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017A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017A
KR19990087017A KR1019980057483A KR19980057483A KR19990087017A KR 19990087017 A KR19990087017 A KR 19990087017A KR 1019980057483 A KR1019980057483 A KR 1019980057483A KR 19980057483 A KR19980057483 A KR 19980057483A KR 19990087017 A KR19990087017 A KR 1999008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ck
mobile
workben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803B1 (ko
Inventor
하태홍
Original Assignee
하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홍 filed Critical 하태홍
Priority to US09/249,244 priority Critical patent/US6149144A/en
Priority to JP11038925A priority patent/JPH11322283A/ja
Priority to DE19907539A priority patent/DE19907539A1/de
Priority to CN99102423A priority patent/CN1103740C/zh
Publication of KR1999008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6Props
    • B60D1/665Props comprising supporting wheels, e.g. dol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트랜스미션을 정비할 때 사용되는 이동식 작업대로서, 작업대의 높이를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고, 작업대에 안치되는 트랜스미션의 균형을 맞출수 있도록 미세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장의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일단부와 캡이 장착되는 타단부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작동을 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수단의 일부에 장착되는 구동수단, 및 중량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지지본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중량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장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간단한 조정에 의해 상기 중량물의 균형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차량의 트랜스미션 또는 엔진과 같은 중량물을 정비하기 위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중량물을 가공 및 정비하는 작업장에는 중량물을 이동시키거나 승하강시키는 장비가 필요하며, 작업자는 이러한 장비에 무거운 중량물을 안착시켜 공구 및 정비장치가 있는 장소로 이동시켜 가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장비는 작업장의 특성이나 가공 및 정비되는 중량물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되었다.
무거운 중량물의 가공 및 정비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차량 정비업소에서 작업하는 무거운 중량물에 해당되는 차량용 부품으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등이 있다. 이러한 엔진을 정비하기 위한 장비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되어 엔진을 들어올리는 호이스트와, 엔진을 지지하여 작업자의 작업위치에 위치시키는 작업대 등이 구비된다.
상기 호이스트는 랫치기어와 다수의 가변기어가 구비된 호이스트 몸체와 체인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중량물인 엔진을 승강가능하게 하는 장비이고,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정해진 작업위치에서 편리하게 엔진을 정비할 수 있도록 엔진을 지지하는 장비로서,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는 유압식 승강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로부터 엔진이 작업대의 지지부재에 안치되면, 작업자가 작업대의 하방에 설치된 유압페달을 수회 반복하여 밟아줌으로써 유압을 상승시킨다. 상기 유압식 승강장치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상승하게 되어 작업대의 작업위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작업대는 유압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작업높이를 하강시키기 위해 유압을 감압시킬 때, 정확한 유압조절이 어려워 작업높이를 정확히 맞출 수가 없었다.
또한, 엔진등을 지지한 작업대를 작업장에서 이동시 협소한 작업장에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동 및 정비작업시에 작업대에 안치된 엔진이 흔들리게 되어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중량물을 이송 또는 승강시키는 작업대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엔진 또는 미션과 같은 차량의 중량물을 상부의 지지본체에 안전하게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량물의 안착상태에서 상기 중량물의 전후 및 좌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작업장의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토퍼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다면체의 저판, 상기 저판의 저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공과 연통가능한 다수의 고정공들을 형성한 회전디스크, 상기 저판의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와, 캐스터를 설치한 타단부로 형성된 다수의 다리, 및 상기 각 다리가 상기 저판의 측면에 대해 동일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다수의 다리와 회전디스크를 연결한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이동본체;
상기 캡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연장되는 체인, 각각의 체인을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본체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랙, 및 상기 랙을 수용하고, 하단부에 상기 롤러를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랙의 상승 및 하강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기 체인과 상기 롤러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핸들,
상기 제 1핸들이 장착되고 원통기어가 외주면에 장착된 회전체,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랙과 치합하는 제 1피니언을 구비한 제 1스플라인 샤프트, 상기 회전체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일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래칫기어 및 포올, 상기 래칫기어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판, 상기 회전체와 상기 래칫기어 사이에 동축상으로 장착되는 제 1스페이서, 상기 래칫기어와 상기 멈춤판 사이에 동축상으로 장착되는 제 2스페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핸들, 및 일단부는 상기 제 2핸들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원통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제 1피니언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 2피니언을 구비하는 제 2스플라인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및
다수의 가이드슬롯, 원통형 보스, 및 다수의 제 1돌편을 형성한 상부판,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1돌편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 2돌편, 두 쌍의 러그, 및 상기 원통형 보스가 관통하는 중앙홀을 형성한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러그를 관통한 힌지로드에 의해 상기 요동판에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돌출편을 구비하는 두 개의 받침대, 각각의 받침대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장치, 상기 상부판에 대한 상기 요동판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요동판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레벨링장치, 및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박스를 포함하는 지지본체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접혀져 있는 이동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에 차량의 중량물을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의 작동상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본체 12 : 저판
14 : 회전디스크 13,15 : 고정공
16 : 다리 17 : 캐스터
18 : 링크 19 : 스토퍼
20 : 하우징 22 : 캡
24 : 롤러 26 : 체인
30 : 구동수단 40 : 승강실린더
50 : 랙 60 : 지지본체
310 : 제 1핸들 315 : 회전체
317 : 제 1스플라인 샤프트 320 : 래칫기어
330 : 멈춤판 323 : 포올
340 : 제 2스플라인 샤프트 345 : 제 2핸들
610 : 상부판 620 : 요동판
624 : 각도조정나사부 630 : 받침대
640 : 미세조정장치 650 : 하부박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본체(10), 상기 이동본체(10)의 중앙에 입설되는 하우징(20), 이 하우징(20)에 내설되어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실린더(40), 상기 승강실린더(40)에 내설되어 승강가능한 랙(50), 상기 랙(5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랙(5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본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는 캡(22)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외주면에는 다양한 작업공구 및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구함(21)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본체(10)는 다면체의 저판(12), 이 저판(12)의 저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디스크(14), 및 상기 저판(12)의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와 캐스터(17)를 설치한 타단부로 형성된 다수의 다리(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16)들이 상기 저판(12)의 측면에 대해 동일한 각으로 회동되도록 각각의 다리(16)는 링크(18)에 의해 회전디스크(1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판(12)에는 상기 회전디스크(1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9)가 끼워지는 고정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디스크(14)에는 상기 고정공(13)을 관통한 상기 스토퍼(19)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공(15)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6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본체(60)는 상부판(610)과 하부박스(650)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요동판(620)과 두 개의 받침대(630)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상부판(610)은 다수의 가이드슬롯(614)과 원통형 보스(615)를 형성하고, 상기 요동판(620)은 상기 상부판(610)의 저면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보스(615)가 관통하는 중앙홀(621)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630)는 상기 요동판(6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31)와 상기 지지부(63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편(632)으로 형성된다. 또한, 미세조정장치(640)가 상기 받침대(630)의 돌출편(632)을 상기 가이드슬롯(614)을 통해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판(620)의 양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박스(650)는 상기 요동판(620), 받침대(630), 및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를 수용한다.
상기 원통형 보스(615)는 그 외주면상에 나사식 홀(617)을 구비하며, 고정볼트(618)가 상기 나사식 홀(617)을 통해 상기 랙(50)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본체(60)가 상기 랙(50)에 지지고정된다.
상기 요동판(620)은 상기 상부판(610)의 저면의 양측에 설치된 제 1돌편(616)와 대응하는 제 2돌편(622)를 상면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 1돌편(616)와 제 2돌편(622)는 핀(6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630)의 양 돌출편(632)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레벨링장치가 상기 지지본체(60)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레벨링장치는 상기 가이드슬롯(614)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상기 요동판(620)의 일측벽에 형성된 힌지축(623)에 힌지결합된 각도조정나사부(624)와, 상기 하부박스(6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정나사부(624)와 결합되는 암나사부(64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암나사부(64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요동판(620)은 상기 제 1돌편(616)와 제 2돌편(622)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편(632)에는 힌지로드(635)가 관통하는 홀(6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로드(635)는 상기 요동판(62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러그(634)와 상기 홀(633)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대(630)를 상기 요동판(620)에 피봇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각각의 미세조정장치(640)는 조정부(642), 상기 조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수나사부(641), 상기 수나사부(641)를 지지하고 상기 요동판(620)에 고정되는 원통형 암나사부(643), 상기 수나사부(64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힌지부(644), 상기 받침대(630)로부터 돌출된 힌지축(637)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부(645), 및 상기 제 1힌지부(644)와 상기 제 2힌지부(645)를 연결하는 연결바아(64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박스(650)는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651)를 양측벽에 형성하고, 상기 각도조정나사부(624)와 결합되는 암나사부(645)가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나 용접등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상부판(610)의 저면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6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구동수단(30)은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제 1핸들(310), 원통기어(316)가 체결되는 외주면과 상기 제 1핸들(310)이 장착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회전체(315), 및 상기 회전체(31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너트(312)에 의해 고정되는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를 구비한다. 래칫기어(320)가 상기 회전체(31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315)와 인접하여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상에 설치되고, 멈춤판(330)이 상기 래칫기어(32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래칫기어(320)와 인접하여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상에 설치된다. 또한, 제 1스페이서(325)가 상기 회전체(315)와 상기 래칫기어(320) 사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제 2스페이서(335)가 상기 멈춤판(330)과 상기 래칫기어(320) 사이에 동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의 피니언(318)은 상기 랙(50)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래칫기어(32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수단(30)의 하부에는 포올(323)이 설치되고, 상기 포올(323)의 내부에는 상기 포올(323)을 상방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3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제 1핸들(310)을 회전시킬 때 가하는 힘보다 적은 힘을 가하여 상기 랙(50)을 상승시킬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315)의 원통기어(316)와 치합하는 피니언(341)을 갖는 제 2스플라인 샤프트(340)와, 상기 제 2스플라인 샤프트(3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2핸들(345)이 상기 구동수단(30)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A)은 랙(50), 승강실린더(40), 체인(26), 및 다수의 롤러(2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실린더(40)가 수직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내부에는 랙(50)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내설되어 있다. 상기 캡(22)의 내부에는 체인(26)을 고정시키기 위한 둘 이상의 고정부(2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실린더(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둘 이상의 롤러(24)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체인(26)은 상기 롤러(24)를 경유해 상기 랙(50)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을 하기 이전에, 이동식 작업대의 이동본체(10)에 장착된 다리(16)를 소정 각도로 펼쳐 임의대로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접혀져 있는 이동본체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다리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16)들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디스크(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디스크(14)에 연결된 링크(18)가 상기 다리(16)를 상기 저판(12)의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다리(16)들이 상기 저판(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본체(10)의 회전디스크(14)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공(15)들 중에서 선택된 고정공(15)과 저판(12)에 형성된 고정공(13)을 동심으로 일치시킨 후, 상기 스토퍼(19)를 상기 고정공(13,15)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디스크(14)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디스크(14)가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링크(18)도 고정됨으로써 상기 캐스터(17)가 설치된 다리(16)는 그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상기 다리(16)들을 고정시킨 이동식 작업대에 중량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는 다수의 캐스터(17)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협소한 공간이나 넓은 공간과 같은 작업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본체(10)에 설치된 다리(16)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다리(16)의 각도조절은 상기에 언급된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에 차량의 중량물을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들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업자가 트랜스미션과 같은 중량물(80)을 상기 지지본체(60)에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대를 상승시키려면, 작업자는 상기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킨다. 작업자가 상기 구동수단(30)의 제 1핸들(3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315)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체(3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315)는 제 1스페이서(325), 래칫기어(320), 및 제 2스페이서(335)를 멈춤판(330)쪽으로 압착시켜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포올(323)과 치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래칫기어(320)는 상기 회전체(315)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너트(312)에 의해 상기 회전체(315)에 장착된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의 피니언(318)과 치합되는 랙(50)이 상방으로 상승된다.
상기 랙(50)이 상방으로 상승됨에 따라, 상기 랙(50)의 하단부에 고정된 체인(26)이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롤러(24)가 장착된 승강실린더(40)도 상방으로 수직 상승한다.
작업자가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핸들을 놓게 되면, 상기 무거운 중량물(8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랙(50)이 하방으로 과도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피니언(318)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포올(323)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중량물(80)은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상기 중량물(80)을 하강시킬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가 제 1핸들(3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체(3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320)가 상기 포올(323)에 치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315)가 너트(312)와의 미세한 이격부만큼 회전하여 축방향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제 1스페이서(325)와 상기 제 2스페이서(335)는 상기 래칫기어(320)로부터 미세하게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기어(320)는 포올(323)에 치합되어 회전하지 않게 되고, 상기 회전체(315)와 상기 멈춤판(330)은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의 피니언(318)과 치합되는 상기 랙(50)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랙(50)이 하방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랙(50)의 하단부에 고정된 체인(26)이 함께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롤러(24)가 장착된 승강실린더(40)도 하방으로 수직 하강한다.
상기 작업대의 하강작동중에 작업자가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핸들을 놓게 되면, 상기 무거운 중량물(80)의 하중에 의해 상기 랙(50)이 하방으로 과도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랙(50)에 의해 상기 피니언(318)은 급격한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의 과도한 회전력을 통해 상기 샤프트(317)에 일체로 장착된 멈춤판(330)은 이격되어 있는 제 1스페이서(325)와 제 2스페이서(335)들을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315), 제 1스페이서(325), 래칫기어(320), 제 2스페이서(335), 및 멈춤판(330)들은 서로 밀착되어 일체형 결합체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래칫기어(320)가 상기 포올(323)에 치합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결합체들이 회전하지 않게 되며, 결국, 상기 랙(50)이 하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제 2핸들(345)을 회전시켜, 상기 구동수단(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핸들(345)에 장착되는 제 2스플라인 샤프트(340)의 피니언(341)의 지름이 상기 회전체(315)의 원통기어(316)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 2핸들(345)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 1핸들(310)에 가해지는 힘보다 적게 든다. 상기 제 2핸들(345)이 회전되면, 상기 제 2스플라인 샤프트(340)의 피니언(341)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341)과 치합된 상기 원통기어(316)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원통기어(316)와 결합된 회전체(315)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에 언급된 작동에 의해, 상기 랙(50) 및 승강실린더(4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조정장치(640)에 의해 상기 받침대(630)의 돌출편(632)을 상기 상부판(610)외부로 적절하게 돌출시킨 후, 상기 중량물(80)을 상기 지지본체(60)에 안착시킨다. 상기 중량물(8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물(80)의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 미세조정장치(640)의 조정부(6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조정부(642)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6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힌지부(644)가 상기 암나사부(643)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인해, 상기 제 1힌지부(644)와 연결된 연결바아(646)가 상기 제 2힌지부(645)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받침대(630)의 지지부(631)가 상기 힌지로드(635)에 대해 회동하여 상기 요동판(620)과 평행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631)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돌출편(632)이 상기 가이드슬롯(614)를 통해 상부판(610)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에 언급된 동작과 반대로 작동됨으로써 상기 돌출편(632)는 상기 상부판(610)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물(8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물(80)의 전후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상기 하부박스(650)에 설치된 암나사부(64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요동판(620)의 일측부에 힌지 결합된 각도조정나사부(624)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정나사부(62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요동판(620)은 상기 제 1돌편(616), 제 2돌편(622), 및 핀(625)의 결합체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동판(620)의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받침대(630)의 돌출편(632)들의 높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중량물의 전후 균형이 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기에 서술된 것과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지지본체(80)는 다수의 가이드슬롯(83)과 원통형 보스(81)가 형성된 상부판(82), 상기 가이드슬롯(83)을 통해 상기 상부판(82) 외부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2개의 받침대(85), 및 상기 상부판(82)의 저면에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박스(8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본체(80)에 안착된 중량물(80)의 전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레벨링장치는 상기 상부판(82)의 일측을 관통하는 각도조정구(86)와 상기 각도조정구(86)와 결합되는 하부박스(84)의 저면에 설치된 암나사부(90)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받침대(85)는 상기 상부판(82)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91)를 관통하는 힌지로드(89)에 의해 상기 상부판(82)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바아(87)는 일측부가 볼트(92)에 의해 상기 원통형 보스(8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받침대(85)의 저면부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아(87)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박스(84)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승강조정구(88)의 단부가 지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작동은 상기에 서술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지지본체(80)의 받침대(85)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조정구(88)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조정구(88)가 상승하면서 상기 지지바아(87)가 상기 받침대(85)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받침대(85)가 상기 힌지로드(89)를 축으로하여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조정구(88)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대(85)는 상기 상부판(82)의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정구(86)과 결합된 암나사부(9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정구(86)가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중량물(80)의 전후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중량물(80)의 균형을 맞출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승 및 하강을 통해 지지본체가 승강되어 작업높이가 조절가능하면 작업자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정비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지지본체의 받침대에 의해 무거운 차량의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대를 미세조정하여 상기 중량물의 균형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수단에 의해 랙 및 승강실린더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본체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킬수 있고, 그 상승위치에서 안정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동본체의 다리가 가변되어 작업장에 따라 그 이동이 용이하므로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식 작업대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정비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본체(10);
    상기 이동본체(1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일단부와, 캡(22)이 장착되는 타단부를 갖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어 상승 및 하강작동을 하는 승강수단(A);
    상기 승강수단(A)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수단(A)의 일부에 장착되는 구동수단(30); 및
    중량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상기 승강수단(A)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되는 지지본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본체(10)는
    스토퍼(19)가 삽입되는 고정공(13)이 형성된 다면체의 저판(12);
    상기 저판(12)의 저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공(13)과 연통가능한 다수의 고정공(15)들을 형성한 회전디스크(14);
    상기 저판(12)의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부와, 캐스터(17)를 설치한 타단부로 형성된 다수의 다리(16); 및
    상기 다수의 다리(16)들이 상기 저판(12)의 측면에 대해 동일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각각의 다리(16)와 상기 회전디스크(14)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A)은
    상기 캡(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체인(26);
    상기 체인(26)을 안내하는 롤러(24);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60)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체인(26)과 연결되어있고, 상기 지지본체(6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랙(50); 및
    상기 랙을 수용하고, 하단부에 상기 롤러(24)를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랙(50)의 상승 및 하강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기 체인(26)과 상기 롤러(24)의 작동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핸들(310);
    상기 제 1핸들(310)이 장착되고, 원통기어(316)가 외주면에 장착된 회전체(315);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315)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312)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랙(50)과 치합하는 제 1피니언(318)을 구비한 제 1스플라인 샤프트(317);
    상기 회전체(315)와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일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래칫기어(320)와 포올(323);
    상기 래칫기어(320)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판(330);
    상기 회전체(315)와 상기 래칫기어(320) 사이에 동축상으로 장착되는 제 1스페이서(325);
    상기 래칫기어(320)와 상기 멈춤판(330) 사이에 동축상으로 장착되는 제 2스페이서(335);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핸들(345); 및
    일단부는 상기 제 2핸들(345)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원통기어(316)와 치합하고 상기 제 1피니언(318)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 2피니언(341)을 구비하는 제 2스플라인 샤프트(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60)는
    다수의 가이드슬롯(614), 원통형 보스(615), 및 다수의 제 1돌편(616)을 형성한 상부판(610);
    상면에 상기 다수의 제 1돌편(616)과 연통되는 다수의 제 2돌편(622), 두 쌍의 러그(634), 및 상기 원통형 보스(615)가 관통하는 중앙홀(621)을 형성한 요동판(620);
    상기 요동판(6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31),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러그(634)를 관통한 힌지로드(635)에 의해 상기 요동판(620)에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돌출편(632)을 구비하는 두 개의 받침대(630);
    상기 각각의 받침대(630)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장치;
    상기 상부판(610)에 대한 상기 요동판(62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요동판(62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레벨링장치; 및
    상기 상부판(610)의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박스(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장치(640)는
    상기 받침대(630)의 승강작동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642);
    상기 조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수나사부(641);
    상기 수나사부(641)가 관통지지되고 상기 요동판(620)에 연장 결합된 암나사부(643);
    상기 암나사부(643)을 관통한 상기 수나사부(64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힌지부(644);
    상기 받침대(630)의 지지부(631)에 힌지 결합되는 제 2힌지부(645); 및
    상기 제 1힌지부(644)와 상기 제 2힌지부(645)를 연결하는 연결바아(6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장치는
    상기 요동판(620)의 저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각도조정나사부(624); 및
    상기 하부박스(650)의 일측부에 설치된 암나사부(6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15), 상기 제 1스페이서(325), 상기 래칫기어(320), 상기 제 2스페이서(335), 및 상기 멈춤판(330)이 상기 랙(50)을 상승시킬 때에는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랙(50)을 하강시킬 때에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는
    다수의 가이드슬롯(83), 상기 각 가이드슬롯(83)과 인접하여 형성된 돌부(91), 외주면에 홀을 형성한 원통형 보스(81)를 구비하는 상부판(82);
    상기 가이드슬롯(83)을 통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두 개의 받침대(85);
    상기 각 받침대(85)를 상기 상부판(82)의 돌부(9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로드(89);
    일단부는 볼트(92)에 의해 상기 원통형 보스(81)의 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85)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아(87);
    상기 상부판(82)의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박스(84);
    상기 상부판(82)으로부터 상기 하부박스(84)로 연장된 각도조정구(86)와, 상기 각도조정구(86)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하부박스(84)에 설치되는 암나사부(90)를 구비하는 레벨링장치; 및
    상기 하부박스(84)로부터 상기 지지바아(87)의 저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아(87)를 지지하는 승강조정구(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외주면에 공구함(2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KR1019980057483A 1998-05-14 1998-12-23 이동식작업대 KR10032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9,244 US6149144A (en) 1998-05-14 1999-02-11 Movable work bench
JP11038925A JPH11322283A (ja) 1998-05-14 1999-02-17 移動式作業台
DE19907539A DE19907539A1 (de) 1998-05-14 1999-02-22 Bewegbare Werkbank
CN99102423A CN1103740C (zh) 1998-05-14 1999-02-26 活动工作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17302 1998-05-14
KR98-17302 1998-05-14
KR1019980017302 199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17A true KR19990087017A (ko) 1999-12-15
KR100323803B1 KR100323803B1 (ko) 2002-06-20

Family

ID=3746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83A KR100323803B1 (ko) 1998-05-14 1998-12-23 이동식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039A (ko) *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중량물 교체장치
KR20180116062A (ko) * 2017-04-14 2018-10-24 서진호 작업용 발판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102000998B1 (ko) 2019-06-03 2019-07-17 (주)록키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842A (zh) * 2013-06-14 2013-09-11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拖拉式可调高投影仪架
KR200489867Y1 (ko) * 2018-01-2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KR102191075B1 (ko) * 2020-06-27 2020-12-15 조일수 용접 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039A (ko) *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고소 중량물 교체장치
KR20180116062A (ko) * 2017-04-14 2018-10-24 서진호 작업용 발판
KR20190057943A (ko) * 2017-11-21 2019-05-29 (주)효원엔브이 고소 작업 장치
KR102000998B1 (ko) 2019-06-03 2019-07-17 (주)록키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803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144A (en) Movable work bench
US5118082A (en) Electrically operated screw-type jack
KR20190078200A (ko)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9990087017A (ko) 이동식 작업대
KR101863852B1 (ko)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 분해 및 조립장치
KR102376251B1 (ko) 밸브조립용 테이블장치
KR200173259Y1 (ko) 이동식 작업대
CN220029075U (zh) 一种皮带轮用激光打标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0415930B1 (ko) 각도 자동조절수단이 구비된 유압잭용 램 베이스
KR100389589B1 (ko) 이동식 작업대
KR100416672B1 (ko)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식 작업대의 받침대
CN113390609B (zh) 一种车载屏兼容治具载台
KR102088959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KR100655683B1 (ko) 누름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
CN110155915B (zh) 一种电力机器维修人员专用安全断电装置
KR200486862Y1 (ko) 작업대의 작업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KR100378962B1 (ko) 다기능 리프터
JP3697625B2 (ja) 昇降作業台
JP4193660B2 (ja) バンドソー型切断装置
KR100467660B1 (ko) 부품 장착용 승강장치
CN217255959U (zh) 对中工作台
KR19990041142U (ko) 차량 정비용 미션잭
JP3013161U (ja) 湾曲面研削装置
CN221116719U (zh) 一种便于移动的多功能龙门起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