Ppa (Teoc)-(2-티아졸일)(684mg)를 얻은 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으로 실리카겔 정제하였다. 이후, 보호기(실시예 48 참고)를 제거하여 HPLC 정제후에 2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76mg, Rf(LC): 26.9분, 20% A, 80% B → 20% A, 20% B , 60% C, 40분.
수득량: 76mg, Rf(LC): 30.3분, 20% A, 80% B → 20% A, 20% B , 60% C, 40분.
실시에 20
H-D-Hpl-Pro-PpaΨ[COCO]-OH
(a) H-D-Hpl-OMe
H-D-Cha-OH(1.0 g)을 1N 염산(4.8㎖), 물(19.4㎖) 및 아세트산(9.8㎖)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0℃에서 물(5.8㎖)에 용해된 질산 나트륨 용액(3.4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염산 37%(4.8㎖)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여과 후에, 용액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미정제 물질을 18시간 동안 메탄올(25㎖)에서 교반하였다. pH는 1.5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상 크로마토그래피(용출물: 톨루엔/메탄올/ 97/3 v/v)로 정제하여 H-D-Hpl-OMe(612 mg)을 얻었다.
TLC: Rf=0.9,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163/20/6/11 v/v/v/v.
(b) THF-D-Hpl-OMe(THP= 테트라히드로피란)
디클로로메탄(2 ㎖)에 용해된 H-D-Hpl-OMe(450 mg)의 교반된 용액에 3,4-디히드로-2H-피란(0.29 ㎖)과 피리디움 p-톨루엔설포네이트(60 mg)을 차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테르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시켜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실리카상 크로마토그래피(용출물: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4 v/v)로 정제하여 THP-D-Hpl-OMe(498mg)을 얻었다.
TLC: Rf=0.64,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헵탄=1/2 v/v.
(c)THP-D-Hpl-OH
디옥산/물 9/1 v/v(200㎖)에 용해된 THP-D-Hpl-OMe(10.3g) 용액을 실온에서 충분한 양의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pH 12를 유지하였다. 산성화시킨 후, 혼합물을 물(500 ㎖)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켜 6.6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0.78,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163/20/6/11 v/v/v/v.
(d) THP-D-Hpl-Pro-OH
아세토니트릴(75 ㎖) 중의 THP-D-Hpl-OH(5.87 g) 용액에 EDCI(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4.84 g)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2.9 g)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물과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며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 ㎖)에 용해시키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물, 1/1, v/v(200 ㎖) 중의 프롤린.HCl(6.99 g) 용액을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켰다. 이 수용액을 0℃에서 pH 2.5로 조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상 크로마토그래피(용출물: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8/2 내지 6/4 v/v)로 정제하여 THP-D-Hpl-Pro-OH(6.75 g)을 얻었다.
TLC: Rf=0.52,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163/20/6/11 v/v/v/v.
(e) H-D-Hpl-Pro-PpaΨ[COCO]-OH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THP-D-Hpl-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Rf(LC): 31.05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1
3,3-디페닐프로피오닐-Pro-PpaΨ[COCO]-OMe
3,3-디페닐프로피오닐-Pro-OH를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3,3-디페닐프로피오닐-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21.7분, 20% A/60% B/20% C → 20% A/80% B, 40분.
실시예 22
에틸SO2-D-Cha-Pro-PpaΨ[COCO]-OMe
에틸SO2-D-Cha-Pro-OH는 실시예 18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39.06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3
HOOC-CH2-Cha-Pro-PpaΨ[COCO]-OM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는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Rf(LC): 25.75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4
에틸SO2-D-Cha-Pro-PpaΨ[COCO]-OEt
에틸SO2-D-Cha-Pro-OH를 실시예 18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a) Cbz-PpaΨ[CHOHCO]-OEt
-20℃에서 50 ㎖의 3M 염화수소/에탄올에 용해된 Cbz-PpaΨ(Boc)[CHOHCO] -OMe(1 g) 용액을 실온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0.9 g의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 얻었다.
TLC: Rf=0.8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Cbz-Ppa(Boc)Ψ[CHOHCO]-OEt
10㎖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9 g의 Cbz-PpaΨ[CHOHCO]-OEt 및 0.55 g의 디-t-부틸디카르보네이트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1M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 후, 진공에서 증발시켜 0.99 g의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얻었다.
TLC: Rf=0.60,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c) 에틸SO2-Cha-Pro-PpaΨ[COCO]-OEt
실시예 2(q)에 따라 Cbz-Ppa(Boc)Ψ[CHOHCO]-OEt를 수소첨가시켜 H-Ppa(Boc)Ψ[CHOHCO]-OEt.HCl을 얻었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Et.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41.58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5
HOOC-CH2-D-Cha-Pro-PpaΨ[COCO]-OEt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는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와 H-Ppa(Boc)Ψ[CHOHCO]-OEt.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28.20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6
에틸SO2-D-Phe-Pro-PpaΨ[COCO]-OEt
에틸SO2-D-Phe-Pro-OH를 실시예 18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에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Phe-Pro-OH와 H-Ppa(Boc)Ψ[CHOHCO]-OEt.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Rf(LC): 34.89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27
에틸SO2-D-Cha-Pro-Ppa(Eoc)Ψ[COCO]-OEt(Eoc=에톡시카르보닐)
(a) 에틸SO2-D-Cha-Pro-PpaΨ[CHOHCO]-OEt
에틸SO2-D-Cha-Pro-Ppa(Boc)Ψ[CHOHCO]-OEt를 실시예 24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200 mg)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1/1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210 mg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0.8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에틸SO2-D-Cha-Pro-Ppa(Eoc)Ψ[CHOHCO]-OEt
10 ㎖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된 210 mg의 에틸SO2-D-Cha-Pro-PpaΨ[CHOHCO]-OEt와 43.6 ㎕의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1M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220 mg의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얻었다.
TLC: Rf=0.50, 실리카겔, 에틸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463/20/6/11 v/v/v/v.
(c) 에틸SO2-D-Cha-Pro-Ppa(Eoc)Ψ[COCO]-OEt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및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13.95분, 70% B/30% C → 30% B/70% C, 40분.
실시예 28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2-티아졸일)
(a)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OH
Boc-D-Cha-OH(2.65 g)을 실시예 1에 개시된 디펩티드 합성 방법으로 N-시클로펜틸-Gly-OMe.HCl(실시예 2 참조)과 커플링시켜 N-Boc-D-Cha-N-시클로펜틸-Gly-OMe(3.5 g)을 실리카겔 정제 후에 얻었다. 이어서, TFA/디클로로메탄 1/1 v/v(38 ㎖) 중의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실시예 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틸 설포닐화시켜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OMe(1.4 g)을 얻었다. 실시예 2에 개시된 방법으로 메틸 에스테르 가수분해시켜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OH를 얻었다.
TLC: Rf=0.2, 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b) (2S)-2-아지도-3-(피페리딘-4-일)-프로판산
3.7 g의 (2S)-2-아지도-3-[1-(t-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실시예 12(e))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된 30 ㎖의 3M 염화수소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3.0 g의 결정 고체를 얻었다.
TLC: Rf=0.3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c) (2S)-2-아지도-3-[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
3.0 g의 (2S)-2-아지도-3-(피페리딘-4-일)-프로판산과 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5-디온(TeocOSu, 참고: Synthesis 1987, 346)의 혼합물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진공에서 증발시켜 4.93 g의 소정 화합물을 오일로서 얻었다.
TLC: Rf=0.8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d)(2S)-N-메틸-N-메톡시-2-아지도-3-[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아미드
(2S)-2-아지도-3-[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2(f)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2S)-N-메틸-N-메톡시-2-아지도-3-[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아미드를 제조하였다.
TLC: Rf=0.8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e) H-S-Ppa(Teoc)-N(Me)OMe
100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3.3 ㎖의 1N 염산에 용해된 4.9 g의 (2S)-N-메틸-N-메톡시-2-아지도-3-[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프로판아미드와 0.5 g의 Pd/C(10%)의 혼합물에 모든 출발 물질이 사라질 때까지 수소를 통과시켰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5.7 g의 소정 화합물을 얻었다.
TLC: Rf=0.9,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f) Boc-S-Ppa(Teoc)-N(Me)OMe
4.7 g의 H-S-Ppa(Teoc)-N(Me)OMe 및 2.8 g의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용액의 pH를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5.2 g의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얻었다.
TLC: Rf=0.85, 실리카,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헥산/에탄올 9/1 v/v를 용출물로 사용한 키랄팩 칼럼 Chir 11 250×4.6 키랄 HPLC로 91%ee를 얻었다.
(g) (Boc)-S-Ppa(Teoc)-(2-티아졸일)
에테르에 용해된 31.7㎖의 1.05M n-BuLi 용액에 -78℃의 질소 대기하에서 5.46㎖의 2-브로모티아졸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예비냉각시킨 황색 용액(2.5 당량)을 캐뉼라를 통해 -78℃의 질소 대기하에서 46㎖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Boc-S-Ppa(Teoc)-N(Me)OMe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5% 탄산수소나트륨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5.0 g의 오일성 잔류물을 얻었다. 실리카상에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로 용출시킨 플래쉬크로마토그래피로 표제 화합물 1.7 g을 얻었다.
TLC: Rf=0.75, 실리카,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
[α]D=+31.9°(c=CHCl3중의 0.45)
(h) H-S-Ppa(Teoc)-(2-티아졸일)·TsOH
14.2 ㎖의 무수 에테르에 용해된 1.54 g의 Boc-S-Ppa(Teoc)-(2-티아졸일) 용액에 2.8 ㎖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된 0.96 g의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시간 동안 30℃로 유지하고 에테르를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형물을 무수 에테르로 세척하여 1.5 g의 표제 화합물을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Rf=0.85,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i)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2-티아졸일)
실시예 48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OH(395 mg)을 H-S-Ppa-(Teoc)-(2-티아졸일)·TsOH와 커플링시켜 400 mg의 완전하게 보호된 트리펩티드를 얻었다. Teoc 기를 제거하여(실시예 48 참조) 300 mg의 미정제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2-티아졸일)·TFA를 얻었다. 이 염을(150mg)을 HPLC로 정제하여 112mg의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Rf(LC): 32.06분, 20% A, 60% B, 20% C → 100% C, 40분.
실시예 29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Eoc)-(2-티아졸일)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2-티아졸일)·TFA(150 ㎎)(실시예 28)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용해시키고,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38 ㎕)를 pH 약 8.5(트리에틸 아민)에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로 희석하고,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증발시켜 건조하여 에틸SO2-D-Cha-N-시클로펜틸-Gly-S-Ppa(Eoc)-(2-티아졸일)(100 ㎎)을 얻었다.
TLC: Rf=0.4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실시예 30
HOOC-CH2-D-Cha-Pro-PpaΨ[COCO]-NH2
(a)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 -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는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및 비누화를 수행하였다.
TLC:Rf=0.8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 -NH2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OH (40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2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빙수욕에서 냉각시키고, 91.3 ㎎의 HOBT, 91.3 ㎕의 N-메틸모르폴린, 50.5 ㎎의 암모늄클로라이드 및 102 ㎎의 EDCI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M 염산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물을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400㎎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TLC:Rf=0.2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c) HOOC-CH2-D-Cha-Pro-PpaΨ[COCO]-NH2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였다. 수득량: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94.2㎎의 표제 화합물.
Rf(LC): 22.97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1
HOOC-CH2-D-Cha-Pro-PpaΨ[COCO]-NHM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NHMe를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24.22분 및 24.99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2
HOOC-CH2-D-Cha-Pro-PpaΨ[COCO]-(1-아제티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1-아제티딘)을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아제티딘.HCl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Rf(LC): 28.05분 및 28.34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3
HOOC-CH2-D-Cha-Pro-PpaΨ[COCO]-(NH-(CH2)2-페닐)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NH-(CH2)2-페닐)을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2-(페닐)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38.82분, 20% A/ 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4
HOOC-CH2-D-Cha-Pro-PpaΨ[COCO]-(NH-CH2페닐)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Boc)Ψ[CHOHCO]-(NH-CH2페닐)을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벤질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36.46분, 20% A/80% B 내지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5
에틸 SO2-D-Cha-Pro-PpaΨ[COCO]-NH2
에틸SO2-D-Cha-Pro-OH는 실시예 18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암모늄클로라이드와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얻었다.
Rf(LC): 36.70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6
에틸 SO2-D-Cha-Pro-PpaΨ[COCO]-(NH-CH2페닐)
에틸SO2-D-Cha-Pro-OH는 실시예 18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벤질아민과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28.76분 및 29.1분, 20% A/80% B 내지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7
에틸 SO2-D-Cha-Pro-PpaΨ[COCO]-NMe2
에틸SO2-D-Cha-Pro-OH는 실시예 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에틸SO2-D-Cha-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디메틸아민과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두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서 얻었다.
A: Rf(LC): 41.96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B: Rf(LC): 43.49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8
에틸SO2-D-Phe-Pro-PpaΨ[COCO]-NH2
에틸SO2-D-Phe-Pro-OH는 실시예 18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에틸SO2-D-Phe-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암모늄클로라이드와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28.81분 및 29.25분, 20% A/80% B 내지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39
HOOC-CH2-p-Cl-D-Phe-Pro-PpaΨ[COCO]-NH2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는 실시예 5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암모늄클로라이드와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얻었다.
Rf(LC): 23.35분, 20% A/80% B 내지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0
HOOC-CH2-p-Cl-D-Phe-Pro-PpaΨ[COCO]-(NH-CH2페닐)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는 실시예 5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0에 개시된 방법으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와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벤질아민과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A: Rf(LC): 19.29분, 20% A/60% B/20% C → 20% A/80% C, 30분.
B: Rf(LC): 37.61분, 20% A/80% B → 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1
[1-옥소-2-[3-(페닐메틸설포닐아미노)-2-옥소-2H-피리딘-1-일]에틸]-PpaΨ[COCO]-(NH-CH2페닐)
(a) [3-(페닐메틸설포닐아미노)-2-옥소-2H-피리딘-1-일]-아세트산
(3-아미노-2-옥소-2H-피리딘-1-일)-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는 문헌[J. Med. Chem., 1996, 37, 3090~3099]에 개시되어 있다. 이어서, 실시예 12에 개시된 방법으로 설포닐화 및 비누화를 수행하였다.
TLC:Rf=0.4,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벤질SO2-3-NH2-1-카르복시메틸피리딘-2-온-PpaΨ[COCO]-(NH-CH2페닐)
실시예 34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벤질SO2-3-NH2-1-카르복실메틸피리딘-2-온과 H-Ppa(Boc)Ψ[CHOHCO]-OMe.HCl사이의 커플링(실시예 1 참고), 비누화, 아미드-커플링,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를 수행하여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 A와 B를 얻었다.
A: Rt(LC):21.6분, 20% A/60% B/20% C→100% C, 40분
B: Rt(LC):22.8분, 20% A/60% B/20% C→100% C, 40분
실시예 42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S-PpaΨ[COCO]-(NH-CH2페닐)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H는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0에 기재된 방법으로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H와 H-S-Ppa(Boc)Ψ[CHOHCO]-OMe·HCl(실시예 12m) 사이의 DCCI/HOBt 커플링, 비누화 및 벤질아민과의 EDCI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데스 마틴 산화,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Rt(LC):23.46분, 20% A/60% B/20% C→20% A/80% C, 30분
실시예 43
HOOC-CH2-D-Cha-Pro-Ppa-(2-벤조티아졸릴)
(a) Boc-Ppa(Cbz)-OMe
Boc-Ppa(Cbz)-OMe는 실시예 1(m)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Boc-Ppa(Cbz)-OH(실시예 45)로 부터 제조하였다.
(b) Boc-Ppa(Cbz)-(2-벤조티아졸릴)
헥산(3.9 ml, 1.3M)에 용해된 n-BuLi의 냉각된(-30℃) 교반 용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25 ml) 중의 벤조티아졸(675 mg)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 용액을 -30℃에서 15분 간 교반한 후, -40℃에서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25 ml)에 용해된 Boc-Ppa (Cbz)-OMe(1.0 g)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층을 분리시켰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오일 1.83 g을 얻었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0 mg)을 얻었다.
TLC:Rf=0.35,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Boc)-D-Cha-Pro-Ppa(Cbz)-(2-벤조티아졸릴)
Boc-Ppa(Cbz)-(2-벤조티아졸)의 탈보호 및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Boc)-D-Cha-Pro-OH의 커플링은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0 mg을 얻었다.
TLC:Rf=0.5,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
(d) HOOC-CH2-D-Cha-Pro-Ppa-(2-벤조티아졸릴)
실온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 ml와 티오아니솔 0.6 ml의 혼합물에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Boc)-D-Cha-Pro-Ppa(Cbz)-(2-벤조티아졸릴) 0.45 g을 첨가하였다. 4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켰다.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조제용 HPLC 델타팩 C18 15 ㎛ 100Å 칼럼(용출 구배 계: 20% A/80% B→20% A/35% B/45% C, 45분, 유속 50 ml/분)에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서 얻었다.
수득량: 197 mg. Rt(LC):38.70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수득량: 151 mg. Rt(LC):41.75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4
HOOC-CH2-D-Cha-Pro-Ppa-(2-옥사졸릴)
(a) 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4-[2-(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3-(옥사졸-2-일)프로필]피페리딘
-78℃의 질소 대기하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에 용해된 Boc-Ppa(Teoc)N(Me)OMe(실시예 48) 3.03 g의 용액에 헥산에 용해된 1M 디이소부틸알루미늄수화물 용액 20 ml를 첨가하였다. 한 시간 후에 냉각욕을 제거하고, 0.25M의 염산 100 ml와 추가량의 디클로로메탄을 즉시 첨가하고, 5분 후에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염수를 여과물에 첨가하고, 유기 층을 분리시키고, 건조(황산나트륨) 및 농축시켜 Boc-Ppa(Teoc)-H(2.36 g)를 오일로 얻었다. 이 알데히드(2.36 g)와 2-(트리메틸실릴)옥사졸(에드워드, P.D., 울라닌, D.J., 안디시크 D.W. 및 다비스 W., J. Med. Chem. 38, 76(1995)) 1.86 g을 혼합하고, 50℃에서 3 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일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와 1N 염산 1 ml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1 시간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와 염수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분리시켰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층을 건조(황산나트륨) 및 농축시켰다. 가수분해는 완결되지 않았고, 잔류물은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와 1N 염산 1 ml에 용해시켰다. 실온에서 1 시간 후에, 에틸 아세테이트와 염수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분리시켰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층을 건조(황산나트륨) 및 농축시켰다. 실리카겔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2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70 g을 얻었다.
TLC:Rf=0.2,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b) Boc-Ppa(Teoc)-(2-옥사졸릴)
디클로로메탄 10 ml에 용해된 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4-[2-(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3-히드록시-3-(옥사졸-2-일)프로필]피페리딘 0.70 g의 용액에 데스 마틴 시약 0.6 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수성 5% 티오황산나트륨 5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5분 간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시키고, 물, 수성 5% 탄산수소나트륨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그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2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55 mg을 얻었다.
TLC:Rf=0.5,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Teoc)-(2-옥사졸릴)
디에틸 에테르 12 ml와 에탄올 2 ml에 용해된 Boc-Ppa(Teoc)-(2-옥사졸릴) 477 mg의 용액에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213 mg을 첨가하고, 에테르를 감압하의 30℃에서 제거하였다. 오일계 잔류물을 60℃에서 20분 간 가열한 다음, 에탄올을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H-Ppa(Teoc)-(2-옥사졸릴)·TsOH(0.5 g)를 얻었다. -20℃의 질소 대기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실시예 1에 기재됨) 0.29 g의 용액에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078 ml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8 ml를 첨가하였다. 30분 후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50 ml 중의 H-Ppa(Teoc)-(2-옥사졸릴)·TsOH 0.25 g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2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염수로 세정하고, 건조(황산나트륨) 및 농축시켰다.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 구배: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0 mg을 얻었다.
TLC:Rf=0.5,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
(d) HOOC-CH2-D-Cha-Pro-Ppa-(2-옥사졸릴)
디클로로메탄 2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Boc)-D-Cha-Pro-Ppa(Teoc)-(2-옥사졸릴) 0.20 g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4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조제용 HPLC 델타팩 C18 15 ㎛ 100Å 칼럼(용출 구배 계: 20% A/80% B/0% C→20% A/51% B/29% C, 45분, 유속 20 ml/분)에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서 얻었다.
수득량: 49 mg. Rt(LC):27.83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수득량: 46 mg. Rt(LC):30.04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5
HOOC-CH2-D-Cha-Pro-Ppa-(2-티아졸릴)
(a) Boc-Ppa(Cbz)-OH
H-Ppa-OH 70 g, 황산구리(II) 오수화물 39.85 g 및 벤질옥시카르보닐옥시숙신이미드 147 g의 용액의 pH는 2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9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잘 세정하였다. 필터케이크를 디옥산에 용해시키고, pH를 4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12.5로 조정하였고,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29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디옥산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작은 부피량으로 농축시키고, pH를 2.5로 조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희석시켰다. 유기 층을 뮬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오일 100 g을 얻었다.
TLC:Rf=0.77,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
(b) Boc-Ppa(Cbz)-N(Me)(OMe)
디클로로메탄 500 ml 중의 Boc-Ppa(Cbz)-OH 22.5 g의 용액에 N,O-디메틸히드록시아민·HCl 7.54 g과 TBTU 24.75 g을 첨가하였다.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에, 1N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결정화시켰을 때 백색 고형물 15.4 g을 얻었다.
TLC:Rf=0.5, 실리카,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8/2 v/v.
(c) Boc-Ppa(Cbz)-(2-티아졸릴)
디에틸 에테르(100 ml)에 용해된 n-BuLi(0.11 mol)의 냉각된(-78℃) 교반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100 ml) 중의 2-브로모티아졸(18.2 g, 0.11 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 용액을 -78℃에서 30분 간 교반한 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300 ml)에 용해된 Boc-Ppa(Cbz)-N(Me)(OMe)(15 g, 0.035 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층을 분리시켰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증발시켜 오일 15.1 g을 얻었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9/1 v/v)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 g)을 얻었다.
TLC:Rf=0.45,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d) H-Ppa(Cbz)-(2-티아졸릴)·TFA
N-Boc-Ppa(Cbz)-(2-티아졸릴)(500 mg)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1/1 v/v 10 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미정제 아민은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한 후에 정량적으로 오일로 유리되었고, 이는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Cbz)-(2-티아졸릴)을 제조하는데 직접 사용하였다.
TLC:Rf=0.4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Cbz)-(2-티아졸릴)
-15℃의 질소 대기하에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130 ㎕)를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2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490 ml)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70 ㎕)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15분 후에,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에 용해된 H-Ppa(Cbz)-(2-티아졸릴)·TFA를 차가운 혼합 무수물 용액에 적가하되, 추가분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하여 pH를 8.5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에서 60분 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계속해서 2% 시트르산 수용액, 물 및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9/1 v/v)로 정제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Cbz)-(2-티아졸릴) 470 mg을 얻었다.
TLC:Rf=0.65, 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v/v.
(f) HOOC-CH2-D-Cha-Pro-Ppa-(2-티아졸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와 티오아니솔 0.5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Cbz)-(2-티아졸릴) 470 mg의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조제용 HPLC 델타팩 C18-RP 칼럼(용출 구배 계: 20% A/70% B/10% C→20% A/20% B/60% C, 40분, 유속 80 ml/분)에서 정제하였다.
(A: 0.5M 인산염 완충제 pH=2.1; B: 물; C: 아세토니트릴:물 3:2 v/v)
수득량: 177 mg. Rt(LC):33.57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6
HOOC-CH2-p-MeO-D-Phe-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MeO-D-Phe-Pro-OH는 실시예 6에 따라 합성하였다. H-Ppa(Cbz)-(2-티아졸릴)(135 mg)에 커플링 한 다음,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은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 결과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가 얻어졌다.
수득량: 37 mg. Rt:27.17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47 mg. Rt:30.15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7
HOOC-CH2-p-Cl-D-Phe-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p-Cl-D-Phe-Pro-OH는 실시예 5에 따라 합성하였다. H-Ppa(Cbz)-(2-티아졸릴)(322 mg)에 커플링 한 다음,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은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 결과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가 얻어졌다.
수득량: 73 mg. Rt:31.07분, 20% A/60% B/20% C→20% A/0% B/80% C, 30분.
수득량: 94 mg. Rt:18.21분, 20% A/60% B/20% C→20% A/0% B/80% C, 30분.
실시예 48
HOOC-CH2-D-Nle-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Nle-Pro-OH는 실시예 8에 따라 합성하였다.
(a) Boc-Ppa-N(Me)OMe
N,N-디메틸포름아미드(25 ml) 중의 Boc-Ppa(Cbz)-N(Me)OMe(실시예 45b)(820 mg)의 용액에 2N 염산(0.915 ml)과 10% Pd/C(100 mg)를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가수소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디아셀 위에서 여과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로 세정하고, 트리에틸아민(0.15 ml)으로 중화시켰다. 이 생성물을 정제하지 않고, Boc-Ppa(Teoc)-N(Me)OMe를 합성하는데 사용하였다.
(b) Boc-Ppa(Teoc)-N(Me)OMe
Boc-Ppa-N(Me)OMe의 미정제 용액에 1-[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옥시]피리딘-2,5-디온(TeocOSu, 참조: Synthesis 1987, 346)(567 mg)과 트리에틸아민(0.350 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의 질소 대기하에서 4.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의 pH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8로 유지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첨가였다. 이 용액을 0.1N 염산(100 ml),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이후에,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8/2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득량: 784 mg.
TLC:Rf=0.37,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c) Boc-Ppa(Teoc)-(2-티아졸릴)
질소 대기하에서, 디에틸 에테르(68.4 ml, 1.07 mol)에 용해된 n-부틸리튬의 차가운(-70℃)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50 ml)에 용해된 2-브로모티아졸(6.59 m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70℃에서 30분 간 교반하였다. 이 리튬티아졸리드 용액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0 ml) 중의 Boc-Ppa(Teoc)-N(Me)OMe(16.8 g)의 차가운(-70℃) 용액에 매우 서서히 첨가하고, 질소 대기하의 -7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2N 염산(200 ml)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이어서, 유기 층을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였다.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8/2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득량: 11.35 g.
TLC:Rf=0.68,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d) H-Ppa(Teoc)-(2-티아졸릴)·TsOH
디에틸 에테르(100 ml)에 용해된 Boc-Ppa(Teoc)-(2-티아졸릴)(2.5 g)의 용액에 p-톨루엔설폰산(1.2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 200 밀리바아에서 서서히 증발시키고, 15 밀리바아에서 1.5 시간 동안 증발시켰다. 수득량: 3.03 g.
(e) HOOC-CH2-D-Nle-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45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Nle-Pro-OH를 H-Ppa(Teoc)-(2-티아졸릴)·TsOH(307 mg)에 커플링한 후, 탈보호 및 정제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96 mg. Rt:23.45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99.6 mg. Rt:26.60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49
HOOC-CH2-m-Cl-D,L-Phe-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m-Cl-D,L-Phe-Pro-OH는 실시예 4에 따라 합성하였다. 실시예 48 기재된 방법에 따라 H-Ppa(Teoc)-(2-티아졸릴)·TsOH(325 mg)에 커플링 한 다음,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을 수행하여, 4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80 mg. Rt:28.68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40 mg. Rt:31.02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72 mg. Rt:32.62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52 mg. Rt:34.22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0
HOOC-CH2-D-Dpa-Pro-Ppa-(2-티아졸릴)
(a) Boc-D-Dpa-Pro-OBzl
Boc-D-Dpa-Pro-OBzl은 실시예 1에 개시된 커플링 조건에 따라 Boc-D-Dpa-OH(4.77 g)을 H-Pro-OBzl(3.8 g)과 반응시켜 얻었다. 수득량 : 8.4 g.
TLC:Rf=0.9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560/31/18/7 v/v/v/v.
(b) Boc-D-Dpa-Pro-OH
Boc-D-Dpa-Pro-OH는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Boc-D-Dpa-Pro-OBzl(7 g)을 촉매 가수소화시켜서 얻었다. 수득량 : 5.5 g
TLC:Rf=0.59,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520/31/18/7 v/v/v/v.
(c) Boc-D-Dpa-Pro-Ppa(Teoc)-(2-티아졸릴)
Boc-D-Dpa-Pro-OH(500 mg)과 H-Ppa(Teoc)-(2-티아졸릴)·TsOH(573 mg)의 커플링 반응은 실시예 48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수득량: 712 mg.
TLC:Rf=0.44,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4/6 v/v.
(d)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D-Dpa-Pro-Ppa(Teoc)-(2-티아졸릴)
실시예 4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Boc-D-Dpa-Pro-Ppa(Teoc)-(2-티아졸릴)(712 mg)을 p-톨루엔 설폰산으로 처리하여 H-D-Dpa-Pro-Ppa(Teoc)-(2-티아졸릴)(761 mg)을 얻었다. 실시예 1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H-D-Dpa-Pro-Ppa(Teoc)-(2-티아졸릴)(761 mg)을 t-부틸브로모아세테이트(0.138 ml)로 알킬화시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D-Dpa-Pro-Ppa(Teoc)-(2-티아졸릴)을 얻었다. 수득량: 674 mg.
TLC:Rf=0.54,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7 v/v.
(e) HOOC-CH2-D-Dpa-Pro-Ppa-(2-티아졸릴)
계속해서 탈보호 및 정제 반응은 실시예 48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64 mg. Rt:35.16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96 mg. Rt:36.80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1
HOOC-CH2-D-Cha-Ohi-Ppa-(2-티아졸릴)
(a)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는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b) H-Ohi-OMe·HCl
무수 메탄올(10 ml)의 -15℃ 용액에 티오닐클로라이드(0.7 g) 0.43 ml를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에서 20분 간 교반한 다음, 옥타히드로 인돌린-2-카르복실산(H-Ohi-OH)(0.5 g)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진공하에서 메탄올과 공증발시켜 H-Ohi-OMe·HCl(665 mg)을 얻었다.
TLC:Rf=0.68, 실리카겔, 부탄올/피리딘/아세트산/물 4/1/1/2 v/v/v/v.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i-OMe
디클로로메탄(40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1.2 g)의 차가운(0℃) 용액에, 1-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460 mg),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700 mg)를 첨가하고, 0℃에서 20분 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H-Ohi-OMe·HCl(665 mg)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75 ml)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7일 간 유지하되, 용액의 pH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7로 유지하였다. 이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켰다. 이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그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득량: 1.07 g.
TLC:Rf=0.41,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
(d)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i-OH
디옥산/물 2/1 v/v(30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i-OMe(1.05 g)의 용액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0.32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6.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옥산은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pH는 염산을 사용하여 1.5로 조정하였다. 수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과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i-OH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수득량: 500 mg.
TLC:Rf=0.2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2/1 v/v.
(e) HOOC-CH2-D-Cha-Ohi-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i-OH와 H-Ppa(Teoc)-(2-티아졸릴)·TsOH(428 mg)의 커플링,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실시예 48에 따라 수행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85 mg. Rt:37.72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127 mg. Rt:42.46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2
HOOC-CH2-D-Cha-Pro-(4-시스-에틸)-Ppa-(2-티아졸릴)
(a)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Et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를 실시에 4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디클로로메탄(15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3.7 g)의 차가운(0℃) 용액에 1-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1.43 g),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2.18 g)를 첨가하고, 0℃에서 15분 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국제 공개 번호 제95/23608호에 따라 제조된 H-Pro-(4-시스-에틸)-OEt·HCl(1.99 g)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150 ml)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되, 용액의 pH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7로 유지하였다. 이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물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이후에,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Et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수득량: 3.87 mg.
TLC:Rf=0.46,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3/1 v/v.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H
디옥산/물 9/1 v/v(50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Et(3.85 g)의 용액에, 1N 수산화나트튬(7.5 m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60 시간 후에, 물 10 ml에 용해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70 mg을 첨가하고, 추가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0 ml로 희석시키고, pH를 염산을 사용하여 1.5로 조정하였다. 수 층을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과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2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H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아서 증발시켰다. 수득량: 1.39 g.
TLC:Rf=0.79,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126/20/11/6 v/v/v/v.
(c) HOOC-CH2-D-Cha-Pro(4-시스-에틸)-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4-시스-에틸)-OH와 H-Ppa(Teoc)-(2-티아졸릴)·TsOH(325 mg)의 커플링,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실시예 48에 따라 수행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77.5 mg. Rt:36.61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104 mg. Rt:40.05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3
HOOC-CH2-D-Coa-Pro-Ppa-(2-티아졸릴)
(a) 디에틸 2-아세틸아미노-2-(시클로옥틸메틸)-말로네이트
디옥산(100 ml)에 용해된 나트륨 수화물(5.36 g)의 차가운(0℃) 현탁액에, 무수 에탄올(134 ml)을 (매우 느리게) 첨가하고, 0℃의 질소 대기하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나트륨 에탄올레이트 용액을 디옥산(200 ml)/에탄올(20 ml)에 용해된 시클로옥틸메틸브로마이드(실시예 7(a))(27.49 g), 요오드화나트륨(2.0 g) 및 디에틸 아세틸아미노말로네이트(29.10 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80℃에서 165 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이후에, 물,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정하였다. 그후,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를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소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증발시켰다. 수득량: 19.60 g.
TLC:Rf=0.53, 실리카겔,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
(b) H-D,L-Coa-OH
4N 염산/아세트산 2/1 v/v(450 ml)에 용해된 디에틸 2-아세틸아미노-2-(시클로옥틸메틸)-말로네이트(19.60 g)의 용액을 75 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냉각시키고, 결정을 여과 수집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여 아미노산 H-Coa-OH를 얻었다. 수득량: 9.83 g.
TLC:Rf=0.59,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c)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L-Coa-Pro-OBzl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Coa-Pro-OBzl을 합성하였다.
(d) HOOC-CH2-D-Coa-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Coa-Pro-OBzl(19.61 g)을 가수소화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Coa-Pro-OH를 얻었다. 산출된 오일을 디에틸 에테르로 처리한 다음,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Coa-Pro-OH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 둘다를 여과 분리하였다.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수득량 9.34 g), H-Ppa(Teoc)-(2-티아졸릴)·TsOH(400 mg)와의 커플링 반응에 사용하였다. 그후,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실시예 48에 따라 수행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137 mg. Rt:36.10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139 mg. Rt:38.94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4
HOOC-CH2-D-Cha-Azt-Ppa-(2-티아졸릴)
(a)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를 제조하였다.
(b)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Azt-OH
디클로로메탄(15 ml)에 용해된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1.90 g)과 N-메틸 모르폴린(0.6 ml)의 차가운(-15 내지 -20℃) 용액에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0.71 ml)를 첨가하였다. 45분 후에, H-Azt-OH(0.50 g)를 첨가하였다. 1 시간 후에, 유기 상을 물로 추출하였고,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켰다. 그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거의 무색의 오일로 얻었다(수득량: 2.3 g).
FAB-MS: m/e=496(M+H+).
(c) HOOC-CH2-D-Cha-Azt-Ppa-(2-티아졸릴)
H-Ppa(Teoc)-(2-티아졸릴)(428 mg)과의 커플링,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실시예 48에 따라 수행하여, 두 개의 분리된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72 mg. Rt:28.10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수득량: 88 mg. Rt:31.46분, 20% A/80% B/0% C→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5
HOOC-(CH2)2-D-Cha-Pro-Ppa-(2-티아졸릴)
(a)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D-Cha-OMe
아세토니트릴 25 ml에 용해된 D-Cha-OMe·HCl 7.11 g의 현탁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6 ml와 t-부틸 아크릴레이트 25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40℃로 가열시키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습한 pH지에서 점적 시험)로 유지시켰다. 일주일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과 염수로 세정하였다. 그후, 건조(황산나트륨)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1.78 g을 얻었다. 이것을 추가의 정제 공정 없이 사용하였다.
TLC:Rf=0.7,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b)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Me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Me(실시예 1)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D-Cha-OMe(11.78 g)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Me(8.78 g)로 전환시켰다.
TLC:Rf=0.7,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2 v/v.
(c)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OH(실시예 1)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Me(10.0 g)를 비누화화여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H(4.31 g)를 얻었다.
TLC:Rf=0.1,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5 v/v.
(d)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Bzl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Bzl(실시예 1)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OH(3.14 g)를 Pro-OBzl·HCl과 커플링하여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Bzl(4.36 g)를 얻었다.
TLC:Rf=0.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2 v/v.
(e)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H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OH(실시예 1)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Bzl(4.33 g)를 가수소화하여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H(3.96 g)를 얻었다.
TLC:Rf=0.1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
(f)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Ppa(Teoc)-(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Teoc)-(2-티아졸릴)(실시예 44)에 대하여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OH(342 mg)을 H-Ppa(Teoc)-(2-티아졸릴)·TsOH(실시예 48에 기재됨)와 커플링시켜,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Ppa(Teoc)-(2-티아졸릴)(468 mg)을 얻었다.
TLC:Rf=0.2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 v/v.
(g) HOOC-CH2CH2-D-Cha-Pro-Ppa-(2-티아졸릴)
HOOC-CH2-D-Cha-Pro-Ppa-(2-옥사졸릴)(실시예 4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2-(t-부틸옥시카르보닐)에틸)-N-Boc-D-Cha-Pro-Ppa(Teoc)-(2-티아졸릴)(468 mg)를 탈보호하여 N-(HOOC-CH2CH2)-D-Cha-Pro-Ppa-(2-티아졸릴)을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얻었다.
수득량: 123 mg. Rt:30.2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수득량: 138 mg. Rt:33.6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6
HOOC-CH2-(N-Me)-D-Cha-Pro-Ppa-(2-티아졸릴)
(a) Boc-D-Cha-OMe
Boc-D-Cha-OH(20 g)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1 v/v(400 ㎖)에 용해시켰다.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7 g)을 첨가하고, 트리에틸아민(10 ㎖)을 첨가하여 용액을 pH 8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차가운 1N 염산 용액,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키고, 용출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2/3 v/v를 사용하여 용출시킨 실리카상에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Boc-D-Cha-OMe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증발시켰다. 수득량: 19.38 g.
TLC: Rf=0/9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1 v/v.
(b) Boc-(N-Me)-D-Cha-OMe
Boc-D-Cha-OMe(19.35 g)을 질소 대기하에 200 ㎖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켰다. 메틸요오드화물(4.22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2.71 g의 수소화 나트륨(오일 중의 60% 분산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 상을 0.1M 염산,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켜 농축시켰다. 수득량: 21.07 g.
TLC: Rf=0.5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7 v/v.
(c) Boc-(N-Me)-D-Cha-OH
400 ㎖의 디옥산/물 9/1 v/v에 용해된 Boc-(N-Me)-D-Cha-OMe(20 g) 용액을 충분량의 2M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pH를 12로 유지하였다. 산성화시킨 후, 혼합물을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시킨 후,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21.2 g)을 얻었다.
TLC:Rf=0.7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d) Boc-(N-Me)-D-Cha-OBzl
Boc-(N-Me)-D-Cha-OH(2 g)을 디클로로메탄(20 ml)에 용해시켰다. 벤질알콜(0.76 g)과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트리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2.24 g)을 첨가하고, 트리에틸아민(10 ㎖)를 첨가하여 용액을 pH 8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차가운 1N 염산 용액, 물, 5%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키고, 용출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3 v/v를 사용하여 용출시킨 실리카상에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N-Me)-D-Cha-OBzl를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증발시켰다. 수득량: 1.56 g.
TLC: Rf=0.7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3/1 v/v.
(e) H-(N-Me)-D-Cha-OBzl
Boc-(N-Me)-D-Cha-OBzl(1.56 g)을 5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20 ml)으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6 g을 얻었다.
TLC: Rf=0.50,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f)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OBzl
아세토니트릴(40 ml)에 용해된 H-(N-Me)-D-Cha-OBzl(1.6 g)의 교반 용액에 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0.81 g)을 첨가하였다. 테트라부틸 암모늄요오다이드(150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의 pH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하여 pH 8.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5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5%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용출물로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4/1 v/v를 사용하여 용출시킨 실리카겔 상에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OBzl를 1.11 g 얻었다.
TLC: Rf=0.9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g)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OH
메탄올(20 ml) 중의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OBzl(1.11 g)의 용액에 10% 팔라듐/목탄(100 mg)과 2M 염산 1.43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의 대기압하에서 1 시간 동안 가수소화하였다. 팔라듐 촉매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 제거하여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OH(970 mg)을 얻었다.
TLC:Rf=0.75,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163/20/6/11 v/v/v/v.
(h) HOOC-CH2-(N-Me)-D-Cha-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Me)-D-Cha-Pro-OH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혼합된 무수물 커플링,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실시예 48에 따라 수행하였다.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 모두 수득량이 79 mg이었다.
A: Rt(LC):30.87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B: Rt(LC):34.58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7
EtOOC-CH2-D-Cha-Pro-Ppa-(2-티아졸릴)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ro-Ppa(Teoc)-(2-티아졸릴)을 실시예 4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탈보호 반응은 3M 염화 수소/에탄올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정제하여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37 mg 및 44 mg.
A: Rt(LC):35.24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B: Rt(LC):38.12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8
H-(N-Me)-D-Cha-Pro-Ppa-(2-티아졸릴)
Boc-(N-Me)-D-Cha-Pro-OH
Boc-(N-Me)-D-Cha-Pro-OH를 실시예 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N-Me-D-Cha-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Boc-(N-Me)-D-Cha-Pro-OH(400 mg)를 H-Ppa(Cbz)-(2-티아졸릴)·TFA에 커플링하였다. 얻어진 트리펩티드를 TFA와 티오아니솔(실시예 45 참조)의 혼합물로 처리하고,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로 얻었다(218 mg).
Rt(LC):31.96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59
에틸SO2-D-Cha-Pro-Ppa-(2-티아졸릴)
(a) 에틸SO2-D-Cha-Pro-OH
에틸SO2-D-Cha-Pro-OH를 실시예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하였다.
(b) 에틸SO2-D-Cha-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Cha-Pro-OH(300 mg)를 H-Ppa(Cbz)-(2-티아졸릴)과 커플링하여 에틸SO2-D-Cha-Pro-Ppa(Cbz)-(2-티아졸릴)(560 mg)을 얻은 다음 정제하였다. 실시예 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탈보호 반응 및 정제 반응을 수행하여 에틸SO2-D-Cha-Pro-Ppa-(2-티아졸릴)(190 mg)을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얻었다.
Rt(LC):26.67분 및 28.20분, 20% A/60% B/20% C→100% C, 40분.
실시예 60
에틸SO2-D-Phe-Pro-Ppa-(2-티아졸릴)
실시예 4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틸SO2-D-Phe-Pro-OH(실시예 26)를 H-Ppa(Teoc)-(2-티아졸릴)·TsOH와 커플링하여, 완전 보호된 트리펩티드를 얻었다. 그후, 탈보호(실시예 48 참조) 반응하여,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가 HPLC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의 수득량:
80 mg. Rt(LC):39.87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69 mg. Rt(LC):42.45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61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Ppa-(2-티아졸릴)
실시예 4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벤질SO2-노르Leu(시클로)-Gly-OH(실시예 12 참조)(235 mg)를 H-Ppa(Cbz)-(2-티아졸릴)·TFA에 커플링하였다. 얻어진 트리펩티드에서 보호기를 제거(실시예 45 참조)하고, HPLC로 정제하여 두 개의 부분 입체 이성질체를 얻었다:
수득량: 99 mg. Rt(LC):37.99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수득량: 86 mg. Rt(LC):38.68분, 20% A/80% B→20% A/20% B/60% C, 40분.
실시예 62
화학식 HOOC-CH2-D-Cha-X-Ppa-(2-티아졸릴)의 화합물의 고상 합성법(표 62)
(a) Teoc-Ppa(Boc)-OH
물(312 ml)과 디옥산(234 ml) 중의 H-Ppa-OH 18.4 g, 황산구리(II) 오수화물 6.8 g의 용액에 디-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3.9 g을 첨가하고, 4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정하였다. 필터케이크를 디옥산에 현탁시키고, pH를 4N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12.5로 조정하였다. 2-트리메틸실릴에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 24 ml를 0.5 시간 간격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디옥산으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작은 용적으로 농축시키고, pH를 2.5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그후 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후에 무수 상태로 증발시켜 오일 24.9 g을 얻었다.
TLC:Rf=0.79,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b) Teoc-Ppa(Boc)-N(Me)OMe
디클로로메탄 370 ml 중의 Teoc-Ppa(Boc)-OH 29.8 g과 N,O-디메틸-히드록시아민 염산염 7.54 g의 용액에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3 g과 트리에틸아민 20.2 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물과 0.9M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의 0→5% 메탄올을 사용하는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2.2 g을 얻었다.
TLC:Rf=0.42, 실리카겔, 톨루엔/아세톤 3/1 v/v.
(c) Teoc-Ppa(Boc)-(2-티아졸릴)
n-부틸리튬(디에틸 에테르 중의 0.72M) 70 ml를 디에틸 에테르(40 ml)에 용해된 새로 증류된 2-브로모티아졸(4.55 ml)의 냉각된(-78℃) 용액에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5분 간 교반하였다. 그후, 테트라히드로푸란(40 ml)에 용해된 Teoc-Ppa(Boc)-N(Me)OMe(7.2 g)을 매우 서서히 첨가하였다. 30분 간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200 ml)에 부었다. 에테르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에테르 추출물을 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43 g을 얻었다.
TLC:Rf=0.61, 실리카겔, 톨루엔/아세톤 3/1 v/v.
(d) Teoc-Ppa-(2-티아졸릴)·TsOH
디에틸 에테르(116 ml)에 용해된 Teoc-Ppa(Boc)-(2-티아졸릴)(8 g)의 용액에 p-톨루엔설폰산(1 H2O)(3.16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0℃에서 회전 증발기에서 서서히 증발시켰다. 오일계 잔류물을 진공하의 회전 증발기에서 추가로 2 시간 교반하여 p-톨루엔설포네이트 염 9.2 g을 얻었다.
TLC:Rf=0.6,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피리딘/아세트산/물 63/20/6/11 v/v/v/v.
(e) 히드록시메틸 폴리스티렌에 Teoc-Ppa-(2-티아졸릴)·TsOH의 부동화(Teoc-Ppa(C(O)OCH2Pol)-(2-티아졸릴))
아세토니트릴(50 ml)과 디클로로메탄(50 ml)에 용해된 히드록시메틸 폴리스티렌(HOCH2Pol)(0.97 mM/g) 10.0 g과 디(N-숙신이미딜)카르보네이트 12.9 g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 7 ml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지를 여과하고, 차례로 디클로로메탄, 1-메틸-2-피롤리돈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였다. 수지를 아세토니트릴(50 ml)과 디클로로메탄(50 ml)에 재현탁시켰다. 이어서, Teoc-Ppa-(2-티아졸릴)·TsOH(8.3 g)과 트리에틸 아민 3.7 ml을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17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수지를 여과 수집하고, 차례로 디클로로메탄, 1-메틸-2-피롤리돈, 디클로로메탄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하여 수지 13.3 g을 얻었다.
(f) H-Ppa(C(O)OCH2Pol)-(2-티아졸릴)·HC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1:1 v/v) 1.5 ml를 Teoc-Ppa(C(O)OCH2Pol)-(2-티아졸릴) 50 mg에 첨가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30분 간 진탕하였다. 수지를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 디옥산-디클로로메탄(1/7 v/v) 중의 0.5M HCl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였다.
(g) Boc-Phe-Ppa(C(O)OCH2Pol)-(2-티아졸릴)
1-메틸-2-피롤리돈(1 ml)에 용해된 Boc-Phe-OH 40 mg과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20 mg의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23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간 교반한 다음, 수지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4-메틸 모르폴린 5 ㎕를 첨가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진탕시키고, 여과한 후, 1-메틸-2-피롤리돈, 디클로로메탄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정하였다. 기타 N-t-부틸옥시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복실산을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시켰다.
(h) H-Phe-Ppa(C(O)OCH2Pol)-(2-티아졸릴)·HCl
Boc-Phe-Ppa(C(O)OCH2Pol)-(2-티아졸릴)에서 N-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의 제거는 Teoc-Ppa(C(O)OCH2Pol)-(2-티아졸릴)에서 Teoc기를 제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i) N-(t-부틸옥시카르보닐메틸)-N-Boc-D-Cha-Phe-Ppa(C(O)OCH2Pol)-(2-티아졸릴)
H-Ppa(C(O)OCH2Pol)-(2-티아졸릴)에 Boc-Phe-OH를 부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N-(t-부톡시카르복시메틸)-N-Boc-D-Cha-OH를 H-Phe-Ppa(C(O)OCH2Pol)-(2-티아졸릴)·HCl에 부착하였다.
(j) HOOC-CH2-D-Cha-Phe-Ppa-(2-티아졸릴)
수지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티오아니솔(10/1 v/v) 1 ml로 처리하고, 4 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톨루엔으로 세정하였다. 합쳐진 여과물과 세정물을 농축시켰다. 헵탄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격렬하게 와동시켰다. 헵탄 층을 제거하고, 불용성 오일계 잔류물을 헵탄으로 세정하였다. 진공하에서 건조시킨 다음, 잔류물을 물에 재용해시키고, 0.45 u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친액화하였다. 미정제 펩티드를 조제용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칼럼: 수퍼덱스 펩티드 HR 10/30; 유속 0.75 ml/분; 용출제: 물/아세토니트릴 4/1 v/v)로 정제하였다. 적당한 분획을 친액화하여 HOOC-CH2-D-Cha-Phe-Ppa-(2-티아졸릴) 6.4 mg을 얻었다.
(k) HOOC-CH2-D-Cha-X-Ppa-(2-티아졸릴) (표 62)
화학식 HOOC-CH2-D-Cha-X-Ppa-(2-티아졸릴)의 화합물은 HOOC-CH2-D-Cha-Phe-Ppa-(2-티아졸릴)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모든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사용하여 수퍼코실 LC-18-DB 칼럼 상의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특성 분석하였다: 유속: 1.0 ml/분; 완충제 A: 0.5M 인산칼륨 완충제(pH 2.1); 완충제 B: 물; 완충제 D: 아세토니트릴-물(9:1). 구배: 0→30분: 20% A/65% B/15% D→20% A/25% B/55% D. 210 nm에서 UV 검출. 표 62에서 체류 시간은 분 단위로 기록하였다.
X 체류 시간 X 체류 시간
(a) Phe 27.5 (h) Thr 15.8
(b) Pro 21.7/23.8 (i) gly 18.5/19.9
(c) Ini 20.7/21.1 (j) gln 15.8/16.6
(d) Sar 20.3 (k) Orn 12.0/12.8
(e) Ile 15.7 (l) glu 17.8/19.3
(f) D-Phe 21.8 (m) Cha 20.8
( g) β-Ala 19.0/19.5
Ini = 이소니페코트산(4-피페리딘카르복실산)Sar = 사르코신(N-메틸글리신)Orn = 오르니틴(S-(+)-2,5-디아미노펜탄산)
실시예 63
추가로, 하기의 화합물을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 N-Me-D-Phe-Pro-Ppa-(2-티아졸릴)
- HOOC-CH2-D-Phe-Pro-PpaΨ[COCO]-OH
- HOOC-CH2-D-Phe-Pro-Ppa-(2-티아졸릴)
- HOOC-CH2-D-Cha-(N-시클로펜틸)-Gly-Ppa-(2-티아졸릴)
- HOOC-CH2-D-Cha-Pec-PpaΨ[COCO]-OH
- HOOC-CH2-D-Cha-Pec-Ppa-(2-티아졸릴)
- HOOC-CH2-D-Cha-(N-시클로헥실)-Gly-PpaΨ[COCO]-OH
- HOOC-CH2-D-Cha-(N-시클로헥실)-Gly-Ppa-(2-티아졸릴)
- HOOC-CH2-D-Cha-(N-시클로프로필)-Gly-PpaΨ[COCO]-OH
- HOOC-CH2-D-Cha-(N-시클로프로필)-Gly-Ppa-(2-티아졸릴)
- N-Me-D-Phe-(N-시클로펜틸)-Gly-PpaΨ[COCO]-OH
- N-Me-D-Phe-(N-시클로펜틸)-Gly-Ppa-(2-티아졸릴)
- 2-프로필-펜타노일-Asp(OMe)-Pro-PpaΨ[COCO]-OH
- 2-프로필-펜타노일-Asp(OMe)-Pro-Ppa-(2-티아졸릴)
- 2-프로필-펜타노일-Asp-Pro-PpaΨ[COCO]-OH
- 2-프로필-펜타노일-Asp-Pro-Ppa-(2-티아졸릴)
- 1-Piq-(N-시클로펜틸)-Gly-PpaΨ[COCO]-OH
- 1-Piq-(N-시클로펜틸)-Gly-Ppa-(2-티아졸릴)
- 디페닐프로피오닐-Pro-Ppa-(2-티아졸릴)
- N-Me-D-Nle-Pro-PpaΨ[COCO]-OH
- N-Me-D-Nle-Pro-Ppa-(2-티아졸릴)
- EtSO2-D-Phe-Pro-PpaΨ[COCO]-OH
- EtSO2-N(Me)-D-Cha-Pro-PpaΨ[COCO]-OH
- EtSO2-N(Me)-D-Cha-Pro-Ppa-(2-티아졸릴)
- EtSO2-N(Me)-D-Cha-Pro-Ppa-(2-옥사졸릴)
- HOOC-CH2-N(Me)-D-Cha-Pro-PpaΨ[COCO]-OH
- HOOC-CH2-N(Me)-D-Cha-Pro-Ppa-(2-티아졸릴)
- HOOC-CH2-N(Me)-D-Cha-Pro-Ppa-(2-옥사졸릴)
실시예 64
항트롬빈 분석
트롬빈(인자 IIa)은 다단계 응고 반응에서의 인자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항트롬빈 활성은 트롬빈에 의해 발휘된 색원체 기질 s-2238의 가수분해 속도를 분광학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완충액 계에서의 항트롬빈 활성에 대한 분석을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의 IC50-값을 평가하였다.
테스트 매질 : 트로메타민-NaCl-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 (TNP) 완충액.
기준 화합물 : I2581 (카비)
부형제 : TNP 완충액. 최종 반응 혼합물내에서 최대 2.5 %의 농도에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t-부틸 알콜로 안정화를 보조할 수 있다.
기법
시약*:
1. 트로메타민-NaCl (TN) 완충액. 완충액의 조성: 트로메타민(트리스) 6.057 g(50 mmol), NaCl 5.844 g(100 mmol), 1 ℓ가 되게 하는 양의 물. 용액의 pH를 37℃에서 HCl(10 mmol·ℓ-1)을 사용하여 7.4로 조절하였다.
2. TNP 완충액: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TN 완충액에 용해시켜 농도가 3 g·ℓ-1이 되게 하였다.
3. S-2238 용액: 하나의 바이알 S-2238(25 ㎎; 스웨덴의 카비 디아그노스티카)을 20 ㎖의 TN 완충액에 용해시켜 1.25 ㎎·㎖-1(2 mmol·ℓ-1) 의 농도가 되게 하였다.
4. 트롬빈 용액 : 사람의 트롬빈(16,000 nKat·바이알-1;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센트랄 라보라토리움 보르 블로에드트란스푸지에)을 TNP 완충액에 용해시켜 835 nKat·㎖-1의 원료 용액을 얻는다. 사용 직전에 이 용액을 TNP 완충액으로 희석시켜 3.34 nKat·㎖-1의 농도를 얻는다.
-*사용된 모든 성분은 분석용 등급이다.
-모든 수용액은 초정수 물(밀리-큐 등급)을 사용한다.
시험 화합물 용액 및 기준 화합물 용액의 제조
시험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을 밀리-큐 물에 용해시켜 10-2mol·ℓ-1의 원료 농도를 얻는다. 각각의 농도를 부형제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10-3mol·ℓ-1, 10-4mol·ℓ-1및 10-5mol·ℓ-1의 농도를 얻는다. 원료 용액을 포함한 희석물을 분석에 사용한다(반응 혼합물에서의 최종 농도 : 각각 3×10-3mol·ℓ-1; 10-3mol·ℓ-1; 3×10-4mol·ℓ-1; 10-4mol·ℓ-1; 3×10-5mol·ℓ-1; 10-5mol·ℓ-1; 3×10-6mol·ℓ-1및 10-6mol·ℓ-1).
제법
실온에서 0.075 ㎖ 및 0.025 ㎖의 시험 화합물 또는 기준 화합물 용액 또는 부형제를 미량역가판의 웰에 피펫으로 옮기고, 이들 용액을 TNP 완충액 0.115 ㎖ 및 0.0165 ㎖으로 각각 희석한다. 0.030 ㎖의 S-2238 용액의 분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판을 예열시키고, 항온처리기(애머샴)내에서 교반하면서 10분 동안 37℃에서 예비 항온처리한다. 예비항온 처리후, 0.030 ㎖의 트롬빈 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S-2238의 가수분해를 개시한다. 미량역가판을 37℃에서 30초 동안 교반하면서 항온처리한다. 항온처리 1분 후, 405 ㎚에서 각 샘플의 흡광도를 90분에 걸쳐서 매 2분마다 역학 미량역가판 판독기(트윈리더 플러스, 플로우 래보러토리즈)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로터스-메저(LOTUS-MEASURE)를 사용하는 IBM 퍼스널 컴퓨터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각각의 화합물 농도(mol·ℓ-1반응 혼합물 단위) 및 공시험에 대해서 흡광도를 분 단위의 반응 시간으로 플롯팅시킨다.
반응 평가
각각의 최종 농도에 대해서, 최대의 흡광도를 각각의 분석 플롯으로부터 계산하였다. IC50-값(최종 농도, μmol·ℓ-1, 공시험 최대 흡광도의 50%를 억제함)을 해프너 등(참고 문헌: Arzneim.-Forsch./Dru g Res. 1977; 27(II): 1871-3)에 의한 로짓 변환 분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하기 표에 본 발명 화합물의 IC50-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IC50-값(μM)
3 0.54
15 0.95
31 0.245
38 1.8
47 2.83
53 2.6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는 H, 임의로 치환된 D,L α-히드록시아세틸, R1, R1-O-C(O)-, R1-C(O)-,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고, 이때, R1은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및 C3-C8시클로알킬(이때 기들은 C3-C8시클로알킬, C1-C6알콕시, 옥소, OH, COOH, CF3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 및 C6-C14아릴, C7-C15아르알킬 및 C8-C16아르알케닐(이때, 아릴기는 C1-C6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6알콕시, OH, COOH, CF3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되며, 각각의 R2기는 각각 H이거나 또는 R1과 동일하고, m은 1, 2 또는 3이며;
    B는 결합, 화학식 -NH-CH[(CH2)pC(O)OH]-C(O)-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이때, p는 0, 1, 2 또는 3임), -N(C1-C12알킬)-CH2-CO-, -N(C2-C12알케닐)-CH2-CO-, -N(C2-C12알키닐)-CH2-CO-, -N(벤질)-CH2-CO-,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 염기성 측쇄 또는 중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또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는 각각 R1, R1-O-C(O)-, R1-C(O)-,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거나 또는 R3및 R4중 하나는 R5에 결합되어 이들이 결합하게 되는 "N-C"와 함께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며, 이 고리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6-원 고리로 축합될 수 있으며, R5는 소수성 측쇄, 염기성 측쇄 또는 중성 측쇄임]이고;
    X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세린, 트레오닌, 시클릭 아미노산(이때, 시클릭 아미노산은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부가의 이종 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C1-C6알킬,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됨)이거나, 또는 X는 -NR2-CH2-C(O)- 또는 분절또는(이때, n은 2, 3 또는 4 이고, W는 CH 또는 N임)이며;
    Y는 H, -CHF2, -CF3, -CO-NH-(C1-C6)알킬렌-C6H5, -COOR6(이때, R6는 H 또는 C1-C6알킬, -CONR7R8이며, R7및 R8은 각각 H 또는 C1-C6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C3-C6알킬렌임)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티아졸린, 2-벤조티아졸, 2-옥사졸, 2-옥사졸린 및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이며, 이때, 헤테로사이클은 C1-C6알킬, 페닐,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은 0, 1, 2 또는 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L-아미노산, 세린, 트레오닌 또는 -NR2-CH2-C(O)-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3. 제1항에 있어서, A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B는 결합, 화학식 -NH-CH[(CH2)pC(O)OH]-C(O)-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이때, p는 0, 1, 2 또는 3임), -N(C1-C6알킬)-CH2-CO-, -N(C2-C6알케닐)-CH2-CO-, -N(벤질)-CH2-CO-,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알킬로 임의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고;
    X는 N, O 또는 S로부터 선택된 부가의 이종 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며 C1-C6알킬, C1-C6알콕시, 벤질옥시 또는 옥소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릭 아미노산이거나 또는 X는 -NR2-CH2-C(O)- 또는 분절또는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4. 제3항에 있어서, A는 H, 2-히드록시-3-시클로헥실-프로피오닐-, 9-히드록시플루오렌-9-카르복실, R1, R1-SO2-, R2OOC-(CHR2)m-SO2-, R2OOC-(CHR2)m-, H2NCO-(CHR2)m- 또는 N-보호기(이때, R1은 C1-C12알킬, C2-C12알케닐, C6-C14아릴, C7-C15아르알킬 및 C8-C16아르알케닐이며, 각각의 R2기는 각각 H이거나 또는 R1과 동일함)이고;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때, 아미노산은 N-(C1-C6)알킬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며;
    Y는 -CO-NH-(C1-C6)알킬렌-C6H5, -COOR6, -CONR7R8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티아졸린, 2-벤조티아졸, 2-옥사졸, 2-옥사졸린 및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5. 제4항에 있어서, A는 H, R1-SO2-, R2OOC-(CHR2)m-이고;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2OOC-(CHR2)m- 또는 R1-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C7-C15아르알킬, R1-SO2- 또는 R2OOC-(CHR2)m-이며, R5는 소수성 측쇄임]이며;
    Y는 -CO-NH-(C1-C6)알킬렌-C6H5, -COOR6(이때, R6는 H 또는 C1-C3알킬임), -CONR7R8(이때, R7및 R8은 각각 H 또는 C1-C3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C3-C5알킬렌임)이거나 또는 Y는 2-티아졸, 2-벤조티아졸, 2-옥사졸 또는 2-벤즈옥사졸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6. 제5항에 있어서, A는 R2OOC-(CHR2)m-이고;
    B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2OOC-(CHR2)m-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C2-C6알케닐, C3-C8시클로알킬, 벤질, R1-SO2- 또는 R2OOC-(CHR2)m-임]이며;
    X는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 또는 -[N-(C3-C8)시클로알킬]-CH2-C(O)-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7. 제6항에 있어서, A는 HOOC-CH2-이고;
    B는 D-Phe, D-Cha, D-Coa, D-Dpa, p-Cl-D-Phe, p-O메틸-D-Phe, p-O에틸-D-Phe, D-Nle, m-Cl-D-Phe, 3,4-디-OMe-D-Phe, D-Chg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HOOC-CH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4알킬, C1-C4알킬-SO2- 또는 HOOC-CH2-이며, R5는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4알킬, 페닐, 벤질이며, 이들 기는 염소 또는 C1-C4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됨]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8. 제7항에 있어서, A는 HOOC-CH2-이고, B는 D-Cha이며, X는 프롤린 또는 [N(시클로펜틸)]-CH2-C(O)-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9. 제5항에 있어서, A는 R1-SO2-이고;
    B는 결합, D-1-Tiq, D-3-Tiq, D-Atc, Aic, D-1-Piq, D-3-Piq 또는 소수성 측쇄를 갖는 D-아미노산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R1-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또는 R1-SO2-임]이며;
    X는 2-아제티딘 카르복실산, 프롤린, 피페콜산, 4-티아졸리딘 카르복실산, 3,4-데히드로-프롤린, 2-옥타히드로인돌 카르복실산, -[N(C3-C8)시클로알킬]-CH2-C(O)- 또는 분절또는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10. 제9항에 있어서, A는 에틸-SO2- 또는 벤질-SO2-이고;
    B는 결합, D-Phe, D-Cha, D-Coa, D-Dpa, p-Cl-D-Phe, p-O메틸-D-Phe, p-O에틸-D-Phe, D-Nle, m-Cl-D-Phe, 3,4-디-OMe-D-Phe, D-Chg이거나; 또는
    A 및 B는 함께 잔기 R3R4N-CHR5-C(O)-[이때, R3및 R4중 하나 이상은 에틸-SO2- 또는 벤질-SO2-이며, 다른 것은 각각 C1-C12알킬 또는 R1-SO2-이며, R5는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킬 C1-C4알킬, 페닐, 벤질, 디페닐메티닐이며, 이들 기는 염소 또는 C1-C4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됨]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11. 제10항에 있어서, A는 에틸-SO2-이고, B는 D-Cha이며, X는 프롤린 또는 [N(시클로펜틸)]-CH2-C(O)-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이 1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적당한 보조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치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 전구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
  15. 트롬빈 관련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합물의 용도.
KR1019980706834A 1996-03-01 1997-02-26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KR19990087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0545 1996-03-01
EP96200545.0 1996-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16A true KR19990087416A (ko) 1999-12-27

Family

ID=822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34A KR19990087416A (ko) 1996-03-01 1997-02-26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218365B1 (ko)
EP (1) EP1012164B1 (ko)
JP (1) JP2000506838A (ko)
KR (1) KR19990087416A (ko)
CN (1) CN1212705A (ko)
AR (1) AR006311A1 (ko)
AT (1) ATE277074T1 (ko)
AU (1) AU715765B2 (ko)
BR (1) BR9707812A (ko)
CA (1) CA2246722A1 (ko)
CZ (1) CZ277998A3 (ko)
DE (1) DE69730871D1 (ko)
HU (1) HUP9901503A3 (ko)
ID (2) ID16105A (ko)
IL (1) IL120311A (ko)
NO (1) NO983992L (ko)
NZ (1) NZ331486A (ko)
PL (1) PL328665A1 (ko)
TR (1) TR199801705T2 (ko)
TW (1) TW523513B (ko)
WO (1) WO1997031939A1 (ko)
ZA (1) ZA9717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89625A1 (en) 1997-05-15 1998-11-19 Charles Van Jackson Antithrombotic compound
US6344450B1 (en) * 1999-02-09 2002-02-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Lactam compounds and their use as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and method
EP1165601A2 (de) 1999-04-09 2002-01-02 Basf Aktiengesellschaft Prodrugs von thrombininhibitoren
AU2002222933A1 (en) * 2000-07-13 2002-01-30 Millennium Phara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factor xa
HUP0304058A2 (hu) 2001-01-30 2004-04-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Xa faktor szulfonamid-laktám inhibitorok és alkalmazásuk és ez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US6716869B2 (en) 2001-12-17 2004-04-06 Pharmacia Corporation Protease inhibitors of the coagulation cascade isolated from Dysidea sponges
JP2005519098A (ja) * 2002-03-01 2005-06-30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変形性関節症の治療方法
US7439226B2 (en) * 2003-09-30 2008-10-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erine protease inhibitors
JP2008521853A (ja) * 2004-12-02 2008-06-26 プロビオドルグ エージー 神経疾患治療用の新規化合物
RU2419625C2 (ru) * 2006-05-23 2011-05-27 Айрм Ллк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протеазы, активирующей каналы
WO2007137080A2 (en) 2006-05-23 2007-11-29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channel activating protease inhibitors
BRPI0806970A2 (pt) * 2007-02-09 2014-04-08 Irm Llc Compostos e composições como inibidores de protease de ativação de canal
JP2010518099A (ja) 2007-02-09 2010-05-27 アイアールエム・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チャネル活性化プロテアーゼ阻害剤としての化合物および組成物
JP7164521B2 (ja) 2016-06-21 2022-11-01 オリオン・オフサルモロジー・エルエルシー 炭素環式プロリンアミド誘導体
EA201990069A1 (ru) 2016-06-21 2019-06-28 ОРИОН ОФТАЛМОЛОДЖИ ЭлЭлСи Производные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го пролинамида
DE102020103516B4 (de) 2020-02-11 2023-12-07 Universität Zu Lübeck Antivirale Wirkstoffe mit breiter Aktivität
US11124497B1 (en) 2020-04-17 2021-09-21 Pardes Biosciences, Inc. Inhibitors of cysteine proteas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174231B1 (en) 2020-06-09 2021-11-16 Pardes Biosciences, Inc. Inhibitors of cysteine proteas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4161902A1 (en) * 2020-06-09 2023-04-12 Pardes Biosciences, Inc. Inhibitors of cysteine proteas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30038457A (ko) 2020-06-10 2023-03-20 알리고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코로나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및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바이러스 화합물
PE20240775A1 (es) 2021-07-09 2024-04-17 Aligos Therapeutics Inc Compuestos antiviral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412B2 (ja) * 1993-04-30 2004-01-13 メルク エン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ロンビン阻害剤
US5672582A (en) * 1993-04-30 1997-09-30 Merck & Co., Inc. Thrombin inhibitors
SE9301916D0 (sv) * 1993-06-03 1993-06-03 Ab Astra New peptides derivatives
ZA951617B (en) * 1994-03-04 1997-02-27 Lilly Co Eli Antithrombotic agents.
WO1995035311A1 (en) * 1994-06-17 1995-12-28 Corvas International, Inc. 3-amino-2-oxo-1-piperidineacetic derivatives as enzyme inhibitors
JPH0820597A (ja) * 1994-07-07 1996-01-23 Meiji Seika Kaisha Ltd トロンビン阻害作用を有する複素環カルボニル化合物
CZ189997A3 (cs) * 1994-12-22 1998-09-16 Biochem Pharma Inc. Bicyklické sloučeniny, způsob jejich výroby a farmaceutické prostředky na jejich bázi
WO1997030073A1 (en) * 1996-02-13 1997-08-21 Akzo Nobel N.V. Serine prote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71733B (en) 1997-09-10
CA2246722A1 (en) 1997-09-04
IL120311A (en) 2001-10-31
CZ277998A3 (cs) 1999-02-17
ATE277074T1 (de) 2004-10-15
EP1012164A1 (en) 2000-06-28
US6218365B1 (en) 2001-04-17
NO983992L (no) 1998-10-30
ID16105A (id) 1997-09-04
DE69730871D1 (de) 2004-10-28
WO1997031939A1 (en) 1997-09-04
TW523513B (en) 2003-03-11
CN1212705A (zh) 1999-03-31
TR199801705T2 (xx) 1998-12-21
IL120311A0 (en) 1997-06-10
AU715765B2 (en) 2000-02-10
ID16104A (id) 1997-09-04
JP2000506838A (ja) 2000-06-06
NO983992D0 (no) 1998-08-31
BR9707812A (pt) 1999-07-27
NZ331486A (en) 1999-07-29
EP1012164B1 (en) 2004-09-22
HUP9901503A3 (en) 2001-10-29
AR006311A1 (es) 1999-08-25
HUP9901503A2 (hu) 1999-08-30
PL328665A1 (en) 1999-02-15
AU1795697A (en) 1997-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416A (ko)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EP0772590B1 (en) Thrombin inhibitors
US6034067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
RU2178796C2 (ru) Ингибиторы тромбина
RU2178419C2 (ru) Ингибиторы протеазы серина
WO2000005245A2 (en) Inhibitors of urokinase and blood vessel formation
KR20010012174A (ko)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EP0956293B1 (en) Thrombin inhibitors
RU2172321C2 (ru) Ингибиторы сериновых протеаз
US5877156A (en) Thrombin inhibitors
EP0884325A1 (en) Thrombin inhibitors containing a peptidyl heterocycle
MXPA98007090A (en) Inhibitors of serine prote
MXPA98007091A (en) Inhibitors of protease being
MXPA98003479A (en) Tromb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