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953A -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953A
KR19990085953A KR1019980018671A KR19980018671A KR19990085953A KR 19990085953 A KR19990085953 A KR 19990085953A KR 1019980018671 A KR1019980018671 A KR 1019980018671A KR 19980018671 A KR19980018671 A KR 19980018671A KR 19990085953 A KR19990085953 A KR 1999008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oller
electrodes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261B1 (ko
Inventor
김규태
진정우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8001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26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6,7)의 전극면(6b,7b)을 전해질 코팅유닛(2)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1)과, 전극(6,7)의 전극면(6b,7b)에 전해질(8)을 소정 두께로 코팅하는 전해질 코팅유닛(2), 다수의 삽입돌기(3g)가 형성된 벨트(3f)가 구비되어 무지부(6a,7a)에 삽입홀이 형성된 전극(6,7)이 벨트(3f)의 삽입돌기(3g)에 끼워진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유닛(3), 제2이송유닛(3)에 의해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이 적층플레이트(4c,4d)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전극적층유닛(4) 및, 적층플레이트(4c,4d)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코팅된 전극(6,7)을 적층플레이트(4c,4d)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유닛(4)을 갖추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전극에 전해질을 코팅하는 작업과, 코팅된 전극을 적층하는 작업이 연속해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본 발명은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과 -전극을 전해질로 코팅하고, 이 코팅된 +전극과 -전극을 교대로 적층하여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되, 이들 공정이 연속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용이 편리한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들의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이들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원인 전지의 기능이 중요하게 되었다.
현재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각광 받고 있는 전지로는 Ni-Cd, Ni-MH, 리튬이온전지 등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작동전압이 3.7V 가량으로 높고, 다른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전지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내부 단락이나 외부 단락, 과충전, 과방전 등의 이상이 발생하여 전지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전해액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유기 용매가 발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전해액으로는 인화성이 없고 누액의 염려가 없는 겔(gel)·고체형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고, -전극 재료로는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이 개발되었으며, 이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로는 폴리머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상기 겔형 폴리머 전해질을 이용하는 리튬이온전지는 자동화된 제조공정이 개발되지 못하여 상용화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속적인 +전극과 -전극을 전해질로 코팅하고, 이 코팅된 +전극과 -전극을 교대로 적층하여 리튬이온전지를 제조하되, 이들 공정이 연속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도이다.
1 ; 제1이송유닛, 1a ; 구동롤러,
1b ; 회전롤러, 1c ; 클리닝롤러,
1d ; 컨베이어벨트, 2 ; 전해질 코팅유닛,
2a ; 저장탱크, 2b ; 코팅롤러,
2c ; 닥터블레이드, 3 ; 제2이송유닛,
3a,3b ; 방향전환롤러, 3c,3d,3e ; 회전롤러,
3f ; 벨트, 3g ; 삽입돌기,
4 ; 전극적층유닛, 4a ; 제1회전모터,
4b ; 제2회전모터, 4c,4d ; 적층플레이트,
4e ; 이동플레이트, 4f ; 적층위치설정수단,
5 ; 가압유닛, 5a ; 가압롤러,
5b ; 실린더, 5c ; 실린더 이송수단,
6 ; +전극, 7 ; -전극,
6a,7a ; 무지부, 6b,7b ; 전극면,
8 ; 전해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극의 전극면을 전해질 코팅유닛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과 ; 전극의 전극면에 전해질을 소정 두께로 코팅하는 전해질 코팅유닛 ; 무지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전극이 벨트의 삽입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유닛 ; 제2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코팅된 전극이 적층플레이트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전극적층유닛 및 ; 적층플레이트(4c,4d)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적층 위치상으로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을 적층플레이트(4c,4d)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갖추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는, 제1이송유닛(1)과, 전해질 코팅유닛(2), 제2이송유닛(3), 전극적층유닛(4) 및, 가압유닛(5)을 갖추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제1이송유닛(1)은, 구동모터(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a)와, 공회전되는 회전롤러(1b) 및, 이 구동롤러(1a)와 회전롤러(1b)를 감싸며 폐루프 형태로 무한괘도 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1d)를 갖춘 구조로 되어, 컨베이어벨트(1d)상에 얹혀진 전극(6,7)의 전극면(6b,7b)을 전해질 코팅유닛(2)으로 이송한다. 상기 전해질 코팅유닛(2)은, 전해질(8)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a)와, 이 저장탱크(2a)의 하단에 개구된 유출로에 설치되어 공회전하는 코팅롤러(2b) 및, 코팅면을 균일하게 하는 닥터블레이드(2c)를 갖춘 구조로 되어, 컨베이어벨트(1d)상에 얹혀져 이송되는 전극(6,7)의 전극면(6b,7b)에 전해질(8)을 소정 두께로 코팅한다. 상기 제2이송유닛(3)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a)와, 공회전되는 방향전환롤러(3a,3b)·회전롤러(3c,3d,3e) 및, 이 구동롤러와 방향전환롤러(3a,3b) 및 회전롤러(3c,3d,3e)를 감싸며 폐루프 형태로 무한괘도 운동하는 벨트(3f)를 갖추되, 벨트(3f)에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3g)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무지부(6a,7a)에 삽입홀이 형성된 전극(6,7)이 벨트(3f)의 삽입돌기(3g)에 끼워진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전극적층유닛(4)은, 제2회전모터(4b)의 모터축에 일면의 중심부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방향전환롤러(3a)에 의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된 전극(6,7)이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적층플레이트(4c,4d)와, 자체 모터축을 중심으로 적층플레이트(4c,4d)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전극(6)과 -전극(7)의 무지부(6a,7a)가 각각 일방향으로 구분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회전모터(4b), 자체 모터축을 중심으로 제2회전모터(4b)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켜 적층플레이트(4c,4d)가 적층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교체됨에 따라 전극(6,7)의 적층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1회전모터(4a) 및, 제1회전모터(4a)와 이에 연결된 제2회전모터(4b) 및 적층플레이트(4c,4d)를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4e)를 공정진행방향에 수직되게 직선 왕복 이동하여 적층플레이트(4c,4d)가 적층 위치에 일정하게 놓여지도록 하는 적층위치설정수단(4f)을 갖춘 구조로 되어, 제2이송유닛(3)에 의해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이 적층플레이트(4c,4d)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4)은 적층플레이트(4c,4d)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적층 위치상으로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을 적층플레이트(4c,4d)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극적층유닛(4)은 적층플레이트(4c,4d)를 지면에 수직되게 적층 방향으로 교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장치가 모두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1회전모터(4a)와 제2회전모터(4b), 적층위치설정수단(4f)을 이용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제1회전모터(4a)와 제2회전모터(4b)로는 회전각도제어가 용이한 공지의 스테핑모터나 서보모터 등이 모두 적용가능하고, 적층위치설정수단(4f)로는 직선 왕복운동제어가 가능한 공지의 모든 것들이 적용가능한데, 이러한 것으로는 공압·유압실린더나, 스테핑모터 혹은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볼스크류·너트를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스테핑모터 혹은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랙과 피니언비를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등을 일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5)은 적층플레이트(4c,4d)에 전극(6,7)을 가압하여 적층함에 있어서, 가압부위가 면형태를 이루는 방식과, 가압부위가 선형태를 이루는 방식이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선형태를 이루는 방식이 보다 적절하며(면형태를 이루는 방식의 경우, 부착면에 기포 등이 함유되어 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 이와 같은 선형태를 이루는 방식의 가압유닛(5)으로는, 공회전하는 가압롤러(5a)와, 이 가압롤러(5a)를 적층플레이트(4c,4d)로 일정한 압력으로 밀어부치는 실린더(5b) 및, 가압롤러(5a)가 코팅된 전극(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가압하도록 실린더(5b)를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거나, 소정 각만큼 회전시키는 실린더 이송수단(5c)으로 이루어진 공지된 구조의 것이 이용된다. 상기 가압유닛(5)의 실린더(5b)는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의 공지된 것들이 이용되고, 실린더(5b)를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상기 실린더 이송수단(5c)으로는 공압·유압실린더나, 스테핑모터 혹은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볼스크류·너트를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스테핑모터 혹은 서보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랙과 피니언비를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모두 이용 가능하며, 실린더(5b)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키는 상기 실린더 이송수단(5c)으로는 실린더(5b)를 가압롤러(5a) 반대위치의 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의 것들이 모두 이용 가능하다.
상기 제2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는 상기 제1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a)와 별개로 구비되어 이용될 수 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2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와 구동롤러를 제1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와 구동롤러(1a)로 이용하는 경우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제2이송유닛(3)의 벨트(3f)는 미끄러짐에 강한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의 작동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이하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우선, 활물질인 LiMn2O4와 카본 및 결합재를 1-메틸-2-피놀리디논(1-Methyl- 2-Pyrrolidinone)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들고, 이를 알루미늄호일 위에 양면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전극(6)을 만들고, 활물질인 카본과 결합재를 1-메틸-2-피놀리디논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들고, 이를 구리호일 위에 양면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전극(7)을 만들되, 전극(6,7)은 슬러리가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6a,7a)를 7cm × 1cm로, 슬러리가 코팅된 전극면(6b,7b)을 7cm × 3.5cm로 하여 전체 크기가 7cm × 4.5cm가 되도록 하고, 무지부(6a,7a)에 형성된 삽입홀의 간격은 5cm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전극(6)의 전극면(6b)과 -전극(7)의 전극면(7b)이 제1이송유닛(1)의 컨베이어벨트(1d)상에 교대로 얹혀지도록 하면서, +전극(6)의 무지부(6a)와 -전극(7)의 무지부(7a)를 제2이송유닛(3)의 벨트(3f)에 형성된 삽입돌기(3g)에 교대로 삽입시켜 고정하면,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에 의해 리튬이온전지의 제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이송유닛(1)과 제2이송유닛(3)에 전극(6,7)을 배치시키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이나, 별도의 자동화 장치에 의한 작업이 모두 가능하지만, 생산성과 작업 안전성에 있어서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이송유닛(1)과 제2이송유닛(3)에 전극(6,7)이 배치되면, 진행속도가 동일한 제1이송유닛(1)과 제2이송유닛(3)에 의해 전해질 코팅유닛(2)으로 전극(6,7)이 이송되어 전극(6,7)의 전극면(6b,7b)에 폴리머 재질의 전해질(8)이 소정 두께로 일정하게 코팅된 후, 전극(6,7)의 전극면(6b,7b)이 제1이송유닛(1)의 컨베이어벨트(1d)상에서 이탈되면서 전극(6,7)의 무지부(6a,7a)가 제2이송유닛(3)의 방향전환롤러(3a)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전극(6,7)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적층 위치로 이송되는데, 이와 같이 전극(6,7)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면 자중에 의해 전극(6,7)이 자동적으로 편평하게 펴지게 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보조장치가 필요 없게된다. 이후, 코팅된 전극(6,7)이 적층 위치로 이송되면, 적층위치설정수단(4f)에 의해 이동플레이트(4e)가 전진하여 적층플레이트(4c)가 적층 위치로 이송되고, 가압유닛(5)의 가압롤러(5a)가 적층플레이트(4c) 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층플레이트(4c)에 전극(6,7)을 가압한 후, 가압유닛(5)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적층위치설정수단(4f)에 의해 이동플레이트(4e)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하나의 적층플레이트(4c)에 전극(6,7)의 적층이 완료될 때 까지 이러한 작동을 반복 수행하는데, 제2회전모터(4b)는 적층위치설정수단(4f)이 매번 왕복운동할 때마다 1회씩 작동하여 적층플레이트(4c)를 소정 각도로 일정하게 회전시키므로, 적층플레이트(4c)에 적층되는 +전극(6)의 무지부(6a)와 -전극(7)의 무지부(7a)는 각각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분된다. 상기 적층플레이트(4c)에 전극(6,7)의 적층이 완료되면, 제1회전모터(4a)가 구동되어 제2회전모터(4b)를 소정 각도로 일정하게 회전시켜 다른 하나의 적층플레이트(4c)를 적층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후 상기 적층위치설정수단(4f)와 제2회전모터(4b) 및 가압유닛(5)에 의한 작업이 수행되어 전극(6,7)의 적층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방향전환롤러(3a)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벨트(3f)는 다른 하나의 방향전환롤러(3b)에 의해 초기 상태 즉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적층이 완료된 완제품 리튬이온전지를 적층플레이트(4c,4d)로부터 분리하여 적재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이나, 별도의 자동화 장치에 의한 작업이 모두 가능하지만, 상기 제1이송유닛(1)과 제2이송유닛(3)에 전극(6,7)을 배치시키는 작업과 같이, 생산성과 작업 안전성에 있어서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극(6,7)에 전해질(8)이 코팅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이송유닛(1)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1d)상에 얹혀진 전극(6,7)의 전극면(6b,7b)이 공정진행방향으로 이송되어 전해질 코팅유닛(2)의 코팅롤러(2b)와 접촉되면 마찰에 의해 코팅롤러(2b)가 회전되므로, 저장탱크(2a)의 하단에 개구된 유출로와 코팅롤러(2b)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전해질(8)이 유출되어 전극면(6b,7b)에 전해질(8)이 코팅된 후, 닥터블레이드(2c)에 의해 코팅면이 균일하게 되는데, 코팅롤러(2b)가 전극면(6b,7b)과 간섭되지 않을 시에는 전해질(8)이 유출되지 않아야 되지만, 실제로는 코팅롤러(2b)가 전극면(6b,7b)과 간섭되지 않더라도 상기 간극을 통해 미량의 전해질(8)이 누출되어 컨베이어벨트(1d)에 이 전해질(8)이 찌꺼기가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유닛(1)에 컨베이어벨트(1d)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롤러(1c)를 구비하여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는 각 구성유닛(1,2,3,4,5)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별도의 위치감지센서 없이도 작동을 정확하게 자동 제어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위치감지센서들을 설치하여 보다 정확하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에 전해질을 코팅하는 작업과, 코팅된 전극을 적층하는 작업이 자동적으로 연속해서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리튬이온전지의 상용화가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작업 이전까지 +전극과 -전극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양극간의 간섭에 의한 손상 위험이 적고, 전해질의 건조가 용이하며, 전극간의 단락이 방지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5)

  1.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a)와, 공회전되는 회전롤러(1b) 및, 이 구동롤러(1a)와 회전롤러(1b)를 감싸며 폐루프 형태로 무한괘도 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1d)를 갖추어, 컨베이어벨트(1d)상에 얹혀진 전극(6,7)의 전극면(6b,7b)을 전해질 코팅유닛(2)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1)과 ;
    전해질(8)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a)와, 이 저장탱크(2a)의 하단에 개구된 유출로에 설치되어 공회전하는 코팅롤러(2b) 및, 코팅면을 균일하게 하는 닥터블레이드(2c)를 갖추어, 컨베이어벨트(1d)상에 얹혀져 이송되는 전극(6,7)의 전극면(6b,7b)에 전해질(8)을 소정 두께로 코팅하는 전해질 코팅유닛(2) ;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공회전되는 방향전환롤러(3a,3b)·회전롤러(3c,3d,3e) 및, 이 구동롤러와 방향전환롤러(3a,3b) 및 회전롤러(3c,3d,3e)를 감싸며 폐루프 형태로 무한괘도 운동하는 벨트(3f)를 갖추되, 벨트(3f)에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다수의 삽입돌기(3g)가 형성되어, 무지부(6a,7a)에 삽입홀이 형성된 전극(6,7)이 벨트(3f)의 삽입돌기(3g)에 끼워진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제2이송유닛(3) ;
    제2회전모터(4b)의 모터축에 일면의 중심부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방향전환롤러(3a)에 의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된 전극(6,7)이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적층플레이트(4c,4d)와, 자체 모터축을 중심으로 적층플레이트(4c,4d)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전극(6)과 -전극(7)의 무지부(6a,7a)가 각각 일방향으로 구분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2회전모터(4b), 자체 모터축을 중심으로 제2회전모터(4b)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켜 적층플레이트(4c,4d)가 적층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교체됨에 따라 전극(6,7)의 적층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1회전모터(4a) 및, 제1회전모터(4a)와 이에 연결된 제2회전모터(4b) 및 적층플레이트(4c,4d)를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4e)를 공정진행방향에 수직되게 직선 왕복 이동하여 적층플레이트(4c,4d)가 적층 위치에 일정하게 놓여지도록 하는 적층위치설정수단(4f)을 갖추어, 제2이송유닛(3)에 의해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이 적층플레이트(4c,4d)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전극적층유닛(4) 및 ;
    적층플레이트(4c,4d)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적층 위치상으로 이송된 코팅된 전극(6,7)을 적층플레이트(4c,4d)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유닛(4)을 갖추어 이루어진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1)에 컨베이어벨트(1d)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롤러(1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는 상기 제1이송유닛(3)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a)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5)은, 공회전하는 가압롤러(5a)와, 이 가압롤러(5a)를 적층플레이트(4c,4d)로 일정한 압력으로 밀어부치는 실린더(5b) 및, 가압롤러(5a)가 코팅된 전극(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가압하도록 실린더(5b)를 일정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실린더 이송수단(5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이송수단(5c)은, 실린더(5b)를 소정 각만큼 회전시켜 가압롤러(5a)가 코팅된 전극(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며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KR1019980018671A 1998-05-23 1998-05-23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KR10027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71A KR100270261B1 (ko) 1998-05-23 1998-05-23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671A KR100270261B1 (ko) 1998-05-23 1998-05-23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53A true KR19990085953A (ko) 1999-12-15
KR100270261B1 KR100270261B1 (ko) 2000-10-16

Family

ID=1953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671A KR100270261B1 (ko) 1998-05-23 1998-05-23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427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필름형 양극 제조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전지모듈 및 전지팩
CN116944338A (zh) * 2023-09-20 2023-10-27 山东汉格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加工用冲模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303B1 (ko) 2012-01-20 2012-09-11 주식회사 비주 리튬이온전지용 프레스장치
KR102104472B1 (ko) * 2016-02-22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 공정 시, 전극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이물의 실시간 제거가 가능한 전극조립체의 제조 장치
KR101888633B1 (ko) 2017-08-22 2018-08-16 원재희 전해액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427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필름형 양극 제조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전지모듈 및 전지팩
CN116944338A (zh) * 2023-09-20 2023-10-27 山东汉格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加工用冲模机
CN116944338B (zh) * 2023-09-20 2023-12-12 山东汉格动力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加工用冲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261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648B1 (ko) 자동화된 리튬 2차전지 제조 시스템
US7967939B2 (en) St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of polymer batteries
KR100388650B1 (ko) 자동화된 리튬 2차전지 제조 시스템용 팩킹장치
KR100814541B1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장치
JP2003017111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製造方法ならびに二次電池製造装置
CN105406101B (zh) 用于二次电池的轧制设备和轧制方法
WO2020013295A1 (ja) 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設備
KR100270261B1 (ko) 리튬이온전지 제조장치
KR100388649B1 (ko) 자동화된 리튬 2차전지 제조 시스템용 라미네이션 장치
CN217009271U (zh) 二次电池用层压装置
EP1231652A1 (en) Electrode structure, and rolling machine for working electrode structure
KR102236453B1 (ko) 각형 이차전지 셀 제조 장비에서 분리막의 접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56935B1 (ko)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취 방법
JP3457858B2 (ja)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用電極要素の製造装置
JP2003045491A (ja) 二次電池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製造装置
KR100428975B1 (ko) 리튬 폴리머 전지용 전해질 함침장치
KR200244342Y1 (ko) 자동화된 리튬 2차전지 제조 시스템용 라미네이션 장치
JP2003059525A (ja) 二次電池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製造装置
KR102497772B1 (ko) 2차전지용 전극 원단 압연장치
JP3435029B2 (ja) ポリマー電池用電極要素の製造装置
KR20000025359A (ko)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전해질 함침장치
KR20240041677A (ko) 매거진의 전지셀 적재장치
JP2000357507A (ja) ポリマー電池用電極要素の製造装置
KR20230135936A (ko) 이차전지의 스윙형 셀 스택 제조장치
CN117337501A (zh) 电极组件、其制造设备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