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828A -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828A
KR19990079828A KR1019980012636A KR19980012636A KR19990079828A KR 19990079828 A KR19990079828 A KR 19990079828A KR 1019980012636 A KR1019980012636 A KR 1019980012636A KR 19980012636 A KR19980012636 A KR 19980012636A KR 19990079828 A KR19990079828 A KR 1999007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tring
relay line
pseudo
data bit
referenc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281B1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1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28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특히 기준 클럭에 맞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언프레임 형식(Unframed format)의 중계선(Trunk)에서 의사동기 프레임(Pseudo Synchronous Frame)을 이용함으로써 중계선의 상태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래그(flag) 비트와, 어드레스(address) 비트열과, 제어 비트열과, 랜덤데이터 비트열과, 씨알씨(CRC) 비트열로 이루어지는 의사동기 프레임을 사용하고, 기지국(BTS)과 제어국(BSC)사이에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 점검을 위한 상기 제어국에 포함되는 중계선 정합부가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발생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와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발생되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에 제공한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검출하고, 상기 제공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를 판별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와, 상기 판별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로 구성되어 중계선의 효율적인 관리와 유지 보수를 하는데 효과적인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준 클럭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언프레임 형식(Unframed format)의 중계선(Trunk)에서 의사동기 프레임(Pseudo Synchronous Frame)을 이용하여 제어국(BSC:Base Station Controller)과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간 중계선의 상태관리 및 유지보수를 실현하는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코드 분할 다중 접속방식(CDMA) 시스템 및 개인휴대 통신서비스(PCS) 시스템에서 송수신 정보 데이터를 싣고 있는 한 개의 프레임에는 프레임 동기 비트로 1비트가 할당된다.
만약 24채널 방식을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서비스라면, 각 채널당 8비트씩 할당된 192비트에 프레임 동기 비트를 포함하여 한 프레임당 193비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때, 음성 8㎑로 표본화한 1개 프레임의 길이는 125μsec, 한 비트의 길이는 5.2μsec이며, 전송속도는 193비트×(1/125μsec)=1.544M비트/초 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형식(Framed Format)의 중계선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중계선 관리를 위해 프레임드 디지탈 트렁크(Framed Digital Trunk) 처리용 칩세트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기지국(20)과, 중계교환국(10)과, 상기 기지국(20)과 중계교환국(10)을 연결하는 중계선과, 중계선 전송부(30)로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20)은 중계선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중계선 상태점검을 위한 패킷형태의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상기 중계선을 통해서 수신한 상기 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프레임으로부터 중계선의 상태를 데이터로 출력하는 상태관리 처리부(22)와, 상기 상태관리 처리부(22)에서 출력된 중계선 처리를 위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중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상기 패킷 형태의 프레임의 정합을 위한 실제 처리를 행하는 중계선 정합부(21)로 구성된다.
또, 상기 중계교환국(10)은 상기 기지국(20)으로 수신된 정보신호를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상호 경로를 만들어 주는 교환국(11)과, 전송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교환국(11)과 상기 기지국(20)의 제어 및 상기 기지국(20)과 상기 중계교환국(10)간 가설된 중계선을 관리하는 제어국(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12)은 중계선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중계선 상태점검을 위한 패킷형태의 프레임을 송수신하고, 상기 중계선을 통해서 수신한 상기 프레임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프레임으로부터 중계선의 상태를 데이터로 출력하는 상태관리 처리부(13)와, 상기 상태관리 처리부(13)에서 출력된 중계선 처리를 위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중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형태의 프레임의 정합을 위한 실제 처리를 행하는 중계선 정합부(1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각의 제어국(12)과 기지국(20)의 상태관리 처리부(13,22)는 프레임 형식(framed format)의 중계선을 통해 상호 동일한 주기의 동일한 프레임 패킷을 상호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프레임 패킷을 상기 각각의 기지국(20)과 제어국(12)의 상태관리 처리부(22,13)가 각각 상호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기지국(20)과 제어국(12)의 상태관리 처리부(22,13)는 상호 수신한 프레임 패킷을 검출하여, 상기 각각의 기지국(20)과 제어국(12)의 상태관리 처리부(22,13)가 과거 상호 송신했던 프레임 패킷과 현재 상호 수신한 프레임 패킷이 동일한가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상태관리 처리부(22,13)는 상기 비교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 패킷의 오류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중계선의 불량으로 만약 전송된 프레임 패킷이 변형되어 전송되었거나, 상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방 전송만 행해졌다면, 오류로 판단하고, 상기 각각의 중계선 정합부(21,14)에서 실제적으로 오류 수정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계선 검출을 하는 방식을 킵얼라이브 검출(Keep Alive Check)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킵얼라이브 검출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자국(Primary station)으로부터 별개의 대국(Secondary station)에 대하여 양국간의 상대접속이 유효하고, 접속 효율면에서 안정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출이다.
그런데, 중계선 상태를 관리하는데는 전송 실시간이 중요하게 되는데, 만약 24채널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서비스 방식에서 상기와 같은 프레임화된 형식(framed format)의 중계선을 통해 주기적인 프레임 패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25μsec마다 상기 전송된 프레임의 동기를 위한 1비트의 동기비트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한 프레임당 5.2μsec의 전송지연이 생기게 되어 중계선 관리에 있어서 처리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 상기 상태 관리 처리부가 킵얼라이브 검출 방식으로 중계선 상태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하나의 상태 관리 처리부에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용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여러 기지국에 대해 중계선의 상태를 처리하는데 신뢰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중계선의 성능분석을 위해 부득이 계측장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송되는 프레임당 전송지연이 없고, 또한 개선된 중계선 정합부만으로 중계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 형식을 갖추지 않은 언프레임 형식(Unframed Format)의 중계선을 통해 의사적인 동기 프레임을 사용하는 중계선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PCS)에서 기지국(BTS)과 제어국(BSC)사이에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 점검을 위한 상기 제어국에 포함되는 중계선 정합부가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발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와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발생되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에 제공한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검출하고, 상기 제공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를 판별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와, 상기 판별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이 제어국에 제공한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은 기준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검출되고,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한 데이터 비트열은 의사(Pseudo)적인 동기프레임이며 상기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설정된 패킷(Packet)형태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특징은 중계선 관리를 위한 의사동기 프레임이 연속되는 의사동기 프레임들의 간격을 식별하기 위한 프래그(flag) 비트열과,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임을 인식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패턴을 나타내는 주소를 담고 있는 어드레스(address) 비트열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제어를 담당하는 비트열이 임의로 삽입되는 제어 비트열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임의의 측정데이터를 담고 있는 랜덤데이터 비트열와,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자체비트의 오류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씨알씨(CRC) 비트열로 구성된다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비트열에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이 상기 결정된 상태점검구간을 순회하여 귀환토록 하는 비트열이 삽입되고, 송신측으로부터 제공된 의사동기 프레임에 대한 오류유무를 상기 송신측에 자동으로 알리기 위한 비트열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특징은 제어국이 기지국에서 제공한 데이터 비트열을 상기 기준클럭 발생부에서 발생한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복수회 검출하고, 정해진 회수동안에 상기 데이터 비트열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비트열 수신오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과 동시에, 임의의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에 가설된 중계선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제어국으로부터 각각 발생된 데이터 비트열을 상호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제어국이 중계선의 상태를 점검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데이터 비트열을 수신하여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비트열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비트열이 동일한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비트의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비트 유무에 따라 상기 중계선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의사동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를 위한 의사동기 프레임의 오류검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제어국(BSC) 70 : 중계선 정합부
71 :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 72 :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
73 : 기준클럭 발생부 74 : 상태 표시부
80 : 프래그(Frag) 비트열 81 : 어드레스 비트열
82 : 제어 비트열 83 : 랜덤 데이터 비트열
84 : 씨알씨(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기지국(50)과, 중계교환국(40)과 상기 기지국(50)과 중계교환국(40)을 연결하는 중계선과, 중계선 전송부(60)로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50)은 중계선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지는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패킷형태의 프레임을 의사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중계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인 수신 프레임의 오류여부를 출력하여, 중계선 관리를 위한 실제 처리를 행하는 중계선 정합부(51)로 구성된다.
또, 상기 중계교환국(40)은 상기 기지국(50)으로 수신된 정보신호를 해당 가입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상호 경로를 만들어 주는 교환국(41)과, 전송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교환국(41)과 상기 기지국(50)의 제어 및 상기 기지국(50)과 상기 중계교환국(40)간 가설된 중계선을 관리하는 제어국(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42)은 중계선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지는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패킷형태의 프레임을 의사적으로 송수신하여 중계선에 대한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터인 수신 프레임의 오류여부를 출력하여, 중계선 관리를 위한 실제 처리를 행하는 중계선 정합부(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중계선 정합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선 정합부(70)는 중계선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기준클력 발생부(73)와, 의사동기 프레임을 발생하여 이를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에 맞추어 대국(Remote Station)으로 송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71)와, 상기 송출과 동시에 상기 대국으로부터 자국(Local Station)으로 송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을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에 따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자국이 송출했던 의사동기 프레임과 비교하여 프레임 오류상태를 검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72)와,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72)에서 검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의 오류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74)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국(Local Station)과 대국(Remote Station)은 도 2에서 설명된 기지국(50)이 자국이면 대국은 제어국(42)이고, 제어국(42)이 자국이면 대국은 기지국(50)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정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계선 정합부(70)의 기준클럭 발생부(73)는 미리 정해진 16msec의 기준클럭을 발생하고,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71)는 상기 16msec의 기준클럭에 맞추어 의사동기 프레임을 발생하여 대국(Remote Station)으로 송출한다.
상기 송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은 중계선 전송부(60)를 거쳐 대국으로 수신되고, 상기 대국은 상기 자국에서 송출된 의사동기 프레임과 동일한 시간간격의 기준클럭에 맞추어 의사동기 프레임을 송출한다.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72)는 상기 기준클럭 발생부(73)에서 제공한 16msec의 기준클럭에 따라 상기 대국으로부터 수신한 의사동기 프레임을 검출하게 되는데,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71)는 이미 송출했던 의사동기 프레임과 상기 대국이 송출한 의사동기 프레임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프레임인가를 판단함으로써 중계선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레임 오류상태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71)에서 결정된 프레임 오류상태는 상태표시부(74)를 통해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중계선 정합부(70)는 의사동기 프레임은 16msec 기준클럭에 따라 송출되고, 16msec 기준 클럭에 따라 검출하는데, 상기 프레임이 상기 기준 클럭에 맞추어 연속해서 미리 정해진 3회 또는 그 이상 회수동안 수신되지 못하게 되면 프레임 수신오류로 판단한다.
이때, 중계선 정합부(70)는 중계선 관리를 위한 실제 오류 수정 처리를 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의 의사동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은 패킷(Packet)형태이며, 연속되는 의사동기 프레임들간의 간격을 식별하기 위한 1바이트(Byte)의 프래그(flag) 비트열(80)과,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임을 인식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패턴을 나타내는 주소를 담고 있는 4바이트(Byte)의 어드레스(address) 비트열(81)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제어를 담당하는 비트열이 임의로 삽입되는 1바이트(Byte)의 제어 비트열(82)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임의의 측정데이터를 담고 있는 5바이트(Byte)의 랜덤데이터 비트열(83)과,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자체비트의 오류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2바이트(Byte)의 씨알씨(CRC) 비트열(8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열(84)은 오류제어방식의 일종인 순환 중복검사 방식에서 k개의 프레임이나 메시지에 대응하여, 송신측에서 생성하는 m개의 검사비트열이다.
즉, 송신측은 n(k+m)개의 비트로 구성된 전체의 프레임을 미리 정해진 생성 다항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m을 정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같은 생성 다항식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없으면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중계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중계선 관리 방법에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방법은 16msec 시간간격의 기준클럭을 발생하여(S1) 상기 기준클럭에 따라 의사동기 프레임을 대국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자국은 대국에서 송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을 상기 기준클럭에 따라 수신한다.(S2)
상기 자국은 수신된 의사동기 프레임이 상기 기준클럭에 맞추어 검출되었는가를 판단하여,(S3) 수신된 의사동기 프레임이 기준클럭에 맞추어 검출되면 다음에 설명될 중계선 관리를 위한 프레임 오류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S4)
그런데 상기 수신된 의사동기 프레임을 기준클럭에 맞추어 검출되지 못하면, 상기 수신된 의사동기 프레임에 대해 프레임 수신오류로 판단하여 이를 표시하게 된다.(S6)
여기서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은 3회 또는 미리 정해진 회수동안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여 프레임 수신오류로 결정한다.(S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를 위한 의사동기 프레임의 오류검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써, 도 5에서 설명되었듯이 자국이 16msec 시간간격의 기준클럭에 따라 이미 의사동기 프레임을 수신하여 검출한 상태이다.(S10)
상기 기준클럭에 따라 검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은 자국이 대국으로 송출했던 의사동기 프레임과 비교를 하게 된다.(S20)
여기서, 상기 두 의사동기 프레임의 각각의 어드레스 비트열을 비교하게 되는데,(S20) 상기 자국이 수신하여 검출한 의사동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비트열과 상기 자국이 대국으로 송출했던 의사동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비트열이 동일한가를 판단하게 된다.(S30)
상기 두 의사동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비트열이 동일하지 않으면 중계선 오류상태를 표시한다.(S70)
그러나, 상기 두 의사동기 프레임의 어드레스 비트열이 동일하면, 상기 자국이 수신하여 검출한 의사동기 프레임의 씨알씨(CRC) 비트열을 검색하여,(S40) 상기 검출된 의사동기 프레임에 오류 비트열이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50)
상기 판단하여 오류 비트열이 존재하면 중계선 오류상태를 표시하고,(S70) 오류 비트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중계선이 정상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S6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의 랜덤데이터 비트열(83)에 상태점검을 위한 임의의 측정데이터를 삽입하고,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을 자국에서 대국으로 송신한 후 대국을 거친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을 자국이 다시 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수신을 거친 랜덤데이터 비트열(83)의 측정데이터와 자국에서 송출되지 전에 상기 랜덤데이터 비트열(83)에 삽입한 측정데이터를 비교하여 비트오류율(Bit Error Rate)을 검출할 수 있는 비트오류율 측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검출된 비트오류율은 데이터 통신에서 수신측이 받은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에 비하여 통신 회선상의 잡음에 의해 어느 정도 잘못되었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트 오류율이 10-3인 통신회선은 1만비트의 데이터를 보내면 평균 10비트 정도 오류가 발생되는 회선인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특정구간만을 상태점검 하기 위해 자국에서 송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의 제어 비트열(82)에 원격 루프 귀환(Remote Loop Back) 비트열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자국에서 송출한 의사동기 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중계선의 상태점검구간만을 순회하여 다시 자국으로 귀환되도록 하는 원격 루프 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도 6에서 설명한 의사동기 프레임의 오류검출을 통해 자국은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되었음을 판단하고, 대국에 상기 프레임 오류발생을 알리기 위해 송출되는 의사동기 프레임의 제어 비트열(82)에 원격 알람 표시(Remote Alarm Indication) 비트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대국에서 프레임 오류상태 표시를 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알람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프레임 형식(Unframed Format)의 중계선을 통해 의사적인 동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중계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처리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선 관리 시스템은 프레임 형식을 갖추지 않는 중계선을 통해 의사적인 동기 프레임을 사용하므로, 전송되는 프레임당 전송지연이 없음으로 인해 중계선의 상태를 처리하는데 실시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중계선 상태 처리능력과 데이터 통신에 대한 호(call)에 있어서도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 정확한 중계선 상태 점검을 위해 따로 계측장비를 갖추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관리 비용도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개인휴대통신(PCS)에서 기지국(BTS)과 제어국(BSC)사이에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 점검을 위한 상기 제어국에 포함되는 중계선 정합부는,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에 의해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발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발생부와;
    상기 발생된 기준클럭 신호와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발생되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에 제공한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을 검출하고, 상기 제공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를 판별하는 의사동기 프레임 검출부와;
    상기 판별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여부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국에 제공한 임의의 데이터 비트열은 상기 기준클럭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한 데이터 비트열은 의사(Pseudo)적인 동기프레임이며, 상기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설정된 패킷(Packet)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은
    연속되는 의사동기 프레임들의 간격을 식별하기 위한 프래그(flag) 비트열과,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임을 인식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패턴을 나타내는 주소를 담고 있는 어드레스(address) 비트열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제어를 담당하는 비트열이 임의로 삽입되는 제어 비트열과,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을 위해 임의의 측정데이터를 담고 있는 랜덤데이터 비트열과,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 자체비트의 오류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씨알씨(CRC) 비트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비트열에는 상기 가설된 중계선의 상태점검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의사동기 프레임이 상기 결정된 상태점검구간을 순회하여 귀환토록 하는 비트열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비트열에는 송신측으로부터 제공된 의사동기 프레임에 대한 오류유무를 상기 송신측에 자동으로 알리기 위한 비트열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기지국이 제공한 데이터 비트열을 상기 기준클럭 발생부에서 발생한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복수회 검출하고, 정해진 회수동안에 상기 데이터 비트열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비트열 수신오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8. 임의의 기지국과 제어국 사이에 가설된 중계선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제어국으로부터 각각 발생된 데이터 비트열을 상호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제어국이 중계선의 상태를 점검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데이터 비트열을 수신하여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비트열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 비트열이 동일한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비트의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 비트열의 오류비트 유무에 따라 상기 중계선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트열은 의사(Pseudo)적인 동기프레임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의 기준클럭 신호에 따라 설정된 패킷(Packet)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방법.
KR1019980012636A 1998-04-09 1998-04-09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25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636A KR100259281B1 (ko) 1998-04-09 1998-04-09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636A KR100259281B1 (ko) 1998-04-09 1998-04-09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28A true KR19990079828A (ko) 1999-11-05
KR100259281B1 KR100259281B1 (ko) 2000-06-15

Family

ID=1953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636A KR100259281B1 (ko) 1998-04-09 1998-04-09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47B1 (ko) * 2000-12-27 2004-01-2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상태 관리방법
KR100551156B1 (ko) * 1998-12-30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유선 링크 전송 지연 시간 자동 보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338A (ko) 2021-12-29 2023-07-06 박경민 2유체 엔진룸 클리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56B1 (ko) * 1998-12-30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유선 링크 전송 지연 시간 자동 보상 방법
KR100416047B1 (ko) * 2000-12-27 2004-01-2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상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281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0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adio ports in a commnuication system
US7092409B2 (en) Timing distribution redundacy in a wireless network
US200200217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time stamp insertion in a hardware time stamp system for packetized data networks
US5325366A (en) Alarm system for st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synchronous third-digital-stage signal
JP2009130786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間の通信品質監視方法
KR100259281B1 (ko) 개인휴대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중계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1009582B (zh) 基于2m数据电路传输质量实时在线监测的方法与装置
US6507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signaling channel
JP2007174357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管理装置及び同期信号制御方法
KR100257883B1 (ko) 고수준 데이터 링크제어 방식 통신 패킷의 목적지와 패킷 종류검출 장치 및 방법
JPH11112523A (ja) サーキットエミュレーション通信方法並びにそ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H09219720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障害検出方法及び装置
US5940412A (en) Decoding method
EP3591965A1 (en) Lobby station, door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528410B1 (ko) 고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 방식 통신에서 동기 신호 및 패킷 상태 정보 제어 장치
WO2004066529A1 (ja) パストレース機能を有する光伝送装置
US20240143332A1 (en) Exception loca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034933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한 이동 전화망에서의 특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동기 프로토콜 프레임 구조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동기 프로토콜 방법
CN101247287A (zh) 操作管理维护机制的故障检测方法
GB2347827A (en) Testing a base station of a DECT system
KR100308647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채널장치에 있어서 유지보수채널 비트 수신처리장치
KR2004005483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방법
JP3016662B2 (ja) ビット誤り検出装置
JPS63246946A (ja) ル−プ構造ネツトワ−クにおける通信装置の障害検出方式
JP2001197060A (ja) 符号誤り伝達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