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414A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414A
KR19990085414A KR1019980017814A KR19980017814A KR19990085414A KR 19990085414 A KR19990085414 A KR 19990085414A KR 1019980017814 A KR1019980017814 A KR 1019980017814A KR 19980017814 A KR19980017814 A KR 19980017814A KR 19990085414 A KR19990085414 A KR 1999008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ine
polysilicon layer
layer
bit line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414A/ko
Publication of KR1999008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3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5Doping the layers
    • H01L21/32155Doping polycristalline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8Wor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제1 폴리실리콘층과 제1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된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워드라인이 형성된 결과물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실리사이드층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결과물의 상부에 제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전면 에치백한 후, 결과물의 전면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한다. 메모리 셀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제2 폴리실리콘층이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에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므로, 셀의 격리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 및 고속화됨에 따라, 미세 패턴의 형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배선의 폭(width) 뿐만 아니라 배선과 배선 사이의 간격(space)도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특히,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에 있어서, 비트라인과 워드라인의 폭이 감소하고 콘택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비트라인 및 워드라인의 저항(R)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신호 전달 지연(RC 지연), 잡음으로 작용하는 크로스 토크(cross talk) 및 전력 소모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배선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조적 개선, 새로운 물질 개발, 및 그에 따른 양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며, 현재는 폴리실리콘층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적층한 폴리사이드(polycide) 구조로 비트라인이나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이 가장 양산화되어 있다. 이러한 실리사이드는 ① 금속과 같은 낮은 저항을 갖고, ② 높은 온도에서 안정된 특성을 보이며, ③ 실리콘층 또는 폴리실리콘층에서의 패턴 형성이 용이하고, ④ 우수한 부착성(good adherence)와 낮은 스트레스와 같은 양호한 물리적 안정성(mechanical stability)을 가지며, ⑤ 최종 금속층과의 반응이 없고, ⑥ 낮은 콘택 저항과 적은 저항 침투성을 가지며, ⑦ 웨이퍼 사용 장비 간의 오염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금속화 물질로서 각광받고 있다.
DRAM 장치에서는 상기한 폴리사이드 공정을 비트라인에 가장 먼저 적용하였으며, 하프-서브마이크론(half-submicron)급 이상에서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워드라인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워드라인 하나에 금속 라인 하나를 일대일로 콘택시키는 스트래핑 라인(strapping line)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하프-서브마이크론급 이하의 DRAM 장치에서는 스트래핑 라인을 형성할 만큼 금속 배선을 작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브(sub wordline drive) 구조를 적용하여 워드라인의 저항 증가를 방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워드라인 자체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워드라인에도 폴리사이드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집적 DRAM 장치에 폴리사이드 워드라인을 적용할 경우, 워드라인의 면저항(sheet resistance)은 감소하지만 주변 회로 영역에서 형성되는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은 그 저항이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비트라인 실리사이드층과 워드라인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존재하는 비트라인 폴리실리콘층에 도핑되어 있는 불순물, 예컨대 인(P)들이 후속 열처리 공정 (예컨대, 800∼1000℃, 질소(N2) 분위기, 30분)에 의해 외방으로 확산(out-diffusion)됨으로써 이웃하는 실리사이드층, 즉 워드라인 실리사이드층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워드라인 폴리실리콘층까지 확산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순물 재분포 현상으로 인하여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이 증가하여 소자 동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을 형성한 후 추가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방법에 의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에도 이온주입이 되어 셀의 격리(isolation) 특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1 : 필드 산화막
104 : 제1 폴리실리콘층 106 : 제1 실리사이드층
108 : 절연층 110 : 콘택홀
112 : 비트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제1 폴리실리콘층과 제1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된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라인이 형성된 결과물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실리사이드층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상부에 제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전면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전면 에치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소정 두께로 남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제2 폴리실리콘층이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폴리실리콘층과 제1 실리사이드층과의 콘택 저항(즉,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므로, 셀의 격리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은 워드라인(107) 및 절연층(108)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먼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에 통상의 소자분리 공정에 의해 필드 산화막(10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판(100)을 활성 영역과 소자분리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열산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산화막(도시하지 않음)을 성장시킨 후, 그 상부에 불순물, 예컨대 인(P)이 도핑된 제1 폴리실리콘층(104)과 제1 실리사이드층(106)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어서, 사진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실리사이드층(106) 및 제1 폴리실리콘층(104)을 워드라인(107)의 패턴으로 패터닝한 후, 결과물의 상부에 절연층(108)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108)은 고온 산화막(high temperature oxide)이나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막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층(108)의 상부에 콘택홀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109)을 형성한다.
도 2는 콘택홀(110)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상기 감광막 패턴(109)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절연층(108)을 이방성 식각하여 주변 회로 영역에서는 상기 워드라인(107)의 제1 실리사이드층(106)을 노출시키고 메모리 셀 영역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도시하지 않음)을 노출시키는 콘택홀(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감광막 패턴(109)을 제거한다.
도 3은 상기 결과물의 상부에 비트라인용 제2 폴리실리콘층(112)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112)을 전면 에치백하여 결과물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112)을 소정 두께로 남긴다.
도 5a 및 도 5b는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주변 회로 영역을 도시하고 도 5b는 메모리 셀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폴리실리콘층(112)을 전면 에치백한 후, 결과물의 상부에 불순물(114)을 이온주입한다. 상기 불순물(114)은 제2 폴리실리콘층(112)과 제1 실리사이드층(106)과의 콘택 저항(즉,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모리 셀 영역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도시하지 않음)과 비트라인을 연결시키는 콘택홀(110a)을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112)이 완전히 막고 있으므로, 메모리 셀 영역의 기판에 상기 불순물(114)이 이온주입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제2 폴리실리콘층이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2 폴리실리콘층과 제1 실리사이드층과의 콘택 저항(즉,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간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므로, 셀의 격리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제1 폴리실리콘층과 제1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된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워드라인이 형성된 결과물의 상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실리사이드층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상부에 제2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전면 에치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전면 에치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소정 두께로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80017814A 1998-05-18 1998-05-18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9990085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14A KR19990085414A (ko) 1998-05-18 1998-05-18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14A KR19990085414A (ko) 1998-05-18 1998-05-18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14A true KR19990085414A (ko) 1999-12-06

Family

ID=658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814A KR19990085414A (ko) 1998-05-18 1998-05-18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46B1 (ko) * 2005-08-26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결정 실리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tft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846B1 (ko) * 2005-08-26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결정 실리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tft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413B1 (ko) 이중 작용 기능 도핑 및 보호 절연 캡을 제공하는 방법
KR100203313B1 (ko) 디램부와 논리 회로부를 합체시킨 반도체 장치 및제조 방법
KR19980015253A (ko) 반도체 기판의 유기물 제거용 세정장치
US7132371B2 (en) Dopant barrier for doped glass in memory devices
US6630378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having stacked capacitor memory cell arrays
US5899735A (en) Method for making low-resistance contacts between polysilicon and metal silicide 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US5946568A (en) Self aligned method of fabricating a DRAM with improved capacitance
KR10034831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5866946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plug for diffusing hydrogen into a semiconductor substrate
US634644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30979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708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900118B2 (en) Method for preventing contact defects in interlayer dielectric layer
US5731232A (en) Method for concurrently making thin-film-transistor (TFT) gate electrodes and ohmic contacts at P/N junctions for TFT-static random
KR19990085414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40782B1 (ko) 반도체소자의 폴리실리콘 배선 형성방법
JP2009060137A (ja) 半導体集積回路デバイス
KR19990065380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267772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저항 패턴 형성 방법
JP200032348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888895A (en) Method for making titanium poly-silicide CMOS circuit contacts
KR0141949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198666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구조 및 제조 방법
KR20000033153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62195B1 (ko) 에스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