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827B1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4827B1 KR102424827B1 KR1020200147711A KR20200147711A KR102424827B1 KR 102424827 B1 KR102424827 B1 KR 102424827B1 KR 1020200147711 A KR1020200147711 A KR 1020200147711A KR 20200147711 A KR20200147711 A KR 20200147711A KR 102424827 B1 KR102424827 B1 KR 102424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bench
- dock
- unit
- state
- vehicle mainten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를 개시한다.
이러한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는, 각종 차량의 하부 정비를 위하여 작업장 바닥면 아래쪽에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형성된 차량 정비 도크에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이동 로울러를 구비한 작업대 본체와, 상기 작업대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량으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부속 장치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측을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 본체 측에 배치되는 리프팅 구동원을 구비한 리프팅부, 그리고 상기 리프팅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구비한 자세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는, 각종 차량의 하부 정비를 위하여 작업장 바닥면 아래쪽에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형성된 차량 정비 도크에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이동 로울러를 구비한 작업대 본체와, 상기 작업대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량으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부속 장치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측을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 본체 측에 배치되는 리프팅 구동원을 구비한 리프팅부, 그리고 상기 리프팅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구비한 자세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의 하부 정비 작업은 주로 리프팅 장치, 또는 정비용 도크(dock)를 이용한 작업 방식으로 진행된다.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식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바닥면에서 차량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상태로 정비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작업 특성상 주로 중,소형의 차량 정비 작업에 널리 사용된다.
반면, 정비용 도크를 이용한 작업 방식은 작업장 바닥면에 차량이 그대로 위치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중,소형 차량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하부 정비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형 차량의 정비를 위한 정비용 도크 시설은 차량 하부 정비가 용이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정비시 차량 하부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각종 부속 장치(예: 트랜스 미션)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핸들링할 수 있는 작업대 구조가 요구된다.
(특허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6254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정비용 도크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대형 차량의 부속 장치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핸들링할 수 있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종 차량의 하부 정비를 위하여 작업장 바닥면 아래쪽에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형성된 차량 정비 도크에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이동 로울러를 구비한 작업대 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 상에 배치되며, 차량으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부속 장치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 측을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 본체 측에 배치되는 리프팅 구동원을 구비한 리프팅부; 및
상기 리프팅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구비한 자세 조절부;
를 포함하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정비 도크 구간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거치부 측의 상,하 방향 리프팅은 물론이거니와,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틸팅 동작의 유도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예를 들어, 대형 트럭의 트랜스 미션과 같은 중량 부속 장치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정비 작업을 진행할 때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거치부의 자세를 간편하게 조절 및 세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비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 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는, 작업대 본체(10), 거치부(20), 리프팅부(30) 및 자세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작업대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이동 로울러(12)를 구비하고, 각종 차량(V)의 정비를 위한 도크(D)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크(D)는 대부분 차량(V)의 정비 작업장 바닥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면서 아래쪽으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연장 구간을 따라 레일(D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대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도크(D)의 연장 구간을 따라 형성된 레일(D1) 측에 이동 로울러(12)가 가이드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 및 배치된다.
작업대 본체(10)의 재질은 하중에 대한 내성 확보가 용이하도록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대 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받침판(14)을 구비하고, 이 받침판(14)은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가이드 레일(16)은 예를 들어, "LM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도크(D)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구간을 이루도록 세팅된다.
받침판(14)은 작업대 본체(10) 상에서 후술하는 거치부(20), 리프팅부(30) 및 자세 조절부(40) 측을 가이드 레일(16)의 구간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러한 받침판(14)은 도 1에서와 같이 작업대 본체(10) 측에 형성되되, 이 작업대 본체(10)의 이동과 연계하여 도크(D)의 레일(D1) 구간 은 물론이거니와, 가이드 레일(16)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각각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받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차량(V)의 각종 부속 장치(V1)의 정비시 작업 편의성 확보와 부합하는 받침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거치부(20)는 차량(V)의 정비시 각종 부속 장치(V1)들이 놓여진 상태로 핸들링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거치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거치대(22)를 구비하고, 작업대 본체(10)의 받침판(14) 위쪽에 배치된다.
거치대(22)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V) 중에서 특히 대형 트럭의 트랜스 미션과 같은 중량 부속 장치(V1)들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는 판상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대(22) 측에는 각종 부속 장치(V1)들의 거치 핸들링 안정성을 더 높이기 위한 가이드구(24)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구(24)는 거치대(22)의 둘레부 측에 복수 개가 간격을 띄우고 세워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구(24)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거치대(22)의 둘레부 모서리 지점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네 개가 한 조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구(24)들은 거치대(22) 측에 형성된 슬롯 타입의 가이드홈(26) 내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세워진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이드구(24)들의 하측 단부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B)의 체결 조작에 의해 가이드홀(26)의 홀부 연장 구간 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22)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구(24)들은 특히, 차량(V)의 하부로부터 분리 또는 장치되기 위한 부속 장치(V1) 중에서 예를 들어, 트랜트 미션과 같은 중량물의 핸들링시 이탈 및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 가이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구(24)는 핸들링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상태로 거치대(22) 측에 세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구(24)의 둘레부 측에는 가이드면(24a)이 형성되되, 이 가이드면(24a)은 각각의 가이드구(24)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각기 다른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구(24) 측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가이드면(24a)들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점차 가이드구(24) 둘레부 외측을 향하여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4에서와 같이 거치대(22) 측에 놓여지는 부속 장치(V1)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경사도를 갖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면(24a)이 접촉 간섭되도록 가이드구(24)를 선택적으로 조작 및 세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접촉 간섭에 의해 거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팅부(30)는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거치부(20) 측을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리프팅부(30)는 리프팅 구동원(32)을 구비하고,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거치부(20)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받침판(14) 측에 세팅된다.
리프팅 구동원(32)은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피스톤 로드(32a) 단부로 거치대(22) 하부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받침판(14) 측에 설치된다.
리프팅 구동원(32) 즉, 유압 실린더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유압(공압)장치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유압을 공급받아서 피스톤 로드(32a) 측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된다.
이러한 리프팅부(30)는 리프팅 구동원(32)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 본체(10) 측에서 거치부(20)의 거치대(22) 측을 상,하 방향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자세 조절부(40)는 작업대 본체(10) 상에서 거치부(20) 측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틸팅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자세 조절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거치부(20) 측을 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절부(42)와, 이 제1 조절부(42) 측과 연계하여 거치부(20) 측을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2 조절부(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조절부(42)는 작업대 본체(1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조절대(42a)와, 이 제1 조절대(42a) 측을 틸팅 조작하기 위한 제1 조작구(4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조절대(42a)는 도 5에서와 같이 작업대 본체(10)의 받침판(14) 위쪽에 배치되되, 리프팅부(30)의 리프팅 구동원(32)의 피스톤 로드(32a) 단부 측에 고정 형성된 지지대(46) 측에 제1 연결핀(P1)으로 연결되고, 이 제1 연결핀(P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작구(42b)는 나사부 결합에 의한 조작 방식으로 제1 조절대(42a) 측을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틸팅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제1 조작구(42b)는 로드 형태를 가지며, 로드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측을 향하여 수나사부(S1)가 형성되고, 로드 단부 측에는 정,역 회전 조작을 위한 핸들(H1)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작구(42b)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1 조절대(42a) 측에 형성된 제1 가이드핀(P2) 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체결 관통되고, 끝단은 지지대(46) 측의 제1 지지핀(P3) 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핀(P2) 및 제1 지지핀(P3)은 제1 연결핀(P1) 측과 서로 평행한 배열을 이루면서 핀 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된다.
이러한 제1 조절부(42)는 제1 조작구(42b)의 정,역 회전 조작시 도 5에서와 같이 수나사부(S1)와 제1 가이드핀(P2) 간의 나사부 체결에 의해 제1 조절대(42a) 측을 밀거나 당겨서 이 제1 조절대(42a) 측이 제1 연결핀(P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 조절부(44)는 제1 조절부(42) 측의 좌,우 틸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대(22)의 틸팅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조절부(44)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작업대 본체(1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대(44a)와, 이 제2 조절대(44a) 측을 틸팅 조작하기 위한 제2 조작구(44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2 조절대(44a)는 제1 연결핀(P1) 측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연결핀(P4)으로 제1 조절대(42a) 측과 연결되고, 제2 연결핀(P4)을 중심으로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절대(44a)의 상부는 거치부(20)의 거치대(22) 저면 측에 고정 형성되어 틸팅 동작시 거치대(22) 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도록 연결 형성된다.
제2 조작구(44b)는 나사부 결합에 의한 조작 방식으로 제2 조절대(44a) 측을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틸팅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제2 조작구(44b)는 로드 형태를 가지며, 로드 길이방향 일단에서 타단 측을 향하여 수나사부(S2)가 형성되고, 로드 단부 측에는 정,역 회전 조작을 위한 핸들(H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작구(44b)는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 조절대(42a) 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핀(P5) 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체결 관통되고, 끝단은 제2 조절대(44a) 측의 제2 지지핀(P6) 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핀(P5) 및 제2 지지핀(P6)은 제2 연결핀(P4) 측과 서로 평행한 배열 상태를 이루면서 핀 축선을 중심으로 각각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된다.
이러한 제2 조절부(44)는 제2 조작구(44b)의 정,역 회전 조작시 도 6에서와 같이 수나사부(S2)와 제2 가이드핀(P5) 간의 나사부 체결에 의해 제2 조절대(44a) 측을 밀거나 당겨서 이 제2 조절대(44a) 측이 제2 연결핀(P4)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세 조절부(40)가 거치부(20) 측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틸팅 동작시키기 위한 제1 조절부(42) 및 제2 조절부(44)를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면, 정비 도크(D) 내에서 한층 더 향상된 작업 환경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크(D) 측에서 정비를 진행할 때,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차량(V)으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부속 장치(V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거치 자세 및 위치가 확보되도록 받침판(14) 및 리프팅부(30)의 작동과 연계하여 제1 조절부(42) 또는 제2 조절부(44)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거치대(22)의 거치 자세 및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 및 세팅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자세 조절부(40)의 자세 조절 구조 및 방식에 의하면, 각종 대형 트럭의 트랜스 미션과 같은 중량물이 거치대(22) 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도크(D) 측에 배치된 상태로 각종 차량(V)의 하부 정비 작업시, 만족할 만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안정성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는 작업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0: 작업대 본체 20: 거치부 30: 리프팅부
40: 자세 조절부 D: 도크 V: 차량
V1: 부속 장치
40: 자세 조절부 D: 도크 V: 차량
V1: 부속 장치
Claims (7)
- 각종 차량의 하부 정비를 위하여 작업장 바닥면 아래쪽에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형성된 차량 정비 도크에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도크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 로울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업대 본체;
상기 작업대 본체의 받침판 상에 배치되며, 차량으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되기 위한 부속 장치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대를 구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 측을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 본체의 받침판 측에 배치되는 리프팅 구동원을 구비한 리프팅부; 및
상기 리프팅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구비한 자세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작업대 본체 측에 설치되되, 상기 도크의 레일 구간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업대 본체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및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작업대 본체의 이동과 연계하여 상기 작업장 바닥면 측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각각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가이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거치대 측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복수 개의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면들은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구 일단 측에서 타단 측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리프팅 구동원으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상기 거치부의 거치대 하부 측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작업대 본체의 받침판 측에 형성되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조절부의 제1 조절부는,
상기 리프팅부의 리프팅 구동원 측에 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제1 조절대와, 이 제1 조절대의 틸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조작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조절부의 제2 조절부는,
상기 작업대 본체 상에서 상기 제1 조절부 측에 전,후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대와, 이 제2 조절대 측을 틸팅 조작하기 위한 제2 조작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7711A KR102424827B1 (ko) | 2020-11-06 | 2020-11-06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7711A KR102424827B1 (ko) | 2020-11-06 | 2020-11-06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1578A KR20220061578A (ko) | 2022-05-13 |
KR102424827B1 true KR102424827B1 (ko) | 2022-07-25 |
Family
ID=8158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7711A KR102424827B1 (ko) | 2020-11-06 | 2020-11-06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4827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6066Y1 (ko) * | 1992-06-08 | 1994-09-08 | 윤희병 | 자동차 변속기용 리프트(Car-Transmission Lift) |
KR100389589B1 (ko) * | 2000-04-22 | 2003-06-27 | 하태홍 | 이동식 작업대 |
KR101625465B1 (ko) | 2015-12-18 | 2016-05-30 | 이용만 | 차량 정비 도크 |
-
2020
- 2020-11-06 KR KR1020200147711A patent/KR10242482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1578A (ko) | 2022-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37795C (zh) | 输送装置 | |
US5437236A (en) | Multi-functional table with elevational capabilities | |
CN106903474B (zh) | 焊接工装的夹持组件 | |
US10053346B2 (en) | Control module and palm re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 |
US20080236945A1 (en) | Adjustable-height sawhorse | |
EP2817252B1 (en) | Side lift spreader | |
US20060171797A1 (en) | Jig assembly | |
CN200948586Y (zh) | 六自由度微调装置 | |
KR102424827B1 (ko) | 차량 정비 도크용 작업대 | |
KR101494692B1 (ko) | 공작기계 공구 장착장치 | |
KR101761260B1 (ko)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
US20020150453A1 (en) | Jig assembly | |
CN104797384A (zh) | 用于组装台或焊接工作台的移动系统 | |
KR102260492B1 (ko) | 지게차용 클램프장치 | |
EP0838311A1 (en) | Apparatus for movably mounting a workpiece | |
KR102005033B1 (ko) | 이동식 드릴링 지그 | |
CN106736207B (zh) | 焊接工装 | |
KR100349869B1 (ko) | 리프팅 러그 용접 로봇 시스템 | |
EP2628703A1 (en) | Side lift spreader | |
JPH0748099A (ja) | 移動式の作業装置に用いられる、複数の部分から成るアタッチメント | |
CN221791408U (zh) | 一种钢构件坡口切割设备 | |
KR102539530B1 (ko) | 미세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홀 가공장치 | |
CN219027226U (zh) | 三坐标测量机的夹具系统及包括其的三坐标测量机 | |
CN213831783U (zh) | 一种转运架 | |
CN216151565U (zh) | 一种发动机罩盖装配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