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474A - 공작물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474A
KR19990079474A KR1019980012104A KR19980012104A KR19990079474A KR 19990079474 A KR19990079474 A KR 19990079474A KR 1019980012104 A KR1019980012104 A KR 1019980012104A KR 19980012104 A KR19980012104 A KR 19980012104A KR 19990079474 A KR19990079474 A KR 1999007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lutch
stopper
cam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흥기
Original Assignee
민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흥기 filed Critical 민흥기
Priority to KR101998001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474A/ko
Publication of KR1999007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74A/ko

Link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물의 진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공작물의 수치를 결정하는 스토퍼의 위치에 탄력적으로 대응 작동되도록하는 공작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취출작업은, 사람이 직접 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배치되어야하고, 중량을 가진 공작물을 연속반복적으로 들어내야하는 일은 작업자를 쉽게 지치게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작물((W)이 가공되기 위하여 이송.재치되며, 프레임(510)(520)(530)과 다수의 롤러(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대(500)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510a)상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410)를 포함하는 공작물의 위치결정수단(400)과,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530) 소정위치에 부설되는 회동축(300)과, 상기 회동축(300)을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하도록하는 구동수단(200)과,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되고, 상기 회동축(300)의 구동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함으로써 공작물(W)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상기 스토퍼(410)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왕복회동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취출수단(100)을 포함하며,
상기한 취출수단(100)은 상기 회동축(300)과 일체로 조립되는 캠(150)과,
상기 캠(150)에 대응하는 삽지돌부(11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 하방에 상기 프레임(520)에 지지되는 호형돌기(113)를 형성하고, 상단은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취출부재(12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고, 일측 하단에 스프링 지지부(115)를 구비하여, 상기 캠(150)에 삽지됨으로써 소정각도 사이를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 클러치(110)와,
상기 회동축(300)에 겉돌도록 조립되고, 상기 클러치(11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며, 회동점 일측에 스프링지지부(121)를 구비하고, 클러치(1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30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공작물(W)을 떠받히며 회동되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는 취출부재(120)와,
상기 클러치(110)와 취출부재(120)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115)(121) 사이에 탄설되어 클러치(110)의 캠(150) 삽입을 유도하는 스프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

Description

공작물 취출장치
본 발명은 공작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물의 진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공작물의 수치를 결정하는 스토퍼의 위치에 탄력적으로 대응 작동되도록하는 공작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기 등의 공작수단에 의하여 처리가공되는 금속, 비철금속 또는 목재로 이루어진 관부재, 각재 등의 공작물의 취출작업은,
절단기 등에 부설된 취출대에 위치조정이 가능한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 공작물의 진입수치를 결정하고,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사람이 직접 공작물의 취출작업을 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배치되어야하고, 중량을 가진 공작물을 연속반복적으로 들어내야하는 일은 작업자를 쉽게 지치게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렇게 공작물을 직접 사람이 취출해내야 했던 가장 큰 이유는 공작물의 수치를 결정하는 스토퍼가 공작물의 진행방향을 막고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스타일은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고, 공작물 진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의 취출은 미세한 수치까지 위치가 조정되는 스토퍼가 장애물이 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질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물의 취출작업을 무인 자동으로 스토퍼의 위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연속수행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작업요원의 수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취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 생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출수단의 주요 부재 사시도로서,
a는 클러치의 사시도,
b는 취출부재임.
도 5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의 취출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취출수단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
b는 취출수단이 회동된 상태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직하방에 위치한 취출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절단기에 부설된 상태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취출수단 110: 클러치
111: 삽지돌기 120: 취출부재
130: 힌지 140: 스프링부재
150: 캠 200: 구동수단
210: 실린더 300: 회동축
400: 위치결정수단 410: 스토퍼
500: 작업대 510: 프레임
550: 롤러 600: 절단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작물이 가공되기 위하여 이송.재치되며, 프레임과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일측 프레임상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공작물의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일측 소정위치에 회동축을 부설하고,
상기 회동축을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하도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되고, 상기 회동축의 구동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함으로써 공작물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상기 스토퍼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왕복회동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취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취출수단은 상기 회동축과 일체로 조립된 캠과,
상기 캠에 대응하는 삽지돌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 하방에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호형돌기를 형성하고, 상단 일측은 돌턱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의 하방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취출부재와 소정위치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며 힌지결합되고, 일측 하단에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캠에 삽지됨으로써 소정각도 사이를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 클러치와,
상기 회동축에 겉돌도록 조립되고, 상기 클러치와 소정 위치에서 힌지결합되며, 회동점 일측에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클러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공작물을 떠받히며 회동되어 미끄럼낙하되도록하는 취출부재와,
상기 클러치와 취출부재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 사이에 탄설되어 클러치의 캠 삽입을 유도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공작물 취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취출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1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는, 공작물((W)이 가공되기 위하여 이송.재치되며, 프레임(510)(520)(530)과 다수의 롤러(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대(500)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510a)상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410)를 포함하는 공작물의 위치결정수단(400)과,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530) 소정위치에 부설되는 회동축(300)과,
상기 회동축(300)을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하도록하는 구동수단(200)과,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되고, 상기 회동축(300)의 구동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함으로써 공작물(W)이 미끄럼낙하되도록하되, 상기 스토퍼(410)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왕복회동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취출수단(100)과,
상기 위치결정수단(400)과 별도의 공작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200)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출수단의 후술하는 주요부재들의 사시도로서 (a)는 클러치(110), (b)는 취출부재(120)이며, 도 5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취출수단(100)은 상기 회동축(300)과 일체로 조립되는 캠(150)과, 상기 캠(150)에의 삽탈여부 및 상기 스토퍼(410)의 위치로써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클러치(110)와, 상기 클러치(110)에 힌지(130)결합으로 연동되어 회동축(300)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공작물을 취출하게되는 취출부재(120)와 상기 클러치(110)의 캠(150) 삽입을 유도하는 스프링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110)는 캠(150)에 대응하는 삽지돌부(11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 하방에 상기 프레임(520)에 지지되어 디딤점이 되기위한 호형돌기(113)를 형성하고, 상단 일측은 돌턱(112)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취출부재(12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고, 일측 하단에 스프링 지지부(115)를 구비하며, 회동시 프레임(510b)에 저항받지 않도록 만곡부(114)를 형성하고, 상기 캠(150)에 삽지됨으로써 소정각도 사이를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취출부재(120)는 회동축(300)에 겉돌도록 형성조립되고, 상기 클러치(11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며, 회동점 일측에 스프링지지부(121)를 구비하고, 클러치(1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30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공작물(W)을 떠받히며 회동되어 공작물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공작물과의 접촉면인 상단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커버(127)를 구비하며, 상단 일측에는 돌턱(126)을 형성하고 캡(129)을 일체로 부여하여 상기 스토퍼(410) 하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호형돌기(123)를 형성하고, 소정 위치에 클러치(110)와의 일정 간격유지를 위한 스페이서(124)를 부설하며, 하단부에 상기 클러치(110)의 가이드돌기(125)를 형성하고 회동시 프레임(510b)에 저항받지 않도록 만곡부(12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클러치(110)와 취출부재(120)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115)(121) 사이에 탄설되어 클러치(110)를 캠(150)으로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400)은 별도의 제어수단(4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서보모터(420)와, 상기 서보모터(420)의 구동에 의하여 운행되는 벨트조립체(430)와, 상기 벨트조립체(430)에 연동되도록 부설된 스토퍼(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00)은 회동축(300)과 일체로 조립되고 일정반경을 갖는 힌지공을 구비한 연결부재(230)와 상기 연결부재(230)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210)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400)과 절단기 등의 공작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200)은 각종 위치검출수단을 부설하고 이를 NC(Numerical control)장치와 연결하는 한편 별도의 제어수단을 상기한 NC장치와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한 NC장치를 제어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박스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작물 취출장치에 의한 절단작업이 유기적으로 연속반복하여 완전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28)은 취출부재보스, (153)은 취출부재 체결너트, (155)는 캠조립수단, (570)은 베어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절단기(600)에 부설된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의 취출상태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취출수단(100)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 (b)는 취출수단(100)이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절단기(600)에 부설된 본 발명은,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스토퍼의 위치가 결정되고 공작물(W)이 작업대의 롤러(550)상에 얹혀져 롤러들을 회동시키며 진입하여 선단이 상기 스토퍼(410)에 닿으면 위치검출수단(미도시) 및 제어수단에 의하여, 절단기에서 클램핑 및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다수의 취출수단(100) 중 클러치(110)는 상단면이 취출부재의 상단면보다 낮게 위치되며 상단 일측의 돌턱(112)은 취출부재(120)의 캡(129) 안에 위치되고 소정위치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며 취출부재(120)와 힌지결합된 상태로 삽지돌기(111)는 스프링부재(140)의 인장력을 받고 있으므로 캠(150)홈의 바로 앞 외주면에 당겨져 있고, 취출부재의 호형돌기(123)는 프레임(520)에 지지되고 상단면은 공작물의 하방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조정되고 있는 구동수단(200)인 실린더(210)의 상승으로 연결부재(230)를 통하여 회동축(30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에 상기 회동축(300)에 일체로 조립된 다수의 취출수단(100) 중의 캠(150)들도 같이 회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프링부재(140)에 의하여 인장력을 받고 있던 클러치의 삽지돌기(111)는 캠홈으로 삽입되어 캠(150)과 같이 회동하게 된다. 클러치(110)가 회동하면 클러치와 힌지결합된 취출부재(120)도 회동축(300)을 중심으로 상향회동하게 되고 상단면이 공작물(W)을 밀어올리며 경사면을 이루어 공작물이 미끄럼낙하되도록한다. 상기 취출부재(120)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탄성을 갖는 커버(127)는 공작물에 흠집이 나지않도록하기 위함이다. 공작물의 낙하위치 하방에는 별도의 수납용기나 포장용상자 등이 놓여지게 한다. 공작물이 취출되면 실린더(210)가 복귀되고 따라서 다수의 취출수단(100)도 일제히 원위치로 복귀된다.
도 9는 스토퍼(410) 직하방에 위치한 취출수단(100)의 작동상태도이다.
미세단위를 다투는 공작물의 치수에 따라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410)가 어느 취출수단(10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될 경우, 이 취출수단(100)만은 구동수단(200)의 회동시에도 회동이 제외된다. 이 때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스토퍼(410)가 취출부재(120)의 돌턱(126)에 일체로 용접결합되어 클러치(110)의 상단 돌턱(112)까지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캡(129)의 직상방에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410)에 눌리어 결국 클러치(110)가 캠(150)홈에 진입되지 못하게 되어 회동과 연결이 되지 않고, 취출부재(120)는 회동축(300)과는 겉돌도록 형성조립되었기 때문에 이 취출수단(100)은 나머지 다른 취출수단들의 회동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취출장치의 적용예를 절단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취출장치는 이외의 다른 공작수단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취출장치는, 공작물의 취출을 사람이 없이도 공작기와 유기적으로 연속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제품의 생산원가절감에 획기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4)

  1. 공작물((W)이 가공되기 위하여 이송.재치되며, 프레임과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대(500)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상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공작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 포함하는 공작물의 위치결정수단(400)과,
    상기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 소정위치에 부설되는 회동축(300)과,
    상기 회동축(300)을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하도록하는 구동수단(200)과,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소정간격으로 배설되고, 상기 회동축(300)의 구동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동함으로써 공작물(W)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되, 상기 스토퍼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왕복회동에서 제외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취출수단(100)과,
    상기 위치결정수단(400)과 별도의 공작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200)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공작물 취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취출수단(100)은 상기 회동축(300)과 일체로 조립되는 캠(150)과,
    상기 캠(150)에 대응하는 삽지돌부(111)를 일단에 구비하고, 타단 하방에 상기 프레임(520)에 지지되는 호형돌기(113)를 형성하고, 상단은 상기 스토퍼(410)의 하방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취출부재(12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고, 일측 하단에 스프링 지지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캠(150)에 삽지됨으로써 소정각도 사이를 왕복회동하도록 구성된 클러치(110)와,
    상기 회동축(300)에 겉돌도록 형성조립되고, 상기 클러치(110)와 소정위치에서 힌지(130)결합되며, 회동점 일측에 스프링지지부(121)를 구비하고, 클러치(1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30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공작물(W)을 떠받히며 회동되어 미끄럼 낙하되도록하는 취출부재(120)와,
    상기 클러치(110)와 취출부재(120)에 구비된 스프링지지부(115)(121) 사이에 탄설되어 클러치(110)의 캠(150) 삽입을 유도하는 스프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취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재(120)는 상단부에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커버(127)를 구비하고, 상단 일측에는 돌턱(126)을 형성하여 캡(129)을 일체로 부여하여 상기 스토퍼(410) 하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호형돌기(123)를 형성하고, 소정 위치에 클러치(110)와의 일정 간격유지를 위한 스페이서(124)를 부설하며, 하단부에 상기 클러치(110)의 가이드돌기(125)를 형성하고 회동시 프레임(510a)에 저항받지 않도록 만곡부(122)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공작물 취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400)은 별도의 제어수단(4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서보모터(420)와, 상기 서보모터(420)의 구동에 의하여 운행되는 벨트조립체(430)와, 상기 벨트조립체(430)에 연동되도록 부설된 스토퍼(4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공작물 취출장치.
KR1019980012104A 1998-04-06 1998-04-06 공작물 취출장치 KR1999007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04A KR19990079474A (ko) 1998-04-06 1998-04-06 공작물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04A KR19990079474A (ko) 1998-04-06 1998-04-06 공작물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74A true KR19990079474A (ko) 1999-11-05

Family

ID=6586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04A KR19990079474A (ko) 1998-04-06 1998-04-06 공작물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6617A (zh) * 2018-01-10 2018-07-27 绵阳深度数控科技有限公司 可控式零件自动出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6617A (zh) * 2018-01-10 2018-07-27 绵阳深度数控科技有限公司 可控式零件自动出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058B2 (en) Three-side trimmer
KR850000973B1 (ko) 피가공물 급송장치
US20170057755A1 (en) Device comprising a turning unit for turning a workpiece and machining device
CA2118568C (en) Tool grinding machine
US4713994A (en) Cutting device for sheets made of plastic material
KR101227559B1 (ko) 면취기
KR19990079474A (ko) 공작물 취출장치
US5961379A (en) Tool grinding machine
EP0565719B1 (en) Sawing machine including a sawdust removing divice
EP0536422B1 (en) Apparatus for cutting grooves
KR200299839Y1 (ko) 면취장치
JP2001121301A (ja) 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
GB2084923A (en) Horizontal bandsaw machines
KR200145728Y1 (ko)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KR10028215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단추 가공시스템
KR19980035623A (ko) 절단기(a cutting machine)
JPH08141989A (ja) マルチロッド型ワークピース取外し装置
JP2695103B2 (ja) 工具研削装置
KR200315263Y1 (ko) 보이스 코일 모터용 상부요크 스토퍼의 자동 가공장치
KR100350626B1 (ko) 패널의 중앙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장치
JPH1142601A (ja) 防塵構造を備えたncルータ
US4228710A (en) Cut-off saw attachment for machine tool
JPH05318224A (ja) 切断装置
JPH03274101A (ja) 切断機
JPS5852886Y2 (ja) 切削具着脱装置を備えた木工用切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