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589B1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9589B1 KR100389589B1 KR10-2000-0021436A KR20000021436A KR100389589B1 KR 100389589 B1 KR100389589 B1 KR 100389589B1 KR 20000021436 A KR20000021436 A KR 20000021436A KR 100389589 B1 KR100389589 B1 KR 100389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fixing
- support body
- fixed
- spir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07—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for engines, motor-vehicles or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중량물을 그 크기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랙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본체를 구비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랙과 상기 지지본체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본체의 중앙이 입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지지본체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본체의 좌측부 및 우측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조절장치로 구성된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본체에 유지되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본체의 주변에 길이가 조절가능하고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은 중량물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그 중량물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차량의 작동 및 구동을 위한 엔진,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같은 장치들을 차량에 탑재하거나 또는 그 차량에서 탈거하는 경우, 그 장치들을 지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호이스트, 승강장치, 잭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 같은 장치들 중 잭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제1999-0041142호로 공개된 이동식 작업대가 있다. 이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다수개의 캐스터(1)가 축착된 장방형의 저판(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저판(2)의 중앙에는 상측에 기어박스(3)가 구비된 중공원형의 기대(4)가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4)에는 일측면에 기어치(5)가 형성된 승강부재(6)가 내설되어 있다.또한, 상기 승강부재(6)의 상단에는 미션과 같은 정비물이 안치되는 작업대(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어박스(3)에는 승강부재(6)의 기어치(5)와 치합되는 스플라인(8)과, 그 스플라인(8)의 일측에 대직경으로 형성된 랫치기어(9)와, 이 랫치기어(9)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핸들(10)로 구성된 승강기어부(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박스(3)의 하측에는 랫치기어(9)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랫치스토퍼(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승강기어부(11)의 승강핸들(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업대(7)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은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랫치스토퍼(12)에 의해 승강부재(6)의 불의의 하강이 방지된다. 또한, 저판(2)의 하부에 구비된 캐스터(1)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작업대는 단순하게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켜 그 높이만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대가 항상 수평방향만을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형상을 갖는 트랜스미션, 크로스멤버 또는 다른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공개 제1999-0087017호가 있다. 이 공개특허에 이동식 작업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본체(13)를 구비하며, 그 이동본체(13)의 중앙에는 하우징(14)이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4)에는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실린더(15)가 내설되어 있다. 또한, 승강실린더(15)에도 역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랙(16)이 내설되어 있다. 랙(16)에는 그 랙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7)이 연설되어 있으며, 랙(16)의 상단부에는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본체(1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본체(13)에는 캐스터(19)를 구비한 다수의 다리(20)가 전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본체(18)에는 그 지지본체에 지지되는 중량물의 전,후,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한 미세조정장치(21), 그 미세조정장치(21)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는 돌출편(2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지지본체(18)에 지지되는 중량물의 높이는 구동수단(17)의 조작에 의해 승강실린더(15) 또는 랙(16)의 상하이동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지지본체(18)에 구비된 미세조정장치(21)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돌출편(22)이 상하로 이동되어 중량물이 전,후 또는 좌,우의 균형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대는 소형의 미션 또는 중량물은 다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는 있으나, 대형 또는 고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즉, 각각의 돌출편이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지지본체를 대형으로하지 않는 한 대형의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은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본체 자체는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제한된 범위내에서 각각의 돌출편에 의해 중량물이 지지 및 고정됨으로써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본체의 구성이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이 실제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입체적으로 또는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동식 작업대의 본체 및 각도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이동식 작업대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이동식 작업대의 전, 후 각도 조절방식을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도 7은 이동식 작업대의 좌, 우 각도 조절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4: 베이스 38: 하우징
40: 승강실린더 42: 랙
44: 구동장치 46: 지지본체
48: 각도조절장치 50: 고정축
52: 회전축 56: 제 1고정편
58: 제 2고정편 70: 제 1조절장치
100: 제 2조절장치 130: 고정장치
138: 지지부재 144: 지지편
이 같은 목적들은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캐스터가 장착된 다수의 다리를 전개가능하게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입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랙과, 상기 승강실린더 및 랙을 상,하로 이동 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상기 랙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본체를 구비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상기 랙과 상기 지지본체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본체의 중앙이 입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지지본체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장치와, 상기 지지본체의 좌측부 및 우측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조절장치로 구성된 각도조절장치와;상기 지지본체에 유지되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본체의 주변에 길이가 조절가능하고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장치로 구성된 이동식 작업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캐스터(30)가 장착된 다수의 다리(32)를 전개가능하게 구비한 베이스(34)를 포함한다. 그 베이스(34)는 물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정위치에 각각의 다리(32)를 전개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36)가 설치된다.
베이스(34)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하우징(38)이 입설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38)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실린더(40)가 내설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실린더(40)에도 역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랙(42)이 내설되어 있다. 또한, 승강실린더(40)에는, 그 승강실린더(40) 및 랙(42)의 상,하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그 상하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장치(44)가 설치된다. 한편, 랙(42)의 단부에는 실제로 트랜스미션과 같은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본체(46)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상기 지지본체(46)를 랙(42)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48)를 포함한다.
각도조절장치(48)는 랙(42)의 단부에 압입되거나 또는 억지끼워맞춤되는 고정축(50)을 구비한다. 고정축(50)은 상단에서 회전축(52)을 구비하며, 그 회전축(52)의 중앙에는 고정홀(54)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고정축(50)의 하단의 외측의 일 지점에는 제 1고정편(56)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된다. 또한, 그 제 1고정편(56)에 대해 약 90°로 이격되어 역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는 제 2고정편(58)이 구비된다.
고정축(50)은 지지본체(46)의 하부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되며 상호 대응하는 관통공(60)이 형성된 브래킷(62)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축(50)의 회전축(52)에 형성된 고정홀(54)과 그 고정홀(54)에 연통하는 각각의 관통공(60)에 고정핀(64)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축(50)이 브래킷(62)에 고정된다. 특히, 회전축(52)이고정축(50)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또한 그 회전축(52)이 고정핀(64)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지지본체(46)는 고정축(50)에 대해 전, 후 및 좌, 우는 물론 입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본체(46)의 하부면에 형성된 브래킷(62)의 일측 주변에는, 상기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1고정편(56)에 대응하는 제 1고정부(66)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된다.또한, 브래킷(62)의 다른 일측의 주변에는 제 1고정부(66)에 대해 약 90°이격되며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2고정편(58)에 대응하는 제 2고정부(68)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된다.
특히, 각도조절장치(48)는 지지본체(46)의 각도를 고정축(50)에 대해 전, 후로 조절하기 위한 제 1조절장치(70)를 구비한다. 제 1조절장치(70)는 일단부가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1고정편(56)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되는 곡선형의 제 1관절편(72)을 구비한다. 제 1관절편(72)의 타단부에는 일방향의 나선구멍(74)이 형성된 제 1연결편(76)에 의해 제 2관절편(78)의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제 2관절편(78)의 타단부는 지지본체(46)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 1고정부(66)에 역시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 1관절편(72)의 중앙에는 힌지편(80)에 의해 제 3관절편(82)이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3관절편(82)의 타단부에는, 제 1연결편(76)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나선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구멍(84)을 구비한 제 2연결편(86)에 의해 제 4관절편(88)의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4관절편(88)의 타단부는 역시 힌지편(90)에 의해 제 2관절편(78)의 대체로 중앙부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관절편(72,78,82,88)에는 나선구멍이 형성된 각각의 연결편(76,86)에 의해 조절볼트(92)가 연설된다. 그 조절볼트(92)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그 조절볼트(92)의 로드(94)에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로드(94)의 일측에는 제 1연결편(76)의 나선구멍(74)에 나사 결합되는 제 1나선부(96)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연결편(86)의 나선구멍(84)에 나사 결합되는 제 2나선부(98)가 형성된다.물론,제 1나선부(96)와 제 2나선부(98)의 각각의 나선방향은 그들이 각각 나사 결합되는 나선구멍(74,84)에 상응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각도조절장치(46)는 지지본체(46)의 각도를 고정축(50)에 대해 좌, 우로 조절하기 위한 제 2조절장치(100)를 구비한다. 제 2조절장치(100)는 일단부가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2고정편(58)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되는 곡선형의 제 1관절편(102)을 구비한다. 제 1관절편(102)의 타단부에는 일방향의 나선구멍(104)이 형성된 제 1연결편(106)에 의해 제 2관절편(108)의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2관절편(108)의 타단부는 지지본체(46)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고정부(68)에 역시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 1관절편(102)의 중앙에는 힌지편(110)에 의해 제 3관절편(112)의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3관절편(112)의 타단부에는, 제 1연결편(106)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나선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구멍(114)이 구비된 제 2연결편(116)에 의해 제 4관절편(118)의 일단부가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4관절편(118)의 타단부는 역시 힌지편(120)에 의해 제 2관절편(108)의 대체로 중앙부에 힌지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관절편(102,108,112,118)에는 나선구멍이 형성된 각각의 연결편(106,116)에 의해 조절볼트(122)가 연설된다. 그 조절볼트(122)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조절볼트(122)의 로드(124)에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로드(124)의 일측에는 제 1연결편(106)의 나선구멍(104)에 나사 결합되는 제 1나선부(126)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2연결편(116)의 나선구멍(114)에 나사 결합되는 제 2나선부(128)가 형성된다. 물론, 제 1나선부(126)와 제 2나선부(128)의 각각의 나선방향은 그들이 각각 나사 결합되는 나선구멍(104,114)에 상응하게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지지본체(46)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양한 크기 또는 형상의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은 중량물을 실제적으로 조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130)가 구비된다. 물론, 이와 같은 각각의 고정장치(130)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본체(46)의 하부면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고정볼트(13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며, 그 고정볼트(132)에는 고정너트(134)가 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장치(130)는 고정볼트(13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36)이 형성된 지지부재(138)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부재(138)는 지지본체(46)에 대해 이동 가능함은 물론 일정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지지부재(138)에 형성된 가이드홈(136)의 양측에는 중량물 또는 지지본체(46)에 대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톱니 또는 깔쭉처리된 미끄럼방지부(140)가 형성된다.
각각의 지지부재(138)의 단부는 상방으로 굽힘 형성되며, 그 지지부재(138)의 단부에는 관통공(142)이 천공 형성된다. 그관통공(142)에는 실제로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44)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볼트(146)가 삽입되며, 그 고정볼트(146)에는 쇄정너트(148)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각각의 지지편(144)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수용홈(150)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지지편(144)은 톱니모양, 물결모양, 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 지지변(15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각각의 지지편(144)은 지지부재(138)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관통공(142)의 주변에는 지지편(144)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154)가 요철형, 톱니형 등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를 차량에 장착하거나 또는 수리를 위해 차량으로부터 그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를 탈거하는 경우 작업자는 우선적으로 베이스(34)의 각각의 다리를 전개한 후 스토퍼(36)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호이스트 또는 잭에 의해 리프트된 차량의 하부의 적정위치에 이동식 작업대를 이동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구동장치(44)의 각각의 핸들을 회전 및 조절하여 탈거될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의 하부면에 지지본체(46)에 접하도록 지지본체(46)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 작업자는 각도조절장치(48)를 이용하여 해당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의 하부면이 지지본체에 최대의 면적으로 접촉되고 또한 최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본체(46)의 각도를 입체적으로 조절한다.
예컨대, 전, 후방향의 각도만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조절장치(70)의 조절볼트(92)를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조절볼트(92)의 로드(94)에 형성된 제 1나선부(96) 및 제 2나선부(98)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이들에 각각 치합된 제 1연결편(76) 및 제 2연결편(86)이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연결편(76,86)에 고정된 제 1 및 제 2관절편(72,78) 과 제 3 및 제 4관절편(82,88)이 서로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지지본체(46)의 전방부가 고정축(50)에 대해 화살표(B1)와 같이 상방으로 올라가는 반면 후방부는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역으로, 제 1조절장치(70)의 조절볼트(92)를 화살표(A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볼트(92)의 로드(94)에 형성된 제 1나선부(96) 및 제 2나선부(98)가 회전됨으로써, 이들에 각각 치합된 제 1연결편(76) 및 제 2연결편(86)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각각의 연결편(76,86)에 고정된 제 1 및 제 2관절편(72,78) 과 제 3 및 제 4관절편(82,88)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지본체(46)의 전방부가 고정축(50)에 대해 화살표(B2)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가는 반면 후방부는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좌, 우방향의 각도만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조절장치(100)의 조절볼트(122)를 화살표(A3)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조절볼트(122)의 로드(124)에 형성된 제 1나선부(126) 및 제 2나선부(128)가 회전됨으로써, 이들에 각각 치합된 제 1연결편(106) 및 제 2연결편(116)이 서로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연결편(106,116)에 고정된 제 1 및 제 2관절편(102,108) 과 제 3 및 제 4관절편(112,118)이 서로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지지본체(46)의 우측부가 고정축(50)에 대해 화살표(B3)와 같이 상방으로 올라가는 반면 좌측부는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역으로, 제 2조절장치(100)의 조절볼트(122)를 화살표(A4)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볼트(122)의 로드(124)에 형성된 제 1나선부(126) 및 제 2나선부(128)가 회전됨으로써, 이들에 각각 치합된 제 1연결편(106) 및 제 2연결편(116)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연결편(106,116)에 고정된 제 1 및 제 2관절편(102,108) 과 제 3 및 제 4관절편(112,118)이 각각 힌지 작동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지본체(46)의 우측부가 고정축(50)에 대해 화살표(B4)와 같이 하방으로 내려가는 반면 좌측부는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제 1조절장치(70)의 조절볼트(92)와 제 2조절장치(100)의 제 2조절볼트(122)를 동일방향 또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적절하게 회전시키면, 도 3에 화살표(C1,C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각각의 모서리부분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지지본체(46)를 고정축(50)에 대해 입체적으로 또는 3차원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축(50)에 대한 지지본체(46)의 모든 이동, 회전 또는 회동은, 지지본체(46)의 하부에 형성된 브래킷(62)에 고정축(50)의 회전축(52)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유연하고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본체(46)가 적합한 각도로 설정되어 고정되면, 지지본체(46)의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된 고정장치(130)를 이용하여 중량물(W)의 해당부분을 고정시킨다. 예컨대,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이 중량물이 대형인 경우에는 모든 고정장치(130) 또는 일부의 고정장치의 지지부재(138)들을 외측으로 적절한 길이만큼 이동시킨 후 고정너트(134)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 때, 지지부재(138)는 그것에 형성된 가이드홈(136)에 의해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재(138)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가이드홈(136)의 양측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40)에 의해 지지부재(138)의 바람직하지 못한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각각의 지지부재(138)의 굽힘단부에 설치된 지지편(144)을 적절하게 회전시켜 중량물의 해당부분이 최적으로 접촉되게 한 후 쇄정너트(148)를 고정볼트(146)에 조여 그 지지편(144)을 체결 고정시킨다. 이 때, 각각의 지지편(144)은 해당 부분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50)과, 그 수용홈 주변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변(152)을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중량물(W)이 미끄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통공(142)의 주변에도 미끄럼방지부(15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편(144)의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은 중량물을 지지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다른 작업장소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에 의하면 트랜스미션 또는 크로스멤버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중량물을 그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본체 자체를 입체적으로 또는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제품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3)
-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캐스터(30)가 장착된 다수의 다리(32)를 전개가능하게 구비한 베이스(34)와, 상기 베이스(34)의 중앙에 입설되는 하우징(38)과, 상기 하우징(38)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승강실린더(40)와, 상기 승강실린더(4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랙(42)과, 상기 승강실린더(40) 및 랙(42)을 상,하로 이동 시키기 위한 구동장치(44)와, 상기 랙(42)에 연결되며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본체(46)를 구비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상기 랙(42)과 상기 지지본체(46)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본체(46)의 중앙이 입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축(50)과, 상기 지지본체(46)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장치(70)와, 상기 지지본체(46)의 좌측부 및 우측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2조절장치(100)로 구성된 각도조절장치(48)와;상기 지지본체(46)에 유지되는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본체(46)의 주변에 길이가 조절가능하고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장치(130)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축(50)의 상단에는,상기 지지본체(46)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62)의 관통공(60)에 고정핀(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52)과;상기 고정축(50)의 하단의 외측에는 제1고정편(56)과;상기 제 1고정편(56)에 대해 90°로 이격되는 제 2고정편(58)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52)에는,상기 고정핀(64)이 관통되는 고정홀(5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본체(46)의 하부에는,상기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1고정편(56)에 대응하는 제 1고정부(66)와;상기 제 1고정부(66)에 대해 90°이격되며, 상기 고정축(50)에 형성된 제 2고정편(56)에 대응하는 제 2고정부(68)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조절장치(70)는,일단부가 상기 고정축(50)의 제 1고정편(56)에 힌지 고정되는 제 1관절편(72)과;일단부가 나선구멍(74)이 형성된 제 1연결편(76)에 의해 상기 제 1관절편(72)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지지본체(46)의 제 1고정부(66)에 힌지고정되는 제 2관절편(78)과;일단부가 상기 제 1관절편(72)의 중앙에 힌지편(80)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제 3관절편(82)과;일단부가 상기 제 1연결편(76)의 나선방향과 반대의 나선방향을 갖는 나선구멍(84)이 형성된 제 2연결편(86)에 의해 상기 제 3관절편(82)의 타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타단부가 힌지편(90)에 의해 상기 제 2관절편(78)의 중앙에 힌지 고정되는 제 4관절편(88)과;상기 제 1연결편(76)의 나선구멍(74)에 나사 결합되는 제 1나선부(96)와;상기 제 2연결편(86)의 나선구멍(84)에 나사 결합되는 제 2나선부(98)가 형성된 로드(94)를 구비하는 조절볼트(9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조절장치(100)는,일단부가 상기 고정축(50)의 제 2고정편(58)에 힌지 고정되는 제 1관절편(102)과;일단부가 나선구멍(104)이 형성된 제 1연결편(106)에 의해 상기 제 1관절편(102)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지지본체(46)의 제 2고정부(68)에 힌지고정되는 제 2관절편(108)과;일단부가 상기 제 1관절편(102)의 중앙에 힌지편(110)에 의해 힌지 고정되는 제 3관절편(112)과;일단부가 상기 제 1연결편(106)의 나선방향과 반대의 나선방향을 갖는 나선구멍(114)이 형성된 제 2연결편(116)에 의해 상기 제 3관절편(112)의 타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타단부가 힌지편(120)에 의해 상기 제 2관절편(108)의 중앙에 힌지 고정되는 제 4관절편(118)과;상기 제 1연결편(106)의 나선구멍(104)에 나사 결합되는 제 1나선부(126)와;상기 제 2연결편(116)의 나선구멍(114)에 나사 결합되는 제 2나선부(128)가 형성된 로드(124)를 구비하는 조절볼트(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30)는,상기 지지본체(46)의 각각의 모서리의 하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볼트(132)와;상기 고정볼트(13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36)이 형성된 지지부재(138)와;상기 지지부재(138)의 단부에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해 회전 및 고정가능 하게 구비되는 지지편(144)과;상기 고정볼트(13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138)의 가이드홈(136)의 양측에는,미끄럼방지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138)의 단부는,굽힘형성됨과 아울러 관통공(142)이 천공되며,상기 관통공(142)에는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44)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볼트(146)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146)에는 쇄정너트(148)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편(144)은,수용홈(150)과;상기 수용홈(150)의 주변에 요철이 형성된 지지변(1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재(138)의 관통공(142)의 주변에는.미끄럼방지부(1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1436A KR100389589B1 (ko) | 2000-04-22 | 2000-04-22 | 이동식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1436A KR100389589B1 (ko) | 2000-04-22 | 2000-04-22 | 이동식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7396A KR20010097396A (ko) | 2001-11-08 |
KR100389589B1 true KR100389589B1 (ko) | 2003-06-27 |
Family
ID=1966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1436A KR100389589B1 (ko) | 2000-04-22 | 2000-04-22 | 이동식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895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606B1 (ko) * | 2006-10-19 | 2007-12-1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공작기계용 보조 테이블 |
CN106736639A (zh) * | 2017-02-21 | 2017-05-31 | 吕建明 | 一种机械加工通用托架 |
KR102424827B1 (ko) * | 2020-11-06 | 2022-07-25 | 이봉규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CN112706139A (zh) * | 2021-02-05 | 2021-04-27 |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三医院 | 一种野战医用装备维修用夹持固定与旋转装置 |
CN114147677B (zh) * | 2021-10-30 | 2024-08-27 | 安徽麦克威链传动制造有限公司 | 一种链轮切滚齿后成品存放架 |
KR102595345B1 (ko) * | 2023-07-18 | 2023-10-30 | 주식회사 메이크하이텍 | 반도체 장비의 배관 설비의 용접 자동화를 위한 높이 조절 가능 지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6375A (en) * | 1991-02-22 | 1992-10-20 | Hein-Werner Corporation | Load carrying adaptor for a transmission jack |
US5915742A (en) * | 1997-10-14 | 1999-06-29 | Hung; Wen-Cheng | Car door separating and attaching device |
US6257552B1 (en) * | 1998-09-15 | 2001-07-10 | Gray Automotive Products, Inc. | Arrangement for handling a load |
-
2000
- 2000-04-22 KR KR10-2000-0021436A patent/KR1003895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6375A (en) * | 1991-02-22 | 1992-10-20 | Hein-Werner Corporation | Load carrying adaptor for a transmission jack |
US5915742A (en) * | 1997-10-14 | 1999-06-29 | Hung; Wen-Cheng | Car door separating and attaching device |
US6257552B1 (en) * | 1998-09-15 | 2001-07-10 | Gray Automotive Products, Inc. | Arrangement for handling a lo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7396A (ko) | 2001-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4490A (en) | Combination engine hoist and stand | |
KR102017136B1 (ko) |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 |
US5269501A (en) | Vehicle and vehicle parts transportation system | |
KR101489481B1 (ko) | 변속기용 작업대 | |
US4516308A (en) | Portable workshop | |
US4118010A (en) | Multi-purpose lifting and mounting assembly | |
JPH11322283A (ja) | 移動式作業台 | |
US20120211456A1 (en) | Portable Hitch-mounted Hoist Device | |
KR100389589B1 (ko) | 이동식 작업대 | |
EP0326505A2 (en) | Foldable stand for threading machines | |
AU2009225278A1 (en) | Wheel Handling Apparatus | |
US5297915A (en) |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heavy objects | |
KR101761260B1 (ko)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
US7878129B2 (en) | Swing-out workbench extension apparatus | |
US3948484A (en) | Transfer case assembly removal tool | |
EP1992586A2 (en) | Mechanism for adjusting distance between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 |
US5775865A (en) | Manually operated, mechanically adjustable, quick lifter support arm for loading equipment onto pickup trucks | |
CA2276887C (en) | Jig assembly | |
US6485001B1 (en) | Electric lifts for automotive service | |
KR100323803B1 (ko) | 이동식작업대 | |
US20110158758A1 (en) |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 |
CA2418797A1 (en) | Mobile engine lift apparatus | |
FR2822145A1 (fr) | Nacelle elevatrice avec plate-forme et structure de support de charge associee | |
US3279752A (en) | Hoisting truck with screw actuated scissors-type raising means and hammock support means | |
US6035972A (en) | Lift t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