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46A -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46A
KR19990063746A KR1019980702213A KR19980702213A KR19990063746A KR 19990063746 A KR19990063746 A KR 19990063746A KR 1019980702213 A KR1019980702213 A KR 1019980702213A KR 19980702213 A KR19980702213 A KR 19980702213A KR 19990063746 A KR19990063746 A KR 1999006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o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544B1 (ko
Inventor
야수히로 타마키
토시유키 타나카
아키토 니시무라
유이치 요시다
히로시 요코수카
Original Assignee
타나카 시게노부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399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52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76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971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876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971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00876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89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90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0351A/ja
Application filed by 타나카 시게노부,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filed Critical 타나카 시게노부
Publication of KR1999006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2Assembly tools, e.g. crimping tool or pressing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서로 길이 방향을 잘라 배치된 부세수단(4)에 의해 서로 접근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2 분할 구조의 소자(2)를 갖고, 쌍을 이루는 광섬유(3, 3)를 당해 소자의 사이에 협지하여 상기 광섬유끼리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조심 위치 결정하는 광섬유 접속기(1)를 지지하는 지지기구(11)와, 상기 광섬유 접속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소자 사이에 꽂아 넣을 때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자끼리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눌러 넓히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협지를 해제하는 분리부재(20)와, 당해 분리부재를 광섬유 접속기를 따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소자 사이에 꽂아 넣는 가압기구(3)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및 소자내에 맞대어진 양 광섬유에 맞대는 힘을 부여하면서 소자를 닫아 광섬유를 클램프 유지하는 광섬유 접속방법이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종래의 광섬유 접속기로는 맞대는 2 개의 광섬유를 동일한 하우징 내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 접속기의 위치결정 조심(調心) 구조로서는, (1) 정밀세관(이하, 「마이크로캐필러리」) 내에 그 양단으로부터 광섬유를 삽입하여 맞대는 구조, (2) 위치결정 홈에서 광섬유끼리 맞대는 구조, (3) 3 개의 정밀 로드(rod) 또는 3 개의 정밀 보울(bowl)의 중심에 광섬유를 지지하여 위치결정하는 구조 등이 있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기는 상기 조심기구에 있어서 한 쌍의 광섬유를 조심, 맞대어 조심기구에 접착 또는 기계적으로 끼워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섬유 접속기의 경우, 광섬유를 단독으로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구조라는 점에 의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맞대는 광섬유를 고정하고 있는 하우징과의 열팽창율 차이로 인하여, 온도변화를 받는 경우 광섬유를 맞댄 상태가 변화되어 버린다. 이에 따라 광섬유의 접속손실이 변동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는 탄성체에 의해 광섬유를 지지하고 있는데, 이 탄성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되므로 광섬유 지지력이 저하되어 광섬유의 맞댄 상태가 변화되고 접속손실이 변동한다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접속손실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는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전술한 조심 위치 결정 구조를 사용한 광섬유의 접속에 시간과 노력이 걸릴 것이 우려된다. 특히, 광섬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단선이라든가 광부품 고장 등 지장이 발생했을 때의 접속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접속작업을 완료할 것이 요구되므로, 광섬유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망에 부응하여 출원인 들은, 예를 들어 PCT/JP96/02357(국제출원번호)에 기재한 바와 같은 광섬유 접속기를 이미 제안한 바 았다.
이 광섬유 접속기는, 일체화시에 로드 형상을 이루는 2 분할 구조의 소자와, 단면 C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삽된 소자에 클램프력을 부여하는 C형 스프링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소자의 중앙부에는 당해 소자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꽂은 광섬유를 서로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조심, 위치결정하는 조심기구를 갖고 있다. 이 조심기구는 (1) 마이크로캐필러리 내에 그의 양단으로부터 광섬유를 삽입하여 맞대는 구조, (2) 위치결정 홈에서 광섬유끼리 맞대는 구조, (3) 3 개의 정밀 로드 또는 3 개의 정밀 보울의 중심에 광섬유를 지지하여 위치결정하는 구조 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광섬유 접속기는 소자에 꽂은 광섬유를 C형 스프링의 클램프력에 의해 소자 내에 안정하게 클램프 유지하는 것에 의해, 맞대어 접속한 광섬유끼리의 접속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C형 스프링의 개구부로부터 쐐기를 삽입하여 광섬유에 작용하는 클램프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를 빼거나 접속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광섬유 접속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C형 스프링을 눌러 넓히는 작업이 어려운데, 더욱이 광섬유 삽입시에는 C형 스프링을 눌러 넓히면서 소자에 광섬유를 삽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원하는 접속손실로 광섬유끼리 광접속하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들어 작업성에 불만이 있게 된다. 또한, 쐐기의 압입력이 강하므로 압입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소자에 미소한 왜곡이 발생하여 C형 스프링의 협지력(挾持力)이 불안정하게 되어 광섬유 접속기에 있어서 광섬유의 접속 정밀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소자에 측압을 과잉으로 작용시키는 일 없이 광섬유 접속기에서 광섬유의 맞접속을 간편하게 행하기 위한 전용 공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광섬유끼리의 광접속에 있어서는 접속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즉, 한 쪽의 광섬유는 그대로 두고 다른 쪽의 광섬유만 교환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접속기를 위한 공구로서는 접속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 개의 분할 구조의 소자 사이에 광섬유 한 쌍을 맞접속하여 협지하는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를 이용한 광섬유 맞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에 광섬유의 접속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기를 이용한 광섬유의 맞접속에 사용하기 적합한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특히 쐐기(분리부재)의 슬라이드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표준위치, (b)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의 III-III 선 단면도로, 특히 가압기구 작동상황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의 IV-IV 선 단면도로, 특히 계지기구의 작동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a)는 계지전 (b)는 계지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에 있어서 돌출 기구를 나타낸 설명도로, (a)는 표준시, (b)는 밀어 올린 때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의 III-III 선 단면도로, 특히, 가압기구의 작동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누름 단추를 가장 깊게 누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쐐기의 작동 상황을 나타낸 개념도로, (a)는 초기상태, (b)는 누름 단추를 누른 상태, (c)는 누름 단추를 누른 힘을 해제한 때, (d)는 누름 단추의 상승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1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공구의 III-III 선 단면도로, 특히, 가압기구의 작동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누름 단추를 소정 깊이까지 누른 후 가압력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공구가 적용된 광섬유 접속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기의 단면도,
도 11은 돌출기구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단면도로, 지렛대를 이용한 돌출 레버의 예를 나타내고,
도 12는 돌출기구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로, 랙과 피니언 기구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13은 도 12의 돌출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돌출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돌출기구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로, 링크 기구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의 돌출기구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돌출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서로 길이 방향을 잘라 배치된 부세수단(付勢手段)에 의해 서로 접근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2 분할 구조의 소자를 갖고 당해 소자의 길이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각각 개별적으로 한 쪽 또는 다른 쪽의 광섬유를 당해 소자의 사이에 협지하여 상기 광섬유끼리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조심 위치 결정하는 광섬유 접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를 맞접속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이다.
상기 광섬유 접속공구에서는, 광섬유 접속시 압입기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지지기구에 지지된 광섬유 접속기의 소자에 분리부재를 꽂아 넣어 당해 소자를 밀어 넓히고, 다음에 분리부재를 소자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 맞대어진 상태인 광섬유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소자 내에 클램프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공구에 의하면, 지지기구에서 광섬유 접속기를 지지한 후 가압기구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소자에 분리부재를 꽂는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발명은 전기라든가 자기라든가 유압 등을 이용한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분리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압기구를 적용한 구성도 포함한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공구에 적용하는 광섬유 접속기는 부세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단면형상이 C형이라든가 コ자 형상의 슬리브 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이들 스프링의 측벽부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개재하여 소자에 분리부재를 꽂아 넣는다. 또한, 광섬유 접속기는 광섬유의 위치결정 조심 수단으로서, (1) 마이크로캐필러리 내에 그 양단으로부터 광섬유를 삽입하여 맞대는 구조, (2) 위치결정 홈에서 광섬유끼리 맞대는 구조, (3) 3 개의 정밀 로드 또는 3 개의 정밀 보울의 중심에 광섬유를 지지하여 위치결정하는 구조 등을 이용한 것이다.
분리부재를 소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이러한 이동에 의해 분리부재를 소자에 꽂아 넣는 위치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소자에서 부세수단의 부세력의 작용을 해재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즉, 소자를 길이 방향 전 길이에 걸쳐 평균적으로 밀어 넓히는 위치에 분리부재를 압입하면 소자 전체에서 광섬유를 삽입하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자의 길이 방향 한 쪽만을 밀어 넓히는 위치에 분리부재를 삽입하면 소자를 밀어 넓힌 길이 방향 한쪽에서만 광섬유를 삽입하고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에는, 소자의 길이 방향 다른 쪽으로 삽입한 광섬유의 클램프 상태가 유지되므로, 길이 방향 한 쪽의 광섬유를 교환한다면 접속 교환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지지구조에 지지한 광섬유 접속기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리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이동대와, 당해 이동대를 되돌리는 되돌림 기구를 갖는 구성을 적용한 경우, 지지기구에 지지한 광섬유 접속기에 분리부재를 꽂아 넣는 것은, 가압기구를 조작하여 이동대를 광섬유 접속기에 접근시키고 이 이동대에 의해 분리부재를 가압하여 분리부재를 광섬유 접속기에 꽂아 넣는다. 여기에서, 이동대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신속하게 되돌림 기구가 작동하여 이동대가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동대가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된 때에는 이동대와 분리부재의 상대 변위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대가 이동한 후에도 분리부재가 인발 저항으로 소자에 꽂힌 상태 그대로 남아 있어 측압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자의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소자의 개방에 의한 변형 등이 방지되어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애, 언제라도 원하는 접속손실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소자의 수명도 장기화된다.
분리부재에 변형된 계합구멍에 이동대로부터 돌출 설치된 계합부재를 삽입한 경우에는, 소자에 분리부재를 꽂은 후 이동대가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되면서 계합부재도 이동대와 함께 이동한다. 이동대 및 계합부재의 이동거리는 계합구멍 내 계합부재의 가동거리 범위 내에 있어, 이동대가 이동한 후에도 분리부재가 소자로부터의 인발저항에 의해 소자에 꽂힌 상태로 남아 있는다. 이에 의해, 소자에 측압을 작용시키는 일 없이 소자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동대를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계합부재가 분리부재에 계합하여 이동대와 함께 이동하여 소자로부터 빠져 나와 원래 위치에서 다음의 꽂는 동작의 대기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다음의 소자 개방 동작으로 이행하는 것이 신속히 이루어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구동원을 갖는 가압기구를 적용한 경우에는, 이동대의 지지기구 측으로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되돌리는 한 쪽 또는 양 쪽의 동작을, 구동원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하여 행한다.
맞대는 기구를 구비한 경우에는, 광섬유를 지지한 클램프체를 지지기구를 향하여 접근시키는 것으로 지지한 광섬유를 광섬유 접속기에 삽입한다. 클램프체는 지지기구에 지지한 광섬유 접속기의 조심축선 상에 광섬유를 지지하므로, 광섬유를 클램프한 채로 지지기구에 접근시키는 것 만으로 광섬유를 소자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체의 이동범위와 지지기구 사이, 광섬유 접속기의 조심축선을 따른 위치에 광섬유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클램프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광섬유를 가이드체가 항상 광섬유 접속기의 조심축선 상에 유지하므로 클램프체의 이동에 의한 광섬유의 삽입 조작이 원활하게 된다.
맞대는 기구는 광섬유를 광섬유 접속기에 삽입하여 대향하는 광섬유와 맞댄 후에도 맞댄 상태의 양 광섬유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으로 소자 내에서 클램프하기까지 대향하는 광섬유로 가압력을 계속해서 작용시킨다. 이 가압력은 (1) 클램프체 자체를 지지기구를 향해 가압하는 것, (2) 당해 클램프체에 지지한 광섬유를 만곡시켜 광섬유 자신의 강성에 의한 반발력을 이용하는 것의 주로 2 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끼리 맞접속시 맞대는 힘이 부여되고 맞접속한 광섬유 사이에서 원하는 접속손실이 안정하게 얻어진다.
클램프체는 광섬유 접속기의 조심축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사져서 광섬유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에 의해 만곡된 광섬유의 강성에 의한 반발력으로부터 맞대는 힘을 얻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가이드체를 설치한 경우에는 광섬유의 만곡 유지 기능을 가이드체에 갖게 한다.
거는 부재를 구비한 경우에는, 이러한 거는 부재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있는 광케이블 등의 고정 구조물에 본원 광섬유 접속공구를 걸어놓는 것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이 향상된다. 거는 부재로서는 금속제 후크 등이 바람직하다.
돌출 기구를 구비한 경우에는, 작업을 완료한 광섬유 접속기를 돌출 기구에서 돌출하도록 하여 지지기구로부터 이탈시킨다. 접속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 돌출 기구를 작동시키면 광섬유 접속기를 지지기구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 다음 작업으로 신속히 이행시킬 수 있다. 지지기구는 광섬유 접속기를 정밀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광섬유 접속기를 거의 둘러싸는 구조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돌출 기구의 설치에 의해 광섬유 접속기의 취출 작업성의 저하 우려가 해소되므로 지지기구 구성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돌출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1) 지렛대를 이용하는 것, (2) 랙과 피니언 기구(rack-and-pinion mechanism)을 이용하는 것, (3) 링크 기구를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1) 지렛대를 이용한 것은 소형화, 구성의 간단화가 용이하고, 지지기구 근방에 설치하므로 돌출한 광섬유 접속기의 취출 등의 작업위치가 돌출기구 조작위치에 가깝게 되어 양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2) 및 (3)의 구성에 의하면, 설치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큰 돌출력을 얻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 방법에 의하면, 소자 내에서 맞대어진 양 광섬유에 맞대는 힘을 부여하면서 소자를 폐쇄하여 광섬유를 클램프 유지하므로, 소자의 폐색 후에는 광섬유끼리의 압접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원하는 접속손실이 안정하게 얻어질 수 있고, 당해 접속손실을 장기간에 걸쳐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으로부터 제 7 항에 기재된 광섬유 접속공구를 사용한 광섬유의 접속작업에 적용하는 것으로, 그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본 발명은 미리 소자 내에 삽입하여 둔 광섬유에 소자의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한 별도의 광섬유를 맞접속하는 것도 포함한다. 소자에 선행 삽입된 상태의 광섬유는, 맞접속된 한 쌍중의 한 쪽을 소자로부터 빼고 소자 내에 남아 있는 다른 쪽 광섬유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광섬유의 접속 전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서술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공구 1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광섬유 접속기, 11은 지지기구, 20은 쐐기(분리부재), 30은 가압기구, 40은 계지기구, 50은 맞대는 기구, 60은 돌출기구, 70은 거는부재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기 1은 서로 길이 방향을 잘라 배치된 2 분할 구조의 소자 2, 2와, 소자 2, 2 사이에서 맞접속 가능하게 조심 위치 결정되는 광섬유 3에 대하여 협지력(도 10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냄)을 부여하여 광섬유 3을 협지, 고정하기 위한 C형 스프링 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쪽 또는 다른 쪽 광섬유 3, 3은 소자 2, 2의 길이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맞대어져 조심 위치 결정된 상태로 각각 개별적으로 협지되고 있다.
또한, 소자 2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V홈, U홈 등의 안내홈 2a(도 10에는 V홈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광섬유 3은 안내홈 2a에 안내되어 소자 2, 2 사이에 수용되어 그의 조심 위치 결정이 확실히 되도록 되어 있다.
소자 2 및 C형 스프링 4에는 각각 개구부 2b 및 개구부 4a가 위치를 맞추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에 직행하는 방향(도 10에 있어서 화살표 Y로 표시되어 있다)으로부터, 쐐기 5가 개구부 2b, 4a 내에 꽂힐 때 쐐기 5는 C형 스프링 4의 협지력에 저항하여 소자 2, 2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어 넓힌다. 이에 의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 측방으로부터의 광섬유 3의 삽입,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 측방으로 광섬유 3을 빼거나 광섬유 3의 교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지지기구 11은 광섬유 접속기 1을 광섬유 접속공구 10 내에 있어서 정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 12, 유지 스프링 13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 12는 광섬유 접속기 1을 놓기 위한 것이다.
유지 스프링 13은 지지대 12에 광섬유 접속기 1이 놓여진 경우, 광섬유 접속기 1의 양 측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에는 광섬유 접속기 1 측을 향한 볼록부 13a를 갖고 있다.
쐐기 20은, 예를 들면 도 3 및 도 7a∼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 2b에 삽입 가능한 선단 형상을 갖는 복수의 칼날체 2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개구부 2b를 통하여 소자 2, 2 사이에 꽂아 넣을 때 C형 스프링(부세수단) 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자 2, 2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넓히는 것에 의해 광섬유 3의 협지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쐐기 20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20a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쐐기 20은 억제판 22와 이동대 35(후술한다) 사이에서,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자유롭고 접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있다.
억제판 22에는 손잡이 20a를 구속하는 것에 의해 쐐기 20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 22a가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7a∼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 20에는 직경 0.9 mm 정도의 작은 구멍 20b가 개구되어 있고, 이 작은 구멍 20b에는 이동대 35로부터 돌출 설치된 직경 0.3 mm 정도의 계합핀 35d가 삽입되어 있다.
작은 구멍 20b는 청구의 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계합 구멍에 상당하고, 계합핀 35d는 동 계합부재에 상당한다.
가압기구 3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31, 축 32, 누름 단추 33, 스프링 34, 이동대 35, 스토퍼 3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축 32는 상하 구멍 31a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축 32의 축방향 중앙부에는 긴 구멍 32a 및 당해 긴 구멍 32a의 일단부에 자리잡은 계지구멍 32b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단추 33은 축 32에 고정되어 있고, 축 3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누름 단추 33에는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축체 33a가 설치되어 있고, 축체 33a에는 축체 33a의 축선 주위로 회전 자유롭게 롤러 33b가 취부되어 있다.
스프링 34는 누름 단추 33과 핸들 31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 것으로, 누름 단추 33을 핸들 31에 대하여 상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동대 35는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이동대 35와 스토퍼 36 사이에 배치된 부세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시된 우측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동대 35는 플런저 35a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이동대 35와 억제판 22 사이에서 쐐기 20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동대 35가 롤러 33b와 당접하는 부분은 경사면 35b로 되어 있다. 경사면 35b의 하방에 위치하는 이동대 35의 측면에는 롤러 33가 올라 탈 수 있는 압입 돌부 35c가 0.5 mm 정도의 돌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 돌부 35c의 형성 위치는 롤러 33b의 이동궤적의 하단부이다.
계지기구 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봉 41, 스프링 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계지봉 41은 손잡이 41a와, 축 32의 상하 이동시 긴 구멍 32a 내에 간섭하는 일 없이 수납될 수 있는 가는 축 41b와, 축 41b 보다도 직경이 넓게 형성되고 계지구멍 32b에 수용될 수 있는 넓은 직경부 41c가 순차적으로 연접된 것이다.
스프링 42는 손잡이 41a와 핸들 31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 것으로, 손잡이 41a를 핸들 31에 대하여 외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맞대는 기구 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체 5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체 51은 좌우 양쪽 길이 방향축 51a에 2 개씩 취부되어 있고, 각각 길이 방향축 51a의 길이 방향(도시 A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되어 있다. 각 클램프체 51은 그 상부에 구비된 뚜껑 52에 의해 광섬유 3을 클램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기구 11에 가까운 쪽의 클램프체 51은 광섬유 3의 일단부를 지지기구 11의 저부 방향으로 눌러 붙이도록 경사시켜 클램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광섬유 3의 일단부를 지지기구 11의 저부 방향으로 경사시켜 지지하는 구조는 특히 다중심 광섬유의 접속에 적용하는 경우에 유효한데, 이 경우 각 광섬유를 광섬유 접속기 1의 안내홈 2a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단중심 광섬유 3의 접속에서는 광섬유 접속기 1로 광섬유 3을 삽입하는 작업성을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클램프체 51에 경사 지지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뚜껑 52는 클램프체 51의 일단에 있어서 도시된 B 방향으로 요동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돌출기구 60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 61, 운동부재 6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 61은 손잡이 61a, 도약부 61b, 기어부 61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손잡이 61a를 회전시킬 때 축 61d 주위의 손잡이 61a, 도약부 61b, 기어부 61c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연동부재 62는 도약부 62a, 기어부 6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손잡이 61a를 회전시킬 때는 기어부 62b가 기어부 61c와 톱니 결합하는 것에 의해 축 62c 주위에 도약부 62a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는 돌출 기구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다.
도면중 80은 돌출 레버로, 광섬유 접속공구 10 밖으로 돌출한 조작누름부 81을 하방(도 11 하방)으로 밀어내리는 것에 의해 추축 8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지지대 12의 하부에 삽입된 작용부 83이 지지대 1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슬릿을 통과하여 지지대 12 상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상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돌출기구에 의하면, 구성이 극히 간편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가격 절감이 용이하다. 또한, 도 5 및 도 11에 기재된 양 돌출기구는 어느 지지기구 11이라도 그 근방에서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 접속기의 돌출 동작과 돌출된 광섬유 접속기의 수취를 같은 손으로 동시에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랙과 피니언 기구를 이용한 돌출기구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돌출기구는 도 12에 나타낸 레버 84를 도면중 M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접속공구 내에 상승가능하게 설치된 돌출편 85를 상승(도 13중 상방향)시켜 광섬유 접속기 1을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레버 84의 회동 토크는, 광섬유 접속공구 저부에 배치된 로드 형상의 랙 86을 도 13 및 도 14 중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켜 랙 86과 톱니 결합하는 피니언 87의 회전에 의해 당해 피니언 87과 톱니 결합하는 돌출편 85를 상승시킨다. 이 돌출기구에 의하면, 랙 피니언 기구를 감속기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지기구 11에 의한 광섬유 접속기 1의 지지력을 높여도 광섬유 접속기 1의 돌출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지지시의 위치 결정 정밀도라든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드 형상의 랙 86의 사용에 의해 레버 84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84를 누름 단추 33의 근방에 배치하면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링크기구를 이용한 돌출기구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돌출기구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단추 33의 근방에 배치한 레버 88을 화살표 N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88의 추축 89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링크 90이 도 16 중 화살표 N방향으로 인입되어 회동 브래킷 91이 축 9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에 의해, 축 92에 고정된 돌출편 93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 12의 하방 위치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슬릿을 통과하여 도면중 점선의 위치로 상승(도 17 중 상방향)하여 광섬유 접속기 1을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이러한 돌출기구에 의하면, 링크 90의 사용에 의해 레버 88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게 되면서, 전체로서 설계 변경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광섬유 접속공구의 설계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용이하게 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거는 부재 70은 대략 J자 형상의 만곡된 선단을 갖는 것으로, 이 선단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 전체를 다른 것에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거는 부재 70은 도시된 C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들 31 쪽을 향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접속례]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사용한 경우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하여 광섬유 33을 맞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하여 새로 2 개의 광섬유 3, 3을 광접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맞접속할 경우에는, 우선 광섬유 접속기 1을 지지대 12 위에 놓는다.
이 때, 광섬유 접속기 1은 유지 스프링 13, 13의 볼록부 13a, 13a 사이에 확실하고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쐐기 20을 소정 위치에 이동시킨다. 여기에서는, 우선 길이 방향 양쪽 방향으로부터 2 개의 광섬유 3, 3을 새로 삽입하므로, 쐐기 20은 도 1a에 나타낸 표준위치로 한다.
그리고 누름 단추 33을 도시된 하방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단추 33 및 축 32는 스프링 3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도시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롤러 33b가 회전하면서 압입돌부 35c로 올라 타서, 이동대 35를 도시되지 않은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대 35를 도시된 좌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이동대 35가 눌려지면 쐐기 20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개구부 2b를 통하여 소자 2, 2 사이에 꽂혀 C형 스프링 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소자 2, 2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넓히게 된다.
이 경우,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초 쐐기 20과 이동대 35 사이에는 0.5 mm 정도의 클리어런스가 개재되어 있지만, 쐐기 20의 칼날체 21이 광섬유 접속기 1의 소자 2, 2에 접촉하여 압입이 개시되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대 35가 쐐기 20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전진을 계속하는 결과 클리어런스가 해소되고, 최종적으로 이동대 35의 진행 방향 전면이 쐐기 20에 당접하여 쐐기 20을 가압하여 소자 2, 2 사이에 압입된다.
이 경우, 누름 단추 33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42의 부세력에 의해 넓은 직경부 41c가 계지구멍 32b 내에 인입된다. 즉, 넓은 직경부 41c가 계지구멍 32b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누름 단추 33 및 축 3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단, 이 때 넓은 직경부 41c는 누름 단추 33을 가장 깊게 밀어 넣는 경우보다 축 32가 약간 상승한 때에 계지구멍 32b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축 32의 상승에 수반하여 누름 단추 33도 약간 상승한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33b가 압입돌부 35c로부터 올라가 이동대 35의 압입돌부 35c 이외의 부분에 당접되므로, 도시되지 않은 부세수단의 작용으로 이동대 35가 압입돌부 35c의 돌출 치수에 거의 상당하는 거리만큼 약간 도시된 우측으로 이동한다. 쐐기 20은 이동대 35에 대하여 이동대 35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7c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대 35가 이동하여도 쐐기 20은 소자 2, 2 사이의 클램프력에 의한 인발저항의 작용으로 소자 2, 2 사이에 꽂힌 상태로 변위하지 않으므로, 이동대 35의 이동에 의해 계합핀 35d가 작은 구멍 20b의 중앙부까지 이동하고 쐐기 20과 이동대 35의 사이에 다시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이 때, 압입돌부 35c는 청구항 3 기재의 되돌림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체 51, 51에 안내되어 길이 방향 양측 방향으로부터 광섬유 3, 3을 광섬유 접속기 1 내에 삽입한다. 이 때, 클램프체 51을 축 51a의 길이 방향(도 2중 A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광섬유 3, 3끼리 맞대는 힘을 높여 둔다.
그리고, 도 4b에 있어서, 손잡이 41a를 스프링 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도시된 우측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넓은 직경부 41c가 계지구멍 32b 내로부터 밀려 나가 넓은 직경부 41c의 계지구멍 32b에 대한 계합이 해제되어, 누름 단추 33 및 축 32가 스프링 34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고, 이에 의해 도 8 내지 도 3의 상태로 이행된다. 즉,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부세수단에 의해 이동대 35가 광섬유 접속기 1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되돌아가 쐐기 20이 계합핀 35d에 걸리도록 하여 이동대 35와 함께 이동을 개시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 접속기 1로부터 인발되어, 광섬유 3, 3끼리는 조심 및 맞대어진 상태에서 C형 스프링 4에 의해 클램프된다.
그 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 61의 손잡이 61a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기어부 61c, 62b의 톱니 결합에 의해, 도약부 61b, 62a가 함께 상방으로 도약하고, 구멍부 61e, 62d로부터 도시된 끝 방향을 향하여 연장시킨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광섬유 접속기 1이 지지되어 올라가 광섬유 접속공구 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취출된다.
이상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사용한 경우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한 광섬유 3의 맞접속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사용한 경우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하여 광섬유 3을 맞접속하는 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① 지지기구 11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 내에서 광섬유 접속기 1을 확실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② 가압기구 30에 의해, 쐐기 20을 광섬유 접속기 1의 소자 2, 2 사이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꽂아, C형 스프링 4의 협지력에 저항하여 소자 2, 2를 용이하게 밀어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③ 계지기구 40에 의해, 쐐기 20을 꽂아 소자 2, 2를 밀어 넓힌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맞대는 기구 50에 의해, 광섬유 3, 3끼리 맞대는 힘을 용이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⑤ 돌출기구 60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으로부터 광섬유 접속기 1을 용이하게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⑥ 거는 부재 70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 전체를 다른 것에 거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접속작업을, 예를 들어 전주 위에서 행하는 경우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행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⑦ 쐐기 20을 꽂을 때, 누름 단추 33을 일단 소정 깊이까지 압입하는 것으로부터 당해 누름 단추 33의 압입력을 해제하는 것 만으로 쐐기 20의 꽂음 동작을 완료한 이동대 35를 자동적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에, 측압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소자 2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소자 2에 미소한 왜곡을 발생시킨다든가 C형 스프링을 약하게 할 염려가 없게 되어, 광섬유 3 맞접속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원하는 접속손실을 확실히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접속례]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사용한 경우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하여 광섬유 33을 맞접속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이미 2개의 광섬유 3, 3이 광섬유 접속기 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서 한 쪽의 광섬유 3 만을 교환하는 경우, 즉 "접속 전환"하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맞접속할 경우에는, 우선 이미 2 개의 광섬유 3, 3이 접속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기 1을 지지대 12 위에 놓는다.
이 때, 광섬유 접속기 1이 확실하고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은 상기 제 1 접속예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쐐기 20을 소정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 경우, 교환할 한 쪽의 광섬유가 도시된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 20을 도시된 우측에 슬라이드시켜 광섬유 접속기 1의 4 개의 개구부 2b중에서 우측 3 개에 쐐기 20의 칼날체 21을 대응시켜 배치한다.
그리고, 누름 단추 33을 도시된 하방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단추 33 및 축 3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이동대 35가 좌방향으로 밀려 쐐기 20이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개구부 2b를 통하여 소자 2, 2 사이에 꽂히는 것은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이다.
단, 본 접속례에 있어서는, 쐐기 20이 광섬유 접속기 1의 4 개의 개구부 2b중에서 우측 3 개에 대응하는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 20이 꽂히는 것은 우측 3 개의 개구부 2b 뿐이다. 따라서, 교환할 상기 한 쪽의 광섬유에 대해서만 협지력이 해제되고 다른 쪽의 광섬유에 대해서는 협지력의 해제가 되지 않아 여전히 C형 스프링 4에 의해 협지된 채로 있다.
이 경우, 누름 단추 33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넓은 직경부 41c와 계지구멍 32b의 계합에 의해 누름 단추 33 및 축 3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은,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4b에 있어서, 손잡이 41a를 스프링 4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도시된 우측 방향으로 민다.
이 때 넓은 직경부 41c와 계지구멍 32b의 계합이 해제되어 누름 단추 33 및 축 32가 스프링 35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려 상승하고, 이어서 쐐기 20이 광섬유 접속기 1로부터 인발되어, 광섬유 3, 3끼리 조심 및 맞댄 상태에서 C형 스프링 4에 의해 클램프되는 것은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 61의 손잡이 61a를 회전시키고, 광섬유 접속기 1을 광섬유 접속공구 10의 외부로 돌출 상승시켜 취출하는 것은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에 의해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사용한 경우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이용한 광섬유 3의 "접속 전환"을 완료한다.
이러한 접속 전환 작업에 있어서도, 누름 단추 33의 조작에 대응하는 쐐기 20의 이동 동작은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접속례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접속례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쐐기 20은 광섬유 접속기 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소자 2를 눌러 넓혀야 할 길이 방향 영역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한 쪽 광섬유의 협지 만을 해제하고 다른 쪽 광섬유의 협지는 유지한 채로 두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광섬유의접속 전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환의 필요가 없는 다른 쪽 광섬유에 일체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한 쪽 광섬유 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섬유의 접속 전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다음과 같은 변형을 행하여도 물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a)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공구 10을 광섬유 접속기 1 에 대하여 적용하는 대신에, 개구의 수, 전체 형상, 크기, 직경 등에 있어서 설계 변경이 이루어진 광섬유 접속기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
이 경우, 광섬유 접속공구 10은 광섬유 접속기에 맞추어 적절히 설계 변경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b) 제 2 접속례에 있어서, 교환할 광섬유를 도시된 우측으로 하는 대신 도시된 좌측으로 하는 것.
c) 제 2 접속례에 있어서, 도시된 우측의 광섬유를 교환하는 경우 쐐기 20을 광섬유 접속기 1의 4 개의 개구부 2b 중 우측 3 개에 대응하여 배치하는 대신에 우측 2 개에 대응하여 배치하는 것.
이것은, 교환할 광섬유가 도시된 좌측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d) 지지기구 11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지지기구를 사용하는 것.
e) 도시된 형상의 쐐기 2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형상의 쐐기 20을 사용하는 것.
f) 가압기구 3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가압기구를 사용하는 것.
g) 계지기구 4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계지기구를 사용하는 것.
h) 맞대는 기구 5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맞대는 기구를 사용하는 것.
i) 돌출기구 6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돌출기구를 사용하는 것.
j) 도시된 형상의 거는 부재 70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다른 임의의 형상의 거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 또는, 거는 부재를 생략하는 것.
k) 계합핀 35d 대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임의의 형상의 계합부재를 사용하는 것.
l) 소자 2에 꽂는 쐐기 20을 되돌리는 것을, 계합핀 35d 대신 별도 설치된 쐐기 되돌림 기구로 행하도록 하는 것.

Claims (8)

  1. 서로 길이 방향을 잘라 배치된 부세수단(付勢手段)(4)에 의해 서로 접근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2 분할 구조의 소자(2)를 갖고, 당해 소자의 길이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각각 개별적으로 한 쪽 또는 다른 쪽의 광섬유(3, 3)를 당해 소자의 사이에 협지하여 상기 광섬유끼리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조심 위치 결정하는 광섬유 접속기(1)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를 맞접속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광섬유 접속공구(10)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기를 지지하는 지지기구(11)와, 상기 광섬유 접속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소자 사이에 꽂아 넣을 때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자끼리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눌러 넓히는 것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협지를 해제하는 분리부재(20)와, 당해 분리부재를 광섬유 접속기를 따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소자 사이에 꽂아 넣는 가압기구(3)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는 소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동으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20a)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가, 지지기구에 지지된 광섬유 접속기에 대하여 접근 이격 자유롭게 설치되고, 광섬유 접속기에 접근시 분리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이동대(35)와, 광섬유 접속기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대를 가압하는 가압기구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동시에 이동대를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시키는 되돌림 기구(35c)를 갖고, 이동대가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대와 분리부재의 상대변위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에 형성된 계합구멍(20b)에 유삽(遊揷)된 계합부재(35d)가 이동대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동대가 광섬유 접속기로부터 이격될 때 계합구멍과 계합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이동대와 분리부재의 상대변위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기구에 지지된 광섬유 접속기에 삽입하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맞대는 기구(50)를 광섬유 접속기에 있어서 조심축선의 연장선 상에 지지기구의 측부에 구비하여 되고,
    당해 맞대는 기구는, 광섬유를 상기 조심축선 상에 위치 결정 유지하면서 지지기구에 접근 이격하는 클램프체(51)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6.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구조물에 걸기 두기 위한 거는 부재(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기구는 광섬유 접속기가 탈착 자유로운 구조이고, 당해 지지기구에 지지한 광섬유 접속기를 지지기구로부터 돌출시키는 돌출기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8. 서로 길이 방향을 잘라 배치된 부세수단(付勢手段)(4)에 의해 서로 접근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는 2 분할 구조의 소자를 갖고, 당해 소자의 길이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각각 개별적으로 한 쪽 또는 다른 쪽의 광섬유를 당해 소자의 사이에 협지하여 상기 광섬유끼리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조심 위치 결정하는 광섬유 접속기를 정위치에 지지하는 제 1 공정과, 당해 광섬유 접속기에 꽂아 넣는 분리부재에 의하여 소자를 개방하는 제 2 공정과, 개방된 소자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광섬유를 꽂아 넣고, 당해 소자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소자의 길이 방향 양단측의 광섬유를 맞대는 제 3 공정과, 서로 맞대어진 양 광섬유 끼리를 압접시키는 방향의 맞대는 힘을 부여하면서 분리부재를 소자로부터 빼고,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소자 내에 광섬유를 클램프 지지하는 제 4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KR1019980702213A 1995-09-29 1996-09-27 광섬유접속공구및광섬유접속방법 KR100329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99695A JP3725216B2 (ja) 1995-09-29 1995-09-29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7-253996 1995-09-29
JP876296A JPH09197160A (ja) 1996-01-22 1996-01-22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8-8762 1996-01-22
JP8-8763 1996-01-22
JP876396A JPH09197161A (ja) 1996-01-22 1996-01-22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用接続工具
JP00876496A JP3778981B2 (ja) 1996-01-22 1996-01-22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用接続工具
JP8-8764 1996-01-22
JP8-164906 1996-06-25
JP16490696A JPH1010351A (ja) 1996-06-25 1996-06-25 光ファイバ接続工具
PCT/JP1996/002824 WO1997013171A1 (fr) 1995-09-29 1996-09-27 Dispositif de connexion de fibres optiques, et procede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46A true KR19990063746A (ko) 1999-07-26
KR100329544B1 KR100329544B1 (ko) 2002-08-27

Family

ID=2751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13A KR100329544B1 (ko) 1995-09-29 1996-09-27 광섬유접속공구및광섬유접속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90054B1 (ko)
EP (1) EP0874253B1 (ko)
KR (1) KR100329544B1 (ko)
DE (1) DE69617463T2 (ko)
WO (1) WO19970131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439B1 (ko) * 2003-11-04 2012-03-2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비브이비에이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669B2 (ja) * 1997-05-16 2006-03-2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工具
US6851867B2 (en) * 2001-04-14 2005-02-08 Jds Uniphase Corporation Cam-follower release mechanism for fiber optic modules with side delatching mechanisms
US6863448B2 (en) * 2001-04-14 2005-03-08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button release fiber optic modules
US6796715B2 (en) * 2001-04-14 2004-09-28 E20 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modules with pull-action de-latching mechanisms
US6692159B2 (en) * 2001-04-14 2004-02-17 E20 Communications, Inc. De-latching mechanisms for fiber optic modules
TW500232U (en) * 2001-12-28 2002-08-21 Pin Jack Ind Co Ltd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optical fiber connector
US7118281B2 (en) * 2002-08-09 2006-10-10 Jds Uniphase Corporation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s for fiber optic modules
EP1596230A4 (en) * 2003-02-17 2011-08-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TOOL FOR CONNECTING OPTICAL FIBERS
US7003208B2 (en) * 2003-06-03 2006-02-21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nnecting tool, connector holder, connector holder equipped optical connector, and tool equipped optical connector
US7331719B2 (en) * 2004-06-30 2008-0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ber clamping assembly
US20060002662A1 (en) * 2004-06-30 2006-01-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field-installable connector
US7310470B2 (en) 2005-04-14 2007-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ber repair apparatus with adjustable guide memb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8385694B2 (en) * 2008-09-17 2013-02-26 Draka Comteq B.V. Automated optical switch and method
CN102368104B (zh) * 2011-09-29 2014-03-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
JP5719796B2 (ja) * 2012-04-02 2015-05-2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CN103364881B (zh) * 2012-04-09 2015-04-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纤端面处理装置及其光纤定位结构
CN103364874B (zh) * 2012-04-09 2015-10-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纤处理设备及光纤现地组装方法
CN104459903B (zh) * 2014-12-30 2016-05-04 浙江龙游光谷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插芯尾柄自动压接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7246A (en) 1977-01-11 1978-08-01 Dainichi Nippon Cables Ltd Connection part of light fiber
JP2567881B2 (ja) * 1987-12-03 1996-1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搬送装置
JPH01115707U (ko) * 1988-01-29 1989-08-03
JP2670332B2 (ja) * 1989-01-30 1997-10-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組込台
US4948224A (en) * 1989-02-21 1990-08-14 Modrey Henry J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and the like
US4919510A (en) * 1989-05-04 1990-04-24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US4997255A (en) * 1989-12-07 1991-03-05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fiber splice retainer and method for its use
US5029972A (en) 1990-05-31 1991-07-09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and method for its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439B1 (ko) * 2003-11-04 2012-03-2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비브이비에이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7463D1 (de) 2002-01-10
US6190054B1 (en) 2001-02-20
EP0874253A1 (en) 1998-10-28
KR100329544B1 (ko) 2002-08-27
EP0874253B1 (en) 2001-11-28
DE69617463T2 (de) 2002-06-27
WO1997013171A1 (fr) 1997-04-10
EP0874253A4 (en) 1999-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44B1 (ko) 광섬유접속공구및광섬유접속방법
JP4699546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光ファイバ接続工具
EP0810455A1 (en)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US20060104590A1 (en) Tool for optical connector and tool equipped optical connector
JP2008003218A (ja) 光ファイバ接続工具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8075198B2 (en)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liding splice
JP4535340B2 (ja) 光ファイバ固定組立体
US20090310918A1 (en)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plice and sliding lock
JP2007121878A (ja) 光コネクタの接続工具
JP4302005B2 (ja) 現場組立光コネクタ
JP3725216B2 (ja)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H1010351A (ja)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2007163763A (ja) 光コネクタ用接続治具
WO2004019096A1 (en)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with strain relief mechanism
JP3675991B2 (ja) 光ファイバ接続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JPH11160579A (ja) 光コネクタ
JP2005134583A (ja)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2011059137A (ja) 光コネクタ用取付補助具及び光コネクタ
JP2000019339A (ja) 光ファイバクランプ機構
JP2007121582A (ja) 光ファイバ心線把持部材及び光コネクタ接続方法
JP4308188B2 (ja)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JP4820782B2 (ja) 光ファイバ挿入治具
JP2009210624A (ja) 光ケーブルの接続構造体
JP6114699B2 (ja) 光ファイバ切替方法及び光ファイバ切替装置
JP2005189609A (ja) 現場組立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