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185A -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185A
KR19990084185A KR19990041036A KR19990041036A KR19990084185A KR 19990084185 A KR19990084185 A KR 19990084185A KR 19990041036 A KR19990041036 A KR 19990041036A KR 19990041036 A KR19990041036 A KR 19990041036A KR 19990084185 A KR19990084185 A KR 19990084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mirror
reflection angle
ang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4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전운장
주식회사 용산
박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운장, 주식회사 용산, 박기현 filed Critical 전운장
Priority to KR1999004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4185A/ko
Publication of KR1999008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도로 선회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여 안쪽차선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차량 및 사람 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속도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속도 센서와,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핸들의 회전에 따른 조향각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조향각 센서와, 상기 속도 및 조향각 데이터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동안 안쪽차선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다른 차량 및 사람 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The angle of reflection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of side mirr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도로 선회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여 안쪽차선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차량 및 사람 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이나 사람 등을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는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해서 창밖에 있는 사이드 미러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창밖의 사이드 미러에 DC모터를 결합하고 차내에는 이 DC모터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여 차내에서도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도1에서와 같이 직선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는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다른 차선의 차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유발을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도2에서와 같이 반사각이 고정된 차량으로 곡선도로를 선회시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에 의해 선회하는 반대방향의 후방은 충분히 인지할 수 있으나, 선회하는 방향의 내측차선으로 접근하는 차량은 사이드 미러에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인지할 수 없어 안전운전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도로 선회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여 안쪽차선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차량 및 사람 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차량으로 직선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사이드 미러에 의해 시야에 제공되는 후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종래의 차량으로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의해 시야에 제공되는 후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를 장착한 차량으로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사이드 미러에 의해 시야에 제공되는 후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속도 센서 2 : 조향각 센서
3 : 콘트롤러 4 : 조작 스위치
5 : 스텝핑 모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속도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속도 센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핸들의 회전에 따른 조향각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속도 및 조향각 데이터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 선회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중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h 이상시에만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환경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변환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초기상태로 변환되게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로는 미세한 각도조절을 위하여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의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은, 속도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속도 데이터에 의해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조향각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조향각 데이터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 선회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스텝핑 모터를 구동시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소정각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는 차량이 30Km/h이상으로 주행시만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중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조향각의 크기에 비례하게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환경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변환시 초기의 반사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차량의 주행 즉,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이 속도 데이터를 콘트롤러(3)에 제공하는 속도 센서(1)와, 차량의 진행방향, 즉 핸들의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고 이 조향각 데이터를 콘트롤러(3)에 제공하는 조향각 센서(2)와, 차량의 속도와 조향각에 의해 차량의 주행상태 및 선회상태를 감지하고 선회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3) 및 이 콘트롤러(3)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주행속도와 조향각의 변화에 대응되게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스텝핑 모터(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4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차내에서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차내에 구성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4에서와 같이 동작된다.
먼저, 조작 스위치(4)를 조작하여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정한 후 미도시된 메모리 스위치를 조작하면, 콘트롤러(3)는 미도시된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를 초기상태로 저장한 후 스텝핑 모터(5)를 구동시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초기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한 상태에서 속도 센서(1)에 의해 감지되는 속도 데이터의 입력(S41)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콘트롤러(3)는 속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h 이상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42).
그 결과 차량이 30Km/h 미만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콘트롤러(3)는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텝핑 모터(5)의 구동을 제어(S47)하지만, 차량이 30Km/h 이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콘트롤러(3)는 조향각 센서(2)로부터 입력되는 조향각 데이터를 분석(S43)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직선 혹은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S44).
주행중인 차량이 30Km/h 이상으로 직선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콘트롤러(3)는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텝핑 모터(5)의 구동을 제어(S47)하지만, 30Km/h 이상으로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콘트롤러(3)는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스텝핑 모터(5)에 제공하게 된다(S45).
여기서, 콘트롤러(3)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중 차량의 선회방향, 즉 후방의 내측차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시할 수 있도록 선회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스텝핑 모터(5)를 구동시켜 감시구역을 도5에서와 같이 사각지대(A)까지 확장하게 된다(S46).
그리고, 차량의 선회에 따라 콘트롤러(3)에 의해 조절되는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의 크기를 조향각 센서(2)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조향각, 즉 차량의 선회정도에 비례하게 조절함으로써 사각지대를 적절하게 감시구역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30Km/h 이상으로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하다가 다시 직선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콘트롤러(3)는 스텝핑 모터(5)를 구동시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S47)하게 된다. 즉, 사이드 미러는 초기에 조작 스위치(4)의 조작으로 설정된 초기상태의 반사각을 유지하면서 차량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다른 차량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속도나 조향각에 따라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이에 제한받지 않고 차내에 설치된 룸 미러(room mirror)의 반사각을 조절하게 되면 전진 혹은 후진하는 차량의 후미를 보다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동안 안쪽차선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다른 차량 및 사람 등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주행에 따른 속도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속도 센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핸들의 회전에 따른 조향각 데이터를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속도 및 조향각 데이터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구동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 선회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중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h 이상시에만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의 주행환경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변환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초기상태로 변환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6. 속도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속도 데이터에 의해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조향각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조향각 데이터에 의해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를 선회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주행중인 차량이 곡선도로 선회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스텝핑 모터를 구동시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을 소정각도로 조절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는, 차량이 30Km/h 이상으로 주행시만 반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 중 차량이 선회하는 방향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는, 상기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조향각의 크기에 비례하게 반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주행환경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로 변환시 초기의 반사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방법.
KR19990041036A 1999-09-22 1999-09-22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84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1036A KR19990084185A (ko) 1999-09-22 1999-09-22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1036A KR19990084185A (ko) 1999-09-22 1999-09-22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185A true KR19990084185A (ko) 1999-12-06

Family

ID=4230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41036A KR19990084185A (ko) 1999-09-22 1999-09-22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41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825B1 (ko) * 2004-08-26 2006-05-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의 후방 및 사각지대 물체 적응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919627B1 (ko) * 2008-07-14 2009-09-30 박정숙 조향핸들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자동조정되는 차량용사이드 미러의 방향, 각도조정장치
CN114872626A (zh) * 2022-04-25 2022-08-09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基于前摄像头的后视镜随动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825B1 (ko) * 2004-08-26 2006-05-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의 후방 및 사각지대 물체 적응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919627B1 (ko) * 2008-07-14 2009-09-30 박정숙 조향핸들의 회전방향 및 각도에 따라 자동조정되는 차량용사이드 미러의 방향, 각도조정장치
WO2010008130A1 (en) * 2008-07-14 2010-01-21 Jeong-Suk Park Automatic apparatu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ide mirrors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ngle of the steering wheel
CN114872626A (zh) * 2022-04-25 2022-08-09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基于前摄像头的后视镜随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485B1 (ko) 차량용헤드램프장치
US7619505B2 (en) Vehicle direction guide vibration system and method
KR19990084185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H08253078A (ja) サイドミラー装置及びサイドミラーのミラー角制御方法
KR0143263B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KR100534306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KR970038171A (ko) 광파이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사이드미러 반사각 자동 조정장치
KR0133293Y1 (ko) 차량의 측방향 진입차량 경고장치
KR970007555B1 (ko) 자동차의 백미러 제어장치
KR19980050759A (ko) 선회 및 언덕길 주행시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사이드 미러
KR100187981B1 (ko) 차선 변경시 아웃사이드 미러 각도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16243U (ko) 조향 변화에 따라 반사각이 변화하는 사이드미러
JPH05139227A (ja) 自動車走行安全確認装置
KR19980022581U (ko) 조향휘일의 회전량에 따른 사이드미러 자동조절장치
KR19990051911A (ko) 차량의 자동 주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33976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물체 경보장치
KR100518309B1 (ko) 유동형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사각지대 감지 장치
KR20040088276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조정 장치
KR0139845B1 (ko) 자동차 코너링시에 상대방 차량 감지장치
KR0136848Y1 (ko) 졸음방지용 시이트 진동장치
KR0142502B1 (ko) 아웃사이드미러의 장애물감지 장치
KR20140106896A (ko) 주차차량 이동 시 차량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5008A (ko) 차선변경시 옆차선 차량 감지장치
KR20040098268A (ko)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9980064403U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