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728Y1 -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728Y1
KR200145728Y1 KR2019960029548U KR19960029548U KR200145728Y1 KR 200145728 Y1 KR200145728 Y1 KR 200145728Y1 KR 2019960029548 U KR2019960029548 U KR 2019960029548U KR 19960029548 U KR19960029548 U KR 19960029548U KR 200145728 Y1 KR200145728 Y1 KR 20014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ipe
guide roller
welding
convey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241U (ko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김영도
주식회사천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도, 주식회사천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영도
Priority to KR2019960029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72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콘베이어용 안내로라 제작시 적정길이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의 측면에 측면캡을 결합하여 지그에 올려놓고 가접한 후 선반축에 고정시켜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접촉된 원주를 따라 용접하였으므로 수작업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뿐만 아니라 작업 자체가 매우 번거로웠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중심축상에 재료(원통형 파이프와 측면캡)를 자동으로 공급시킨 후 회전시킴과 동시에 용접이 가능하도록 토오치를 장착하고 완료후에는 자동으로 취출되게 하므로서 간편한 방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로서,
(a)는 재료(원통형 파이프와 측면캡)가 공급되는 준비상태이고,
(b)는 재료가 공급된 상태이며,
(c)는 용접이 끝난 상태에서 완제품을 빼내는 상태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구조도로서,
(a)는 측면캡이 장착되는 상태이고,
(b)는 측면캡과 원통형 파이프를 결합한 후 가접하는 상태이며,
(c)는 가접후의 용접상태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고안을 사용하여 용접하는 완제품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 작업대 2 : 스크류
3 : 이송측 작업대 4,4' : 캡고정축
5 : 돌부 6,6' : 원통형 파이프고정축
7 : 클램프 8 : 고정대
9 : 와이어형 용접봉 10,10' : 토오치
11,11' : 홀더 12 : 위치선정 베아링
13 : 밸트식 콘베이어 14 : 밀판
15 : 재료공급대 16 : 완제품 이송대
본 고안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콘베이어의 부품으로서 원통형 파이프 양측에 측면캡을 결합한 후 용접하는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베이어용 안내로라 제작시 적정길이로 절단된 원통형 파이프의 측면에 측면캡을 결합하여 지그에 올려놓고 가접한 후 선반축에 고정시켜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접촉된 원주를 따라 용접하였으므로 수작업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뿐만 아니라 작업 자체가 매우 번거로웠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중심축상에 재료(원통형 파이프와 측면캡)를 자동으로 공급시킨 후 회전시킴과 동시에 용접이 가능하도록 토오치를 장착하고 완료 후에는 자동으로 취출되게 하므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측 작업대(1)와 하부에 스크류(2)가 결합되어 있는 이송측 작업대(3)에는 캡고정축(4)(4')과 삼방향으로 돌부(5)가 있는 원통형 파이프고정축(6)(6')을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며, 그 위로는 클램프(7)에 연접되게 고정대(8)를 설치하여 와이어형 용접봉(9)용 토오치(10)(10')가 결합된 홀더(11)(11')와 위치선정 베아링(12)을 각각 장착하되 클램프(7)의 일측면에는 벨트식 콘베이어(13)를 설치하고 위치선정 베아링(12)의 양측면에는 밑판(14)이 결합된 재료공급대(15)와 완제품 이송대(16)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실린더, 18은 모타, 19는 센서, 20은 콘트롤 박스, 21은 받침대, 22는 프레임, 23은 이송안내봉, 24는 메인 컨트롤박스, 25는 원통형 파이프, 26은 측면캡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의 벨트식 콘베이어(13)와 경사진 재료공급대(15) 위에 다수개의 측면캡(26)와 원통형 파이프(25)를 각각 올려놓고 콘트롤 박스(20)를 ON시키면, 측면캡(26)은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램프(7)에 잡힌 상태로 하강하여 고정측 작업대(1)의 캡고정축(4)에 삽입하게 되고 원통형 파이프(25)는 밀판(14)의 상승으로 인해 위치선정 베아링(12) 위에 올려지게 된다. 단, 이송측 작업대(3)의 캡고정축(4')에는 직접 손으로 측면캡(26)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4도의 (b)와 같이 캡고정축(4)(4')과 원통형 파이프고정축(6)(6')을 전진시키면 측면캡(26)과 원통형 파이프(25)는 밀착하게 되고 클램프(7)가 상승한 후 삼방향으로 돌출된 돌부(5) 사이로 홀더(11)(11')에 고정된 토오치(10)(10')가 이동하여 와이어형 용접봉(9)으로 가접하게 된다. 가접 후에는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파이프고정축(6)(6')은 후진하게 된 후 캡고정축(4)(4')의 회전으로 인하여 원주를 따라 용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접이 완료되면 제3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완제품 이송대(16)가 완제품을 들어줌으로써 자동으로 취출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측 작업대(3)는 스크류(2)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므로 원통형 파이프(2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작동시 방향전환 및 회전, 위치이동기능은 공지의 실린더(17) 및 모타(18), 센서(19)에 의해 단계적으로 작동되고 작업진행중 고정대(8)의 하강으로 원통형 파이프(25)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높은 숙련도가 필요없으며, 거의 자동으로 진행되는 간편한 작업방법 및 작업시간 단축, 인원절감 등으로 인하여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고정측 작업대(1)와 하부에 스크류(2)가 결합되어 있는 이송측 작업대(3)에는 캡고정축(4)(4')과 삼방향으로 돌부(5)가 있는 원통형 파이프고정축(6)(6')을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며, 그 위로는 클램프(7)에 연접되게 고정대(8)를 설치하여 와이어형 용접봉(9)용 토오치(10)(10')가 결합된 홀더(11)(11')와 위치선정 베아링(12)을 각각 장착하되 클램프(7)의 일측면에는 벨트식 콘베이어(13)를 설치하고 위치선정 베아링(12)의 양측면에는 밀판(14)이 결합된 재료공급대(15)와 완제품 이송대(16)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KR2019960029548U 1996-09-13 1996-09-13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KR20014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48U KR200145728Y1 (ko) 1996-09-13 1996-09-13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48U KR200145728Y1 (ko) 1996-09-13 1996-09-13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241U KR19980016241U (ko) 1998-06-25
KR200145728Y1 true KR200145728Y1 (ko) 1999-06-15

Family

ID=1946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548U KR200145728Y1 (ko) 1996-09-13 1996-09-13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34B1 (ko) * 2008-06-20 2011-06-03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용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34B1 (ko) * 2008-06-20 2011-06-03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241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7360B (zh) 一种能够进行位置检测的圆形电容组装机
EP0110379B1 (en) An automatic welding apparatus
CN206216158U (zh) 一种双工位斗式提升机料斗自动焊机
KR200145728Y1 (ko) 콘베이어용 안내로라의 용접장치
KR101839241B1 (ko) 소재 이송형 용접장치
KR100426217B1 (ko) 머플러 용접장치
CN209716985U (zh) 电子雷管产线用一体化自动焊接设备
CN115922067A (zh) 焊接装置和加工设备
KR200351111Y1 (ko) 자동용접장치
CN215280566U (zh) 适用于阀体的自动焊接机
CN211661477U (zh) 用于齿轮生产的视觉定位装置
KR101950334B1 (ko) 컬링 장치
CN108406148A (zh) 一种适应机器人智能焊接兼自动输送、夹持的反变形装置
KR20080090829A (ko) 면취 및 마킹 가공기기
CN220839173U (zh) 一种钢管坡口成型装置
CN107803613A (zh) 一种双工位斗式提升机料斗自动焊机
KR200188687Y1 (ko) 튜브형 용접모재의 내면용접장치
CN215999170U (zh) 用于将异形杆状构件与片状构件焊接的双工位焊接工装
KR200147292Y1 (ko) 보온용기의 용접장치
JP2003290983A (ja) 円筒状ワークの溶接方法及びその溶接装置
CN218285761U (zh) 一种高精密度的具有自动送料切割装置
CN216138418U (zh) 一种输送带钢制辊芯辅助成型焊接装置
CN115351539B (zh) 内孔装o型圈设备
CN217371007U (zh) 用于将异形杆状构件与片状构件焊接的双工位焊接工作站
JPS6293078A (ja) 自動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