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604A -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604A
KR19990074604A KR1019980008301A KR19980008301A KR19990074604A KR 19990074604 A KR19990074604 A KR 19990074604A KR 1019980008301 A KR1019980008301 A KR 1019980008301A KR 19980008301 A KR19980008301 A KR 19980008301A KR 19990074604 A KR19990074604 A KR 19990074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bps
data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623B1 (ko
Inventor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6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1Coherent receivers
    • H04B10/616Details of the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in coherent optical receivers
    • H04B10/6165Estimation of the phase of the received optical signal, phase error estimation or phase error cor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송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수신용 광모듈이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든지 없든지 상관없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이상 동작시 수신용 광모듈이 클럭을 데이터처리부에 자체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면 내부에서 만들어진 클럭이 선택되게 제어하여 데이터처리부에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전송장치의 수신데이터처리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모듈 제작사들마다의 제품특성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는 광모듈 제작사들이 예컨대, 광출력, 광파장 등등과 같은 광특성에 따라 광모듈 제품을 다양하게 제작하기 때문이다. 상기 광모듈은 송신용 광모듈과 수신용 광모듈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수신용 광모듈은 수신되는 광신호에서 데이터 및 클럭을 추출하고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용 광모듈들중에서는 수신 광신호가 LOS(Loss Of Signal)되었을 시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품이 있는가 하면 상기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제품도 있다.
광전송장치에서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수신용 광모듈이 채용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의 일예 구성은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용 광모듈 2는 600Mbps광신호 A에서 데이터 및 클럭을 추출하고 622Mbps의 수신클럭 B와 수신데이터 C의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직/병렬변환부 4로 출력한다. 직/병렬변환부 4는 622Mbps 수신클럭 B와 622Mbps 수신데이터 C를 직/병렬 변환하여 155Mbps 수신클럭 D와 155Mbps 수신데이터 E로 만들고, 이를 데이터처리부 6으로 출력하고, 데이터 처리부 6은 상기 수신데이터 E를 상기 수신클럭 D에 응답하여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 6은 일예로, STM-4 ASIC(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 4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된다.
도 1과 같이 사용된 수신용 광모듈 2는 600Mbps 광신호 A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즉, 600Mbps 광신호 A가 LOS일 경우에는 622Mbps의 수신클럭 B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처리부 6으로 클럭을 제공하지 못한다. 클럭을 제공받지 못하면 데이터처리부 6은 데이터 송신측인 대국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 경보신호 OOF(Out Of Frame)가 대국측으로 전달된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전송선로 에러 등을 의미하는 MS-FERF(Multiplex Section - Far End Receive Fail), AU-AIS(Administration Unit - Alarm Indication Signal)의 경보신호를 송출하여야 한다.
600Mbps 광신호 A가 LOS인데도 데이터처리부 6이 MS-FERF, AU-AIS의 경보신호를 송출하면, 대국에서는 자체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이전에 송출된 데이터를 반복해서 계속 송출한다. 그렇지만 실제 문제는 전송선로 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에서는 대국에서 송출해주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없게 된다.
만약 도 1의 수신용 광모듈이 수신신호 LOS시 자체적으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다면, 데이터 처리부 6은 올바른 경보신호를 대국으로 송출한다. 즉, 수신신호 LOS시에는 전송선로 등이 문제 있음을 의미하는 MS-FERF, AU-AIS의 경보신호를 대국으로 송출한다. 그에 따라 운용자가 경보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수신용 광모듈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기 때문에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에서는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제품의 수신용 광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고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제품의 수신용 광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만약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제품의 수신용 광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도 1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모듈의 특성에 관계없이 수신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용 광모듈이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든지 없든지 상관없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대국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및 클럭으로 복원하고 상기 광신호 수신여부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신호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클럭을 수신처리에 적합한 전송속도 및 방식에 맞는 수신데이터 및 수신클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시스템클럭을 동기하고 상기 수신클럭과 전송속도가 같은 송신클럭을 발생하는 송신클럭발생부와,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클럭 및 송신클럭을 선택으로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대국으로 각종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전송장치에서의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의 일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장치에서의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송장치에서의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구성도이다. 도 2의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중에서 수신용 광모듈 2, 직/병렬변환부 4, 데이터 처리부 6은 도 1의 동일한 구성요소와 거의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용 광모듈 2는 광신호의 수신유무에 따른 신호손실경보 LOS_ARM(Loss Of Signal AlaRM)을 출력하는 동작이 도 1에 따른 수신용 광모듈 2와는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수신용 광모듈 2는 LUCENT사의 622Mbps 수신용 광모듈인 RX1330DC모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병렬변환부 4와 데이터처리부 6 사이에 멀티플랙서 1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시스템클럭을 동기시키고 동기된 시스템클럭을 도 2의 직/병렬변환부 4에서 출력되는 155Mbps수신클럭 D와 동일한 전송속도를 가지는 155Mbps 송신클럭 H를 발생하는 송신클럭발생부 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송신클럭발생부 20은 클럭동기부 12와, 분주기 14로 구성된다. 상기 클럭동기부 12는 622Mbps 시스템클럭 F를 동기시키고, 상기 분주기 14는 상기 클럭동기부 12에서 출력되는 622Mbps 시스템클럭 F을 소정 분주하여 155Mbps의 송신클럭 H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럭동기부 12는 예컨대, SY89426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주기 14는 예컨대, 병/직렬변환기인 100E446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분주기 14에서 출력되는 155Mbps의 송신클럭 H는 멀티플랙서 10의 입력단 0에 인가되고, 직/병렬변환부 4에서 출력되는 155Mbps의 수신클럭 D는 상기 멀티플랙서 10의 입력단 1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플랙서 10의 선택단 S로는 수신광모듈 2에서 출력되는 LOS_ARM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LOS_ARM신호는 600Mbps 광신호 A가 수신될 경우에는 논리 "L"상태가 되고, 상기 600Mbps 광신호 A가 수신될 경우에는 논리 "H"상태가 된다. 멀티플랙서 10은 상기 LOS_ARM신호가 논리 "L"상태일 경우에는 입력단 0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LOS_ARM신호가 논리 "H"상태일 경우에는 입력단 1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멀티플랙서 10은 10H159모델이다.
지금 600Mbps의 광신호 A가 수신되게 되면 수신용 광모듈 2는 이를 622Mbps수신클럭 B와 622Mbps의 수신데이터 C로 복원하여 직/병렬 변환부 4로 출력한다. 그리고, 멀티플랙서 10의 선택단 S로 L0S_ARM="L"을 출력한다. 직/병렬변환부 4는 수신용 광모듈 2에서 출력된 622Mbps 수신클럭 B와 622Mbps 수신데이터 C를 직/병렬변환하여 155Mbps 수신클럭 D와 155Mbps 수신데이터 E로 만들고, 상기 수신데이터 E는 데이터처리부 6으로 인가하고 상기 수신클럭 D는 멀티플랙서 10의 입력단 0으로 인가한다. 상기 멀티플랙서 10의 입력단 1에는 송신클럭발생부 20에서 출력되는 155Mbps송신클럭 H가 인가된다. 멀티플랙서 10은 선택단 S로 인가되는 L0S_ARM="L"에 응답하여 입력단 0을 선택하므로 155Mbps 수신클럭 D가 선택되어 155Mbps클럭 I로서 데이터처리부 6에 인가된다. 데이터 처리부 6은 상기 수신데이터 E를 멀티플랙서 10을 통해 인가되는 수신클럭 D(즉, 클럭 I임)에 응답하여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한편 600Mbps의 광신호 A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용 광모듈 2는 멀티플랙서 10의 선택단 S로 L0S_ARM="H"을 출력한다. 그에 멀티플랙서 10은 선택단 S로 인가되는 L0S_ARM="H"에 응답하여 입력단 1을 선택하므로 송신클럭발생부 20에서 출력되는 155Mbps 송신클럭 h가 선택되어 155Mbps클럭 I로서 데이터처리부 6에 인가된다. 데이터처리부 6은 155Mbps클럭신호만 인가됨에 따라 전송선로 에러 등을 의미하는 MS-FERF(Multiplex Section - Far End Receive Fail), AU-AIS(Administration Unit - Alarm Indication Signal)의 경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신용 광모듈이 클럭을 자체적으로 생성하던 하지 못하던 상관없이 수신신호 손실이 발생되면 데이터처리부 6에 클럭신호를 제공하여 주므로, 수신용 광모듈을 광특성이 관계없이 사용하여도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부품번호 및 특정 전송속도의 신호등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신호 수신시에는 수신용 광모듈에서 복원한 클럭을 데이터처리부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광수신 미수신시에는 내부에서 만들어진 클럭을 데이터처리부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므로, 수신용 광모듈이 클럭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든지 없든지 상관없이 수신데이터처리장치가 정확한 제어동작을 하게 한다.

Claims (3)

  1.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대국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및 클럭으로 복원하고 상기 광신호 수신여부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신호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클럭을 수신처리에 적합한 전송속도 및 방식에 맞는 수신데이터 및 수신클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시스템클럭을 동기하고 상기 수신클럭과 전송속도가 같은 송신클럭을 발생하는 송신클럭발생부와,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클럭 및 송신클럭을 선택으로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대국으로 각종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클럭발생부는
    상기 시스템클럭을 동기시키는 클럭동기부와,
    상기 클럭동기된 시스템클럭을 상기 수신클럭과 전송속도가 되도록 분주하여 출력하는 분주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대국에서 전송된 600Mbps 광신호를 수신하여 622Mbps의 수신데이터 및 수신클럭으로 복원하고 상기 광신호 수신여부에 따른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신호수신부와,
    상기 622Mbps의 수신데이터 및 수신클럭을 155Mbps의 수신데이터 및 수신클럭으로 병렬 변환하는 직/병렬변환부와,
    622Mbps의 시스템클럭을 동기시키는 클럭동기부와,
    상기 클럭동기된 622Mbps의 시스템클럭을 소정 분주하여 155Mbps의 송신클럭으로 출력하는 분주기와,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155Mbps 수신클럭 및 155Mbps 송신클럭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155Mbps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직/병렬 변환부에서 출력된 155Mbps의 수신데이터를 처리하여 대국으로 각종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처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08301A 1998-03-12 1998-03-12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KR10026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01A KR100260623B1 (ko) 1998-03-12 1998-03-12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01A KR100260623B1 (ko) 1998-03-12 1998-03-12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604A true KR19990074604A (ko) 1999-10-05
KR100260623B1 KR100260623B1 (ko) 2000-07-01

Family

ID=1953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301A KR100260623B1 (ko) 1998-03-12 1998-03-12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315B1 (ko) * 1999-08-05 2001-11-01 윤종용 전송속도 무의존성의 광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342567B1 (ko) * 1999-12-30 2002-07-04 윤종용 트랜스패런시를 확보한 광 교차-접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315B1 (ko) * 1999-08-05 2001-11-01 윤종용 전송속도 무의존성의 광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342567B1 (ko) * 1999-12-30 2002-07-04 윤종용 트랜스패런시를 확보한 광 교차-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623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7252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HU219747B (hu) Eljárás szinkronizálásra
KR100260623B1 (ko)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US9960841B2 (en) Optical-transceiver control circuit, optical network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of optical-transceiver
US6657953B1 (en) Signal loopback device
CA127972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two data processing equipments each driven by an independent clock
CA1208815A (en) Test equipment for manually testing an optical glassfibre subscriber line which i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wavelength multiplex
GB2226202A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JPH02142231A (ja) ジッタレス光伝送方法
JPH08139713A (ja) データ送受信方式
JP2720543B2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障害情報検出方法
GB2131248A (en) Test equipment for testing an optical fibre transmission line
KR10022761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KR100321003B1 (ko)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한 시각 동기 신호 분배장치
KR960009775A (ko) 국설교환기의 기준클럭선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3253129A (ja) 同期クロックの障害情報の伝達方式
CN115701696A (zh) 一种载波调制装置
JP2956391B2 (ja) 光加入者伝送装置の加入者線インタフェース部
JP2605108Y2 (ja) 信号伝送システムの伝送試験装置
KR200342884Y1 (ko) 지피에스클럭을 이용한 에이티엠스위치의 이중화클럭생성장치
KR100307403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
KR100273045B1 (ko) 클록 발생기의 외부 동기원 접속장치
JPS62171349A (ja) 通信制御装置
JPH05344090A (ja) 光同期端局装置
JPS63338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