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329A - 승객 운송장치를 준비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승객 운송장치를 준비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329A
KR19990067329A KR1019980703331A KR19980703331A KR19990067329A KR 19990067329 A KR19990067329 A KR 19990067329A KR 1019980703331 A KR1019980703331 A KR 1019980703331A KR 19980703331 A KR19980703331 A KR 19980703331A KR 19990067329 A KR19990067329 A KR 1999006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emitter
guide element
skirt
rece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542B1 (ko
Inventor
한스-베르너 뷔셔
크리스티안 말레츠키
디르크 랑제
안드레아스 타우쯔
Original Assignee
페터 홰플링, 귀니어 코르데스
오 운트 카 롤트레펜 게엠베하 운트 코. 코만티드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터 홰플링, 귀니어 코르데스, 오 운트 카 롤트레펜 게엠베하 운트 코. 코만티드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페터 홰플링, 귀니어 코르데스
Publication of KR1999006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운송장치를 작동 준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환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1)는 방출기(4)와 수신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광배리어를 포함하고, 광배리어 장치의 신호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사용을 위해 준비되는 상태로 승객 운송 장치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하나 이상의 전자 평가장치(2)로 공급된다. 개별적인 방출기(4)와 수신기(5)는 광배리어 체인의 형태로 결합되고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대략 서로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다. 승객 운송 장치의 각각의 측면상의 방출기(4) 및 수신기(5)와 수신기(5) 및 방출기(4)는 대향한 측면상의 방출기(4)와 수신기(5)에는 연결되지 않고 플러그 접속식 연결장치(10)에 의해 작동된다.

Description

승객 운송장치를 준비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환장치
DE-C 29 41 119에는 광배리어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라 작동불능화(ON disable) 수단을 신호처리함에 의해 시스템을 작동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승객 운송장치,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이동 영역(travel area)에서 승객을 안전하게 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고, 상기 장치에서는 빛이 광배리어 장치내에서 반사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방출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수신기로 안내되고, 사전설정된 최소값에 따라 검사된다. 각각의 방출기는 모니터링 구획을 형성하여 정렬되고, 그에의해, 각각의 모니터링 구획은 반사장치와 관련하여 "부채꼴 형상(fanned)" 적용범위로 모니터링된다. 운송장치의 작동불능화 상태는 모든 모니터링 구획상의 수신기 신호의 수준이 최소값을 초과하고, 그 미분계수가 0이 되었을 때 작동불능화 수단에 의해 취소된다. 즉, 운송장치는 운송장치의 이동 영역내에 승객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만 가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운송장치의 이동 영역의 전체 영역이 실질상 전체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즉, 승객이 운송장치상에 서있거나 누워있는 것이 신뢰성있게 감지된다. 부가적으로, 실질적으로 이동 영역내에 아무도 없을때까지 시스템이 재가동 될 수 없도록 이동하는 중인 승객들도 마찬가지로 검출된다. 그러므로, 자동적으로 재가동됨에도 불구하고, 승객에 대한 어떠한 위험도 신뢰성 있게 배제된다.
상기 시스템의 기능상의 안전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스템은 필수적으로 반사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고의적인 경우에, 그 기능이 손상으로 인해 위험해질수 있다는 것은 역시 배제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바에 부가적으로 광배리어 상호 배선의 가격이 비싸다.
본 발명은 승객 운송장치, 특히,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용 재가동 장치(re-enabl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스커트부 영역내에 배치된 수신기(receiver)와 방출기(emitter)로 구성된 광배리어(light barrier)를 포함하고, 상기 광배리어의 신호는 하나 이상의 전자 분석기로 공급되고, 상기 전자 분석기는 비상 정지 버튼이 작동된 이후에 승객 운송장치의 작동 준비 상태를 자동적으로 회복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가동 장치의 시스템 다이어그램.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부에 고정된 방출기의 형태로 재가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선택적인 배열로 이동보도의 스커트부에 고정된 수신기의 형태로 재가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래킷의 평면도.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를 정교하게 하는 것이고, 그래서, 한편으로는 배선에 수반되는 비용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에따라 신호 처리의 비용이 가능한 간소하도록 모니터링 장치를 형성함에 의해 스커트부 영역내의 장착장치가 외부적인 영향으로부터 신뢰성 있게 보호되는 한편 방출기 및 수신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적인 방출기 및 수신기를 광배리어 체인으로 결합하고, 주어진 공간 내에서 대략 서로 대향하게 방출기와 수신기를 배열하고, 승객 운송장치의 각각의 측면상에 교대로 방출기와 수신기를 제공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제공하고, 인접한 측면상에 제공된 수신기와 방출기에 대해서는 연결하지 않고 승객 운송장치상의 각각의 측면상의 개별적인 방출기와 수신기를 연결장치로 배선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종속항에 기술된다.
광배리어 체인내에서 단지 방출기와 수신기의 두가지 형태만이 요구되는 동시에, 방출기와 수신기에서 코드화된 연결장치에 의해 배선 배열이 단순하게 되고, 상기 부품들 사이에서 배선 길이가 짧아진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보도의 좌측 측면에 우측 측면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하던 것들이 이제는 불필요하고, 방출기와 수신기를 조절하는 것 만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것은 재가동 장치가 단지 비상 정지 버튼이 활성화된 이후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광커튼을 점검하는 것은 모든 비상 정지 작용상에 수행되고, 상기 제어는 사전설정된 시간, 예로서, 20초 후에 가동된다.
각각의 전자 분석기마다 대략 100개의 방출기와 수신기가 제공될수 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보도에 단지 하나의 전자 분석기만으로도 충분하다. 전자 분석기를 위한 하우징은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분석기는 설치된 다수의 광배리어를 자동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래서, 전자 분석기에 대해 조절할 필요가 없다. 즉, 손상되었을 때 어떠한 설정도 필요없이 대체될 수 있다.
모니터링 회로는 여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한다. 광배리어 체인으로부터 두 개의 분리된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에의해 분석되며, 하나의 신호는 잘못된 방출기 또는 수신기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펄스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여분의 모니터링 회로를 가동하기 위한 전압신호이며, 그에의해, 개회로(open-circuit) 검출이 제공될수 있다.
그러므로, 오류를 분석하기 위한 어떤 부가적인 부품도 불필요하다. 상황 표시장치는 예로서, 전자 분석기 내의 컬러 LED(발광 소자; light-emitting diode)에 의해 단지 오류 상황에서만 경보를 알리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광배리어 체인은 220V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예로서, 24V의 신호 전압으로 작동된다. 몇 개의 분석기 수단의 연속적인 배열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방출기와 수신기는 어떤 숫자라도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심지어 특별히 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보도도 본 발명의 재가동 장치가 적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두 배선 시스템(CAN bus)은 에스컬레이터 식별 수단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에 따라 각각의 방출기와 수신기의 기하학적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단지 차이는 수신기로부터 방출기를 구분하는 것을 돕기위해 색상만이 다르다. 대응하는 방출기/수신기를 수용하도록 사용되는 사전설정된 중앙 간격의 리세스가 스커트부 영역에 결합되어 있고, 고의적인 훼손 방지 수단으로서 스커트부내에 반투명 캡에의해 덮혀진 대응하는 안내 요소가 각각의 리세스내부로 나사결합된다. 이것은 한편으로 캡과 방출기/수신기 사이에서 규정된 간격을 가진 광학적 부품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된 배열을 제공하고,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스커트부를 매끄럽게 마감한다. 스커트부에 대해 안내 소자를 고정하는 것은 조절을 돕도록 하향 굴곡부의 슬롯이 형성된 외부에 제공된 하향 굴곡 브래킷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향 굴곡부의 길이는 내향 돌출된 안내요소 부분의 길이와 동일하다.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브래킷은 안내 소자의 자유 표면상의 슬롯이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고, 안내 소자위에 설치된 캡너트로 안내소자에 대해 배치된다. 그후, 상기 유닛은 볼트결합등으로 스커트부에 고정될 수 있고, 필요한 보정는 캡 너트를 풀고, 안내 소자에 대해 브래킷을 변위시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에 따라 광배리어 체인은 적외선광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예시에 의해 세부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을 참조로하면, 에스컬레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가동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3)를 갖는 전자 분석기(2)가 도시된다. 재가동장치(1)는 수신기(5)가 각각의 방출기(4)에 대략 대향하게 설치되도록 에스컬레이터(도시되지 않음)의 운송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개의 방출기(4)와 수신기(5)에 의해 형성된 광배리어 체인을 포함한다. 각각의 방출기(4)와 각각의 수신기(5)는 두 개의 케이블(6,7 및 8,9)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캐이블은 대응하는 연결장치(10)를 경유하여 각각의 경우에 다른 부품(수신기/방출기)에 각각 조합된 케이블(7,6 및 9,8)에 일렬로 연결되어 에스컬레이터의 각각의 측면상에 광배리어 체인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왼편(a)의 방출기/수신기를 오른편 측면(b)의 그것에 배선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연결장치(10)는 단지 방출기(4)와 수신기(5)의 두가지 형태만이 각각의 경우에 광배리어 체인을 형성하기 위해 소요되도록 형성, 바람직하게는 코드화(coded) 된다. 개별적인 방출기(4)와 수신기(5)는 대응하는 케이블(11, 12)과 복귀 컨덕터(13, 1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 선택된 실시예는 에스컬레이터의 각각의 측면(a, b)상의 방출기(4)와 수신기(5) 사이의 짧은 캐이블 연결을 보증하고, 방출기(4)와 수신기(5)의 조절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재가동 장치(1)는 방출기(4)와 수신기(5)에 의해 형성된 광커튼의 형성이 점검된 이후에 각각의 비상 정지 작용후에 활성화된다. 각각의 전자 분석기(2)가 복수개의 방출기(4)와 수신기(5)를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에스컬레이터 전체 길이가 단일의 전자 분석기(2)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로서, 모니터링되는 방출기(4)와 수신기(5)의 수가 100을 초과하더라도 몇 개의 전자 분석기(2)의 연속적인 배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도시되지 않음)의 스커트부(15; 암시적으로만 도시됨)내에 보호되어 제공된 방출기(4)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방출기(4)는 코드화된 연결장치(10)에서 종료되는 케이블 단부(6, 7)가 장비되고, 그후, 연결장치에는 전자 분석기(2)에 연결되는 케이블(11, 12, 13, 14; 도 1)중 하나가 연결되거나, 수신기(5)가 상류 또는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방출기(4)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는 스커트부 뒤에 제공된다. 이 배열에서 스크류(17, 18)와 스페이서(19)로 고정될 수 있는 브래킷(16)과, 안내소자(20)를 경유하여 스커트부(15)의 후방측면(21)으로 죔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하면, 도 2의 재가동 장치에 대해 개조된 변형으로서 브래킷을 구비한 수신기(5)가 결합된 재가동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는 예로서, 이동 보도(도시되지 않음)의 스커팅부(22)내에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5)의 자유 단부(23)는 수신기(5)의 수나사(26)가 안내소자(25)의 암나사(27)내로 나사결합되도록 탭(24)을 형성하는 안내소자(25)가 결합된다. 또한, 일단부에서 하향 굴곡부(29)를 포함하고, 다른 단부에서 슬롯이 형성된 부분(30)을 포함하는 브래킷(28)이 제공된다.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브래킷(28)은 수신기(5)내의 안내소자 위에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안내소자(25)에 대향한 암나사를 구비한 캡 너트(31)로 적소에 고정된다. 브래킷(28)은 슬롯(30)의 단부와 하향 굴곡부(29) 사이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팅부(22)의 후방 측면(34)에 연결된 스터드 볼트인 죔소자(33)의 통로를 위한 관통 구멍(32)을 포함한다. 그후, 수신기(5)과, 안내소자(25)와, 브래킷(28)과 캡너트(31)로 구성되는 유닛이 관통 구멍(32) 부분에서 나사(35)를 구비한 스터드 볼트(33)상에 장착되고, 너트(36)로 스커트부(22)의 후방측면(34)에 잠겨진다. 이 장치에서, 슬롯(30)은 스터드 볼트(33)에 대해 스커트부(22)내에 제공된 리세스(37)의 공차를 보정하도록 제공되고, 이 보정은 캡 너트(31)가 풀려지고, 대응하는 방향으로 브래킷이 변위됨에 의해 달성된다. 안내소자(25)는 예로서, 반투명 재료의 커버판(39)이 본드결합되는 추가적인 탭(38)과 함께 스커트부(22)의 영역에 제공된다. 안내소자(25)는 평편한 면이 형성되도록 커버판(39)에 연결되고, 상기 평편한면은 수신기(5)가 설비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스커트부(22)의 전방 측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너트(36)를 구비한 스터드 볼트(33)와 슬롯(30)을 포함하는 브래킷(28)의 평면도이다. 또한, 수신기(5)와 캡너트(31)가 도시된다.

Claims (17)

  1. 스커트부 영역에서 스텝 또는 팔레트 트랙의 부근에 배열된 방출기와 수신기로 구성된 복수개의 광배리어(light barrier)를 포함하고, 상기 광배리어의 신호가 비상 정지 버튼이 작동된 이후 승객 운송장치의 작동 준비 상태를 자동적으로 회복시키는 하나 이상의 전자 분석기(2)에 공급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 등의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적인 방출기(4)와 수신기(5)를 광배리어 체인에 결합하고,
    주어진 간격으로 대략 서로 대향하게 상기 방출기(4)과 수신기(5)를 배열하고,
    상기 승객 운송장치의 각각의 측면(a, b)상에 교대로 방출기(4)와 수신기(5)를 제공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제공하고,
    인접한 측면(a, b)상에 제공된 상기 수신기(5)와 상기 방출기(4)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승객 운송장치의 각각의 측면(a, b)상의 개별적인 방출기(4)와 수신기(5)를 연결장치(10)로 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출기(4) 또는 각각의 수신기(5)는 대응하는 부품(5, 4, 2)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대응하는 연결 장치(10)를 포함하는 두 개의 케이블 단부(각각 6,7과 8,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0)는 코드화(coded)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4)와 수신기(5)는 적외선광을 기초로하여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분석기(2)가 모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4)와 수신기(5)용 모니터링 회로가 여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7. 제 5 항 및 제 6 항에 있어서, 설치된 다수의 방출기(4) 및 수신기(5)가 자동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기(4)와 수신기(5)가 그 기하학적 형상에 관해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기(4)와 수신기(5)는 스커트부에서 상기 스커트부(15, 22)의 리세스내에 삽입가능한 안내 소자(20, 25)내에 유지되고,
    상기 방출기(4)와 상기 수신기(5)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보도의 상기 스커트부(15, 22)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브래킷(16, 28)으로 적소에 고정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소자(20, 25)는 투명 재료로 구성된 부품(39), 특히, 디스크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39)을 포함하는 상기 안내 소자(20, 25)는 상기 스커트부(15, 22)와 동일한 높이로 종결되도록 상기 스커트부(15, 22)의 리세스내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4)와 상기 수신기(5)는 상기 대응하는 안내 소자(20, 25)내에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소자(20, 25)는 암나사(24)를 구비하고, 상기 방출기(4)와 상기 수신기(5)는 대응하는 수나사(26)를 구비하며,
    상기 방출기(4)와 상기 수신기(5)는 상기 정합 부품(39)으로부터 한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대응하는 안내 소자(20, 25)내로 나사결합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6, 28)은 한편에서 대응하는 방출기(4) 또는 수신기(5)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다른 편에서, 특히, 볼트(17, 18)와 스터드 등의 하나 이상의 죔소자를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32)을 포함하는 금속 박판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8)은 그 한 단부의 영역에서 아래로 굽혀지고, 그 다른 단부의 영역에서 상기 하향 굴곡부(2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천공 구멍(32)은 상기 슬롯(30)의 단부와 상기 하향 굴곡부(29) 사이에서 죔소자, 특히, 볼트와 스터드 등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브래킷(28)의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분(30)은 상기 안내 소자(25)위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 소자(25)에 대해 암나사가 형성된 캡너트로 적소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캡너트(31)가 상기 안내소자(25)의 방향으로 상기 대응하는 방출기(4)와 수신기(5)상에 제공된 상기 수나사(26)상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17. 제 15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안내 소자(25)가 상기 스커트부(22)내에 제공된 상기 리세스(37)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커트부(22)에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28)의 상기 하향 굴곡부(29)는 상기 스커트부(22)의 후방 측면(34)에 의해 지지되며,
    죔소자가 재응하는 관통구멍(32)를 통과하는, 특히, 나사(35)를 구비한 스터드(33)가 협력적으로 너트(36)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운송장치용 재가동 장치.
KR10-1998-0703331A 1995-11-07 1996-11-06 승객운송장치를준비상태로복귀시키기위한전환장치 KR100419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1410A DE19541410C2 (de) 1995-11-07 1995-11-07 Wiederbereitschaftsschalteinrichtung für Personenförderanlagen
DE19541410.1 199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329A true KR19990067329A (ko) 1999-08-16
KR100419542B1 KR100419542B1 (ko) 2004-09-10

Family

ID=777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331A KR100419542B1 (ko) 1995-11-07 1996-11-06 승객운송장치를준비상태로복귀시키기위한전환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92604A (ko)
EP (1) EP0859735B1 (ko)
JP (1) JPH11514619A (ko)
KR (1) KR100419542B1 (ko)
CN (1) CN1107636C (ko)
AT (1) ATE179957T1 (ko)
BR (1) BR9611316A (ko)
CZ (1) CZ142798A3 (ko)
DE (2) DE19541410C2 (ko)
ES (1) ES2131414T3 (ko)
SK (1) SK282792B6 (ko)
WO (1) WO1997017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8887B4 (de) * 2000-04-14 2005-02-10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Bremse(n) einer Personenförderanlage
DE10137438A1 (de) * 2001-07-31 2003-02-27 Kone Corp Sicherheitseinrichtung für Personenförderanlagen
US7407048B2 (en) * 2006-08-21 2008-08-05 Kone Corporation Safety switch and method of checked redundancy
US7699157B2 (en) * 2007-05-25 2010-04-20 Rockwell Automation Limited Safety arrangement
ATE541227T1 (de) * 2007-07-05 2012-01-15 Sick Ag Lichtgitt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lichtgitters
JP5314888B2 (ja) * 2007-12-27 2013-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自動診断運転装置
CN102092624A (zh) * 2011-03-02 2011-06-15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急停按件装置
EP2708485B1 (de) * 2012-09-18 2014-09-03 Cedes AG Anfahrsensor mit Vorraumüberwachung für Fahrtreppen oder Fahrsteige
CN105068140A (zh) * 2015-07-23 2015-11-18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小范围内人体位置检测装置
CN105911607B (zh) * 2016-06-08 2017-12-22 兰州兰石集团有限公司 物体移动及移动方向感应器
TWI653786B (zh) 2017-07-25 2019-03-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1601B (de) * 1964-07-31 1968-06-27 Dr Hans Richter Lichtstrahlengitter mit mehreren Lichtschranken
DE2911658A1 (de) * 1979-03-24 1980-09-25 Man Hansa Fahrtreppen Kontrolleinrichtung auf ueberpruefung des vorhandenseins von fahrgaesten auf einem stufenband bei fahrtreppen
DE2941119A1 (de) * 1979-10-10 1981-07-16 alfasystem GmbH Vertrieb von elektronischen Sicherheitssystemen, 8034 Germering Verfahren zur personensicherung an befoerderungsanlagen
JPH0729749B2 (ja) * 1989-07-21 1995-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14619A (ja) 1999-12-14
WO1997017278A1 (de) 1997-05-15
DE19541410A1 (de) 1997-05-15
CN1201437A (zh) 1998-12-09
DE59601906D1 (de) 1999-06-17
CZ142798A3 (cs) 1998-12-16
EP0859735B1 (de) 1999-05-12
US5992604A (en) 1999-11-30
KR100419542B1 (ko) 2004-09-10
EP0859735A1 (de) 1998-08-26
ES2131414T3 (es) 1999-07-16
SK58298A3 (en) 1998-12-02
CN1107636C (zh) 2003-05-07
ATE179957T1 (de) 1999-05-15
SK282792B6 (sk) 2002-12-03
DE19541410C2 (de) 1999-04-01
BR9611316A (pt) 199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7329A (ko) 승객 운송장치를 준비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환장치
KR101179088B1 (ko) 고주파 센서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보도의 전방공간을 감시하는 장치
EP0964324A1 (en) Controller for plural area sensors
JP3494241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安全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安全監視方法
US6157296A (en) Lamp burnout detecting unit with branch connection function
JP2002074421A (ja) 移動物体の検知方法及び車両検知装置
US6204575B1 (en) Method of verifying an extension area sensor controlled, master controller of area sensors, and cover to be used when no slave controller is added
US60491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cable having electrical conduction line surrounding power supply line used in car
US20080111060A1 (en) Passive Safety System With A Direction Sensing Exit Zone For Use In a Mobile Storage System
US5675316A (en) Meter-module and its assembly
CN106115449A (zh) 一种应用于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防下陷结构
US20090025956A1 (en) Security or Safety Bus System
ES8701628A1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un circuito de luces del remolque de un vehiculo industrial
JPH1084629A (ja) 電力分配システム
US6793061B2 (en) Escalator or moving step assembly
KR20000008945A (ko) 열차 승강장 안전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30116701A1 (en) Software controled optical sensor for conveyors
KR0128537Y1 (ko) 광소자를 이용한 분진누적 검출회로
US11133661B2 (en) Traffic signal position detection system
JPH0739033Y2 (ja) 防災設備の中継器
JP4123788B2 (ja) 乗客輸送装置、及び、乗客輸送装置の表示装置
JPH0155138B2 (ko)
KR100552934B1 (ko) 차량용 전원 제어 장치
JPS63163600A (ja) センサ取付位置規定装置
CN116715128A (zh) 梯级缺失保护装置和包括其的乘客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