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553A -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553A
KR19990075553A KR1019980009804A KR19980009804A KR19990075553A KR 19990075553 A KR19990075553 A KR 19990075553A KR 1019980009804 A KR1019980009804 A KR 1019980009804A KR 19980009804 A KR19980009804 A KR 19980009804A KR 19990075553 A KR19990075553 A KR 1999007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ignal
control
control system
traff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왈선
양준모
Original Assignee
임왈선
주식회사 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왈선, 주식회사 신호 filed Critical 임왈선
Priority to KR101998000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5553A/ko
Publication of KR1999007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553A/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유선 선로인 중앙 통신 장치와 유선 통신 단국 장치가 유선 통신 전용 회선을 통하여 전자 교통 신호 제어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뎀과 데이터를 매초간 송수신하여 교통 흐름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유선 통신 단국 장치는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기존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반적인 교통 신호 제어기를 철거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전자 교통 신호 시스템에 맞는 유선 통신 선로 개통에 따른 도로 굴착등 시스템 설치에 따른 많은 부대 설치 공사를 동반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교통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과 교통 신호 제어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이 교통 흐름에 대응하여 교통 신호 제어기를 일괄 제어 운영하는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을 기본 적인 체제로 하면서 교통 신호 제어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교통 관제 시스템의 중앙 컴푸터 제어 시스템에는 무선 통시 장치를 형성하고, 전자 교통 신호 제어기는 상기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형성하여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으로 부터 교차로에 설치된 교통 신호 제어기의 무선 수신 장치에 설정된 데이터가 일치하면 교통신호 제어기가 구동되도록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교통 관제 신호를 무선 신호에 의한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교통 신호 제어기에 각각의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무선 중앙 관제 시스템에서 교통 신호 제어기 별로 고유 번호와 신호 제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면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교통 신호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 교통 관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 운영 기술은 독립 제어 운영 방식과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이 채택되고 있다.
독립 제어 운영 방식은 도1에 도시되어 있고,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은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독립 제어 운영 방식은 교통 신호 제어기(1)가 주제어부(2), 모순 검지부(3), 신호등 구동부(4) 및 입력 단자판(5)이 함체(6)에 구비되어 교차로 단위별로 설치하므로서 신호등(7)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각각의 교통 신호 제어기가 차량의 통행량과 정체되는 정도에 관계없이 사전에 계획된 데어터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되므로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차량의 통행량과 정체 정도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고 또한 인접한 교통 신호 제어기와 연계적으로 신호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신호연계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키지 못하므로써 교통 흠름을 차단하는 등 교통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처하고자 테이타를 수정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운영자가 교통 제어 신호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직접 나가서 데이터를 수정 입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와 같이 독립 제어 운영 방식은 운영상 많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어서 혼잡한 도심의 교통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은 상기한 독립 제어운영 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A)으로부터 유선 선로인 중앙 통신 장치(21)와 유선 통신 단국 장치(22)가 유선 통신 전용 회선을 통하여 전자 교통 신호 제어기(Al·A2... An)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뎀과 데이터를 매초간 송수신 하므로써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A)이 교통 흐름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전자 교통 신호 제어기(Al·A2... An)를 일괄 제어 운영하므로써 교통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인접되어 있는 전자 교통 신호 제어기와 신호를 연계 운영하여 교통 흐름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 또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A)과 지역 제어를 위한 교통 신호 제어기(A1·A2... An)를 연결시켜 주는 유선 통신 단국 장치(22)는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A)을 구축하면서 기존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일반적인 교통 신호 제어기를 철거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전자 교통 신호 시스템에 맞는 유선 통신 선로 개통에 따른 도로 굴착 등 시스템 설치에 따른 많은 부대 설치 공사를 동반하고 있다.
이는 막대한 투자 비용과 상기간의 공사로 이어지며 이로 인하여 현재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은 일부의 대도시에 한정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도로 주변에서 가스 및 상수도 배관 작업이나 지하철·지하 차도등의공사를 할 경우 전화 회선을 파손하게 되면 교통 신호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예기치 못한 심각한 교통 정체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통 신호 제어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교통 관제 시스템의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의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교통 신호 제어기에는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등을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교통 신호 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과 교통 신호 제어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중앙 컴퓨터 제어 시스템이 교통흐름에 대응하여 교통 신호 제어기를 일괄되게 제어하여 운영하는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을 기복적으로 유지하면서 다수의 교통 신호 제어기를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하므로써 신호등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무선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의한 무선 교통 관제 신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 등을 제어하는 교통 관제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교통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신호 제어기에서 일정한 주기마다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제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무선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무선 제어 데이터의 고유 번호와 교통 신호 제어기에 설정된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무선 제어 데이터의 고유번호와 교통 신호 제어기에 설정된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할 경우 신호 등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제어부가 구비된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 등을 제어하는 교통 관제 신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교통 신호 제어기의 제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신호 송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교통 신호 제어기는 상기 무선 신호 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와,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각각의 고유번호가 설정되며 수신된 데이터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신호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 신호 등을 점멸시키는 신호등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교통 신호기의 독립 제어 운영 방식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종래 교통 신호기의 전다른 운영 체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교통 관제 제어 시스템의 운영 체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교통 관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신호 제어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교통 관제 제어 시스템의 운영 체계를 나타낸 개요도로써, 교통 관제 시스템(B)는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교통 신호제어기(B1·B2... Bn)를 무선으로 원격 조정하기 위하여 각종 데어터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에는 교통 관제 시스템(B)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와 유선으로 연결된 신호등(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 지는 무선 교통 관제 제어 시스템의 동작 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교통 관제 시스템(B)에서 관제 지역 내의 교통 상황을 감시 화면(CCTV) 등의 관제 시설물과 현장 근무자로부터 교통 상황 정보가 입수되면 특정지역 도로의 통행량에 따라 각 지역의 신호 등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대상인 교통신호 제어기(B1·B2... Bn)의 고유 번호 및 신호등(200) 램프의 순차적 점멸 시간등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데이터에 해당하는 신호를 소정 대역의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여 공간으로 방사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구간, 또는 지역마다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신호등(7)을 제어하기 위한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는 교통 관제 시스템(B)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내부적으로 설정된 여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각각의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에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신호등(200)에 전송되어 교통 관제 시스템(B)에서 입력된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신호등(200)이 원격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5에 의해 본 발명의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교통 관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교통 관제 시스템(B)은 교통의 흐름에 따라 신호 등을 제어하기 위해 각 신호 등의 점멸 시간 및 각 교통 신호 제어기의 고유 번호등 다양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100)와, 상기 중앙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출력 데이터를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송출하는 무선 신호 송출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간 또는 지역마다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신호등을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B)의 제어에 의해 점멸시키는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에는 교통 관제 시스템(B)인 무선 신호 송출부(11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101)와 , 각각의 고유번호가 설정되며,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즉 설정된 고유번호 및 신호등 제어에 관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신호 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l02)와, 상기 주제어부(102)의 출력 신호에 의해 해당 신호 등을 점멸시키는 신호등 구동부(103)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 신호 제어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다른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도 4 및 도 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통 관제 시스템(B)에서 특정 지역 도로의 통행량에 따라 각 지역의 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중앙 제어부(100)에 제어 대상인 교통 신호제어기(B1·B2... Bn)의 고유 번호 및 신호등(200) 램프의 순차적 점멸 시간 등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송출부(11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무선 송출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신호를 소정 대역의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여 공간으로 방사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구간 또는 지역마다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신호등(200)을 제어하기 위한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는 무선 신호 수신부(101)에 의해 교통 관제 시스템(B)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주제어부(102)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102)는 일정한 주기로 무선 신호 수신부(10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도 5의 단계 301>
이때 주제어부(102)에서 무선 신호 수신부(101)로부터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도 5의 단계 302>,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이 분석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번호가 주제어부(102)에 설정된 고유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도 5의 단계 303> 수신된 고유 번호와 설정된 고유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수신된 고유번호가 설정된 고유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신된 고유번호가 설정된 고유 번호와 동일한 경우 신호등 구동부(203)에 각 신호등(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도 5의 단계 304), 이러한 제어 신호는 상기 각각의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에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신호등(200)에 전송되어 교통 관제 시스템(B)에서 입력된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신호등(200)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통 관제 시스템(B)에 특정 지역의 교통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신호등(200)을 제어할 경우 모든 데이터의 송수신이 무선으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어 도로의 교통량에 따라 교통 관제 시스템(B)에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일반적인 교통 신호 제어기를 철거하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전자 교통 신호 체계 시스템에 필요한 중앙 통신 장치와 통신 단국 장치 및 유선 통신 선로를 구성하기 위한 도로 굴착 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무선 호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설치하므로써 많은 비용을 절감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한 신호 체계에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 등을 제어하는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교통 신호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 신호 제어기에서 일정 주기마다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제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무선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무선 제어 데이터의 고유 번호와 교통 신호 제어기에 설정된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무선 제어 데이터의 고유 번호와 교통 신호 제어기에 설정된 고유 번호가 서로 일치할 경우 신호 등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2. 중앙 제어부가 구비된 교통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 신호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등을 제어하는 교통 관제 신호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통 관제 시스템(A)은 상기 중앙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의 제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신호 송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교통 신호 제어기(B1·B2... Bn)는 상기 무선 신호 송출부(11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101)와,
    상기 무선 신호 수신부(101)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각각의 고유 번호가 설정되며 수신된 데이터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신호등(200)을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102)와,
    상기 주제어부(102)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 신호등(200)을 점멸시키는 신호등 구동부(1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장치.
KR1019980009804A 1998-03-16 1998-03-16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9990075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804A KR19990075553A (ko) 1998-03-16 1998-03-16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804A KR19990075553A (ko) 1998-03-16 1998-03-16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553A true KR19990075553A (ko) 1999-10-15

Family

ID=6590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804A KR19990075553A (ko) 1998-03-16 1998-03-16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555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523A (ko) * 1999-07-10 2001-02-05 정석영 교통신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원격제어장치
KR100345637B1 (ko) * 1999-11-11 2002-07-27 코넷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5038B1 (ko) * 2000-04-07 2007-05-09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1070B1 (ko) * 2006-11-27 2007-10-30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1915B1 (ko) * 2011-04-26 2013-02-08 주식회사 히가리이노비젼 원격 제어기능을 갖는 신호등 시스템
KR101506301B1 (ko) * 2013-06-26 2015-03-26 도로교통공단 캔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523A (ko) * 1999-07-10 2001-02-05 정석영 교통신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원격제어장치
KR100345637B1 (ko) * 1999-11-11 2002-07-27 코넷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5038B1 (ko) * 2000-04-07 2007-05-09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1070B1 (ko) * 2006-11-27 2007-10-30 강신란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1915B1 (ko) * 2011-04-26 2013-02-08 주식회사 히가리이노비젼 원격 제어기능을 갖는 신호등 시스템
KR101506301B1 (ko) * 2013-06-26 2015-03-26 도로교통공단 캔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6186A (ko) Led가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60107262A (ko) 긴급차량 교통제어 시스템
KR100816885B1 (ko) 릴레이 중계방식을 이용한 가로등 양방향 원격 제어시스템
KR20060083357A (ko) 긴급차선 확보용 긴급신호등장치
KR19990075553A (ko) 무선 교통 관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A2259837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mote monitoring and signalling
KR20000058895A (ko) 유무선 통합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KR100528671B1 (ko) 교통 신호등 무선 제어장치
KR20050066403A (ko)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1879617B1 (ko) Led신호등 제어를 위한 교통신호등 시스템
KR20020092046A (ko) 교통 정보 수집 및 상황 감시를 위한 통합 전송 장치
KR101685190B1 (ko) 도로조명 무선 원격관제시스템을 이용한 상하수도 무인검침서비스 통합관제시스템
KR20040022306A (ko) 신호제어기와 차량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060129993A (ko)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717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와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장치의 신호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
KR10034563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15346Y1 (ko) 전자식 교통신호제어기의 무선 연동제어장치
JP2015133265A (ja) 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
KR102604315B1 (ko)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 제어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30009261A (ko) 도로 통제 시스템
KR20050078038A (ko) 교통신호기의 무선 제어장치
CN110736964A (zh) 路灯自动部署定位系统以及路灯部署定位方法
KR200388612Y1 (ko) 릴레이 중계방식을 이용한 가로등 양방향 원격 제어시스템
KR200310279Y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등기구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