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596A - 수정진동자 - Google Patents

수정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596A
KR19990074596A KR1019980008287A KR19980008287A KR19990074596A KR 19990074596 A KR19990074596 A KR 19990074596A KR 1019980008287 A KR1019980008287 A KR 1019980008287A KR 19980008287 A KR19980008287 A KR 19980008287A KR 19990074596 A KR19990074596 A KR 1999007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crystal oscillator
leads
pin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694B1 (ko
Inventor
최현두
Original Assignee
최현두
제원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두, 제원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현두
Priority to KR101998000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6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consisting of quartz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슬리트핀과 리이드의 용접강도를 증대시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정진동자가 채용된 제품의 주요 고장원을 배제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충분한 전류의 도통 및 이에 따른 원활하고 충분한 작용으로 제품전체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8)에 한 쌍의 리이드(10)(12)가 글래스(14)(16)에 의해 절연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리이드(10)(12) 상단면에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된 슬리트핀(18)(20)이 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수정진동자에 있어서, 슬리트핀(18)(20)이 융착되는 상기한 한 쌍의 리이드(10)(12) 상단면이, 스크렛치 가공됨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P1~Pn)에 의한 돌기부(24)(26)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정진동자
본 발명은 수정진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높은 정밀도의 진동수를 얻기 위한 압전소자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홀더에 부착,결합시켜 구성된 수정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어떤 종류의 결정체를 전계 중에 두면 일그러짐이 생기고, 또는 일그러짐을 가하면 압전기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진동자로 사용하게 되며,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발하는 소자로는 수정, 로셀염, 티탄산바륨 등이 있다.
특히 수정은 높은 정밀도의 진동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2)에 안착된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전류의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홀더(2)는 한 쌍의 구멍(4)(6)이 뚫린 베이스(8)와, 이 베이스(8)의 구멍(4)(6)에 절연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리이드(10)(12) 및 리이드(10)(12)와 베이스(8)를 절연 상태로 결합시키는 글래스(14)(16)와 상기 리이드(10)(12) 상단면에 융착되는 슬리트핀(18)(20)으로 구성되어 이러한 슬리트핀(18)(20)에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정진동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제조된 뒤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구멍(4)(6)이 베이스(8)에 뚫리면 이러한 베이스(8)의 구멍(4)(6)으로 그 상단이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리이드(10)(12)들을 이격 상태로 끼워 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하에서 베이스(8)의 구멍(4)(6)에 글래스(14)(16)를 조립 후 용응시켜 응고시킨다.
이로써, 한 쌍의 리이드(10)(12)가 베이스(8)에 절연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며, 시이트(S)에 소정 형상으로 프레싱된 다수의 것중에서 어느 한 쌍의 슬리트핀(18)(20)를 리이드(10)(12) 상단면에 접촉시킨 상태하에서 융접한 후 시이트(S)로부터 절단하여 슬리트핀(18)(20)들이 리이드(10)(12)와 전기적인 접촉 상태하에서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홀더(2)의 슬리트핀(18)(20)에는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제조된 수정 등과 같은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되며, 리이드(10)(12)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의 전계중에 있게되는 압전소자(22)가 압전효과에 의한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정진동자는 리이드(10)(12) 상단면이 평탄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므로 보통 전기저항열에 의해 융착되는 슬리트핀(18)(20)의 융접강도가 낮게 되며, 따라서 진동력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우려를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즉, 리이드(10)(12)와 슬리트핀(18)(20)의 가용접 상태가 초래됨으로써 야기되는 분리현상의 발생에 따라 수정진동자가 채용된 제품의 주요 고장원을 제공하게 될 뿐 아니라, 가용접 상태하에서 전류의 도통정도가 저하되므로 원활하고 충분하지 못한 작용으로 제품전체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트핀과 리이드의 융접강도를 증대시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정진동자가 채용된 제품의 주요 고장원을 배제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충분한 전류의 도통 및 이에 따른 원활하고 충분한 작용으로 제품전체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정진동자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정진동자를 나타내기 위한 일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수정진동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수정진동자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정진동자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홀더 4,6 : 구멍
8 : 베이스 10,12 : 리이드
14,16 : 글래스 18,20 : 슬리트핀
22 : 압전소자 24,26 : 돌기부
P1~Pn: 돌기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에 한 쌍의 리이드가 글래스에 의해 절연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리이드 상단면에 압전소자가 안착,결합된 슬리트핀이 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수정진동자에 있어서, 슬리트핀이 융착되는 상기한 한 쌍의 리이드 상단면이, 스크렛치 가공됨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한 돌기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를 제공한다.
상기한 돌기부의 다수 돌기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로,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반원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부의 다수 돌기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2㎜로, 그 밑변길이가 0.1㎜로, 그 높이가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부의 다수 돌기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로,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부의 다수 돌기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2㎜로, 그 밑변길이가 0.1㎜로, 그 높이가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상의 특성에 따라 점용접이 행해질 때 각 돌기들의 부분에서 전기저항열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므로 점용접작용 효과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슬리트핀과 리이드의 용접강도가 증폭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에 압전소자(22)가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안착, 결합됨으로써 인가되는 전류에 의한 압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수정진동자에 관련된다.
즉, 홀더(2)는 종래와 같이 한 쌍의 구멍(4)(6)이 뚫린 베이스(8)가 구비되어 있다.
또, 베이스(8)의 구멍(4)(6)에 절연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리이드(10)(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10)(12)와 베이스(8)를 절연 상태로 결합시키는 글래스(14)(16)와 상기 리이드(10)(12) 상단면에 융착되는 슬리트핀(18)(20)으로 구성되어 이러한 슬리트핀(18)(20)에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정진동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제조된 뒤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구멍(4)(6)이 베이스(8)에 뚫리면 이러한 베이스(8)의 구멍(4)(6)으로 그 상단이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리이드(10)(12)들을 이격 상태로 끼워 배치시키고 있다.
또, 이러한 상태하에서 베이스(8)의 구멍(4)(6)에 글래스(14)(16)를 조립 후 용융, 응고시키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리이드(10)(12)가 베이스(8)에 절연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시이트(S)에 소정 형상으로 프레싱된 다수의 것중에서 어느 한 쌍의 슬리트핀(18)(20)를 리이드(10)(12) 상단면에 접촉시킨 상태하에서 융접한 후 시이트(S)로부터 절단하여 슬리트핀(18)(20)들이 리이드(10)(12)와 전기적인 접촉 상태하에서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제조된 홀더(2)의 슬리트핀(18)(20)에는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제조된 수정 등과 같은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되며, 리이드(10)(12)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의 전계중에 있게되는 압전소자(22)가 압전효과에 의한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리트핀(18)(20)이 융착되는 상기한 한 쌍의 리이드(10)(12) 상단면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스크렛치 가공됨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P1~Pn)에 의한 돌기부(24)(2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도 4에서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에서 특히 0.2㎜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에서 특히 0.1㎜로, 또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에서 특히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은 상기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길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에서 특히 0.2㎜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에서 특히 0.1㎜로, 또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에서 특히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규격으로 형성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슬리트핀(18)(20)들이 각각 융접되었을 때 고유의 용접강도를 보유하게 되는데, 특정된 규격의 것과 기타의 규격의 것에 대한 용접강도를 비교하여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종래 평균 용접강도 : 642 g/㎟
본원발명 밑변의길이 피치→0.2㎜이고, 높이→0.02㎜이며
0.05㎜일 경우 0.1㎜일 경우 0.15㎜일 경우 0.2㎜일 경우 0.25㎜일 경우 0.3㎜일 경우
강도(g/㎟) 964 1,038 994 878 796 934
피 치 밑변의길이→0.1㎜이고, 높이→0.02㎜일 때
0.1㎜일 경우 0.15㎜일 경우 0.2㎜일 경우 0.25㎜일 경우 0.3㎜일 경우 0.35㎜일 경우 0.4㎜일 경우
강도(g/㎟) 901 942 1,035 986 924 634 476
높 이 피치→0.1㎜이고, 밑변의길이→0.02㎜일 때
0.005㎜일 경우 0.01㎜일 경우 0.015㎜일 경우 0.02㎜일 경우 0.025㎜일 경우 0.03㎜일 경우 0.035㎜일 경우 0.04㎜일 경우
강도(g/㎟) 890 894 950 1,032 954 948 814 624
즉, 밑변의 길이를 0.1㎜로 하고, 피치를 0.2㎜로 하며, 높이를 0.02㎜로 하였을 때의 구조상 특성에 따라 점용접이 행해질 때 각 돌기(P1~Pn)들의 부분에서 전기저항열이 집중발생되므로 점용접작용 효과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슬리트핀(18)(20)과 리이드(10)(12)의 용접강도가 가장 높은 1,038 g/㎟, 1,035 g/㎟, 1,032 g/㎟ 로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수정진동자는 슬리트핀과 리이드의 융접강도를 증대시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정진동자가 채용된 제품의 주요 고장원을 배제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충분한 전류의 도통 및 이에 따른 원활하고 충분한 작용으로 제품전체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베이스(8)에 한 쌍의 리이드(10)(12)가 글래스(14)(16)에 의해 절연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리이드(10)(12) 상단면에 압전소자(22)가 안착,결합된 슬리트핀(18)(20)이 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수정진동자에 있어서,
    슬리트핀(18)(20)이 융착되는 상기한 한 쌍의 리이드(10)(12) 상단면이, 스크렛치 가공됨에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P1~Pn)에 의한 돌기부(24)(26)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로,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반원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2㎜로, 그 밑변길이가 0.1㎜로, 그 높이가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15~0.25㎜의 범위로, 그 밑변길이가 0.1~0.2㎜의 범위로, 그 높이가 0.01~0.02㎜의 범위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돌기부(24)(26)의 다수 돌기(P1~Pn)들은,
    서로간의 피치 가 0.2㎜로, 그 밑변길이가 0.1㎜로, 그 높이가 0.02㎜로 각각 한정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진동자.
KR1019980008287A 1998-03-12 1998-03-12 수정진동자 KR10028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287A KR100286694B1 (ko) 1998-03-12 1998-03-12 수정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287A KR100286694B1 (ko) 1998-03-12 1998-03-12 수정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596A true KR19990074596A (ko) 1999-10-05
KR100286694B1 KR100286694B1 (ko) 2001-04-16

Family

ID=3751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87A KR100286694B1 (ko) 1998-03-12 1998-03-12 수정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98A (ko) * 2002-10-11 2004-04-21 제원전자 주식회사 수정 진동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349A (ja) * 1984-05-01 1985-11-16 Toshiba Corp リ−ドフレ−ム
JPH04318961A (ja) * 1991-04-17 1992-11-10 Hitachi Ltd リードフレー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98A (ko) * 2002-10-11 2004-04-21 제원전자 주식회사 수정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694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694B1 (ko) 수정진동자
US20070108254A1 (en) Circuit board
JPH10303472A (ja) 熱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519692A (ja) 溶加材なしにレーザ溶接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形成される電気装置
JP2000021675A (ja) 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3258588A (ja) 小型電子部品
JP4976263B2 (ja) 表面実装用の水晶発振器
JPH0716419U (ja) 電子部品用絶縁基板
JPH1032137A (ja) 電子部品
JPH10229223A (ja) 熱電素子
JPH0590870A (ja) 水晶振動子
JP3744611B2 (ja) 電子部品
JP3805024B2 (ja) 電子部品
JP4434979B2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H08172334A (ja) 圧電振動子
JP3563202B2 (ja) 電子部品
JP3563197B2 (ja) 電子部品
KR200209257Y1 (ko) 수정진동자의 프레임 구조
JPS6241457Y2 (ko)
JP3530594B2 (ja) 高電圧用可変抵抗器
JP3565990B2 (ja) 電子部品
KR200179859Y1 (ko) 박판부저의 터미널 구조
JPH118152A (ja) 電子部品
JPH118150A (ja) 電子部品
JPH118151A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